KR20180006350A -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 Google Patents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50A
KR20180006350A KR1020170183261A KR20170183261A KR20180006350A KR 20180006350 A KR20180006350 A KR 20180006350A KR 1020170183261 A KR1020170183261 A KR 1020170183261A KR 20170183261 A KR20170183261 A KR 20170183261A KR 20180006350 A KR20180006350 A KR 2018000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die
opening
displa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17018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350A/ko
Publication of KR2018000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14Stock management
    • G09F2003/0217Stock management for envelo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64Shapes or borders
    • G09F2003/0267Shapes or borders die c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64Shapes or borders
    • G09F2003/0269Shapes or borders perforated

Abstract

라벨을 목적물에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비점착부(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을 라벨 외곽과 함께 세밀하고 정교하게 다이커팅하여, 목적물(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파단분리 개봉표시부만 목적물에 붙어 있도록 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제조기술로,
a.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에 라벨 외곽 다이커팅선과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이 함께 배치된 단일 목형에 의해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외곽선과 개봉표시선을 함께 다이커팅 함으로, 보안봉인라벨의 제작공정이 줄어 인쇄형과 비 인쇄형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제작에 있어서 경제성과 실용성이 있는 제조기술이다.
b. 비점착 개봉 탭에 의해 목적물에 부착된 라벨에 힘이 가해 지는 방향으로 목적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에서 일정하게 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만 목적물에 명확히 남게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Seal label to function open mark}
봉인라벨제작기술, 보안봉인라벨제작기술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람이 접하는 제품/상품의 진위/보안/판매 등의 관리에 생산자나 판매자는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제품/상품의 진위/보안/판매 등의 관리에는, 통상적으로 스티커라벨이 인쇄공급되어 제조자나 판매자가 제품/상품 등의 포장수단인 박스/용기/봉투 등의 개봉부위에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편적 보안라벨과 일반봉인라벨은 봉인성과 보안성은 우수하나 라벨의 점착성에 의해 제품에서 라벨을 분리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거나, 라벨제거시 개봉표시가 남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출원자는 실사용자인 소비자의 개봉 편리수단과 개봉흔적이 명확히 표시되는 보안봉인 라벨 제작 기술을 특허 10-1181126(보안봉인 라벨 및 알에프아이디 보안봉인 라벨)로 등록받았다. 상기 등록 특허 기술인 보안봉인 라벨 중, A형 보안봉인라벨과 B형 보안봉인라벨을 고찰하면,
A형 보안봉인 라벨
라벨부(10)/ 포인트 파단부(30,31)/ 손가락 파지부(40)/ 점착제(51)/ 접착제(52)/ 이형지(60)로 구성되며,
1). 라벨부 전면에 광코드를 포함하는 정보표시사항(20)이 인쇄되며,
2).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하며,
3).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포인트 파단부(30)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52)를 포인트 도포하며,
4). 부착자나 개봉자가 라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파지부(40)를 라벨부 일측에 형성하며,
5). 목적물에서 라벨 제거시 목적물 상에 개봉 흔적이 명확히 남도록, 라벨부에 포인트 파단부(30,31)를 도무송 형성하며,
6). 라벨부가 이형지(60)에서 용이하게 분리 되도록 라벨부 보다 큰 이형지를 부착하거나 라벨부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는 "A형 보안봉인 라벨" 이며,
B형 보안봉인 라벨
라벨부(10)/ 손가락 파지부(40)/ 분리촉진제(53)/ 점착제(51)/ 접착제(52)/ 이형지(60)로 구성되며,
1). 라벨부 전면에 광코드를 포함하는 정보표시사항(20)이 인쇄되며,
2). 라벨부 배면으로 목적물의 개봉상황을 표시하거나 점착제(51)와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분리촉진제(53)를 도포하거나 부착하고,
3). 상기 분리촉진제(53)를 수용한 체,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하며,
4).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분리촉진제(53)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 (52)를 포인트 도포하며,
5). 부착자나 개봉자가 라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파지부(40)를 라벨부 일측에 형성하여 제공하며,
6). 라벨부가 이형지(60)에서 용이하게 분리 되도록 라벨부 보다 큰 이형지를 부착하거나 라벨부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는 "B형 보안봉인 라벨" 로,
상기 A형 보안봉인 라벨의 핵심 특징은- A 2,3항의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하며,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포인트 파단부(30)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52)를 포인트 도포하는데 있다.
상기 B형 보안봉인 라벨의 핵심 특징은- B 2,3,4항의 라벨부 배면으로 목적물의 개봉상황을 표시하거나 점착제(51)와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분리촉진제(53)를 도포하거나 부착하고, 상기 분리촉진제(53)를 수용한 체,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하며,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분리촉진제(53)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 (52)를 포인트 도포하는데 있다.
상기 두 특허의 보안봉인라벨은 중요 보안제품의 보안봉인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특허의 보안봉인라벨은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생산비용이 저 단가인 실용성 있는 보안봉인라벨을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특히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개봉편리수단이 제공되며 목적물(박스, 용기, 봉투 등)에 개봉 흔적이 명확히 표시되는 저 생산단가의 보안봉인라벨을 제공함에 있다.
라벨을 목적물에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비점착부(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을 라벨 외곽과 함께 세밀하고 정교하게 다이커팅하여, 목적물(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시(뜯어낼 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파단분리 개봉표시부만 목적물에 붙어 있도록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제조한다.
라벨을 목적물에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비점착부(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라벨 외곽 다이커팅선과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이 함께 배치된 단일 목형에 의해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외곽선과 개봉표시선을 함께 다이커팅 함으로,
1.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목적물(박스, 용기, 봉투 등)에 개봉표시 흔적이 명확히 남게 되는 보안봉인라벨의 제작공정이 줄어 경제성과 실용성이 있는 인쇄형과 비 인쇄형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2. 본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은 개봉표시부의 정밀 파단 분리구조로, 일반 보안라벨의 잔여물이 목적물의 개봉부에 잔류(불특정하게 찢겨진 라벨 잔여물이 목적물에 붙어 있음)하게 되어, 특히 박스에 부착된 보안라벨의 경우, 그 개봉자가 불특정하게 찢기어진 라벨의 잔여물을 칼이나 손톱으로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큰 불편을 해소 시키었다.
도1: 종래의 개봉표시 A형 보안봉인라벨
도2: 종래의 개봉표시 A형 보안봉인라벨의 구성요소
도3: 종래의 개봉표시 B형 보안봉인라벨
도4: 종래의 개봉표시 B형 보안봉인라벨의 구성요소
도5: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A형 보안봉인라벨
도6: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B형 보안봉인라벨
도7: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C형 보안봉인라벨
도8: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D형 보안봉인라벨
도9: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E형 보안봉인라벨
도10: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F형 보안봉인라벨
도11: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G형 보안봉인라벨
도12: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H형 보안봉인라벨
도13: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A형 보안봉인라벨
도14: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B형 보안봉인라벨
도15: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C형 보안봉인라벨
도16: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D형 보안봉인라벨
도17: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E형 보안봉인라벨
도18: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F형 보안봉인라벨
도19: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G형 보안봉인라벨
도20: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H형 보안봉인라벨
도21: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A형 보안봉인라벨
도22: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B형 보안봉인라벨
도23: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C형 보안봉인라벨
도24: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D형 보안봉인라벨
도25: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E형 보안봉인라벨
도26: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F형 보안봉인라벨
도27: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G형 보안봉인라벨
도28: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H형 보안봉인라벨
도29: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C형 보안봉인라벨
도30: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D형 보안봉인라벨
도31: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G형 보안봉인라벨
도32: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H형 보안봉인라벨
도33: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C형 보안봉인라벨
도34: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D형 보안봉인라벨
도35: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G형 보안봉인라벨
도36: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H형 보안봉인라벨
도37: 본 발명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포장 단위 외견상의 예
도38: 본 발명의 개봉표시 다이커팅의 다양한 디자인 예
도39: 본 발명의 개봉표시 다이커팅의 다양한 디자인 예
A. 점착 스티커지 원단과 비점착부 형성 스티커지 원단의 차이
1. 통상의 점착 스티커지 원단:
점착 스티커지는 일반적으로 스티커지로 불리우며, 그 구조는 실리콘이 도포된 이형지 또는 실리콘 또는 불소가 도포된 이형필름(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에 점착제를 도포/건조 후 점착제가 도포된 면에 라벨지를 덧붙여 제공되고 있으며, 라벨지 종류는 아트지, 모조지, 크라프트, 투명지, 데드롱지, 유포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점착 스티커지는 인쇄 및 다이커팅(도무송)된 점착 스티커지의 라벨부를 분리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에 도포되었던 점착제가 라벨부 배면으로 전이되는 특징을 갖고 있는 통상의 점착 스티커지 원단이다.
2.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점착부 형성 스티커지 원단: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은
a. 라벨지 배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의 배면으로 띠 형상의 필름이 부착되고 띠 형상의 필름을 포함한 점착제의 배면에 최종 이형지가 합지되어 점착 스티커지 내에 비점착부를 형성시키거나,
b. 이형지 또는 라벨지에 점착제를 전부분에 도포하지 않고 띠 형상의 비점착부를 부분 형성시키어 최종 이형지와 라벨지를 합지 함으로 점착 스티커지 내에 비점착부가 형성된다.
*. 비점착부 형성 스티커지 원단 제조에 이용 가능한 라벨지는 아트지, 모조지, 크라프트, 투명지, 데드롱지, 유포지 등으로,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나 주로 봉인라벨 및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용도에 사용된다.
B. 목적물 표면에 개봉표시를 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a. 파괴형 보안라벨 기술
라벨지에 주로 X 형상의 선을 다이커팅 함으로 목적물에서 라벨 제거시 라벨지가 불특정하게 찢기는 특징의 개봉표시 기술로, 라벨 제거용 비점착 개봉 탭이 없으며 또한 라벨이 불특정하게 찌기어져 목적물에 잔여된 라벨 조각들을 라벨 제거자는 목적물에서 일일이 제거하는 수고를 하여야 한다.
b. 글자표시 보안라벨 기술
목적물에서 라벨 제거시 다이커팅 된 VOID 글씨가 목적물 표면에 판박이 되는 특징의 개봉표시 기술로, 개봉표시가 확연하여 효과는 좋으나, 라벨 제거용 비점착 개봉 탭이 없어 라벨 제거자가 목적물에서 라벨을 제거하려면 손톱으로 긁어 제거하여야 하며 고가 제품이다.
c. 강접과 약접을 이용한 포인트 파단 보안라벨 기술
도 1,2와 같이 A형 보안봉인 라벨은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되며,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포인트 파단부(30)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52)를 포인트 도포하고 포인트 파단부(30, 31)를 다이커팅 함으로, 라벨제거 시 목적물 표면에 포인트 파단부가 붙어 있게 하는 기술로, 개봉표시 효과가 우수하며 라벨 제거용 비점착 개봉 탭(40)이 형성되어 있어 라벨 제거자가 라벨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생산비용이 고가이다.
d. 분리촉진제가 이용된 포인트 표시 보안라벨 기술
도 3,4와 같이 B형 보안봉인 라벨은 라벨부 배면으로 목적물의 개봉상황을 표시하거나 점착제(51)와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분리촉진제(53)를 도포하거나 부착하고 상기 분리촉진제(53)를 수용한 체, 라벨부 배면으로 라벨부가 목적물에 잘 부착되도록 점착제(51)를 도포하며, 목적물에서 부착 라벨을 제거할 시, 분리촉진제(53)가 라벨부와 분리되어 목적물 상에 붙어있도록 접착제 (52)를 포인트 도포하는 기술로, 개봉표시 효과가 우수하며 라벨 제거용 비점착 개봉 탭(40)이 형성되어 있어 라벨 제거자가 라벨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생산비용이 고가이다.
C. 목적물 표면에 개봉표시를 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
라벨을 목적물에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비점착부(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하여, 비점착부가 형성된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을 라벨 외곽과 함께 세밀하고 정교하게 다이커팅하여, 목적물(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파단분리 개봉표시부만 목적물에 붙어 있도록 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제조기술로,
a. 본 발명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은,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에 라벨 외곽 다이커팅선과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이 함께 배치된 단일 목형에 의해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외곽선과 개봉표시선을 함께 다이커팅 함으로, 보안봉인라벨의 제작공정이 줄어 인쇄형과 비 인쇄형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제작에 있어서 경제성과 실용성이 있는 제조기술이다.
b. 본 발명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은, 비점착 개봉 탭에 의해 목적물에 부착된 라벨에 힘이 가해 지는 방향으로 목적물에서 분리되는 라벨에서 일정하게 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만 목적물에 명확히 남게되는 특징을 갖는다.
*. 이러한 개봉표시부의 정밀 파단 분리구조는 쉽게 창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수많은 실행착오와 테스트를 반복하여 얻어낸 결과로, 다른 종래의 보안봉인라벨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경제성 있는 효과이며,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보안라벨 제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난 개봉표시선의 다이커팅 방법은, 라벨이 불특정하게 찢기어져 그 잔여물이 목적물의 개봉부에 잔류(불특정하게 찢겨진 라벨 잔여물이 목적물에 붙어 있음)하게 되어, 특히 박스에 부착된 보안라벨의 경우, 그 개봉자가 불특정하게 찢기어진 라벨의 잔여물을 칼이나 손톱으로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는 큰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A형 보안봉인라벨로,
10A-1은 1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한 조의 좌우 대칭 구조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다.
물론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같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짧게 형성시킬 때보다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파단 분리 효과는 정밀하지 못하다.
5. (a)는 라벨 연결부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상하부와의 세로 길이 차이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 차이의 절반 길이이다.
*. 위와 같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짧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개봉 탭(5)에 의해 목적물에서 개봉표시 10A형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라벨 몸체에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분리파단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이내에서 일어나게 하기 위함으로, 개봉 탭(5)을 이용하여 개봉표시 10A형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할 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이 라벨(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라벨(2) 몸체에 붙어있던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목적물의 개봉부에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명확히 잔류된다.
10A-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개봉 탭(5)에 의해 개봉력이 크게 미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몸체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개봉력이 점착력보다 적게 미치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는 목적물(100)에 붙어 잔류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6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B형 보안봉인라벨로,
10B-1은 1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0A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10B-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7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C형 보안봉인라벨
10C-1은 1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A형과 달리 라벨(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더 제공한다.
10C-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8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D형 보안봉인라벨로,
10D-1은 1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C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10D-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9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E형 보안봉인라벨로,
10E-1은 1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한 조의 좌우 대칭 구조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다.
물론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같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짧게 형성시킬 때보다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파단 분리 효과는 정밀하지 못하다.
5. (a)는 라벨 연결부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상하부와의 세로 길이 차이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 차이의 절반 길이이다.
10E-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10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F형 보안봉인라벨로,
10F-1은 1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0E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에 모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10F-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G형 보안봉인라벨
10G-1은 1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E형과 달리,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제공한다.
10G-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12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10H형 보안봉인라벨로,
10H-1은 1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G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10H-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1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1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10A형과 동일하다.
도13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A형 보안봉인라벨로,
20A-1은 2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2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한 조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는 마주보는 다른 쪽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보다 짧게 형성되며 크게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범위 내에 형성되며,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으며,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조의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의 수평 위치는 가급적 같은 것이 개봉표시를 위한 라벨파단효과가 정교하게 일어난다.
5. (a)는 라벨 연결부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상하부와의 세로 길이 차이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 차이의 절반 길이이다.
*. 위와 같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와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를 짧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개봉 탭(5)에 의해 목적물에서 개봉표시 20A형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라벨 몸체에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분리파단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이내에서 일어나게 하기 위함으로, 개봉 탭(5)을 이용하여 개봉표시 20A형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할 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이 라벨(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라벨(2) 몸체에 붙어있던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목적물의 개봉부에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명확히 잔류된다.
20A-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개봉 탭(5)에 의해 개봉력이 크게 미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몸체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개봉력이 점착력보다 적게 미치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는 목적물(100)에 붙어 잔류되는 현상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B형 보안봉인라벨로,
20B-1은 2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20A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20B-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15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C형 보안봉인라벨로,
20C-1은 2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A형과 달리 라벨(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더 제공한다.
20C-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16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D형 보안봉인라벨로,
20D-1은 2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20C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20D-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17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E형 보안봉인라벨로,
20E-1은 2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2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한 조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는 마주보는 다른 쪽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보다 짧게 형성되며 크게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범위 내에 형성되며,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으며,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조의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의 수평 위치는 가급적 같은 것이 개봉표시를 위한 라벨파단효과가 정교하게 일어난다.
5. (a)는 라벨 연결부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상하부와의 세로 길이 차이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 차이의 절반 길이이다.
20E-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붙어 있는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18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F형 보안봉인라벨로,
20F-1은 2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20E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에 모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좌우 방향에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이 먼저 배치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20F-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1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19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G형 보안봉인라벨로,
20G-1은 2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20E형과 달리,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제공한다.
20G-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20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20H형 보안봉인라벨로,
20H-1은 2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20G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마주보는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좌우 방향에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이 먼저 배치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20H-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2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2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2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20A형과 동일하다.
도21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A형 보안봉인라벨로,
30A-1은 3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가로 길이(b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가로 길이(b2)는 짧으며,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이내에서 다이커팅선(4)의 문양의 상부와 하부는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 위와 같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문양의 상부와 하부를 세로 길이(h1) 이내에서 수평으로 형성해야 하는 이유는, 개봉 탭(5)에 의해 목적물에서 개봉표시 30A형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라벨 몸체에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분리파단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이내에서만 일어나게 하기 위함으로, 개봉 탭(5)을 이용하여 개봉표시 30A형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할 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이 라벨(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라벨(2) 몸체에 붙어있던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목적물의 개봉부에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명확히 잔류된다.
30A-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A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개봉 탭(5)에 의해 개봉력이 크게 미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몸체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개봉력이 점착력보다 적게 미치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는 목적물(100)에 붙어 잔류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22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B형 보안봉인라벨로,
30B-1은 3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30A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30B-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B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3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C형 보안봉인라벨로,
30C-1은 3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30A형과 달리 라벨(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더 제공한다.
30C-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4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D형 보안봉인라벨로,
30D-1은 3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30C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30D-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5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E형 보안봉인라벨로,
30E-1은 3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가로 길이(b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가로 길이(b2)는 짧으며,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이내에서 다이커팅선(4)의 문양의 상부와 하부는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30E-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E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6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F형 보안봉인라벨로,
30F-1은 3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30E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에 모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30F-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F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7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G형 보안봉인라벨로,
30G-1은 3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0E형과 달리,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2) 몸체 중앙에 라벨 외곽의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과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제공한다.
30G-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8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30H형 보안봉인라벨로,
30H-1은 3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30G형과 달리, 라벨(2) 몸체의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30H-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3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3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3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30A형과 동일하다.
도29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C형 보안봉인라벨로,
40C-1은 4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에,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개봉력 반대 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다.
물론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도 33, 34, 35와 같이 같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짧게 형성시킬 때보다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파단 분리 효과는 정밀하지 못하다.
*. 위와 같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에 다이커팅선(4)을 형성해야 하는 이유는, 개봉 탭(5)에 의해 목적물에서 개봉표시 40C형 보안봉인라벨을 제거할 시 라벨 몸체에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분리파단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이내에서만 일어나게 하기 위함이고 또한 라벨 파단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형성된 공간에서 끝나게 함으로 개봉 목적물의 코너에 아무런 잔여물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개봉 탭(5)을 이용하여 개봉표시 40C형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할 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이 라벨(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라벨(2) 몸체에 붙어있던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목적물의 개봉부에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명확히 잔류된다.
40C-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4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4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4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개봉 탭(5)에 의해 개봉력이 크게 미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몸체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개봉력이 점착력보다 적게 미치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는 목적물(100)에 붙어 잔류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30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D형 보안봉인라벨로,
40D-1은 4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40C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40D-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4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4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4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40C형과 동일하다.
도31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G형 보안봉인라벨로,
40G-1은 4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 중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개봉력 반대 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게 형성된다.
물론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도 33, 34, 35와 같이 같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를 짧게 형성시킬 때보다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의 파단 분리 효과는 정밀하지 못하다.
40G-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4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4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4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40C형과 동일하다.
도32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40H형 보안봉인라벨로,
40H-1은 4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40G형과 달리,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40H-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4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4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4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40C형과 동일하다.
도33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C형 보안봉인라벨로,
50C-1은 5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에,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개봉력 반대 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 내에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이 향성되며, 변경될 수 있는 특정 문양 형상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의 세로 길이보다 길어도 무방하다.
개봉 탭(5)을 이용하여 개봉표시 50C형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에서 제거할 시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이 라벨(2)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라벨(2) 몸체에 붙어있던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목적물의 개봉부에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명확히 잔류된다.
50C-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5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5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50C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개봉 탭(5)에 의해 개봉력이 크게 미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라벨 몸체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을 개봉력 방향으로 파단시키어 깔끔하게 제거되지만,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개봉력이 점착력보다 적게 미치는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는 목적물(100)에 붙어 잔류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34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D형 보안봉인라벨로,
50D-1은 4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50C형과 달리 라벨(2)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으며, 변경될 수 있는 특정 문양 형상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의 세로길이보다 길어도 무방하다.
50D-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5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5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50D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50C형과 동일하다.
도35는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G형 보안봉인라벨로,
50G-1은 5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50C형과 달리,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을 갖으며, 변경될 수 있는 특정 문양 형상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의 세로길이보다 길어도 무방하다.
50G-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5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5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50G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50C형과 동일하다.
도36은 본 발명의 개봉표시 50H형 보안봉인라벨로,
50H-1은 5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구조도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50G형과 달리, 몸체 좌우 모두에 개봉 탭(5)이 형성되고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차이가 있으며, 박스 개봉부 코너에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 부착할 시 부착 편리성과 목적물에 붙어 있는 개봉표시용 보안봉인라벨을 좌우 모두의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으며, 변경될 수 있는 특정 문양 형상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의 세로길이보다 길어도 무방하다.
50H-2는 목적물(100- 박스, 용기, 봉투 등)에 부착된 5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을 목적물(100)에서 제거시, 5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에 의해 50H형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서 정확히 분리파단되어,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만 목적물에 명확히 붙어 있는 상황으로 그 효과는 50C형과 동일하다.
도37은 본 발명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의 포장 단위 외견상의 예로,
롤로 제조되는 적정 폭의 비점착부 형성 스티커지 원단(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원단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원단)의 라벨지에 동시에 라벨(2) 외곽과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순차 다이커팅한 예로, 도37과 같이 둘레 파지부를 제거한 후 소정의 포장단위로 절단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절단하지 않고 롤 상태로 제공된다. 1번은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이다.
도38과 39는 본 발명 개봉표시 다이커팅의 다양한 디자인 예로,
도38과 39의 제시 도면에는 개봉표시 10A형 보안봉인라벨의 변화만 도식되어 있으나, 본 명세에 기술된 모든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10계열, 20계열, 30계열, 40계열, 50계열)은 계열별 제작 범주 안에서 라벨(2) 외곽과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문양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다.
1:이형지 또는 이형필름
2:라벨
3:비점착부(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4: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5:개봉 탭
6:파단분리 개봉표시부
7:절곡 편의부(코너 붙임 편의부)
a:라벨 연결부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상하부와의 차이
b1: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가로 길이
b2:라벨 연결부 가로 길이
h1: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
h2: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
h3: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
W: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

Claims (10)

  1.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보안라벨은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좌우측 모두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한 조의 좌우 대칭 구조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거나 같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2.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모두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모두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한 조의 좌우 대칭 구조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거나 같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3.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좌우측 모두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2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한 조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는 마주보는 다른 쪽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보다 짧게 형성되며 크게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범위 내에 형성되며,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4.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모두의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2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의 말단 끝이 마주보는 중앙은 여백(공간)을 갖으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세로 길이가 서로 차이 나는 한 조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한 조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문양 중 개봉력이 우선 전달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는 마주보는 다른 쪽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보다 짧게 형성되며 크게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1) 범위 내에 형성되며, 소형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 세로 길이(h3)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5.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가로 길이(b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가로 길이(b2)는 짧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6.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형성되는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가로 길이(b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가로 길이(b2)는 짧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7.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비점착부(3)와 라벨(2) 외곽 상하 다이커팅선 사이에,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중앙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의 외각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개봉력 반대 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거나 같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8.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1), 라벨(2),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개봉 탭(5),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로 구성되고,
    1. 인쇄 또는 비 인쇄 비점착부(3- 필름 부착에 의한 비점착부 또는 점착제 부분 형성에 의한 비점착부) 형성 점착스티커지 원단의 라벨지에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라벨(2) 외곽선과 함께 다이커팅 하며,
    2.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 중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며,
    3. 개봉 탭(5)은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 상에 라벨(2) 몸체에 연결되어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며,
    4.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에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문양이 1개 이상 형성되며,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은 라벨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커팅선(4) 말단 끝이 개봉력 반대 방향으로 라벨 몸체에 연결되며,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세로 길이(h1)에 비해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의 말단 끝인 라벨 연결부 세로 길이(h2)는 짧거나 같게 형성시키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9. 청구항 1항 또는 3항 또는 5항에 있어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더 형성되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는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10. 청구항 2항 또는 4항 또는 6항에 있어서,
    비점착부를 갖는 인쇄 또는 비 인쇄 점착스티커지 원단을 이용한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에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가 더 형성되며,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는 라벨(2) 몸체 중앙의 라벨 외곽 상하 끝에서 세로 방향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라벨 외곽선의 다이커팅시 함께 형성되고, 라벨 좌측 또는 우측의 가장자리 내부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비점착부(3)를 제외 한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가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이며, 라벨(2)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 유효 공간(w) 중 절곡 편의부(7- 코너 붙임 편의부)의 길이 범위 내에 라벨 제거시 파단분리 개봉표시부(6)를 목적물에 잔여물로 남게 하는 문양 형태의 개봉표시용 다이커팅선(4)을 형성하는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KR1020170183261A 2017-12-29 2017-12-29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KR2018000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261A KR20180006350A (ko) 2017-12-29 2017-12-29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261A KR20180006350A (ko) 2017-12-29 2017-12-29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50A true KR20180006350A (ko) 2018-01-17

Family

ID=6102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261A KR20180006350A (ko) 2017-12-29 2017-12-29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3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26B1 (ko) 2020-02-24 2020-11-27 이승현 절개라인이 형성된 레이어드 커버 시트 시스템
KR20200140880A (ko) * 2018-09-12 2020-12-16 이베이 인크. 시계들을 위한 위조 방지 태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880A (ko) * 2018-09-12 2020-12-16 이베이 인크. 시계들을 위한 위조 방지 태그
US11428030B2 (en) 2018-09-12 2022-08-30 Ebay Inc. Tamper proof tag for watches
US11970883B2 (en) 2018-09-12 2024-04-30 Ebay Inc. Tamper proof tag for watches
KR102184126B1 (ko) 2020-02-24 2020-11-27 이승현 절개라인이 형성된 레이어드 커버 시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520B1 (en) Tamper evident resealable extended text label
KR20180006350A (ko) 개봉표시 보안봉인라벨
KR20110128218A (ko) 보안봉인 라벨 및 알에프아이디 보안봉인 라벨
JP2003084672A (ja) 改ざん防止用粘着ラベル
KR20190040389A (ko) 봉인 라벨
EP2100935A1 (en) Tamperproof adhesive tape
JP2010038927A (ja) 台紙なしラベルとその使用方法
JP6127329B2 (ja) シール付き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物品
KR20190042145A (ko) 보안봉인라벨
JP2011084327A (ja) シュリンク包装体の開封用ラベル
KR20190044728A (ko) 봉인라벨
CN212809581U (zh) 易辨识的防伪黏贴结构
WO2006075387A1 (ja) 開封表示シール
CN208700964U (zh) 具有金油层与撕断裂口的防伪胶带
JP2007003875A (ja) 識別ラベル及び検体容器
CN213769731U (zh) 一种一次性防拆封标识
CN202258122U (zh) 品保防伪黏贴结构
JP2008216888A (ja) 値下げラベルおよび値下げラベルの貼付方法
JP2016224358A (ja) 改ざん防止ラベル
TWM574611U (zh) 防偽膠帶結構
CN212032543U (zh) 一种黏贴可靠的烫银二维码防伪标签
TWM563345U (zh) 具金油層之防偽膠帶
CN209636142U (zh) 防伪胶带结构
KR20190061107A (ko) 원터치개봉라벨 및 이지오픈라벨 원단 제조방법 b
KR20190005529A (ko) 원터치개봉라벨 원단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