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330A - 자동차용 조명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30A
KR20180006330A KR1020170086387A KR20170086387A KR20180006330A KR 20180006330 A KR20180006330 A KR 20180006330A KR 1020170086387 A KR1020170086387 A KR 1020170086387A KR 20170086387 A KR20170086387 A KR 20170086387A KR 20180006330 A KR20180006330 A KR 20180006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ductor
light emitting
lighting module
automotiv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안-안토니오 루비아
레안드로 로드리게즈
라몬 산체스
후안-프란시스코 모레노
다미앵 카반
리카르도 페르난데스
에릭 모이시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일루미나시온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일루미나시온 에스.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일루미나시온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0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8/1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21S48/1163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를 채용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제 1 도체 단자(14)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가 수용되는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 와이어(2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명 모듈{ILLUMINATION MODUL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는 먼저, 특정한 승인된 빔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명 파워 및 정밀한 배열 또는 대안적으로 긴 사용 수명, 최소 전체 크기, 및 사용 편의성과 같은 기능적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다음으로 그 차량의 시각적 식별과 연관된 자동차 제작자에 의해 부과되는 미적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조명 소스의 사용은 보편화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도 지칭되는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사용은 최근 증가되어 왔으며, 이것은 보통 두 개의 전극(양극 및 음극)으로 구성되고, 이들 전극 사이에는 전계발광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 및 복수의 전자 전달층의 조립체가 배치되며,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전자 전달층은 모두 유기 재료로 제조된다. 전달층과 발광층을 여기시키고 상기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전계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OLED형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조명 파워가 비-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또는 LED) 소스에 의해 방출되는 조명 파워보다 낮지만, 이러한 소스는 자동차 분야에서 실제 차량 조명 또는 시그널링을 위해서 및 심미적 이유로, 특히 차량의 시각적인 발광 시그니처를 위해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된다.
자동차용 OLED 조명 모듈은 일반적으로 전조등의 렌즈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발광 부분 및 연결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부분에 의해서 이 조명 모듈은 차량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OLED 모듈을 구성하는 재료의 본질과 그 기계적 특성 및 상기 연결 부분이 대응 소켓에 삽입될 때 견뎌야 하는 플러그-인 힘을 고려하면 이 연결 부분은 이러한 모듈의 취약한 지점이다. 진동, 가속도 또는 열응력을 발생시키는 자동차에 설치하는 상황은 이 견고하지 못한 연결의 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단점을 개선하고, 하나 이상의 OLED 조명 소스를 채용하며 이들 소스의 전기적 연결의 단절 위험이 최소화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며, 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제 1 도체 단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가 수용되는 지지체의 제 2 도체 단자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 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도체 단자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킬 필요 없이 상호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이오드를 지지체에 대해 너무 과하게 가압할 필요가 없고, 다이오드 파손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 모듈"은 이 모듈이 도로를 밝히기 위한 모듈, 차량의 시그널링 모듈, 또는 차량의 내부를 밝히기 위한 수단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용어 "와이어"는 와이어뿐만 아니라 밴드 또는 실제 대응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에 따르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지지체는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를 포함하고, 도체 와이어가 제 1 도체 단자의 각각을 상기 제 2 도체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며;
-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는 개수가 동일하고,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각 쌍 사이에 도체 와이어가 배치되며;
-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는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가 대응하는 제 2 도체 단자에 대향하도록 연속으로 배치되고, 도체 와이어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도체 단자 각각과 상기 다이오드의 지지체의 대응하는 도체 단자 각각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도체 단자와 상기 지지체의 도체 단자는 금 또는 구리를 포함하며;
- 상기 지지체의 각각의 제 2 도체 단자는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도전성 트랙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의 도전성 트랙은 차량의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조립체의 전력 공급 및/또는 제어 장치의 상보적 커넥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넥터의 형태로 연결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도체 단자는 이것을 차량의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시스템의 전력 공급 및/또는 제어 장치에 연결하도록 설계된 다이오드의 부분에 배치되며;
- 상기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지지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 및 지지체 외부로 연장되는 발광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체 단자는 상기 연결 부분에 의해 지지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부분의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는 이 다이오드의 발광 부분의 발광 지역으로부터 시작되는 도전성 트랙에 연결되고;
- 제 1 도체 단자의 개수는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부분의 함수로서, 특히 이 발광 부분이 포함하는 개별 조명 표면의 개수의 함수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조명 표면에 공통적인 마이너스 전원 단자, 즉 접지 연결된 단자, 및 각각의 조명 표면에 특정한 플러스 전원 단자를 제공할 수 있고;
- 발광 부분은 중심 발광 지역 및 주변 발광 지역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발광 지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두 개 이상의 지역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 지지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예로서, 베이스는 상기 연결 부분을 공동 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 지지체의 제 2 도체 단자는 공동의 뒷벽에서 연장되는 융기 부분에 배치되며; 다시 말해서, 제 2 단자는 공동과 합치되어 이 공동의 주변에 배치되고;
- 융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계된 상기 연결 부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단차부에 의해 뒷벽으로부터 분리되며;
- 지지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제 1 도체 단자 상에, 도체 와이어 상에, 및 지지체의 제 2 도체 단자 상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는 보호 캡을 포함하고;
- 보호 캡은 보호 캡이 공동을 폐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제 1 도체 단자, 도체 와이어 및 지지체의 제 2 도체 단자를 완전히 덮는 폐쇄 위치와 보호 캡이 이들 도체 소자 및 공동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지지체의 베이스와 관절연결될 수 있으며;
- 캡은 나사 고정 또는 접착제 본딩에 의해 지지체의 베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 지지체의 보호 캡과 베이스 각각은 상기 보호 캡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적소에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OLED 조명 소스의 전기적 연결의 단절 위험이 최소화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각종 요소와, 또한 추가 특징, 상세 및 장점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하기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며,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는 지지체 내의 적소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체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수용하기 위한 기계적 지지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의 단면도이며, 지지체는 폐쇄 위치에서 접혀있다.
먼저, 도면이 본 발명을 그 실시를 위해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도면은 필요할 경우 물론 본 발명을 보다 양호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모듈은 지지체(2)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또는 이하에서 OLED)(1)를 포함한다. 도 2에 자체적으로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는 발광 부분(4) 및 연결 부분(6)을 포함하며, 연결 부분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발광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발광 부분(4)은 통상적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폴리머 층 세트로 구성되며, 발광 부분은 이를 구성하는 재료의 성질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의 기계적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OLED(1)의 발광 부분(4)은 하나 이상의 개별 조명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6)은 기계적으로 보다 단단한 절연 재료로 제조되는 바,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유리 또는 폴리머 수지로 제조된다. 도면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분은 그 긴 측면 중 하나로부터 OLED(1)의 발광 부분(4)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인 판의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OLED(1)의 발광 부분(4)은 연결 부분(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바, 상기 연결 부분을 형성하는 판의 제 1 긴 측면(8)으로부터, 이 제 1 긴 측면의 거의 중심에서 연장되고, 따라서 발광 부분의 양 측에 숄더 에지(10)가 배치된다.
전력 공급 및/또는 제어 장치와 OLED(1)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연결 부분(6)에는 도전성 트랙(12)이 배치된다. 이들 도전성 트랙의 각각은 OLED(1)의 발광 부분(4)에서 시작되고, OLED의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 상에서는 제 1 도체 단자(14)에서 종료된다. 유리하게, 제 1 도체 단자(14)는 모두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연결 부분(6)의 제 1 면(16) 상에 배치된다. 제 1 도체 단자(14)의 개수는 OLED(1)의 발광 부분(4)의 함수로서, 특히 OLED(1)의 발광 부분(4)이 포함하는 개별 조명 표면의 개수의 함수로서 정의됨을 알 것이다. 특히, 조명 표면의 각각에 공통적인 마이너스 공급 단자, 즉 접지 연결되는 단자, 및 조명 표면의 각각에 특정한 플러스 공급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발광 부분(4)은 중심 발광 지역(18) 및 주변 발광 지역(20)을 갖는 두 개의 발광 지역을 포함한다. 교통 상황 또는 추구되는 미적 효과에 따라서,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장치와 관련된 제어 모듈은 중심 발광 지역을 밝히기 위한 지령, 주변 발광 지역을 밝히기 위한 지령, 또는 이들 두 개의 지역을 동시에 밝히기 위한 지령을 내릴 수 있다. 도시하듯이, 두 개의 발광 지역에 공통적인 하나의 마이너스 단자(22), 및 네 개의 플러스 단자가 제공되어 있다. 두 개의 단자(24)는 중심 발광 지역(18)에 연결되고 두 개의 단자(26)는 주변 발광 지역(20)에 연결되며, 두 개의 단자는 대응 지역에 대한 균일한 전력 공급 및 대응 지역의 조명을 촉진하기 위해 각각의 지역과 연관된다.
제 1 도체 단자(14)의 개수가 OLED(1)의 발광 부분(4)에 형성된 개별 조명 표면의 개수보다 많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OLED(1)의 이들 제 1 도체 단자(14)의 각각은 도체 와이어(28)에 의해, 지지체(2) 상에 배치된 제 2 도체 단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은 OLED(1)의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14)와 지지체(2)의 대응하는 제 2 도체 단자(30) 사이에 전기 브리지를 형성할 것을 제안한다.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14)는 제 2 도체 단자(30)에 연결되어야 하며, 복수의 제 1 도체 단자에 대해 단일의 도체 단자(30)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1 도체 단자 및 대응하는 제 2 도체 단자에 각각 전용 도체 와이어를 사용하는 유리한 경우에, 도체 단자는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가 대응하는 제 2 도체 단자에 대향하도록 연속으로 배치되며, 도체 와이어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리하게, 도체 와이어(28)의 각각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금 또는 구리와 같은, 그 전기 전도성이 공지된 재료로 제조된 코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도체 와이어(28)의 코어를 구성하는 재료는 또한, 이것이 주어진 예에서 금이든 구리이든 간에, OLED(1)의 제 1 도체 단자(14) 및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의 제조를 위해 선택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OLED(1) 및 지지체(2) 각각의 도체 단자(14, 30)는 그 전기 전도성에 대해 선택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선을 사용하는 브리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도체 단자(14)와 최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지지체 내의 제 2 도체 단자(30)의 위치가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자체적으로 도시된 지지체(2)는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32)와 보호 캡(34)을 포함하며, 보호 캡은 베이스가 인지될 수 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개방 위치, 및 보호 캡(34)이 베이스(32)를 완전히 덮는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가 가능하도록 에지들 중 하나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32)는 OLED(1)의 연결 부분(6)의 하면, 즉 제 1 도체 단자(14)가 그 위에 배치되는 이 동일한 연결 부분(6)의 상면(16)과 대향하는 면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판 형태의 뒷벽(36)을 갖는다.
베이스(32)는 뒷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측벽(38)을 추가로 포함한다. 측벽은 뒷벽(3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따라서 연결 부분(6)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40)을 형성하고, 이들 측벽(38)의 상단부(42), 즉 뒷벽(36)으로부터 외면하는 단부는 보호 캡(34)의 폐쇄 위치에서 보호 캡에 대한 위치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측벽(38)은 OLED(1)의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을 공동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뒷벽(36)과 보호 캡(34)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부분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을 알 것이다.
도면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유지 수단은 뒷벽(36)의 긴 측면에 병렬 배치되는 제 1 측벽(44) 세트 및 뒷벽(36)의 짧은 측면을 따라서 병렬 배치되는 제 2 측벽(46) 세트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 이들 측벽은 OLED(1)의 연결 부분(6)이 공동(40) 내의 뒷벽(36)에 대해 수용될 때 제 1 측벽(44)이 상기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의 긴 측면의 두께에 대해 정지부를 형성하고 제 2 측벽(46)이 상기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의 짧은 측면의 두께에 대해 정지부를 형성하도록 형성 및 구성된다.
따라서 측벽들은 OLED(1)의 연결 부분(6)이 수용되고 유지되는 프레임 형태를 함께 형성한다.
제 1 측벽(44) 중 하나는 이 제 1 측벽(44)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OLED(1)용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4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호 캡이 접힐 때, 연결 부분(6)은 지지체의 공동에 수용될 수 있는 반면에 발광 부분(4)은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기능의 일부를 담당하기 위해 지지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48)를 갖는 제 1 측벽(44)의 두 부분은 OLED(1)의 연결 부분(6)의 숄더 에지(10)와 상호작용하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후술하듯이, 나머지 제 1 측벽(44)은 다른 도체 단자 및 유선 전기 링크와 연관되는 반면에, 제 2 측벽(46)은 보호 캡의 관절연결 및 고정 수단과 연관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지지체(2)의 베이스(32)는 또한 공동(40) 내에서 OLED(1)의 연결 부분(6)의 결합 및 위치설정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결 부분(6)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 형태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는 베이스(32)의 긴 측면 중 하나에, OLED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48)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는 공동(40)의 뒷벽(36)으로부터 돌출하는 융기 부분(5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융기 부분은 베이스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즉 긴 측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뒷벽(36)과 융기 부분(50)은 지지체의 공동을 규정하는 두 개의 제 1 측벽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차부(52)에 의해 분리된다. 유리하게, 이 단차부(52)의 높이는 OLED(1)의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연결 부분이 지지체의 공동 내의 적소에 위치될 때, 함께 연결될 상이한 도체 단자는, 연결될 두 개의 도체 단자 사이에 돌출 벽이 없이, 동일한 높이에서, 즉 뒷벽(3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연장된다.
이 융기 부분(50)은 상면에, 즉 뒷벽으로부터 외면하는 면 상에, 제 2 도체 단자 및 도전성 트랙(54)을 갖는다. 각각의 제 2 도체 단자(30)는 따라서 차량의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차량의 전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차량의 전기 장치의 상보적 커넥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커넥터(56)의 형태로 대향 단부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도전성 트랙(54)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대체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 및 또한 관련 도전성 트랙(54)과 이들을 그룹화하여 형성하는 커넥터(56)는 독립적으로 제조되는 지지체(2)의 개별 부품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때 지지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융기 부분(50)은 지지체(2)의 베이스(32)와 별개인 독립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도체 단자(30), 도전성 트랙(54) 및 커넥터(56)를 지지하는 이 융기 부분(50)을 지지체(2)의 베이스(32)에 부착하는 것은 비포괄적인 예로서 이들 두 부품에 각각 제공되는 상보적 보스 및 노치의 클리핑(clipping) 또는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형태의 실시예의 한 가지 장점은 첫째로 지지체(2)의 베이스(32)와, 몰딩에 의해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간단한 플라스틱 부품, 및 둘째로 제 2 도체 단자(30), 도전성 트랙(54) 및 커넥터(56)를 지지하는 적절한 연결 부품의 개별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OLED(1)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지지체(2)는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공동(40)을 폐쇄할 수 있는 보호 캡(34)을 포함하는 것은 위에서 언급되었다. 보다 정확하게, 이 보호 캡(34)은 OLED(1)의 연결 부분(6)의 상면(16)에, 도체 와이어(28) 상에 및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 상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 보호 캡(34)은 따라서, 지지체와 단일 부품으로서 생산되는지 또는 부착되는지에 관계없이, 지지체(2)의 베이스(32) 및 융기 부분(50)의 치수를 보완하는 치수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앞서 특정할 수 있었던 것처럼, 보호 캡(34)은 두 개의 제 2 측벽(46) 중 하나에 형성된 힌지(58)에 의해 지지체(2)의 베이스(32)와 관절연결되며, 따라서 보호 캡(34)은 전술한 공동(40)의 내부 체적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그 힌지(58) 주위로 요동하는 개방 위치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보호 캡은 전술한 공동(40)을 폐쇄하고 OLED(1)가 지지체(2)에 수용될 때 OLED(1)의 연결 부분(6)을 덮을 뿐 아니라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 및 도전성 트랙(54)이 그 위에 배치되는 융기 부분(50)과 도체 와이어(28)를 덮는다.
보호 캡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힌지(58)에 의해 지지체(2)의 베이스(32)와 관절연결되는 측면과 대향하는 보호 캡의 짧은 측면에 배치되고 지지체(2)의 베이스(32)에 제공된 상보적 형태의 세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돌기(60)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60)는 실질적으로, 보호 캡(34)이 연결 부분(6) 상으로 접힐 때 지지체(2)의 베이스(32)의 노치(62)에 결합되는 후크의 형태일 수 있다. 돌기(60)의 후크는 따라서 지지체(2)의 베이스(32) 아래에 결합하며, 따라서 보호 캡(34)을 클리핑에 의해 유지한다. 노치(62)는 대응하는 제 2 측벽(46)의 두 부분 사이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와 보호 캡(34)은 캡이 OLED(1)의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 도체 와이어(28) 및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를 덮는 그 폐쇄 위치에 배치될 경우에 도체 와이어(28)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벽들 중 적어도 하나[힌지(58)와 대향하는 제 2 측벽 또는 OLED의 통과를 위한 개구(48)를 갖는 제 1 측벽]는 융기 부분(50)과 보호 캡 사이에서 도체 와이어(28)의 통과를 허용하는 폐쇄 위치에서 보호 캡의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측벽에 대해 상승되어 도체 단자를 분리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캡(34)의 내면이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절연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의 층으로 덮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체 와이어(28)에 매우 가벼운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 형태의 재료의 이러한 층은 공동(40) 내의 임의의 잠재적 진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하고 조립체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OLED(1)를 채용하는 조명 모듈을 제안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며, 그 전기적 연결은 OLED(1)와 그 지지체(2) 사이에 브리지를 형성하는 도체 와이어(28)의 존재에 의해서, 및 전기적 연결 요소가 OLED 및 그 지지체의 도체 단자이거나 또는 OLED의 연결 부분(6)과 지지체(2) 사이에 브리지를 형성하는 도체 와이어인 경우에 전기적 연결 요소를 덮어서 보호하는 지지체(2)의 특정 형태의 보호 캡(34)에 의해서 견고성이 향상되었다.
도체 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도체 와이어의 사용은 이들 단자 사이의 직접 접촉을 회피할 수 있게 하며, 이 직접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OLED가 지지체 내에 배치될 때 OLED에 압력이 가해질 것이 요구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OLED의 취약성은 파손 위험을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되고 예시된 수단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모든 동등한 수단 또는 구성 및 이러한 수단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상에서 단일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가 문제의 조명 모듈에서 단일 지지체와 연관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다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가 하나의 동일한 지지체와 연관되는 경우 또는 문제의 조명 모듈이 복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 및 복수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우로 제한 없이 확장됨은 말할 것도 없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OLED 및 지지체(2)의 연결 부분(6)을 형성하는 판의 형태는 직설적이고, 본 발명은 다이오드의 도체 단자가 지지체의 도체 단자와 대향하고 따라서 신속하고 확실한 유선 연결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지체가 OLED의 신뢰성있는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할 경우 연결 부분 및 지지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로도 확장된다.
1: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OLED) 2: 지지체
4: 발광 부분 6: 연결 부분
8: 긴 측면 10: 숄더 에지
12: 도전성 트랙 14: 제 1 도체 단자
18: 중심 발광 지역 20: 주변 발광 지역
28: 도체 와이어 30: 제 2 도체 단자
32: 베이스 34: 보호 캡
36: 뒷벽 38: 측벽
40: 공동 42: 상단부
44: 제 1 측벽 46: 제 2 측벽
48: 개구 50: 융기 부분
52: 단차부 54: 도전성 트랙
56: 커넥터 58: 힌지
60: 돌기 62: 노치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를 채용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제 1 도체 단자(14)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가 수용되는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 와이어(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와 상기 지지체(2)는 각각 복수의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14, 30)를 포함하며, 도체 와이어(28)가 제 1 도체 단자(14)의 각각을 상기 제 2 도체 단자(30)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14, 30)는 개수가 동일하고,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에 의해 형성되는 각 쌍 사이에 도체 와이어(2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체 단자는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14)가 대응하는 제 2 도체 단자(30)에 대향하도록 연속으로 배치되고, 도체 와이어(28)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도체 단자(14)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지지체(2)의 대응하는 도체 단자(30) 각각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 각각은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도전성 트랙(54)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2)의 도전성 트랙(54)은 자동차의 시그널링(signaling) 및/또는 조명 조립체의 전력 공급 및/또는 제어 장치의 상보적 커넥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커넥터(5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도체 단자(14)는 이것을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시스템의 전력 공급 및/또는 제어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부분(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는 상기 지지체(2)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6), 및 상기 지지체(2) 외부로 연장되는 발광 부분(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체 단자(14)는 상기 연결 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연결 부분(6)의 각각의 제 1 도체 단자(14)는 상기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부분(4)의 발광 지역(18, 20)으로부터 시작되는 도전성 트랙(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연결 부분(6)을 수용할 수 있는 공동(40)을 형성하는 베이스(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는 상기 공동(40)의 뒷벽(36)에서 연장되는 융기 부분(5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 부분(5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상기 연결 부분(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단차부(52)에 의해 상기 뒷벽(3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제 1 도체 단자(14) 상에, 상기 도체 와이어(28) 상에, 그리고 상기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 상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는 보호 캡(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34)은, 상기 보호 캡이 공동(40)을 폐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발광 다이오드(1)의 제 1 도체 단자(14), 상기 도체 와이어(28) 및 지지체(2)의 제 2 도체 단자(30)를 완전히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보호 캡이 이들 도체 소자 및 공동(4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체(2)의 베이스(32)와 관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의 보호 캡(34)과 베이스(32) 각각은 상기 보호 캡(34)이 상기 베이스(32)에 대해 적소에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단(60, 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 모듈.
KR1020170086387A 2016-07-07 2017-07-07 자동차용 조명 모듈 KR20180006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6527A FR3053762B1 (fr) 2016-07-07 2016-07-07 Module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FR1656527 2016-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30A true KR20180006330A (ko) 2018-01-17

Family

ID=5713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87A KR20180006330A (ko) 2016-07-07 2017-07-07 자동차용 조명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28107B2 (ko)
EP (1) EP3270039B1 (ko)
JP (1) JP2018010872A (ko)
KR (1) KR20180006330A (ko)
CN (1) CN107588393A (ko)
FR (1) FR3053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2137B2 (ja) 2017-12-04 2023-04-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
IT201800010369A1 (it) * 2018-11-15 2020-05-15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veicoli
CN112158116B (zh) * 2020-08-18 2021-12-07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自发光卷帘杯托及汽车
EP4108984A1 (en) * 2021-06-24 2022-12-28 Abb Schweiz Ag Electronic cov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132B2 (ja) * 2001-10-04 2007-10-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DE102004036157B4 (de) * 2004-07-26 2023-03-16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agnetische Strahlung emittierend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Leuchtmodul
US7140760B2 (en) * 2004-08-13 2006-11-28 Guide Corporation Wire retention feature
JP2006302713A (ja) * 2005-04-21 2006-11-0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US9082921B2 (en) * 2007-10-31 2015-07-14 Cree, Inc. Multi-die LED package
JP2014107229A (ja) * 2012-11-29 2014-06-0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装置および車両用照明装置
FR3015853B1 (fr) * 2013-12-20 2017-01-27 Valeo Vision Support de led avec connexion electrique par pontage
US9360201B2 (en) * 2014-04-16 2016-06-07 Dbm Reflex Of Taiwan Co., Ltd. Lighting device
JP6508468B2 (ja) * 2015-07-24 2019-05-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53762A1 (fr) 2018-01-12
CN107588393A (zh) 2018-01-16
EP3270039B1 (fr) 2019-05-15
US20180010752A1 (en) 2018-01-11
JP2018010872A (ja) 2018-01-18
US10228107B2 (en) 2019-03-12
FR3053762B1 (fr) 2020-08-28
EP3270039A1 (fr)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6330A (ko) 자동차용 조명 모듈
CN105492820B (zh) 由独立制造的组件构成的半导体灯的组装
US8444308B2 (en) Vehicular lamp
JP5488310B2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6052573B2 (ja) 光半導体光源及び車両用照明装置
JP2012043750A (ja) 車両用灯具の半導体型光源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US20220268405A1 (en) Lamp base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driver and corresponding lamp
KR102417588B1 (ko) 자동차용 조명 수단을 위한 지지체
JP5768966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5626528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3127916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140286021A1 (en) Lamp Device and Luminaire
EP3208896A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CN205065391U (zh) 发光机构
US20230280021A1 (en) Ligh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device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US10364955B2 (en) Illumination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2012116266A (ja) Ledライセンスランプ
CN106461164B (zh) 包括led的发光体
CN215001387U (zh) 照明模块和照明系统
TW201425797A (zh) 半導體發光元件用之支撐體、半導體發光元件模組、照明器具及半導體發光元件用支撐體之製造方法
KR20190001570A (ko) 표면 광원을 사용하는 자동차용 조명 장치 및 시스템
JP5743062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CN110906182A (zh) 一种灯具加工方法及灯具
KR20180095465A (ko) 체적 감소형 광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