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944A - A break - Google Patents

A bre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944A
KR20180005944A KR1020160086306A KR20160086306A KR20180005944A KR 20180005944 A KR20180005944 A KR 20180005944A KR 1020160086306 A KR1020160086306 A KR 1020160086306A KR 20160086306 A KR20160086306 A KR 20160086306A KR 20180005944 A KR20180005944 A KR 20180005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driving
emergency
fram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3411B1 (en
Inventor
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8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1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16Brakes with two brake-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6Applications of 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08Devices for directly stopping or interrupting the drive or gear in case of danger to the machine, e.g. devices with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including: a braking portion disposed outside a rotatable drum; a driv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aking portion and including a drive shaft being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lever connecting the braking portion and the drive shaft so as to be rotatable; a support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ever between the braking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an escape dr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ing por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erform braking suddenly when a function is lost due to power failure or system abnormality while being driven.

Description

제동장치{A break}Braking device {A break}

본 발명은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정전이나 시스템 이상으로 기능 상실 시 급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ing device capable of sudden braking when a function is lost due to a power failure or system failure during running.

일반적으로 크레인, 콘베dl어 벨트 등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전을 필요로 하는 산업기계들은 구동하고 있는 도중 필요에 의해 회전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을 하고자 하는 관성력이 매우 크므로 급제동(急制動)이 발생되면 장치 자체의 진동 등에 의한 운동상태의 불량 또는 회전 동력전달 계통의 고장발생이 유발된다.In general, industrial machines which are widely used in industries such as crane, conveyor belts, and the like are required to rotate when they are required to stop rotation during driving. Therefore, A failure of the motion stat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apparatus itself or a failure of the rotary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caused.

따라서, 이러한 산업기계들은 회전을 중단하고자 할 때 관성력을 저감시키면서 완제동(緩制動)이 이루어지도록 자체감속을 위해 제동시간 조정이 가능한 제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se industrial machines use a brak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braking time for self-deceleration so that the inertia force is reduced and the final braking is performed when the rotation is to be stopped.

제동장치는 비압축성 오일을 이용하는 오일 스러스터(oil thruster) 방식이나 마그네트 스러스터(magnet thruster)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 중 오일 스러스터 방식은 기간 사용하면 오일의 누유가 발생되고,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일의 점성 저하와 변형이 발생되어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최근에는 마그네트 스러스터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An oil thruster system or a magnet thruster system using an incompressible oil is mainly used as the braking system. Among these braking apparatuses, the oil thruster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oil leakage occurs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viscosity of the oil is lowered and deformed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perform periodic maintenance. Recently, Are mainly used.

마그네트 스러스터 방식의 제동장치는 마그네트 코일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라이닝과 연결되는 링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마그네트 스러스터 방식의 제동장치는 급제동이 발생하면 관성력을 저감시키는 완제동(緩制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동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고, 소모재인 브레이크 라이닝의 급격한 마모를 초래하게 되어 제동시간의 조절이 어렵게 된다. The magnet thruster type braking device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nk connected to the lining by a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magnet coil. However, in such a magnet thruster type braking device, when a sudden braking operation is performed, a gradual braking for reducing the inertia force is not performed, so that vibration is generated during the braking process and abrupt wear of the brake lining, which is a consumable material, The adjustment becomes difficult.

KRKR 08486260848626 BB KRKR 10460691046069 BB KRKR 09732840973284 BB

본 발명은 차량의 비상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ing device for enabling an emergency stop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력을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k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braking force of a vehicle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드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제동부와 상기 구동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 상기 제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상하방향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상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ing unit disposed outside a rotatable drum; A driv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aking unit and including a drive shaft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lever rotatably connecting the braking unit and the drive shaft; A support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braking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ever and is vertically movable; And an emergency driv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ing part.

상부에 상기 제동부, 상기 비상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braking unit, the emergency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on the upper portion.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지면 또는 설치장소로부터 이격시키는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for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from a ground or an installation site.

상기 비상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may be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frame an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구동부와 상기 비상구동부에 전원 인가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비상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비상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승하는 지지부를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레버를 상부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킬 수 있다. Wherein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part and the emergency driving part, the emergency driving part moves the supporting part rising along the driving shaft to the supporting part rising along the driving shaft, The support portion is raised to press the lever toward the upper side, and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portion is cut off, the support portion can be lowered.

상기 비상구동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요크; 상기 요크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요크의 상부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덮개; 상기 덮개, 코일 및 요크를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는 작동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emergency driving portion includes: a hollow yoke having an open top; A coil disposed inside the yoke; A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top of the yoke; An operating rod passing through the cover, the coil, and the yoke and being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n operation disk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the operation rod passing through the frame and being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operation rod can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e shaft.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차량을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동부의 이동 거리 또는 제동력을 증가시켜 회전하는 드럼을 강력하고 신속하게 제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력하게 비상 상황 발생 시 관성에 의해 차량의 주행이 지속되어 발생할 수 있는 추돌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stop the vehicl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failure. That 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r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portion and to brak down the rotating drum quickly and robust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inertia of the vehicl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5 and FIG. 6 are diagrams showing a use state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In the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rawings are partially exaggerated in size to accurate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상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shown in FIG. Sectional view.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드럼(10)의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동부(120)와, 제동부(120)를 상호 연결하는 타이로드(125)와, 라이닝(122)의 일측에 구비되고 자력의 힘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축(144)을 포함하는 구동부(140)와, 타이로드(125)의 일측과 구동축(144)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타이로드(125)와 구동축(144)을 상호 연결하는 레버(130)와, 일측이 레버(130)와 연결되고 상하방향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150)와, 지지부(150)의 타측에 지지부(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비상구동부(160) 및 구동부(140)와 비상구동부(16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ing unit 120 provid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a rotatable drum 10, a tie rod 125 interconnecting the braking unit 120, And a drive shaft 14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ning 122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orce of a magnetic force. The drive unit 140 includes a tie rod 125 and a drive shaft 144 via a hinge A lever 130 connected to the tie rod 125 and the drive shaft 144 for connecting the tie rod 125 and the drive shaft 144 to each other, a support 150 connected to the lever 130 to move up and down, An emergency driving part 160 and a driving part 140 connect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ing part 150 and a power supply part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to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

상기와 같은 제동장치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제동부(120), 구동부(140), 지지부(150) 및 비상구동부(160)를 지지한다. The brak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The frame 100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supports the braking unit 120, the driving unit 140, the support unit 150, and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드럼(1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거치대(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프레임(100)은 지면 또는 설치장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10)는 프레임(100)의 양단부 또는 제동부(120)와 구동부(140)가 구비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비상구동부(160)가 구비되는 부분은 지면 또는 설치 장소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비상구동부(160)를 구성하는 작동로드(165)가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drum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The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cradle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frame 100. The frame 10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loor or the installation site. At this time, the cradle 110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rame 100 or at a portion where the braking portion 120 and the driving portion 140 are provided, and the portion where the emergency driving portion 160 is provided is spaced from the ground or a predetermined distance . This is for secur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operation rod 165 constituting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ove through the frame 100. [

제동부(12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드럼(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드럼(10)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동부(120)는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라이닝(122)과, 라이닝(122)을 파지하는 라이닝슈(121), 일측은 라이닝슈(121)에, 타측은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고정부재(123) 및 일측은 라이닝슈(121)에, 타측은 타이로드(12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123)와 제2고정부재(124)는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100), 라이닝슈(121) 및 타이로드(125)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0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um 10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0. [ The bending portion 120 includes a lining 122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0 and a lining shoe 121 for holding the lining 122. One end of the lining shoe 121 is connected to the lining shoe 121, A first fixing member 123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e rod 125 and a second fixing member 124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ing shoe 121 and the tie rod 125, . The first fixing member 123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may be hinged to the frame 100, the lining shoe 121 and the tie rod 125 using a fixing pin or the like.

제1고정부재(123)와 제2고정부재(124)는 라이닝슈(121)와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라이닝슈(121)는 제1고정부재(123)와 제2고정부재(124)의 회동방향에 따라 드럼(10) 측으로 전진하여 라이닝(122)을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거나 드럼(10)으로부터 후퇴시켜 라이닝(122)을 드럼(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123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may be configured to pivot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a portion connected to the lining shoe 121. The lining shoe 121 advances to the side of the drum 10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123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to contact the lining 122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0, The lining 122 may be spa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0. [

타이로드(125)는 드럼(10)의 양쪽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124)의 타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The tie rod 125 can inter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um 10.

그리고 구동부(140)는 드럼(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142)와, 구동기(142)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축(14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42)는 내부에 코일이 구비되고,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하여 구동축(144)을 상승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자력이 제거되어 구동축(144)이 하강하는 마그네틱 스러스터일 수 있다. 마그네틱 스러스터는 공지의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riving unit 14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drum 10 and includes a driving unit 142 that generates a magnetic force by receiving power and a driving shaft 144 that moves up and down using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42. [ . ≪ / RTI > The driver 142 may be a magnetic thruster in which a coil is provided and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to raise the drive shaft 144 and a magnetic force is removed when the power is cut off to lower the drive shaft 144 . The magnetic thruster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레버(130)는 드럼(10)과 구동부(140)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은 타이로드(125)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구동축(1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레버(130)는 타이로드(125)의 일측과 구동축(144)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축(144)의 움직임을 타이로드(125)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축(144)이 상승하면 레버(130)와 연결되는 타이로드(125)의 일측이 상승하고, 구동축(144)이 하강하면 레버(130)와 연결되는 타이로드(125)의 일측이 하강하게 된다. The lev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um 10 and the driving unit 140 and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ie rod 125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144. The lever 130 may connect one side of the tie rod 125 and the drive shaft 144 to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144 to the tie rod 125.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haft 144 rises, one side of the tie rod 125 connected to the lever 130 rises. When the driving shaft 144 descends, one side of the tie rod 125 connected to the lever 130 descends do.

이와 같이 레버(130)와 연결되는 타이로드(125)이 일측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레버(130)와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124)의 타측을 회동시켜 라이닝슈(121)를 드럼(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켜 차량의 주행 및 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tie rod 125 connected to the lever 130 is rotated up or down whil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connected to the lever 130 is rotated to move the lining shoe 121 to the drum 10, So that the vehicle can be driven and braked.

지지부(150)는 드럼(10)과 구동부(140) 사이에 구비되고, 구동부(140)의 구동축(144)과 나란하게,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50)의 상부는 레버(130)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술하는 비상구동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레버(1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우징(152)과, 상부는 레버(130)에 연결되고 하부는 하우징(152)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축(154)과, 하우징(152) 내부에서 지지축(154)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지지축(154)은 탄성부재(156)에 의해 지지되고 레버(1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um 10 and the driving part 140 and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driving shaft 144 of the driving part 140,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50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130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may be connected to an emergency-driving portion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ing unit 150 includes a housing 15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ver 130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supporting shaft 154 connected to the lever 130 at an upper portion and received in the housing 152 at a lower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156 for supporting the support shaft 154 within the housing 152. [ The support shaft 154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56 and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ever 130. [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지부(150)는 탄성부재(156)의 탄성을 이용하여 레버(130)의 하부에서 레버(130)를 상부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레버(130)의 이동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50 can maintain the moving state of the lever 130 by pressing the lever 13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130 to the upper side by utiliz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156 .

비상구동부(160)는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부(15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비상구동부(16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00)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is supported by the frame 100 and may be provided under the supporting part 150.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may pass through the frame 100 and be movable up and down.

도 2를 참조하면, 비상구동부(160)는 비상구동부(16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요크(162)와, 요크(162)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163)과, 요크(162)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덮개(164)와, 덮개(164), 코일(163) 및 요크(16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구비되는 작동로드(165)와, 작동로드(165)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디스크(166) 및 작동디스크(166) 상부에 작동로드(165)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스프링(16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동로드(165)의 하부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작동디스크(166)는 작동로드(165)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너트 등의 고정부재(167a, 167b)를 이용하여 작동로드(165)에 연결될 수 있다. 2,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includes a hollow yoke 162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coil 163 provided inside the yoke 162, a yoke 162, A lid 164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165 and an operation rod 165 penetrating the lid 164, the coil 163 and the yoke 16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pring 168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165 on the operating disk 166 and the operating disk 166. 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rod 165 and the operation disk 166 is fixed to the operation rod 165 by using fixing members 167a and 167b such as a nut that engages with the thread of the operation rod 165. [ Lt; / RTI >

요크(162)와 덮개(164)는 코일(163)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의 통로로 사용되며,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162)는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yoke 162 and the lid 164 are used as a passage for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coil 163 and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he yoke 16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100, or may be provided on the frame 100.

덮개(164)에는 요크(162)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16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는 코일(163)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over 164 may be provided with a plug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to the coil 163 accommodated in the yoke 162. In this case, the plug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163 .

덮개(164)에는 작동로드(16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16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요크(162)의 하부에도 제1관통구(164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관통구(164b)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164a may be formed in the cover 164 so that the operation rod 165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164 and a second through hole 164a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yoke 16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64a. And a sphere 164b may be formed.

작동로드(165)는 일측, 예컨대 상부가 지지부(150)의 하우징(152)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덮개(164), 코일(163) 및 요크(162)를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작동로드(165)는 덮개(164) 및 요크(162) 전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작동로드(165)의 상부는 하우징(152)에 연결된 상태로 덮개(164)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고정되지 않고 플로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작동로드(165)의 하부에는 작동디스크(166)가 연결되어 있고, 작동디스크(166)는 요크(16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관통구(164b)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작동로드(165)는 요크(162)에 구속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operation rod 165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over 164, the coil 163, and the yoke 162 with one side, for example, an upper portion thereof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52 of the support portion 150. The operating rod 165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entire height of the cover 164 and the yoke 162,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T shape.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165 is supported by the cover 164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152, and the lower portion is not fixed and can be disposed in a floating state. At this time, an operation disk 16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rod 165, and the operation disk 166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64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yoke 162 So that the actuating rod 165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restrained by the yoke 162.

도 3의 (a)를 참조하면, 비상구동부(160)는 플러그를 통해 코일(163)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일(163)에 자력이 발생하면 작동디스크(166)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작동디스크(166)와 연결된 작동로드(165)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비상구동부(160)는 구동축(144)을 따라 상승한 지지부(150)를 가압하여 작동로드(165)가 상승한 거리만큼 더 상승시킬 수 있다.3 (a), when the coil 163 is powered by the plug through the plug, and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coil 163, the actuating disk 166 rises, The actuating rod 165 connected to the actuating rod 166 is raised. Therefore,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can press the supporting part 150 rising along the driving shaft 144 to further raise the working rod 165 by a distance that the working rod 165 has risen.

그리고 코일(163)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디스크(166)가 하강하고 이에 작동디스크(166)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로드(165)도 하강하게 된다.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163 is cut off, the operation disk 166 is lowered as shown in FIG. 3 (b), and the operation rod 165 connected to the operation disk 166 is also lowered do.

비상구동부(160)는 지지부(150)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부(150)의 이동 거리,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T1)를 증가시켜 회전하는 드럼(10)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상구동부(160)는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한 지지부(150)의 이동 거리(T0)에 비상구동부(160)의 이동 거리, 즉 비상구동부(160)의 작동로드(165)의 이동 거리(T1)만큼 증가시켜 드럼(10)의 외주면에 라이닝(122)을 더욱 강하고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제동 시 발생하는 슬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50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ing part 150, that is, the distance T 1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In other words,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controls the moving distance of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to the moving distance T 0 of the supporting unit 150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40, that is, the moving distance of the driving rod 165 of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The lining 122 can be more strongly and accurat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0 by increasing the moving distance T 1 , thereby preventing slippage or the like occurring during brak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제동장치의 지지부(150)는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144)의 이동 거리(T0) 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4, the support portion 150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movement distance T0 of the drive shaft 144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portion 140. As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장치의 지지부(150)는 차량 주행 시 구동부(140)와 비상구동부(16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축(144)과 작동로드(165)은 상승하여 레버(130)를 지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supporting part 150 of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part 140 and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when the vehicle travels, So that the lever 130 can be supported.

이후 제동을 위해 구동부(140)와 비상구동부(16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비상 상황 발생 시 구동부(140)와 비상구동부(160)에 전원이 차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여 레버(130)를 지지하고 있던 구동축(144)과 작동로드(165)는 하강하게 된다. 이에 레버(130)는 구동축(144)과 함께 일정 거리, 예컨대 구동축(144)의 이동 거리(T0)만큼 하강하게 되고, 이때 레버(130)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부(150)는 탄성부재(156)가 수축하면서 레버(130)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 레버(130)와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124) 및 제1고정부재(123)가 회동하면서 라이닝슈(121)를 드럼(10) 측으로 밀어 라이닝(122)을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게 된다. 6, when the electric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40 and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is shut off for braking, or when the driving unit 140 and the emergency driving unit 160 are powered off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o that the drive shaft 144 and the actuating rod 165 supporting the lever 130 are lowered. The lever 130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as the moving distance T 0 of the driving shaft 144 and the supporting portion 150 supporting the lever 130 is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156 The lever 130 is pulled downward.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and the first fixing member 123 connected to the lever 130 are rotated to push the lining shoe 121 toward the drum 10 so that the lining 122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10 Respectively.

이와 함께 지지부(150)의 하부에 구비되는 비상구동부(160)에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로드(165) 및 작동디스크(166)가 하강하게 되고, 비상구동부(160)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지지부(150)가 작동로드(165)의 이동거리(T1)만큼 하강하게 된다. The operation rod 165 and the operation disk 166 are lowered and the support part 150 supported by the emergency driving part 160 Is lowered by the movement distance (T 1 ) of the operation rod 165.

이와 같이 지지부(150)의 이동 거리가 증가하면, 레버(130)를 더욱 강력하게 잡아당길 수 있기 때문에 레버(130)에 연결되는 제동 시 타이로드(125)의 변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이로드(125)와 연결되는 제1고정부재(123) 및 제2고정부재(124)의 회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들과 연결되는 라이닝슈(121)의 이동 거리가 증가 또는 라이닝슈(121)를 강하게 압박하여 라이닝(122)을 드럼(10)의 외주면에 강력하고 정확하게 접촉시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로드(125)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레버(130)가 제동시 결합부위를 통해 회동하여 제동력이 상실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을 안정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다. Since the lever 130 can be pulled more strongly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 part 150 is increased,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tie rod 125 can be increased when the lever 130 is brake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123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24 connected to the tie rod 125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lining shoe 121 connected to the tie rod 125, The lining 122 can be strongly and accurat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0 by strongly pressing the shoe 121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In addition, since the lever 130 hinged to the tie rod 125 is rotat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during braking to prevent the braking force from being lost, the vehicle can be stably brak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드럼 100: 프레임
110: 거치대 120: 제동부
130: 레버 140: 구동부
150: 지지부 160: 비상구동부
10: drum 100: frame
110: cradle 120:
130: lever 140:
150: Support part 160: Emergency exit part

Claims (7)

회전 가능한 드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제동부와 상기 구동축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
상기 제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레버와 연결되고 상하방향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비상구동부;
를 포함하는 제동장치.
A braking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rotatable drum;
A driv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aking unit and including a drive shaft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 lever rotatably connecting the braking unit and the drive shaft;
A support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braking portion and the driving portion so that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ever and is vertically movable; And
An escape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 part;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제동부, 상기 비상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braking unit, the emergency driv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on an upper portion there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을 지면 또는 설치장소로부터 이격시키는 거치대가 구비되는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tand for sp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from a ground surface or an installation si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driv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vertically through the fra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비상구동부에 전원 인가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비상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비상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승하는 지지부를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레버를 상부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키는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being power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emergency driving uni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emergency driving unit,
Wherein the emergency driving part lifts the supporting part along the driving shaft to press the lever upwar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part to the supporting part rising along the driving shaft,
And the supporting portion is lowered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is cut of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동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요크;
상기 요크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
상기 요크의 상부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덮개;
상기 덮개, 코일 및 요크를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는 작동디스크;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mergency-
A hollow yoke having an open top;
A coil disposed inside the yoke;
A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top of the yoke;
An operating rod passing through the cover, the coil, and the yoke and being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n operating disk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Lt; / RTI >
Wherein the operating rod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rame and to be movable up and dow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구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operating rod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shaft.
KR1020160086306A 2016-07-07 2016-07-07 A break KR101823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06A KR101823411B1 (en) 2016-07-07 2016-07-07 A bre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306A KR101823411B1 (en) 2016-07-07 2016-07-07 A brea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44A true KR20180005944A (en) 2018-01-17
KR101823411B1 KR101823411B1 (en) 2018-01-30

Family

ID=6102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306A KR101823411B1 (en) 2016-07-07 2016-07-07 A bre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4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55B1 (en)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Drum magnetic brak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rake pad wear interval
KR102048341B1 (en) 2019-04-23 2019-11-25 세신전기(주) Check operation of the magnetic brake drum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24Y1 (en) * 2003-07-16 2003-10-30 주식회사 포스코 The trustor brake for urgent-stopping of crane
KR101046069B1 (en) 2003-09-29 2011-07-05 주식회사 포스코 Emergency control device of thruster brake
KR100815508B1 (en) 2007-03-07 2008-03-20 세신전기(주) Device for magnetic thruster brake
KR101024581B1 (en) * 2008-07-24 2011-03-31 현대제철 주식회사 Hand opening type thrustor brak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55B1 (en) 2019-02-21 2019-09-20 세신전기(주) Drum magnetic brak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rake pad wear interval
KR102048341B1 (en) 2019-04-23 2019-11-25 세신전기(주) Check operation of the magnetic brake drum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411B1 (en)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4669B (en) Emergency braking device of elevator
JP5350263B2 (en) Elevator braking device
KR101954585B1 (en) Traction and elevator for elevator
PT2828188T (en) Catch device in a lift assembly
JP2014169134A (en) Elevator device
EP2688825A1 (en) Elevator braking system
KR101823411B1 (en) A break
CN102471030B (en) Brak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EP2803476B1 (en) Press machine
CN103879916A (en) Brake For Hoist Of An Elevator
JP6200745B2 (en) Elevator equipment
CN108285083B (en) Hoist engine and elevator
JP6066067B2 (en) Resonance reduction device
KR102022235B1 (en) Elevator braking system
JP5193783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JP5697520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386599Y1 (en) Elevator type Interactive emergency stop apparatus
CN110546100B (en) Elevator device
CN103213918A (en) Elevator winch
KR200394679Y1 (en) Apparatus for braking of elevator rope
JP6520790B2 (en) Brake device
CN203079619U (en) Self-locking disc brake
JP2010508161A (en) Machine tools, production machines or maintenance machines
CN110342370B (en) Elevator device
KR101909712B1 (en) Disk brake for industry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