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87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879A
KR20180004879A KR1020160084380A KR20160084380A KR20180004879A KR 20180004879 A KR20180004879 A KR 20180004879A KR 1020160084380 A KR1020160084380 A KR 1020160084380A KR 20160084380 A KR20160084380 A KR 20160084380A KR 20180004879 A KR20180004879 A KR 2018000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rooves
display panel
charged particles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우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879A/ko
Publication of KR201800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8Charged particles addressed liquid crystal cells, e.g. controlled by an electron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광하는 광원 및 광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광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측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광학유닛은 베이스층, 제1 전극, 제2 전극, 광학 패턴층 및 다수의 하전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여 상기 제1 전극보다 상기 표시패널에 인접한다.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패턴층에는 각각이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에 가까울수록 증가되는 폭을 갖는 다수의 홈들이 정의된다. 상기 다수의 하전입자들은 흡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홈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수의 하전입자들은 전기적으로 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야각이 조절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력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발광 유닛,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상기 표시 패널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광학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광 시야각이 구현되도록 제조되나, 공공의 장소에서 사용자 외 다른 사람이 화면을 볼 수 없도록 일시적으로 표시장치가 협 시야각으로 구현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각의 조절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광하는 광원 및 광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광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광학유닛은 베이스층, 제1 전극, 제2 전극, 광학 패턴층 및 다수의 하전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여 상기 제1 전극보다 상기 표시패널에 인접한다.
상기 광학패턴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패턴층에는 각각이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에 가까울수록 증가되는 폭을 갖는 다수의 홈들이 정의된다. 상기 다수의 하전입자들은 흡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홈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수의 하전입자들은 전기적으로 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따르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학 유닛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광시야각으로부터 협시야각, 또는 협시야각으로부터 광시야각으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는 광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모드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학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들은 도 2에 도시된 광학유닛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및 광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IV-I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라인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학유닛(53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600)는 표시패널(20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는 상기 표시패널(200) 측으로 광을 출력하고, 상기 표시 패널(2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패널(20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고, 상기 표시 패널(200)은 표시 기판(201), 대향 기판(202) 및 상기 표시기판(201)과 상기 대향기판(202)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기판(201)은 다수의 화소 영역들에 배치되는 다수의 화소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대향기판(202)은 상기 다수의 화소 전극들과 대향하는 공통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표시 기판(201) 및 상기 대향기판(202)의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향기판(202)에서 상기 공통 전극이 생략되고, 그 대신에 상기 표시기판(201)이 상기 다수의 화소 전극들뿐만 아니라 상기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00)은 발광 유닛(100), 반사부재(570), 도광 부재(550), 광학시트(550) 및 광학유닛(54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유닛(100)은 구동회로기판(PB) 및 상기 구동회로기판(PB) 위에 실장된 다수의 광원들(LG)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광원들(LG)은 상기 구동회로기판(PB)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광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광원들(LG)은 상기 도광 부재(550)의 일 측면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광원들(LG)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은 상기 도광 부재(550)의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도광부재(550)에 입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의 광원들(LG) 각각은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광원들(LG) 각각의 발광면은 상기 도광부재(550)의 상기 측면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70)는 광 반사 특성을 갖고, 상기 반사부재(570)는 상기 도광부재(550)의 배면 위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부재(570)는 상기 도광부재(550)의 상기 배면을 통해 출사된 광을 상기 도광부재(550) 측으로 반사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570)는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570)는 상기 도광부재(550)의 바닥면에 코팅된 반사층일 수도 있다.
상기 도광부재(550)는 상기 다수의 광원들(LG)로부터 제공된 상기 광을 상기 표시패널(200) 측으로 가이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부재(550)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부재(550)는 필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590)는 상기 도광부재(550)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유닛(540) 및 상기 도광부재(55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시트(590)는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부재(550)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고,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200)의 정면 방향으로 집광한다.
상기 광학유닛(540)은 상기 광학시트(590) 위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200) 및 상기 광학시트(59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유닛(540)은 상기 도광부재(5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학유닛(540)은 상기 표시패널(200) 및 상기 광학시트(590)의 사이를 지나는 광의 진행 각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광학유닛(540)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200)에 입사되는 광의 진행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표시패널(200)에서 광시야각 또는 상기 광시야각보다 작은 협시야각으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유닛(540)은 베이스층(530), 제1 전극(E1), 광학 패턴층(533), 제2 전극(E2), 비극성 용매(LD), 하전 입자들(CP) 및 커버층(531)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530)은 투광성을 갖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층(53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및 PC(poly carbonate)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1)은 상기 베이스층(530) 위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E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거나, 은 나노 와이어 및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패턴층(533)은 상기 제1 전극(E1) 위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 패턴층(533)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격벽들(WL)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들(WL)의 구성물질(composition material)은 PET(Polyethylene phthalate)와 같은 투광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들(WL)의 구조에 따라 상기 광학 패턴층(533)에는 상기 격벽들(WL)과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홈들(GV)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홈들(GV)의 내부에 상기 비극성 용매(LD) 및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들(WL)에 의해 상기 홈들(GV)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홈들에 수용된 하전 입자들(CP)이 이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들(GV)의 각각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 내에 트렌치의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들(WL)의 하단부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격벽들(WL)은 일체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들(GV)의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들(GV)의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1 측부(EG1)로부터 상기 제1 측부(EG1)와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2 측부(EG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4a를 더 참조하여, 상기 광학유닛(54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광학유닛(540)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 광학유닛(540)의 격벽들(WL) 및 홈들(GV)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들(WL)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격벽들(WL) 중 일 격벽(WL)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홈들(GV)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홈들(GV) 중 일 홈(GV)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a를 더 참조하면, 상기 격벽(WL)은 상단부(P1) 및 하단부(P2)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부(P2)는 제2 전극(E2) 보다 제1 전극(E1)에 인접하고, 상기 상단부(P1)는 상기 하단부(P2)에 대향하여 상기 제1 전극(E1) 보다 상기 제2 전극(E2)에 인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면상에서 상기 격벽(WL)은 테이퍼(taper)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P2)의 폭은 상기 상단부(P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P1)를 상기 하단부(P2)에 연결하는 제1 연결면(LS1) 및 제2 연결면(LS2)이 정의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면들(LS1, LS2)의 각각은 베이스층(530)에 대해 경사져 상기 베이스층(530)의 두께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GV)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 내에 트렌치의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WL)이 테이퍼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홈(GV)은 상기 격벽(WL)과 반대의 형상인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홈(GV)의 폭은 상기 제1 전극(E1)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E2)에 가까울수록 증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홈(GV)에 개구부(OP), 바닥면(BS), 각각이 상기 바닥면(BS)을 상기 개구부(OP)에 연결하는 제1 내측면(SS1) 및 제2 내측면(SS2)이 정의되면, 상기 제1 및 제2 내측면들(SS1, SS2)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층(530)에 대해 경사져 상기 베이스층(530)의 두께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단면상에서 상기 홈(GV)의 상기 개구부(OP)가 제1 폭(W1)을 갖고, 상기 바닥면(BS)이 제2 폭(W2)을 갖는다고 할 때, 상기 제1 폭(W1)은 상기 제2 폭(W2) 보다 크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전 입자들(CP)은 양극 또는 음극의 정전하로 대전된 미립자일 수 있고, 상기 하전 입자들(CP)은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2 전극(E2)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전 입자들(CP)은 흡광성을 갖기 위하여 카본 블랙(carbon black)과 같이 흑색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LD)는 전기적으로 비극성을 갖고, 상기 비극성 용매(LD)는 상기 홈(GV)의 내부에 채워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극성 용매(LD에는 계면 활성제와 같은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극성 용매(LD)는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중력에 의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비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전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홈들(GV)의 각각에서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쏠림 또는 응집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2)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E2)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E1)가 마주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E2)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2 전극(E2)의 각각은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져 상기 홈들(GV)의 전체에 수용된 상기 하전 입자들(CP)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531)은 상기 제2 전극(E2)을 커버하여 상기 제2 전극(E2)을 보호한다. 상기 커버층(531)의 구성 물질은 투광성을 갖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층(531)은 필름의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전극(E2)에 접착되거나, 상기 커버층(531)은 광 경화성 레진이 경화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광학유닛(540)은 상기 표시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야각 조절 기능을 갖는다. 이하, 상기 광학유닛(540)의 상기 시야각 조절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들은 도 2에 도시된 광학유닛(540)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표시패널의 협시야각 구동을 위한 광학유닛(540)의 시야각 조절 기능이 설명되고, 도 4b를 참조하여 표시패널의 광시야각 구동을 위한 광학유닛(540)의 시야각 조절 기능이 설명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하전 입자들(CP)은 홈들(GV)의 각각의 내부에서 랜덤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극성 용매(LD)는 상기 하전 입자들(CP)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내부에 보다 랜덤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내부에서 랜덤하게 분산된 경우에는, 상기 하전 입자들(CP)은 상기 홈들(GV)의 전체 깊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상기 홈들(GV)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분산된 정도가 클수록, 상기 홈들(GV)의 각각은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가지므로, 베이스층(530)의 두께 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진행하는 광들이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어셈블리(도 1의 500)로부터 제1 내지 제4광들(LT1, LT2, LT3, LT4)이 출력된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의 진행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나,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의 각각은 제1 입사각(B1)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이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은 격벽(WL)을 투과하여 상기 광학유닛(540)으로부터 출사된다. 도 4a에 도시된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의 경로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의 진행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나,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의 각각은 상기 제1 입사각(B1) 보다 큰 제2 입사각(C1)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다.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이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 이후에,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1, LT2)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의 경로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광학유닛(540)의 외부로 출력되지 않는다.
상술한 상기 광학유닛(540) 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광들(LT1-LT4)의 경로를 참조하면,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의 상기 제1 입사각(B1)보다 큰 상기 제2 입사각(C1)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되는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 LT4)은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 보다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될 확률이 크다.
따라서, 상기 광학유닛(5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 LT2)의 광 경로에 의해 대략적으로 제1 각도(A1)로 정의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패널(도 1의 200)은 대략적으로 상기 제1 각도(A1)와 대응되는 협시야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부(50)가 구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E1, E2) 사이에 전계(EF)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홈들(GV)의 각각의 내부에서 분산된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전계(EF)에 의해 바닥면(BS)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홈들(GV)의 각각에서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전체 깊이보다 작은 제1 깊이(DP1) 내로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쌓인다. 그 결과,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바닥면(BS)의 주변의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밀도는 개구부(OP)의 주변의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밀도보다 크다.
상기 전계(EF)에 의해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상기 바닥면(BS) 측으로 이동된 경우에, 도 4a에 도시된 경우보다, 광학유닛(5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도 1의 500)로부터 제1 내지 제4광들(LT1-1, LT2-1, LT3-1, LT4-1)이 출력된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의 진행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나,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의 각각은 제1 입사각(B2)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이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은 격벽(WL)을 투과하여 상기 광학유닛(540)로부터 출사된다. 도 4b에 도시된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의 경로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을 경유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의 진행 방향들은 서로 상이하나,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의 각각은 상기 제1 입사각(B2) 보다 큰 제2 입사각(C2)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다.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이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된 이후에,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의 경로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은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광학유닛(540)의 외부로 출사되지 않는다.
상술한 상기 광학유닛(540) 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광들(LT1-LT4)의 경로를 참조하면, 앞서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각각이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의 상기 제1 입사각(B2)보다 큰 상기 제2 입사각(C2)으로 상기 광학유닛(540)에 입사되는 상기 제3 및 제4 광들(LT3-1, LT4-1)은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 보다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될 확률이 크다.
또한, 도 4b에서는 상기 전계(EF)에 의해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바닥면(BS)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앞서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경우보다, 상기 하전 입자들(CP)은 상기 홈들(GV)의 전체 깊이에 걸쳐 분산된 정도가 낮으므로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광들이 흡수되는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전계(EF)가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유닛(5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진행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광들(LT1-1, LT2-1)의 광 경로에 의해 대략적으로 제2 각도(A2)로 정의되되, 상기 제2 각도(A2)는 제1 각도(도 4A의 A1)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표시패널은 대략적으로 상기 제2 각도(A2)와 대응되는 광시야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광학유닛(540)의 시야각 조절 기능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광학유닛(54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시야각 협시야각으로부터 광시야각, 또는 광시야각으로부터 협시야각으로 용이하게 스위칭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 유닛(54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광학 유닛(541)은 베이스층(530), 다수의 제1 전극들(E1-1), 광학 패턴층(533-1), 점착층(AS), 제2 전극(E2), 비극성 용매(LD), 하전 입자들(CP) 및 커버층(531)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 패턴층(533-1)은 다수의 격벽들(WL-1)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패턴층(533-1)에는 상기 다수의 격벽들(WL-1)과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홈들(GV-1)이 정의된다.
앞서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홈들(도 4a의 GV)의 각각은 광학 패턴층(도 4a의 533)에 트랜치의 형상으로 정의되나,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들(GV-1)의 각각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1)을 관통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격벽들(도 4a의 WL)의 하단부들(P2)이 서로 연결된 것과 달리, 상기 다수의 격벽들(WL-1)의 하단부들은 서로 이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E2)은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져 상기 홈들(GV-1)의 전체에 수용된 상기 하전 입자들(CP)과 중첩된다.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1)은 상기 홈들(GV-1)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1)과 상기 제2 전극(E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1) 중 일부의 제1 전극들 각각과 상기 제2 전극(E2) 간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계를 이용하여 앞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표시패널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일부 표시 영역의 시야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AS)은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1)을 커버하여 상기 베이스층(530)을 상기 광학 패턴층(533-1)에 점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광학 유닛(541)의 제조 방법의 관점에서, 상기 커버층(531), 상기 제2 전극(E2), 상기 하전입자들(CP), 상기 비극성 용매(LD) 및 상기 광학 패턴층(533-1)을 포함하는 제1 어셈블리 및 상기 베이스층(530) 및 상기 제1 전극들(E1-1)을 포함하는 제2 어셈블리 사이에 상기 점착층(AS)을 제공한 이후에, 상기 제1 및 제2 어셈블리들 간의 합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학 유닛(542)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 유닛(542)은 베이스층(530), 다수의 제1 전극들(E1-2), 광학 패턴층(533), 점착층(AS), 제2 전극(E2), 비극성 용매(LD), 하전 입자들(CP), 반사층(RL) 및 커버층(531)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전극(E2)은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져 홈들(GV)의 전체에 수용된 상기 하전 입자들(CP)과 중첩된다.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2)은 상기 홈들(GV)에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2)은 상기 베이스층(530)에 상기 홈들(GV)과 일대일 대응하여 정의된 트렌치들(TR)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유닛(542)의 제조 관점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층(530)에 상기 홈들(GV)과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트렌치들(TR)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트렌치들(TR)의 각각의 내부에 도전물을 주입하고, 상기 도전물을 경화하여 상기 다수의 제1 전극들(E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렌치들(TR)의 각각의 내부에 주입된 상기 도전물은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RL)은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광학 패턴층(533)의 일부를 커버한다. 단면상에서 상기 반사층(RL)은 상기 홈들(GV)의 상기 각각의 바닥면(BS), 제1 내측면(SS1) 및 제2 내측면(SS2) 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BS)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층(RL)의 최대 높이(HT)는 상기 홈들(GV)의 상기 각각의 깊이(DP2)보다 작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E1, E2)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상기 하전 입자들(CP)이 상기 바닥면(BS)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전 입자들(CP)의 대부분은 상기 반사층(RL)에 의해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력된 광(LT)으로부터 가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LT)이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그 대신에 상기 광(LT)은 상기 반사층(RL)에 의해 반사된다.
또한, 상기 반사층(RL)에서 반사된 상기 광(LT)은 반사부재(도 1의 570)에서 반사된 이후에, 상기 광학유닛(542) 측으로 다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RL)에 의해 상기 하전 입자들(CP)에 의해 상기 광(LT)이 흡수되는 광양이 감소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도 1의 500)의 광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층(RL)의 구성물질은 금속을 포함하거나, 산화티타늄과 같은 광 반사성을 갖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 및 광학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III-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IV-I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광학 유닛(543)은 베이스층(530-2),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광학 패턴층(533), 보조 광학 패턴층(535), 비극성 용매(LD), 하전 입자들(CP), 보조 하전 입자들(CP-1), 커버층(531), 제1 구동부(50) 및 제2 구동부(51)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도 4a의 540)과 상기 광학 유닛(543)을 비교하면, 상기 광학 유닛(543)은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베이스층(530-2)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 및 상기 제3 전극(E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전극(E3)은 상기 베이스층(530-2)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E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E2)과 마주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E1, E2)과 같이, 상기 제3 전극(E3)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은 상기 제1 및 제3 전극들(E1, E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패턴층(533)과 마주한다. 또한,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은 격벽들(WL-2)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에는 상기 격벽들(WL-2)과 교번적으로 보조 홈들(GV-2)이 정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학 패턴층(533)에 정의된 홈들(GV)의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들(GV)의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1 측부(EG1)로부터 상기 제1 측부(EG1)와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2 측부(EG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3 측부(EG3)로부터 상기 제3 측부(EG3)와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4 측부(EG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격벽들(WL-2)의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광학 패턴층(533)의 격벽들(WL)의 각각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격벽들(WL-2)의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테이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광학 패턴층(533)에 정의된 홈들(GV)의 각각의 단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의 폭은 상기 제3 전극(E3)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E1)에 가까울수록 증가될 수 있고,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의 단면의 형상은 역 테이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전 입자들(CP)과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 하전 입자들(CP-1)은 흡광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 홈들(GV-2)에 수용되고, 상기 보조 하전 입자들(CP-1)은 전기적으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50)는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2 전극(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2 전극(E2) 간에 전계를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51)는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3 전극(E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E1) 및 상기 제3 전극(E3) 간에 전계를 스위칭한다.
앞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학 유닛(도 4a 및 도 4b의 540)과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상기 광학 유닛(543)은 표시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야각 조절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의 시야각 조절 기능은 앞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된 광학 패턴층(도 4a 및 도 4b의 533)의 시야각 조절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535)의 상기 시야각 조절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평면상에서 상기 홈들(GV)의 각각의 길이 방향은 상기 보조 홈들(GV-2)의 각각의 길이 방향과 상이하고, 이에 따라 상기 홈들(GV)의 시야각 조절 기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은 상기 보조 홈들(GV-2)의 시야각 조절 기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홈들(GV)의 상기 시야각 조절 기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은 제2 방향(D2)이고, 상기 보조 홈들(GV-2)의 상기 시야각 조절 기능의 기준이 되는 방향은 제1 방향(D1)이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부(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E1, E2) 간의 전계를 스위칭하면,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패널(200)의 시야각이 상기 제2 방향(D2)을 기준으로 광시야각 또는 협시야각으로 스위칭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1 및 제2 에지부들(EG1, EG2)이 상기 표시패널(200)의 좌측 및 우측에 대응되고, 상기 표시패널(200)의 제3 및 제4 에지부들(EG3, EG4)이 상기 표시패널의 상측 및 하측에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구동부(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200)의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에 대한 시야각의 크기가 조절되고, 상기 제2 구동부(51)의 동작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200)의 상기 상측 및 상기 하측에 대한 시야각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200: 표시패널 500: 백라이트 어셈블리
GV: 홈 533: 광학패턴층
540: 광학유닛 CP: 하전입자들
LD: 비극성 용매 E1: 제1 전극
E2: 제2 전극 WL: 격벽

Claims (18)

  1.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광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유닛은,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위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전극과 마주하여 상기 제1 전극보다 상기 표시패널에 인접한 제2 전극;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에 가까울수록 증가되는 폭을 갖는 다수의 홈들이 정의된 광학 패턴층; 및
    흡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홈들의 내부에 수용되고, 전기적으로 극성을 갖는 다수의 하전 입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층은,
    투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홈들과 교번적으로 위치하고, 각각이 상기 다수의 홈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홈들에 수용된 하전 입자들을 이격시키는 다수의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들의 각각은,
    상기 제2 전극보다 상기 제1 전극에 인접한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대향하며, 상기 제1 전극보다 상기 제2 전극에 인접한 상단부를 포함하고,
    단면상에서 상기 하단부의 폭은 상기 상단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들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들의 각각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은 상기 광학 패턴층 내에 정의된 트렌치의 형상을 갖고, 단면상에서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상기 바닥면에 연결하는 연결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연결면들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은 상기 광학 패턴층을 관통한 형상을 갖고, 단면상에서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층에 대해 경사진 연결면들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에 채워진 비극성 용매; 및
    상기 제2 전극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학 패턴층과 마주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각각은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져 상기 다수의 홈들에 수용된 상기 하전 입자들과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져 상기 다수의 홈들에 수용된 상기 하전 입자들과 중첩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다수의 홈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층에 정의된 트렌치들의 각각의 내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에 전계를 스위칭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의 바닥면의 주변의 상기 하전입자들의 밀도는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의 개구부의 주변의 상기 하전입자들의 밀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에 채워진 비극성 용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하전입자들은 상기 비극성 용매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다수의 홈들의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광학 패턴층의 일부를 커버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다수의 홈들의 상기 각각의 바닥면 및 내측면 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층의 최대 높이는 상기 다수의 홈들의 상기 각각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들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일 측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타 측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닛은,
    상기 제1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는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패턴층과 마주하고, 각각이 상기 제3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에 가까울수록 증가되는 폭을 갖는 다수의 보조 홈들이 정의된 보조 광학 패턴층; 및
    흡광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 홈들에 수용되고, 전기적으로 극성을 갖는 다수의 보조 하전 입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들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1 측으로부터 상기 제1 측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2 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보조 홈들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의 제3 측으로부터 상기 제3 측과 마주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제4 측을 향해 연장되어 평면상에서 상기 다수의 홈들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층은,
    투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홈들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다수의 홈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홈들에 수용된 하전 입자들을 이격시키는 다수의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광학 패턴층은,
    투광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 홈들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다수의 보조홈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보조 홈들에 수용된 보조 하전 입자들을 이격시키는 다수의 보조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간에 전계를 스위칭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간에 전계를 스위칭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084380A 2016-07-04 2016-07-04 표시 장치 KR20180004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80A KR20180004879A (ko) 2016-07-04 2016-07-04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380A KR20180004879A (ko) 2016-07-04 2016-07-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879A true KR20180004879A (ko) 2018-01-15

Family

ID=6100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380A KR20180004879A (ko) 2016-07-04 2016-07-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879A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5520A (zh) * 2018-09-06 2021-03-30 Lg伊诺特有限公司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WO2021060750A1 (ko) * 2019-09-24 2021-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WO2021066368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45638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45619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21358A1 (ko) * 2020-04-29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25297A1 (ko) * 2020-05-07 2021-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05123A1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560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529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474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4129A (ko) * 2020-07-28 2022-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0745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0597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68666A1 (ko) * 2021-10-18 2023-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28290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28288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3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2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4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0560A1 (ko) * 2022-01-19 2023-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0533A1 (ko) * 2022-01-19 2023-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4006618A4 (en) * 2019-07-30 2023-08-02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4006617A4 (en) * 2019-07-30 2023-08-02 LG Innotek Co., Ltd. OPTICAL POSITION CONTROL ELEMENT AND INDICATOR WITH THEM
EP4043941A4 (en) * 2019-10-11 2023-10-25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4089464A4 (en) * 2020-01-09 2024-02-21 Lg Innotek Co Ltd LIGHT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4077958A1 (zh) * 2022-10-11 2024-04-1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结构和显示装置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5520A (zh) * 2018-09-06 2021-03-30 Lg伊诺特有限公司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EP3848743A4 (en) * 2018-09-06 2022-05-11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4006617A4 (en) * 2019-07-30 2023-08-02 LG Innotek Co., Ltd. OPTICAL POSITION CONTROL ELEMENT AND INDICATOR WITH THEM
EP4006618A4 (en) * 2019-07-30 2023-08-02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1060750A1 (ko) * 2019-09-24 2021-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WO2021066368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4043941A4 (en) * 2019-10-11 2023-10-25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4089464A4 (en) * 2020-01-09 2024-02-21 Lg Innotek Co Ltd LIGHT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1145619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4092480A4 (en) * 2020-01-14 2024-01-24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ELEMENT AND DISPLAY DEVICE THEREFOR
WO2021145638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6106B2 (en) 2020-04-29 2024-04-23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221358A1 (ko) * 2020-04-29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61187A1 (en) * 2020-04-29 2023-05-25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860466B2 (en) * 2020-05-07 2024-01-02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225297A1 (ko) * 2020-05-07 2021-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194917A1 (en) * 2020-05-07 2023-06-22 Lg Innotek Co., Ltd.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005123A1 (ko) * 2020-06-30 2022-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560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529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25474A1 (ko) * 2020-07-28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14129A (ko) * 2020-07-28 2022-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99294B2 (en) 2020-09-03 2024-02-13 Lg Innotek Co., Ltd.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22050745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0597A1 (ko) * 2020-09-03 2022-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68666A1 (ko) * 2021-10-18 2023-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28290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28288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4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2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483A1 (ko) * 2022-01-17 2023-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0533A1 (ko) * 2022-01-19 2023-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0560A1 (ko) * 2022-01-19 2023-07-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4077958A1 (zh) * 2022-10-11 2024-04-1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结构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879A (ko) 표시 장치
US7532383B2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KR102312522B1 (ko) 표시 장치
KR20090043095A (ko) 표시 장치
KR20090066534A (ko) 전기영동 표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US10877306B2 (en) Display device
CN116018554A (zh)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显示装置
CN115485615A (zh) 光路径控制部件及包括其的显示设备
US965848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upport frame having reflective stepped portion
JP6387600B2 (ja) 光学シート、el素子、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781769B (zh) 背光组件和液晶显示装置
KR20210141846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445576B (zh)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4525007B2 (ja) 表示装置
US9513489B2 (en) 3D image display device
CN112712754A (zh) 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70039814A (ko) 광학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025628A (zh) 显示设备
US11899294B2 (en)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40027949A (ko) 광 경로 제어 부재의 구동방법
JP7478825B2 (ja) 光経路制御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30280612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136600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21465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52412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