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77A -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 Google Patents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77A
KR20180004477A KR1020160084064A KR20160084064A KR20180004477A KR 20180004477 A KR20180004477 A KR 20180004477A KR 1020160084064 A KR1020160084064 A KR 1020160084064A KR 20160084064 A KR20160084064 A KR 20160084064A KR 20180004477 A KR20180004477 A KR 2018000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iber
flame
phosph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덕
서원진
양다솜
채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하이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하이켐(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477A/ko
Priority to US15/345,363 priority patent/US20180002548A1/en
Priority to JP2016217598A priority patent/JP2018003228A/ja
Priority to CN201611017753.9A priority patent/CN107574667A/zh
Priority to DE102016121983.5A priority patent/DE102016121983A1/de
Publication of KR2018000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399Phosphorus boun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D06M13/292Mono-, di- or tri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에 유용한 난연가공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로 패딩 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는 무게 증량 및 난연성 부여로 비산(飛散)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면서도 내산성, 내광성, 끈적임 억제, 백분발생 억제 등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자동차, 의류, 침구류 등의 소재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Flame Retardant for treating Kapok-fiber or Kapok-Nonwoven}
본 발명은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에 유용한 난연가공제에 관한 것이다.
케이폭(Kapok)은 목화나무 과에 속하는 나무로서 아메리카 열대 지방이 원산지이고,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퍼져 있다. 케이폭 섬유(Kapok-fiber)는 케이폭 나무의 열매에서 얻어지는 종자섬유이다. 케이폭 섬유는 섬유길이 8 ~ 32 mm, 굵기 30 ~ 35 ㎛, 단면이 원형 내지 타원형인 중공상의 천연섬유로서,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어 가볍고 보온성이 있으며, 견과 같은 광택이 있다. 또한, 케이폭 섬유는 천연왁스로 덮여 있어 발수성을 지니고 있다. 그 밖에도 케이폭 섬유는 흡음, 흡유, 항균, 소취, 원적외선방사 등의 특징이 있어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케이폭 섬유는 그 짧은 섬유길이와 세포벽이 얇아서 카딩(carding) 등의 가공 시에 쉽게 절단될 수 있으며, 초경량성으로 인해 웹(web), 펠트(felt) 제조 시에 비산(飛散)되어 원료 손실 및 화재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케이폭 섬유는 가구, 침장구류 충전재용, 구명복용 충진재 등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서는 케이폭 섬유를 부직포 등으로 제조하여 보온, 흡음, 흡유 등의 특성을 살린 산업용 소재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케이폭 섬유를 별다른 가공 없이 다공성(porous) 물질에 채워 흡음재를 제조하거나, 케이폭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를 혼방하여 제조한 복합 부직포를 기름 제거용으로 활용한 예가 있다. 또한 케이폭 부직포/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케이폭 부직포로 구성된 흡음재가 개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폭 섬유는 여전히 비산(飛散)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171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13468호
본 발명은 케이폭 섬유의 증량으로 부직포 방적 등 섬유가공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산 및 비산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산업용 섬유로서 요구되는 난연성을 부여하게 되는 난연가공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가공제에 의해 패딩 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가공제에 의해 패딩 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이용하여, 비산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 없이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공정에 의해 제조된 케이폭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성 용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난연제는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와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가 2:8 ~ 8:2 중량비를 이루고 있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부직포 웹, 펠트를 만드는 카딩, 니들펀칭 공정에서 케이폭 섬유의 비산 및 비산에 의한 화재위험이 방지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난연 특성이 우수하고, 연소속도 102 mm/분의 조건에서 케이폭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는 내산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고, 백분이 미발생 되고, 끈적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는 자동차, 의류, 침구류 등 각종 산업용 소재로 적합하다.
본 발명은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에 적용되는 난연가공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가 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방적, 카딩, 니들펀칭 등의 가공공정에서 비산 및 비산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와, 내산성 및 내광성이 개선된 효과와, 백분 현상을 방지하고 끈적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가공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가공제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케이폭 섬유의 비산 특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수성 용매와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수분산액에 난연제를 분산시켜 제조한다. 즉, 상기 난연가공제는 수성 용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수분산액에 난연제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연가공제는 수성 용매 10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가 포함된 수분산액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난연제가 20 ~ 40 중량% 농도로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연제로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수불용성(水不溶性)의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선택 사용하며, 또한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와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2:8 ~ 8:2 중량비로 혼합 사용한다. 상기 난연제를 구성함에 있어,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연 효과는 증대될 수 있지만, 그 함량이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여 과량이 포함되면 내산성 및 내광성이 저하되어 가수분해, 황변 및 백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난연제를 구성함에 있어, 오일(oil) 형태의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난연 효능의 개선효과가 극히 적고, 또한 함량이 증가할수록 끈적임 발생으로 니들펀칭 작업 시 바늘이 섬유를 통과하지 못하여 작업성 저하 및 기기손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난연효과의 극대화 및 내산성, 내광성, 백분 현상 및 끈적임 등을 고려하여, 난연제로서는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와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2:8 ~ 8:2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6 ~ 6:4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5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가공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수성 용매
본 발명에서는 수성 용매로서 물, 알콜 또는 이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좋기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2)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의 고른 분산과 난연제 입자의 입경 조절을 위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입자 크기를 작은 사이즈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산제가 수분산액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 페닐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디스틸릴페닐 에톡실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포스페이트염, 알킬아릴술포네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스테르포스페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염, 폴리카르복실산염, 로트유, 석유 술포네이트, 알킬디페닐-에테르술포네이트염 및 트리스틸렌페닐 에톡실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설포네이트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가공제는 수성 용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를 포함시켜 수분산액을 제조한다.
만약, 수분산액 중에 포함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적게 사용되면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입자 크기를 1 ㎛으로 조절하기가 어렵게 되고, 반면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포함되면 제품의 고온안정성이 떨어져 스프레이 및 패딩작업 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분산액 중에 포함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적게 사용되면 난연제의 고른 분산이 어렵게 되고, 반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으로 포함되면 케이폭 섬유의 변색(황변)이 발생할 수 있다.
3) 분산제
본 발명에서는 분산제로서 수불용성(water insoluble)인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사용한다.
즉, 통상의 방법에서 제안한 바대로 수용성(water soluble) 난연제로서 구아니딘 포스페이트, 인산카바메이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수용성 난연제는 물에 의해 가수분해 또는 용해되어 난연성, 내산성 및 내광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용성 난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케이폭 섬유가 소수성이기 때문에 수용성인 난연제가 흡수되지 않으므로 비산 현상을 억제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로서 수불용성(water insoluble)인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케이폭 섬유의 비산 현상을 억제하고, 난연가공 처리에 의해 내산성, 내광성 등을 개선하는 각별한 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한 바와 같이 수불용성(water insoluble)인 포스페이트계 난연제 중에서도 오일(oil) 형태와 파우더(powder) 형태를 적절한 함량비로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면, 수용성(water soluble) 난연제 사용에서와 동일한 난연성을 부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트레실 포스페이트, 2-비페닐일 디페닐 포스페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트레실 포스페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아미도 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가공제는 상기 난연제가 수분산액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 40 중량% 농도로 분산되어 있다. 상기 난연가공제 중에 분산되는 난연제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에 대한 난연 효능을 부가시키는 효과가 저조할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고농도로 안연제가 포함되면 난연제의 입경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또한 고른 분산을 유도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성 성분 및 조성비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난연가공제는 물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수분산액 중에 난연제가 고루 분산되어 있으며, 특히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평균입자 크기가 1 ㎛ 이내로 조절되어 분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가공 처리된 케이폭 부직포를 제공한다.
상기 난연 가공처리는 난연가공제에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를 침적하거나, 또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에 난연가공제를 스프레이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는 난연제의 함침량이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중량 대비하여 30 ~ 40 중량%가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의 제조방법은 케이폭 섬유를 스피닝 처리하여 제직하는 단계에서 난연가공제에 침적하거나, 또는 난연가공제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난연 가공처리할 수 있다.
또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부직포 제조를 위한 스피닝 처리단계 또는 니들 펀칭공정에 난연가공제에 침적 또는 난연가공제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난연 가공처리할 수 있다. 즉, a)케이폭 섬유를 스피닝 처리하는 제직하는 단계; 및 b)상기 제직된 케이폭 섬유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폭 부직포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스피닝 처리단계 또는 니들 펀칭공정에 난연가공제에 침적 또는 난연가공제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난연 가공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연가공 처리된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난연가공제의 제조
물 100 g, 폴리옥시알킬렌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g, 황산에스테르염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 g을 고루 분산시켜 수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분산액에 수불용성 페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오일 형태의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와 파우더 형태의 아미도 포스페이트가 2:8 중량비를 이루는 난연제를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한 후에, 수분산액에 난연제를 고루 분산시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난연가공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되,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와 아미도 포스페이트가 5:5 중량비를 이루는 난연제를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하였다.
실시예 3. 난연가공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되,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와 아미도 포스페이트가 8:2 중량비를 이루는 난연제를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하였다.
비교예 1. 난연가공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되, 수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구아니딘 포스페이트 단독을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하였다.
비교예 2. 난연가공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되, 수불용성 오일 형태의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단독을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하였다.
비교예 3. 난연가공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가공제를 제조하되, 수불용성 파우더형태의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로서 디페닐 아닐리노 포스포네이트 단독을 30 중량%의 농도로 투입하였다.
[제조예]
하기의 방법으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와 케이폭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난연가공제 각각에 케이폭 섬유를 침적하여 난연제를 케이폭 섬유에 함침시켰다. 이때 난연제의 함침량은 케이폭 섬유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난연제가 함침된 케이폭 섬유는 120℃ 온도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여,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2.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의 제조
케이폭 섬유를 스피닝 처리하는 제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난연가공제를 스프레이 분사하였으며, 이때 난연제의 분사량은 케이폭 섬유 중량 대비 3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난연제가 함침된 케이폭 섬유는 120℃ 온도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통상의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준비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와 케이폭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테스트하였다.
(1) 증량(섬유에 부가된 난연제의 량)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완전건조한 후에,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증량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2) 비산현상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된 증량이 30%일 때, 비산 현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 내가수분해성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오토크레이브를 이용하여 습도 100%, 온도 120℃의 조건에서 48시간 유지시켰다. 상기 오토크레이브에서 유지된 케이폭 섬유의 pH를 측정하였다.
(4) 황변발생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오토크레이브를 이용하여 습도 100%, 온도 120℃의 조건에서 5시간 유지시켰다. 상기 오토크레이브에서 유지된 케이폭 섬유의 색상이 변화를 확인하여(KS M ISO 2440:2002), 황변발생 여부를 판단하였다.
(5) 백분발생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완전건조한 후에, 섬유 표면에 백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6) 끈적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를 완전건조한 후에, 손으로 만져보면서 촉감을 확인하였다.
(7) 난연성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를 FMVSS 302(북미 난연법규로 국토부 법규)에 맞게 적용하여 난연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증량(%) 42 45 47 15 58 41
비산현상 없음 없음 없음 비산 발생 없음 없음
내가수분해성 pH 6 pH 6 pH 6 pH 3 pH 6 pH 6
황변현상 미발생 미발생 미발생 발생 발생 미발생
백분현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끈적임 없음 없음 미세한
끈적임
끈적임
과다
끈적임
과다
없음




난연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자기소화성 105 mm/min 자기소화성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난연가공제로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42 ~ 47%의 증량으로 인하여 비산 발생이 없었고, 내산성, 내광성이 우수하면서 백분 현상 및 끈적임이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난연가공제로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는 난연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오일 형태와 파우더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가 동량으로 포함된 실시예 2가 가장 난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교예 1의 수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가 포함된 난연가공제는 난연 효과는 우수하였지만, 비산이 발생되고, 내산성, 내광성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비교예 1의 난연가공제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에 사용되기엔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 단독 또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 단독으로 포함된 난연가공제이다.
비교예 2의 난연가공제로 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58%의 높은 증량으로 비산 발생이 없었고, 내산성이 우수하면서 백분 현상이 없었으나, 내광성이 떨어지고 끈적임이 과다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난연가공제로 처리된 케이폭 부직포는 결정적으로 난연 특성이 매우 열악하여 난연소재로 사용하기엔 한계가 있다.
비교예 3의 난연가공제로 처리된 케이폭 섬유는 난연성, 내산성이 우수하고 비산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백분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Claims (10)

  1. 수성 용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난연제는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와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가 2:8 ~ 8:2 중량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성 용매 10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 10 중량부가 포함된 수분산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난연제가 20 ~ 40 중량% 농도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의 입도가 1 ㎛ 이내로 조절되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oil)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트레실 포스페이트 및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powder) 형태의 수불용성 포스페이트계 난연제는 아미도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알킬렌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 페닐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디스틸릴페닐 에톡실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및 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포스페이트염, 알킬아릴술포네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스테르포스페이트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염, 폴리카르복실산염, 로트유, 석유술포네이트, 알킬디페닐에테르술포네이트염 및 트리스틸렌페닐 에톡실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설포네이트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 처리용 난연가공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섬유.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난연가공제에 의해 난연 가공처리된 케이폭 부직포.
KR1020160084064A 2016-07-04 2016-07-04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KR20180004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64A KR20180004477A (ko) 2016-07-04 2016-07-04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US15/345,363 US20180002548A1 (en) 2016-07-04 2016-11-07 Flame retardant treating agent for kapok-fiber or kapok-nonwoven fabric
JP2016217598A JP2018003228A (ja) 2016-07-04 2016-11-07 カポック繊維またはカポック不織布の難燃加工処理用難燃加工剤
CN201611017753.9A CN107574667A (zh) 2016-07-04 2016-11-15 用于木棉纤维或木棉非织造织物的阻燃处理剂
DE102016121983.5A DE102016121983A1 (de) 2016-07-04 2016-11-16 Flammenhemmendes Behandlungsmittel für Kapokfasern oder ein Kapokfaservl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64A KR20180004477A (ko) 2016-07-04 2016-07-04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77A true KR20180004477A (ko) 2018-01-12

Family

ID=6066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64A KR20180004477A (ko) 2016-07-04 2016-07-04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02548A1 (ko)
JP (1) JP2018003228A (ko)
KR (1) KR20180004477A (ko)
CN (1) CN107574667A (ko)
DE (1) DE1020161219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2745A (en) * 1956-08-31 1958-04-29 Shea Chemical Corp Aqueous flameproofing compositions and cellulosic materials treated therewith
DE19919707A1 (de) * 1999-04-30 2000-11-02 Clariant Gmbh Brandschutzbeschichtung für Fasermaterialien
EP1449955B1 (en) * 2001-10-19 2010-01-13 Daikyo Chemical Co., Ltd method of flameproofing for polyester based textile product
WO2004050980A1 (en) * 2002-11-29 2004-06-17 Neworld Fiber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fire retarding substrates
JP4348407B2 (ja) * 2007-02-28 2009-10-21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難燃加工薬剤、難燃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2969A (ja) * 2008-03-31 2009-10-22 Nicca Chemical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繊維用難燃加工剤、それを用い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ITTO20130670A1 (it) * 2013-08-05 2015-02-06 Torcitura Padana S P A Substrato cellulosico con proprieta' antifiamma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CN104610794B (zh) * 2013-11-01 2017-07-11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磷‑氮系膨胀型阻燃剂、其合成方法及其应用
KR101693640B1 (ko) * 2014-05-20 2017-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난연/방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03228A (ja) 2018-01-11
US20180002548A1 (en) 2018-01-04
DE102016121983A1 (de) 2018-01-04
CN107574667A (zh)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502743B1 (de) Cellulosischer formkörp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CN107254720B (zh) 一种远红外抗菌有机硅氮阻燃纤维及其生产方法
US10443153B2 (en) Flame-resistant molded cellulose bodies produced according to a direct dissolving method
CN103556544B (zh) 一种高阻燃性玻璃纤维空气过滤纸及其制备方法
KR20190077522A (ko)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CN101381958B (zh) 一种阻燃整理材料及用这种材料整理织物的方法
EP2832924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lameproof fiber product
CN105420926A (zh) 一种防辐射面料
CN105755827A (zh) 一种环保型抗菌阻燃整理剂
CN110565370A (zh) 一种天然阻燃整理剂的制备方法
KR20180004477A (ko) 케이폭 섬유 또는 케이폭 부직포의 난연 가공처리용 난연가공제
KR20160017937A (ko) 난연성 면직물의 제조방법
EP211212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ammschutzmitteln und ihre Verwendung in Textilien
KR20090077890A (ko) 비할로겐계 방염제 및 그것을 이용하는 섬유의 방염 가공 방법
DE102011013222B4 (de) Verwendung eines p-Cumolsulfonat-Stabilisators für die Herstellung von halogenfreien, Ammoniumpolyphosphat enthaltenden Flammschutz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KR101989968B1 (ko) 방염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926B1 (ko) 난연성 pu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818A (ko) 다용도 기능성 혼합솜 및 그 제조방법
EP2402416A1 (de) Flammschutzmittelzusammensetzung für Baumwollartikel
CN103388224A (zh) 阻燃维纶与阻燃粘胶的混纺织物
Pal et al. Eco-friendly fire-retardant finishing of Cotton fabric with mixture of Ammonium Sulfamate and Sodium Stannate
KR20160043702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856B1 (ko) 무독성 난연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 제조방법
KR20160050157A (ko) 저황변 유연제 제조용 조성물 및 저황변 유연제의 제조방법
US10731290B2 (en) Liqui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