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6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64A
KR20180004464A KR1020160084037A KR20160084037A KR20180004464A KR 20180004464 A KR20180004464 A KR 20180004464A KR 1020160084037 A KR1020160084037 A KR 1020160084037A KR 20160084037 A KR20160084037 A KR 20160084037A KR 20180004464 A KR20180004464 A KR 2018000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strate
optical
optical layer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654B1 (ko
Inventor
신동수
고준호
최요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654B1/ko
Priority to EP23172172.1A priority patent/EP4235280A1/en
Priority to EP17001091.2A priority patent/EP3267243B1/en
Priority to EP20217478.5A priority patent/EP3825758B1/en
Priority to US15/639,032 priority patent/US11156862B2/en
Priority to CN201710524809.8A priority patent/CN107577082B/zh
Publication of KR2018000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64A/ko
Priority to US17/509,805 priority patent/US11703703B2/en
Priority to US18/142,267 priority patent/US202303148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02F2001/133325
    • G02F2001/13332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학층; 그리고,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학층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는 플렌지;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제1 리브;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인접하되, 상기 광학층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초기의 화질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의 배치를 가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 유닛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박형(slim)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광학층의 지지구조를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홀더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학층; 그리고,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학층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는 플렌지;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제1 리브;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인접하되, 상기 광학층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플렌지의 일부가 굽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광학층을 향해 굽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학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는. 일부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리브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프레임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일 코너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변을 형성하는 제1 장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타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장변과 마주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프레임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광학층을 향해 굽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학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초기의 화질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의 배치를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박형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학층의 지지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더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홀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 충격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배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결합 및 배치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 내지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외곽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 및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멤버층 고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 내지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멤버층 고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opposite)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ront) 또는 전면(front surface or front sid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rear or back) 또는 후면(rear surface or rear side or back surface or back sid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top) 또는 상면(top surface or upper surface or upper sid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bottom) 또는 하면(bottom surface or lower surface or lower sid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left) 또는 좌면(left surface or left sid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right) 또는 우면(right surface or right side)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eft and right direction, 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p and down direction, UD)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픽셀을 구비하여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에 해당하는 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려한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고 측면커버만 존재하는 경우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외곽과 접촉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엣지형(edge type)일 수 있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120)인 경우에 도광부 또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3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s)이 프레임(1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직하형 백라이트유닛(direct type back light unit)으로 통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을 분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시트(125)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5d)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결합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층(123)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성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론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레진(resi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방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기판(122)에 실장될 수 있다.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패턴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기판(122)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이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레드, 블루, 그린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레드LED, 블루 LED 및 그린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에 포함된 광원(light source)은 COB(Chip On Board)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은 기판(122)에 광원인 LED 칩을 직접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은, 좀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COB 타입은, 종래보다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를 제공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가 기판(122)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 통공(235)을 구비할 수 있고, 광 어셈블리는 통공(235)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제공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확산판(129)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기판(122) 상에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반사시트(126)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반사시트(126)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반사시트(126)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어에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서포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과 마주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의 기능을 가지며,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일변 또는 엣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또는 엣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130) 상에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으로 구성된 기판(122)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판(122)은 일측이 배선전극(232)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판(12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의 일측 끝에 배선 홀(23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배선 홀(234)은 프레임(130)을 관통하는 미세 홀일 수 있다. 배선 홀(234)을 통해, 배선전극(232)이 프레임(130) 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 홀(234)을 통해, 배선전극(232)이 프레임(130) 후면에 위치한 어댑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상에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선 홀(234)을 통해 프레임(130) 전면에서 연장된 배선전극(232)이 파워 서플라이(3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15)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경해줄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15)는 배선전극(232)을 통해 광 어셈블리(124)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315)는 메인 보드(321)와 배선 전극(2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321)는 파워 서플라이(315)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 보드(3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작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보드(3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다.
메인 보드(321)와 파워 서플라이(315)는 배선전극(232)을 통해 티콘 보드(3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티콘 보드(319)는 메인 보드(321) 또는 파워 서플라이(315)에서 입력되는 전원 또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달하는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다. 티콘 보드(319)는 FFC 케이블(Flat Flex Cable, 251)을 통해 프레임(130) 전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인쇄회로기판들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각각의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일부만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전술 또는 후술할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평판부(130B), 경사부(130DL), 그리고 플렌지(130P)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하나의 플레이트가 프레스 되면서 평판부(130B), 경사부(130DL), 그리고 플렌지(130P)를 형성할 수 있다.
평판부(130B)는 전체적으로 프레임(130)의 바텀(bottom)을 형성할 수 있다. 평판부(130B)는 프레임(130)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굴곡 또는 단차(step)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평판부(130B)는 구성요소를 지지하거나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단차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트렌치(trench, 132,134,136)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렌치(132,134,136)는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32,134,136)는 좌우방향(LR)으로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32,134,136)는 프레임(130) 또는 평판부(130B)가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32,134,136)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트렌치(132,134,136)는 상하방향(UD)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렌치(134)는 평판부(130B)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32)는 제1 트렌치(134)의 위쪽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트렌치(136)는 제1 트렌치(134)의 아래쪽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34)는 제2 트렌치(132) 및/또는 제3 트렌치(136)와 다른 폭을 지닐 수 있다. 제2 트렌치(132)는 제3 트렌치(136)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을 지닐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트렌치들(132,134,136)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트렌치들(132,134,136) 중 다른 하나와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경사부(130DL)는 평판부(130B)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130DL)는 복수개의 경사부들(130DL1~130DL4)이 평판부(130B)의 엣지들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부(130DL1)는 평판부(130B)의 상측에서 연장되고, 제2 경사부(130DL2)는 평판부(130B)의 좌측에서 연장되고, 제3 경사부(130DL3)는 평판부(130B)의 하측에서 연장되고, 제4 경사부(130DL4)는 평판부(130B)의 우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경사부들(130DL1~130DL4)은 서로 다른 경사를 지닐 수 있다.
플렌지(130P)는 경사부(130DL)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렌지(130P1)는 제1 경사부(130DL1)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2 플렌지(130P2)는 제2 경사부(130DL2)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3 플렌지(130P3)는 제3 경사부(130DL3)에서 연장될 수 있고, 제4 플렌지(130P4)는 제4 경사부(130DL4)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돌기는 트렌치(132,134,136)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는 트렌치(132,134,136)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의 개수는 평판부(130B)에서 트렌치(132,134,136)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렌치(134)는 좌우방향(LR)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일렬의 돌기들(134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트렌치(132)는 좌우방향(LR)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이열의 돌기들(1321,13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트렌치(136)는 좌우방향(LR)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이열의 돌기들(1361,136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돌기는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는 평판부(130B)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돌기는 트렌치(132,134,136)가 생략되고 평판부(130B)에 배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열의 돌기(1322)는 제1 경사부(130DL1)에 인접하고, 제1 경사부(130DL1) 또는 프레임(130)의 제1 장변(130LS1)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의 돌기(1321)는 제1 열의 돌기(1322)에 인접하여 제1 경사부(130DL1) 또는 프레임(130)의 제1 장변(130LS1)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 4열의 돌기(1361)는 제3 경사부(130DL3)에 인접하고, 제3 경사부(130DL3) 또는 프레임(130)의 제2 장변(130LS2)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5 열의 돌기(1362)는 제4 열의 돌기(1361)에 인접하여 제3 경사부(130DL3) 또는 프레임(130)의 제1 장변(130LS1)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열의 돌기(1341)는 제2 열의 돌기(1321)와 제5 열의 돌기(1362) 사이에서 프레임(130)의 장변들(130LS1,130LS2) 또는 좌우방향(LR)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열의 돌기(1341)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의 중심에서 프레임(130)의 좌우방향(LR)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돌기(1341)는 제1 트렌치(134)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41)는 제1 트렌치(134)의 길이방향(좌우방향, LR)을 따라서 여러 개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34)는 소정의 너비(W1)와 소정의 깊이(D1)를 지닐 수 있다. 돌기(1341)는 소정의 높이(H)를 지닐 수 있다. 돌기(1341)의 높이(H)는 제1 트렌치(134)의 깊이(D1)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돌기(1341)의 높이(H)는 제1 트렌치(134)의 깊이(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돌기(1341)는 제1 트렌치(134)의 저면의 중앙, 상하방향(UD)을 기준으로, 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트렌치(136)는 소정의 너비(W3)와 소정의 깊이(D3)를 지닐 수 있다. 제3 트렌치(136)의 소정의 깊이(D3)는 제1 트렌치(134)의 깊이(D1)와 동일하거나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3 트렌치(136)의 너비(W3)는 제1 트렌치(134)의 너비(W1)와 다를 수 있다. 제3 트렌치(136)의 너비(W3)는 제1 트렌치(134)의 너비(W1)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트렌치(136)의 너비(W3)는 제1 트렌치(134)의 너비(W1)의 2배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돌기들(1361,1362)은 제3 트렌치(136)의 길이방향(좌우방향, LR)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돌기들(1361,1362)은 복수개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1361,1362)은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돌기들(1361,1362)은 제3 트렌치(1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한쌍을 이루는 돌기들(1361,1362)이 여러 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쌍의 돌기들(1361,1362)은 제3 트렌치(136)의 너비방향(상하방향, UD)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돌기(1362)는 제1 트렌치(134)에 가까운 제3 트렌치(136)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돌기(1361)는 제3 경사부(130DL3)에 가까운 제3 트렌치(136)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돌기들(1361,1362)의 서로간의 거리(DP)는 전술 또는 후술하는 기판(122)의 폭의 절반의 2배 이상일 수 있다.
제3 트렌치(136)에 대한 설명은 제2 트렌치(132)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면, 결합홈(122h)은 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기판(122)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기판(1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일단에 원형의 삽입홈(122R)을 구비할 수 있다.
돌기(1341)는 삽입홈(122R)의 직경(d) 보다 작은 헤드(HD)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1341)의 헤드(HD)는 결합홈(122h)의 너비(w)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1341)는 삽입홈(122R)에 끼워지고, 결합홈(122h)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기판(122)을 프레임(13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홈(122h)은 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기판(122)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기판(1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일단에 원형의 삽입홈(122R)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122h)은 가이드(122G1,122G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122G1,122G2)는 결합홈(122h)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22G1)는 결합홈(122h)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결합홈(122h)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22G2)는 제1 가이드(122G1)와 마주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122G2)는 결합홈(122h)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결합홈(122h)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41)는 삽입홈(122R)의 직경(d) 보다 작은 헤드(HD)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1341)의 헤드(HD)는 가이드(122G1,122G2)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122h)의 너비(w)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1341)는 삽입홈(122R)에 끼워지고, 결합홈(122h) 및 가이드(122G1,122G2)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기판(122)을 프레임(13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돌기(1341)는 기판(12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결합홈(122h)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1341)의 헤드(HD)는 제1 가이드(122G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1341)의 헤드(HD)는 제1 가이드(122G1)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 또는 후술하는 반사시트(126)가 기판(122)의 위에 평탄하게 놓일 수 있다. 돌기(1341)의 높이는 기판(122)의 두께와 같거나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제1 트렌치(13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트렌치(134)의 깊이(D1)는 기판(12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제1 트렌치(134)에 고정 또는 접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기판(122)을 제1 트렌치(134)에 고정 또는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AD)는 양면 테잎일 수 있다. 제1 트렌치(134)의 깊이(D1)는 기판(122) 및 접착부재(AD)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광어셈블리(124)는 측면에서 볼 때,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 상에 놓여진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제1 트렌치(134)는 기판(122) 및/또는 접착부재(AD)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를 지닐 수 있다.
제1 트렌치(134)의 너비(W1)는 기판(122)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제1 트렌치(134)의 너비(W1)는 광어셈블리(124)의 외경보다 작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 트렌치(136)는 복수개의 기판(122)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트렌치(136)는 복수개의 기판(122)이 한번에 배치될 수 있는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제3 트렌치(136)의 전체 면적 중 한쪽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제3 트렌치(136) 상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트렌치(136) 상에 배치된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제1 트렌치(13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3 경사부(130DL3)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백라이트유닛의 광원과 광원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하방향(UD) 중 제3 트렌치(134)의 상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하방향(UD) 중 제3 트렌치(134)의 하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돌기(1361,1362)는 제3 트렌치(136)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1361,1362)는 제3 트렌치(136)의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1361)는 제3 트렌치(136) 상에서 제3 경사부(130DL3)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돌기(1362)는 제3 트렌치(136) 상에서 제1 트렌치(134)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돌기(1361)와 제2 돌기(1362)는 상하방향(UD)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직렬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가 제3 트렌치(136)에 결합될 때, 기판(122)은 제1 돌기(136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기(1362)는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의 옆에서 제3 트렌치(136)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즉, 기판(122)은 제1 돌기(1361) 또는 제2 돌기(1362)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트렌치(134)는 1열의 돌기들(1341)을 구비할 수 있다. 1열의 돌기들(1341)은 프레임(130)의 단면에서 1개의 돌기(1341)로 보일 수 있다. 제2 트렌치(132)는 2열의 돌기들(1321,1322)을 구비할 수 있다. 2열의 돌기들(1321,1322)은 프레임(130)의 단면에서 2개의 돌기(1321,1322)로 보일 수 있다.
제1 돌기(1321)의 높이(H1)는 제2 돌기(1322)의 높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트렌치(132)의 깊이(D2)는 제1 돌기(1321)의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돌기(1321)와 제2 돌기(1322)의 거리(DP)는 기판(122)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골격부(130F)를 구비할 수 있다. 골격부(130F)는 상하방향(UD)으로 프레임(13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골격부(130F)는 프레스에 의해서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복수개의 골격부들(130F)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골격부(130F1) 및 제2 골격부(130F2)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골격부(130F1)는 제2 골격부(130F2)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골격부(130F3) 및 제4 골격부(130F4)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골격부(130F3)는 제4 골격부(130F4)와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트렌치들(132,134,136)은 골격부들(130F)과 교차(cross)될 수 있다. 이때, 트렌치들(132,134,136)과 교차되는 골격부들(130F)은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의 후방으로 더 후퇴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골격부들(130F)이 이루는 단차가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트렌치들(132,134,136)이 이루는 단차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골격부들(130F)은 트렌치들(132,134,136)에 결합되는 기판(122)의 평탄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평판부(130B), 경사부(130DL1), 플렌지(130P1), 그리고 측벽(130SW)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1)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소정의 각도(θ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θ1)는 45도일 수 있다. 이때, 경사부(130DL1)는 제1 경사부(130DL1)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지지부(130SHP1), 그리고 걸림부(130HK)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0SHP1)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렌지(130P1)는 제1 플렌지(130P1)일 수 있다. 지지부(130SHP1)와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단면 상에서 중첩되어 보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SHP1)가 걸림부(130HK) 보다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130SHP1)가 걸림부(130HK) 보다 경사부(130DL1)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지지부(130SH,130SHP1)는 제1 리브라 칭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제2 리브라 칭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평판부(130B), 경사부(130DL4), 플렌지(130P4), 그리고 측벽(130SW)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4)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소정의 각도(θ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θ2)는 60도일 수 있다. 이때, 경사부(130DL4)는 제4 경사부(130DL4)일 수 있다. 경사부(130DL4)는 제2 경사부(130DL2) 또는 제3 경사부(130DL3)일 수도 있다.
프레임(130)은 지지부(130SHP1), 그리고 걸림부(130HK)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0SHP1)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렌지(130P4)는 제4 플렌지(130P4)일 수 있다. 플렌지(130P4)는 제2 플렌지(130P2) 또는 제3 플렌지(130P3)일 수도 있다.
지지부(130SHP1)와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단면 상에서 중첩되어 보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SHP1)가 걸림부(130HK) 보다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130SHP1)가 걸림부(130HK) 보다 경사부(130DL4)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도 22 내지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배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기판(122A)은 제1 트렌치(13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2 트렌치(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122C)은 제3 트렌치(136)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 제2 기판(122B), 그리고 제3 기판(122C)은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2 트렌치(132)에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기판(122B)은 제1 경사부(130DL1)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2 트렌치(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122C)은 제3 트렌치(136)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기판(122C)은 제3 경사부(130DL3)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3 트렌치(136)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과 제3 기판(122C)은 트렌치들(132,136)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서로 최대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중앙에 제1 기판(122A)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어셈블리(124)는 각각의 기판(122)에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어셈블리들(124)이 제공하는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광어셈블리(124)는 제1 경사부(130DL1)와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광어셈블리(124)는 제4 경사부(130DL4)와 일정한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사부(130DL1)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약 45도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경사부(130DL4)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약 60도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광어셈블리(124)는 제4 경사부(130DL4)가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이루는 각도에 의해 광어셈블리(124)가 제4 경사부(130DL4)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도 효율적인 광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4 경사부(130DL4)의 경사가 가파르게 형성됨에 따라 광어셈블리(124)에서 발생하는 빛이 제4 경사부(130DL4) 인근에서 암부를 형성하지 않고 고른 분포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어셈블리(124)는 제1 경사부(130DL1)가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와 이루는 각도에 의해 광어셈블리(124)가 제4 경사부(130DL4)로부터 이격된 거리 보다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거리(D1)는 거리(D3)보다 작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경사부(130DL1)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게 됨에 따라 광어셈블리(124)에서 제공되는 빛은 제1 경사부(130DL1) 인근에서 암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광어셈블리(124)의 위치가 제1 경사부(130DL1)에 가까워질수록 광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130DL1)의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됨에 따라 광어셈블리(124)에서 발생하는 빛이 제1 경사부(130DL1) 인근에서 암부를 형성하지 않고 고른 분포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및/또는 기판(122A,122B,122C, 도 23에서 도시)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통공(235, 도 3참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광어셈블리(124)의 상부 및/또는 측부는 통공(235)을 통해서 반사시트(126)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판(122A,122B,122C)의 3열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기판(122A)은 제2 트렌치(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3 트렌치(136)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 그리고 제2 기판(122B)은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은 제2 트렌치(132)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판(122A)은 제1 경사부(130DL1)로부터 먼 위치에서 제2 트렌치(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122B)은 제3 트렌치(136)에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기판(122B)은 제3 경사부(130DL3)로부터 먼 위치에서 제3 트렌치(136)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기판(122A)은 제2 트렌치(132)에서 최대한 제1 트렌치(13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기판(122B)은 제3 트렌치(136)에서 최대한 제1 트렌치(13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은 트렌치들(132,136)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어셈블리(124)는 각각의 기판(122)에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트렌치(132)에서 기판(122) 및/또는 광어셈블리(124)를 생략함에도 불구하고 광어셈블리들(124)이 제공하는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및/또는 기판(122A,122B, 도 25에서 도시)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통공(235, 도 3참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광어셈블리(124)의 상부 및/또는 측부는 통공(235)을 통해서 반사시트(126)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판(122A,122B)의 2열 배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7및 28을 참조하면, 제1 기판(122A)은 제2 트렌치(13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기판(122B)은 제3 트렌치(136)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122A) 및 제2 기판(122B)은 트렌치들(132,136)의 내부에서 서로 최대한 가까운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광어셈블리(124)는 상하방향(UD)으로 길게 연장된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122A) 및/또는 광어셈블리(124)가 제2 트렌치(132)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광어셈블리(124)는 제1 경사부(130DL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광어셈블리(124)가 제1 경사부(130DL1)로부터 멀어지면, 제4 경사부(130DL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1 경사부(130DL1)에 의해 제1 경사부(130DL1)의 인근에 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하방향(UD)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렌즈를 구비하는 광어셈블리(124)는 제2 트렌치(132) 내부에서 기판(122A)의 배치 변화에 불구하고, 제1 경사부(130DL1) 인근에서의 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130DL1) 인근에서 빛의 고른 분포를 유지할 수 있다.
기판(122A)의 배치가 변함에 따라서, 광어셈블리(124)가 제1 경사부(130DL1)와 유지하는 거리(D11), 그리고 제4 경사부(130DL4)와 유지하는 거리(D33)가 변하게 되는데, 이는 광특성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광특성의 변화는 암부와 명부를 형성할 수 있어 화질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기판(122A)의 배치가 변함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형상의 변화에 따라 제1 경사부(130DL1) 그리고 제4 경사부(130DL4)에서 고른 분포의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및/또는 기판(122A,122B, 도 27에서 도시)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통공(235, 도 3참조)을 구비할 수 있는데, 광어셈블리(124)의 상부 및/또는 측부는 통공(235)을 통해서 반사시트(126)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0 내지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결합 및 배치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제1 홀더(430)는 프레임(1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평판부(130B)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제1 경사부(130DL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복수개의 제1 홀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430)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 상에서 프레임(130)의 제1 장변(LS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하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돌출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홀더(430)는 평판부(130B)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431)는 제1 홀더(43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기판(122)의 일변은 제1 홀더(430)에 안착될 수 있다. 기판(122)의 일변은 제1 홀더(430)에 끼워질 수 있다. 기판(122)의 일변은 제1 홀더(430) 및 돌출부(43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프레임(1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평판부(130B)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제1 경사부(130DL1)와 제1 홀더(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복수개의 제2 홀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홀더(440)는 프레임(130)의 평판부(130B) 상에서 프레임(130)의 제1 장변(LS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하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홀더(440)는 돌출부(441)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돌출부(441)는 제1 홀더(430)의 돌출부(431)를 향할 수 있다. 즉, 제1 홀더(430)의 돌출부(431)가 프레임(130)의 상측을 향하면, 제2 홀더(440)의 돌출부(441)는 프레임(130)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22)은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의해 프레임(1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440)는 제1 홀더(430)와 교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한 쌍을 이루는 열(C)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경사부(130DL1)에 인접한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3 경사부(130DL3)에 인접한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열(C4)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인접하여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제 5 열(C5)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인접하여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1 기판(122A)이 장착될 수 있다.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2 기판(122B)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3 기판(122C)이 장착될 수 있다. 즉, 기판(122A,122B,122C) 및 광 어셈블리(124)가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4 열(C4)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1 기판(122A)이 장착될 수 있다. 제5 열(C5)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2 기판(122B)이 장착될 수 있다. 즉, 기판(122A,122B) 및 광 어셈블리(124)가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4 및 35를 참조하면, 서포터(432)는 제1 홀더(430)와 마주할 수 있다. 서포터(432)는 프레임(130)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홀더(4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432)는 프레임(130)의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제2 홀더(44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432)는 제2 홀더(44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터(432)는 기판(122)이 제1 홀더(430)에 끼워질 때, 기판(12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122)이 제1 홀더(430)에 끼워진 후 기판(122)이 제1 홀더(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440)는 제1 홀더(430)와 교번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한 쌍을 이루는 열(C)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경사부(130DL1)에 인접한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3 경사부(130DL3)에 인접한 평판부(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열(C4)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인접하여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제 5 열(C5)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는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와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인접하여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6 및 37을 참조하면, 제1 열(C1)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1 기판(122A)이 장착될 수 있다. 제3 열(C3)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2 기판(122B)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열(C2)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3 기판(122C)이 장착될 수 있다. 즉, 기판(122A,122B,122C) 및 광 어셈블리(124)가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4 열(C4)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1 기판(122A)이 장착될 수 있다. 제5 열(C5)의 복수개의 제1 홀더(430) 및 제2 홀더(440)에 제2 기판(122B)이 장착될 수 있다. 즉, 기판(122A,122B) 및 광 어셈블리(124)가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들(122A,122B,122C)은 접착부재, 예를 들면, 양면테잎에 의해서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9 내지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외곽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지지부(130SH)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 및 측벽(130SW)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 및 측벽(130SW)이 절단 및 굽힘(cut and bended) 가공되어 지지부(130SH)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30SH)와 측벽(130SW)의 사이에 빈공간(130OP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지면, 프레임(130)으로부터 형성되는 지지부(130SH)의 두께도 동시에 얇아질 수 있고, 이는 지지부(130SH)의 강성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플렌지(130P)와 측벽(130SW)이 형성하는 엣지로부터 플렌지(130P)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광학층(123)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전체적으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30SH) 돌출부(130SHP1,130SHP2)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30SHP1,130SHP2)는 측벽(130SW)으로부터 광학층(123)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30SHP1,130SHP2)는 지지부(130SH)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SHP1,130SHP2)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30SHP1)는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돌출부(130SHP2)는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제2 돌출부(130SHP2)는 제1 돌출부(130SHP1)와 동일한 수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30SHP1) 및 제2 돌출부(130SHP2)는 광학층(123)의 측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SH)의 전체적인 형상에 의해 지지부(130SH)는 광학층(123)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의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 및 측벽(130SW)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 및 측벽(130SW)이 절단 및 굽힘 가공되어 걸림부(130HK)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30HK)와 측벽(130SW)의 사이에 빈공간(130OP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플렌지(130P)와 측벽(130SW)이 형성하는 엣지로부터 플렌지(130P)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광학층(123)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30SH) 또는 걸림부(130HK)의 하측에 위치하는 측벽(130SW)은 굽힘되거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130SW)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0 및 41을 참조하면, 지지부(130SH)는 광학층(123)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SH)는 광학층(123)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예를 들면, 확산판일 수 있다. 지지부(130SH)의 돌출부들(130SHP1,130SHP2)은 광학층(123)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0SH)는 광학시트(125)를 지지할 수도 있는데, 지지부(130SH)는 광학시트(125)의 측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130SH)의 돌출부들(130SHP1,130SHP2)은 광학시트(125)의 측면에 접촉할 수도 있다. 광학시트(125)는 광학층(123)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광학시트(125)의 결합부(125d)는 걸림부(130HK)에 끼워질 수 있다.
도 42및 43를 참조하면, 걸림부(130HK)는 광학층(12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걸림부(130HK)와 광학층(123) 사이에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갭(G)은, 예를 들면, 약 0.5미리미터일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광학층(123)과 갭(G)을 유지하면서, 광학시트(125)를 고정시킬 수 있다.
광학층(123)은 지지부(130SH)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데, 과도한 하중이나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서 광학층(123)을 지지하는 지지부(130SH)가 붕괴되면 걸림부(130HK)는 광학층(123)을 지지하는 2차적 지지수단이 될 수 있다.
도 44 및 45를 참조하면, 걸림부(130HK)는 전체적으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돌출부(130HKP1,130HKP2)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130HK)는 측벽(130SW)으로부터 광학층(123)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30HKP1,130HKP2)는 걸림부(130HK)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HKP1,130HKP2)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30HKP1)는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돌출부(130HKP2)는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제2 돌출부(130HKP2)는 제1 돌출부(130HKP1)와 동일한 수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30HKP1) 및 제2 돌출부(130HKP2)는 광학층(123)의 측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30HK)의 전체적인 형상에 의해 걸림부(130HK)는 광학층(123)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부(130HK) 및 지지부(130SH)에 의해 지지되는 광학층(123)에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광학층(123)의 고정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구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6A를 참조하면, 지지부(130SH)는 코너(C)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0SH1)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하되, 제3 코너(C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SH2)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하되, 제4 코너(C4)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30SH3)는 제1 장변(LS1)에 위치하되, 제2 코너(C2)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30SH4)는 제1 장변(LS1)에 위치하되, 제1 코너(C1)에 인접할 수 있다.
제5 지지부(130SH5)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하되, 제2 코너(C2)에 인접할 수 있다. 제6 지지부(130SH6)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하되, 제3 코너(C3)에 인접할 수 있다. 제7 지지부(130SH7)는 제1 단변(SS1)에 위치하되, 제1 코너(C1)에 인접할 수 있다. 제8 지지부(130SH8)는 제1 단변(SS1)에 위치하되, 제4 코너(C4)에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제5 지지부(130SH5) 내지 제8 지지부(130SH8)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6B를 참조하면, 지지부(130SH)는 코너(C)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0SH1)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하되, 제3 코너(C3)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SH2)는 제2 장변(LS2)에 위치하되, 제4 코너(C4)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30SH3)는 제1 장변(LS1)에 위치하되, 제2 코너(C2)에 인접할 수 있다. 제4 지지부(130SH4)는 제1 장변(LS1)에 위치하되, 제1 코너(C1)에 인접할 수 있다.
제5 지지부(130SH5)는 제2 단변(SS2)에 위치하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지지부(130SH6)는 제1 단변(SS1)에 위치하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5 지지부(130SH5) 및/또는 제6 지지부(130SH6)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걸림부들(130HK)의 개수 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7및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광학층(123)은 프레임(13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층(123)은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3)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광학층(123)은 걸림부(130HK)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갭(G)이 광학층(123)과 걸림부(130HK)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광학층(12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25)는 광학층(123)의 전면상에 놓여질 수 있다. 광학시트(125)의 후면은 광학층(123)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광학시트(125)의 결합부(125d)는 걸림부(130HK)에 끼워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광학시트(125)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프레임(130)의 측면 및/또는 전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17)은 수평부(117H), 그리고 수직부(117V)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17H)는 프레임(130)의 플렌지(130P3)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117H)는 광학층(123) 및/또는 광학시트(125)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117H)는 누름부들(117P)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누름부(117P1)는 광학층(123) 및/또는 광학시트(125)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면의 둘레의 일부를 누를 수 있다. 제2 누름부(117P2)는 광학시트(125)의 결합부(125d)를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학층(123) 및/또는 광학시트(125)는 프레임(13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117H)는 홈(117I)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0SH) 또는 걸림부(130HK)는 홈(117I)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패널(117)은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부(117V)는 프레임(130)의 측벽(130SW)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17V)는 프레임(130)의 측벽(130SW)과 마주할 수 있다. 수직부(117V)는 수평부(117H)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117H)의 전면의 일부에 접착부재(AD)가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AD)는, 예를 들어, 양면테잎일 수 있다.
도 47 및4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가이드 패널(117)의 수평부(117H)의 전면에 놓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가이드 패널(117)에 접착부재(AD)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변에 위치하는 멤버층(MB)은 프레임(130)의 측면 또는 가이드 패널(117)의 수평부(117H) 및/또는 수직부(117V)를 감으면서 프레임(130)의 후방 또는 후면쪽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멤버층(MB)은, 예를 들면, COF 또는 FPCB일 수 있다.
도 49 및 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멤버층 고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3)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전체적인 두께가 얇은 경우,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0)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운 경우,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측면 또는 경사부(130DL3)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두께는 경사부(130DL3,130DL)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3)의 후면에 접착부재(40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홀더(400)는 몸체(402), 클립(404), 그리고, 접착부(AD)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400)는 접착부(AD)가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3)의 후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AD)는, 예를 들면, 양면테잎일 수 있다. 기판(110PC)은, 예를 들면 S-PCB, 홀더(4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0을 참조하면, 홀더(400)는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고정된 자세가 틀어질 수 있다. 홀더(400)의 위치가 변하면, 기판(110PC)의 고정 자세도 변하게 되고, 길이가 제한된 멤버층(MB)이 손상될 수 있다.
도 51 내지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멤버층 고정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을 참조하면, 홀더(400)는 몸체(402), 클립(404), 제1 후크(406), 그리고 제2 후크(408)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404)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일 수 있는데, 탄성을 지닌 소재일 수 있다.
클립(404)은 팜(palm, 404c), 제1 핑거(a first finger, 404a), 그리고 제2 핑거(a second finger, 404b)를 구비할 수 있다. 팜(404c)은 기판(110PC)의 너비 또는 폭과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즉, 팜(404c)은 기판(110PC)이 놓여지면 약간의 유격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핑거(404a)는 제2 핑거(404b)를 향해 굽어질 수 있다. 제2 핑거(404b)는 제1 핑거(404a)를 향해 굽어질 수 있다. 제1 핑거(404a)는 경사부(404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핑거(404a)의 경사부(4041)는 기판(110PC)이 삽입되는 경로(path)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핑거(404b)는 경사부(40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핑거(404b)의 경사부(4042)는 기판(101PC)이 제1 핑거(40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핑거(404b)로 끼워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핑거(404a) 및 제2 핑거(404b)는 팜(404c)의 양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핑거(404a) 및 제2 핑거(404b)는 서로를 마주할 수 있도록 굽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부(4041)는 제1 핑거(404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4042)는 제2 핑거(404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4041)는 제1 핑거(404a)가 팜(404c)을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4042)는 제2 핑거(404b)가 팜(404c)을 마주하지 않고, 외부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크(406)는 몸체(402)를 중심으로 클립(404)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후크(406)는 전체적으로, 예를 들면, 화살촉 또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제1 후크(406)는 기둥(406a), 그리고 헤드(406b)를 구비할 수 있다.
기둥은(406a) 몸체(402)의 일측 또는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헤드(406b)는 기둥(406a)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406b)는 기둥(406a)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406b)의 직경은 기둥(406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헤드(406b)는 둘레 또는 엣지에 경사부(4061,406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406b)는 제1 경사부(4061), 그리고 제2 경사부(40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경사부(4061)는 제2 경사부(4062)와 대향될 수 있는데, 입체적인 관점에서 제1 경사부(4061)는 제2 경사부(406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부(4061) 및 제2 경사부(4062)는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후크(408)는 수직부(408a), 그리고 걸이부(408b)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부(408a)는 몸체(40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걸이부(408b)는 수직부(408a)에서 수직부(408a)의 돌출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굽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후크(408)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도 52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고정홀(130h)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홀(130h)은 프레임(13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30h)은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3)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30h)은 복수개가 프레임(130)의 경사부(130DL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30h2)은 경사부(130DL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30h2)은 제1 후크(40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30h1)은 제1 고정홀(130h2)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30h1)은 경사부(130DL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30h1)은 제2 후크(408)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홀(130h1)은 제1 고정홀(130h2)과 다른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홀(130h1)은 제2 후크(408)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홀더(400)는 제2 후크(408)가 제2 고정홀(130h1)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제1 후크(406)가 제1 고정홀(130h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400)는 프레임(13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자세가 틀어지거나 프레임(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400)에 기판(110PC)이 끼워지면, 홀더(400)의 안적정인 고정으로 인하여 기판(110PC)은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게 되고, 멤버층(MB)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학층; 그리고,
    상기 광학층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학층의 후면의 일부를 지지는 플렌지;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제1 리브;
    상기 플렌지에서 연장되고, 상기 광학층의 측면에 인접하되, 상기 광학층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플렌지의 일부가 굽힘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광학층을 향해 굽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학층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광학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시트는, 일부에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리브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프레임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일 코너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변을 형성하는 제1 장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타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장변과 마주하는 제2 장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프레임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광학층을 향해 굽어진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학층과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084037A 2016-07-04 2016-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5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37A KR102557654B1 (ko) 2016-07-04 2016-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23172172.1A EP4235280A1 (en) 2016-07-04 2017-06-27 Display device
EP17001091.2A EP3267243B1 (en) 2016-07-04 2017-06-27 Display device
EP20217478.5A EP3825758B1 (en) 2016-07-04 2017-06-27 Display device
US15/639,032 US11156862B2 (en) 2016-07-04 2017-06-30 Display device
CN201710524809.8A CN107577082B (zh) 2016-07-04 2017-06-30 显示设备
US17/509,805 US11703703B2 (en) 2016-07-04 2021-10-25 Display device
US18/142,267 US20230314855A1 (en) 2016-07-04 2023-05-0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37A KR102557654B1 (ko) 2016-07-04 2016-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64A true KR20180004464A (ko) 2018-01-12
KR102557654B1 KR102557654B1 (ko) 2023-07-19

Family

ID=5925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37A KR102557654B1 (ko) 2016-07-04 2016-07-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156862B2 (ko)
EP (3) EP4235280A1 (ko)
KR (1) KR102557654B1 (ko)
CN (1) CN10757708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552A1 (ko) * 2019-09-18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15667A1 (en) * 2020-04-23 2021-10-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654B1 (ko) 2016-07-04 202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3581997B1 (en) 2017-02-09 2023-09-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device and support pin
JP6945148B2 (ja) * 2017-02-09 2021-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サポートピン
CN110568642A (zh) * 2018-06-06 2019-1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259A (ko) *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80061777A (ko)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80170416A1 (en) * 2007-01-16 2008-07-17 Au Op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Backlight Module, Display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Including Thereof
KR20150135817A (ko) * 2014-05-26 2015-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20160077275A1 (en) * 2013-06-07 2016-03-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cd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061A (en) * 1980-02-28 1982-11-02 Beckman Instruments, Inc. Electro-mechanical package of visual display and related circuitry
KR200218685Y1 (ko) * 1999-06-28 2001-04-02 김순택 액정 표시소자의 조립구조
TW444872U (en) * 2000-09-15 2001-07-01 Unipac Optoelectronics Corp Fixed structure for optical membrane fixed on the back light system of display
JP3747458B2 (ja) * 2001-01-31 2006-02-22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784804B1 (ko) * 2001-05-07 2007-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TWI224293B (en) * 2001-05-09 2004-11-21 Sanyo Electric Co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TW504127U (en) * 2001-09-10 2002-09-21 Au Optronics Corp Carrying frame with in-frame flexible position-limiting structure
KR100852167B1 (ko) 2002-03-08 2008-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TW582562U (en) * 2003-03-13 2004-04-0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I282885B (en) * 2004-03-03 2007-06-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assembly
TWI307433B (en) * 2004-05-12 2009-03-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TWI281062B (en) * 2005-07-15 2007-05-11 Au Optronics Corp Optical module and position frame thereof
KR101237174B1 (ko) 2006-02-21 2013-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M306669U (en) * 2006-08-04 2007-02-21 Wintek Corp Backlight module, backlight module housing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385231B1 (ko) * 2006-08-24 2014-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4333781B2 (ja) * 2007-06-21 2009-09-16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
KR20090125416A (ko) * 2008-06-02 2009-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필터 및 그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1231847B1 (ko) * 2008-09-26 2013-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5238825B2 (ja) * 2009-01-15 2013-07-1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に装着される基板クリップ
KR101607572B1 (ko) * 2009-10-12 2016-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1095452A (ja) * 2009-10-29 2011-05-12 Sony Corp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5257345B2 (ja) * 2009-12-04 2013-08-07 アイコム株式会社 液晶ユニット
KR101712088B1 (ko) * 2010-11-19 2017-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그 제조 방법
BR112014032223B1 (pt) * 2012-06-29 2021-10-19 Sony Corporation Unidade de exibição
CN103576995A (zh) * 2012-07-31 2014-02-12 电子触控产品解决方案公司 具有隔音装置的触敏显示器
JP5468692B1 (ja) * 2012-10-29 2014-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089637B2 (ja) 2012-11-30 2017-03-08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9052085B2 (en) * 2013-03-13 2015-06-09 Lighthouse Technologies Limited Light-emitting diode panels and displays with light baffle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KR102135917B1 (ko) * 2013-12-20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형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136203B1 (ko) * 2014-02-03 2020-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6006481A1 (ja) * 2014-07-09 2016-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WO2016007177A1 (en) * 2014-07-11 2016-01-14 Apple Inc. Retention system for dynamic loading
KR20160009720A (ko) * 2014-07-16 2016-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N105223711B (zh) * 2014-07-18 2018-06-22 惠科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组件及其pcb板的固定方法
KR20160084037A (ko) 2015-01-05 2016-07-13 황보기만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04392729U (zh) * 2015-03-03 2015-06-10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线路板的固定装置及包含该固定装置的电子设备
US10620371B2 (en) * 2016-03-05 2020-04-14 Huawei Technologies Canada Co., Ltd. Waveguide crossing having rib waveguides
KR102557654B1 (ko) 2016-07-04 202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8072505A (ja) * 2016-10-27 2018-05-10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259A (ko) *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80061777A (ko) *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80170416A1 (en) * 2007-01-16 2008-07-17 Au Op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Backlight Module, Display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Including Thereof
US20160077275A1 (en) * 2013-06-07 2016-03-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cd module
KR20150135817A (ko) * 2014-05-26 2015-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552A1 (ko) * 2019-09-18 202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3279A (ko) * 2019-09-18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15667A1 (en) * 2020-04-23 2021-10-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650443B2 (en) 2020-04-23 2023-05-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5758A1 (en) 2021-05-26
CN107577082A (zh) 2018-01-12
US11703703B2 (en) 2023-07-18
CN107577082B (zh) 2021-04-09
KR102557654B1 (ko) 2023-07-19
US20180004034A1 (en) 2018-01-04
EP3267243A1 (en) 2018-01-10
EP3825758B1 (en) 2023-05-10
EP4235280A1 (en) 2023-08-30
EP3267243B1 (en) 2021-01-27
US11156862B2 (en) 2021-10-26
US20220043292A1 (en) 2022-02-10
US20230314855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8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576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611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979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2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074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267245B1 (en) Display device
KR10238364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9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802310B2 (en) Display device
US11156863B2 (en) Display device
KR2019002542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13992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0446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480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8002628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4363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25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