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37A -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37A
KR20180003837A KR1020160083483A KR20160083483A KR20180003837A KR 20180003837 A KR20180003837 A KR 20180003837A KR 1020160083483 A KR1020160083483 A KR 1020160083483A KR 20160083483 A KR20160083483 A KR 20160083483A KR 20180003837 A KR20180003837 A KR 2018000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support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하루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치에이 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에이 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에이 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6008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837A/ko
Publication of KR2018000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바닥 슬래브의 하면 등의 지지면으로부터 현수하여 지지할 때에,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배관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수 지지 장치(1)는, 배관을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삽입 관통 유지부(2)와,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3)와,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이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지지면(S)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경사 지지부(4)를 구비하고, 한 쌍의 경사 지지부(4)는, 각각, 배관의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지지부(5)와, 배관의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지지부(6)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SUSPEND-SUPPORTING STRUCTURE AND SUSPEND-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의 하면 등의 지지면에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현수 지지 구조, 및 배관의 현수 지지 구조에서 이용되는 현수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지면에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관 지지 장치는, 배관을 밴드로 둘러싸서 지지한 상태로 바닥 슬래브 등의 지지면으로부터 현수 지지함과 함께, 일단이 지지면에 부착되는 방진(防振) 막대의 타단이 밴드 단부를 기준으로 밴드 위의 마주보는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314836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현수 지지 구조는,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배관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배관을 지지면으로부터 현수하여 지지할 때에,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배관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현수 지지 구조는, 지지면으로부터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배관의 유지 위치로부터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1개 지점과, 상기 유지 위치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상기 배관의 축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4개 지점의 5개 지점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 상기 배관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수 지지 구조에 의하면, 배관의 유지 위치로부터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1개 지점과, 유지 위치의 양측으로부터 축 교차 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며 배관의 축방향을 따르는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4개 지점의 5개 지점에 있어서 지지면에 배관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배관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수 지지 장치는, 지지면으로부터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삽입 관통 유지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경사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 지지부는, 각각, 상기 배관의 축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지지부와, 상기 배관의 축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수 지지 장치에 의하면, 배관이 유지되는 삽입 관통 유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와, 삽입 관통 유지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배관의 축방향을 따르는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1 경사 지지부와, 축방향을 따르는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에 고정되는 제2 경사 지지부에 의해 배관이 지지면의 5개 지점에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배관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배관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현수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 관통되는 원환형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연직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연직 고정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설치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경사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경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1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경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2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직 지지부는,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 경사 지지부 및 제2 경사 지지부는,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설치된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직 지지부 및 경사 지지부의 고정 위치가 삽입 관통 유지부 위의 1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현수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고착 기구에 의해 그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가 지지부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부재와 막대형 부재를 연결시킬 때에 서로의 위치나 각도를 맞추기 위한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부착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부 고정부와 연결되는 기단측 연결면과, 상기 기단측 연결면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이자 상기 지지부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 가장자리에 이어짐과 함께 상기 막대형 부재와 연결되는 선단측 연결면으로 형성되고,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경사면들은, 한쪽이 다른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중 한쪽이 다른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겹치게 할 수 있어, 반송 시에 컴팩트(compact)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에 의하면, 배관의 유지 위치로부터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1개 지점과, 유지 위치의 양측으로부터 축 교차 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며 배관의 축방향을 따르는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4개 지점의 5개 지점에 있어서 지지면에 배관이 지지됨으로써, 배관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현수 지지 구조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도이며,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현수 지지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현수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경사 지지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경사 지지부가 회동(回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 지지 구조를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현수 지지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지지 장치(1)를 적절한 간격으로 이용하여, 배관(P)을 천장(C)의 상부에 설치된 바닥 슬래브의 하면(지지면)(S)으로부터 현수 지지하는 것이다. 인접하는 현수 지지 장치(1)들 사이에는, 예컨대 연직 상측의 1개 지점에 있어서 배관(P)을 지지하는 기존의 지지 장치(H)가 이용된다.
현수 지지 장치(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P)을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삽입 관통 유지부(2)와,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면(S)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3)와,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이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지지면(S)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경사 지지부(4)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유지부(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배관(P)을 삽입 관통시킴과 함께, 힌지(2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대략 원환형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와,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상부에 고정됨과 함께, 연직 지지부(3)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연직 고정부(22)와,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설치됨과 함께, 경사 지지부(4)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지지부 고정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상부에는,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단부가 각각 연직 상방으로 굴곡된 굴곡부(212)가 형성되고, 연직 고정부(22)의 하단은 굴곡부(212)에 끼워짐과 함께, 볼트 등의 고정 기구(21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고정부(23)에는, 후술하는 고착 기구(41)가 삽입 관통되는 고착 기구 삽입 관통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연직 지지부(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 볼트(hanger bolt) 등의 연직 막대형 부재(31)로 구성되고, 연직 막대형 부재(31)의 상단부는, 예컨대 지지면(S)에 설치된 매립 앵커(A)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연직 고정부(22)에 고정된다.
한 쌍의 경사 지지부(4)는, 각각, 배관(P)의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지지부(5)와, 배관(P)의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지지부(6)와, 후술하는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를 한 쌍의 지지부 고정부(23)에 각각 고착시키는 고착 기구(41)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의 (a), 도 3에 나타낸 한 쌍의 경사 지지부(4) 중, 도면 중 좌상측에 도시된 경사 지지부(4A)에 있어서는, 배관(P)의 좌하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X 방향)을 일방측, 우상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Y 방향)을 타방측으로 하고, 도면 중 우하측에 도시된 경사 지지부(4B)에 있어서는, 배관(P)의 우상방향(화살표 Y 방향)을 일방측, 좌하방향(화살표 X 방향)을 타방측으로 한다.
제1 경사 지지부(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정되는 제1 연결 부재(51)와, 일단부가 제1 연결 부재(51)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지지면(S)에 연장되어 매립 앵커(A) 등에 고정되는 제1 막대형 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경사 지지부(6)는,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정되는 제2 연결 부재(61)와, 일단부가 제2 연결 부재(61)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지지면(S)에 연장되어 매립 앵커(A) 등에 고정되는 제2 막대형 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재를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각각,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정되는 기단측 연결면(511, 611); 제1 막대형 부재(52), 제2 막대형 부재(62)에 고정되는 선단측 연결면(512, 612); 기단측 연결면(511, 611)과 선단측 연결면(512, 612)을 연결함과 함께 상측이자 지지부 고정부(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513, 613)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측 연결면(511, 611)에는, 고착 기구(41)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고착 기구 삽입 관통 구멍(514, 614)이 형성되고, 선단측 연결면(512, 612)에는, 제1 막대형 부재(52), 제2 막대형 부재(62)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막대형 부재 삽입 관통 구멍(515, 6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측 연결면(511, 611)과 경사면(513, 613)의 연결변에는, 연결변을 따르는 긴 구멍으로 형성된 조정 구멍(516, 616)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 구멍(516, 616)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변의 강성이 낮아지고, 선단측 연결면(512, 612)을 제1 막대형 부재(52), 제2 막대형 부재(62)에 고정할 때에 경사면(513, 613)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선단측 연결면(512, 612)과 경사면(513, 613)의 연결변에는, 삼각 리브(517, 617)가 형성되어 있고, 강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51)의 기단측 연결면(511)은, 제2 연결 부재(61)의 기단측 연결면(611)보다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연결 부재의 경사면(613)은, 제1 연결 부재(51)의 경사면(513)보다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결 부재(51)와 제2 연결 부재(61)가 겹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는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에 고착 기구(41)에 의해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착시킬 수 있다.
이상의 현수 지지 장치(1)에 의하면, 배관(P)이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에 삽입 관통되고, 또한,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연직 고정부(22)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직 지지부(3)와, 삽입 관통 유지부(2)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 고정부(23)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배관(P)의 축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지지부(5)와, 상측이자 배관(P)의 축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지지부(6)가 지지면(S)의 5개 지점에 고정됨으로써, 배관(P)이 지지면(S)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관(P)은,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면(S)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3)와,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부 고정부(23)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배관(P)의 축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면(S)에 고정되는 제1 경사 지지부(5)와, 상측이자 배관(P)의 축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면(S)에 고정되는 제2 경사 지지부(6)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배관(P)의 축에 교차하는 방향뿐만 아니라, 배관(P)의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연직 지지부(3)는,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직 고정부(22)에 고정되고, 제1 경사 지지부(5) 및 제2 경사 지지부(6)는,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2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설치된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정되기 때문에, 연직 지지부(3), 제1 경사 지지부(5) 및 제2 경사 지지부(6)의 고정 위치가 삽입 관통 지지부 본체(21) 상의 1개 지점에 집중되지 않고,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 시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는, 각각, 지지부 고정부(2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막대형 부재(52), 제2 막대형 부재(62)를 제1 연결 부재(51), 제2 연결 부재(61)에 고정시킬 때에, 제1 연결 부재(51), 제2 연결 부재(61)의 위치나 각도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부착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부재(51)의 기단측 연결면(511)은, 제2 연결 부재(61)의 기단측 연결면(611)보다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연결 부재(61)의 경사면(613)은, 제1 연결 부재(51)의 경사면(513)보다 삽입 관통 유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 부재(51)와 제2 연결 부재(61)를 겹치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연결 부재(51)와 제2 연결 부재(61)를 겹치게 함으로써, 반송 시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가 지지부 고정부(2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제1 경사 지지부(5) 및 제2 경사 지지부(6)가 배관(P)의 축방향 일방측과 타방측에 있어서 지지면(S)에 고정되어 있으면 지지부 고정부(2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또한 제1 연결 부재(51) 및 제2 연결 부재(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현수 지지 장치(1)는, 연직 지지부(3) 및 경사 지지부(4)에 의해 지지면(S)의 5개 지점에 고정되어 있으면 되며, 제1 막대형 부재(52), 제2 막대형 부재(62)는, 제1 연결 부재(51), 제2 연결 부재(61)를 개재시키지 않고 지지부 고정부(23)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제1 연결 부재(51)와 제2 연결 부재(61)는, 기단측 연결면(511, 611)이나 경사면(513, 613)이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동일한 길이 및 형상의 부재를 이용해도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이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해 특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으면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의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없앤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현수 지지 장치 2 : 삽입 관통 유지부
3 : 연직 지지부 4 : 경사 지지부
5 : 제1 경사 지지부 6 : 제2 경사 지지부
21 :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 22 : 연직 고정부
23 : 지지부 고정부 41 : 고착 기구
51 : 제1 연결 부재 52 : 제1 막대형 부재
61 : 제2 연결 부재 62 : 제2 막대형 부재
511, 611 : 기단측 연결면 512, 612 : 선단측 연결면
513, 613 : 경사면 P : 배관
S : 바닥 슬래브(지지면)

Claims (5)

  1. 지지면으로부터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배관의 유지 위치로부터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1개 지점과,
    상기 유지 위치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상기 배관의 축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위치하는 4개 지점
    의 5개 지점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 상기 배관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구조.
  2. 지지면으로부터 배관을 현수하여 지지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로서,
    상기 배관을 삽입 관통시켜 유지하는 삽입 관통 유지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는 연직 지지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측이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지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경사 지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 지지부는, 각각, 상기 배관의 축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 지지부와, 상기 배관의 축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는, 상기 배관이 삽입 관통되는 원환형의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연직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연직 고정부와, 상기 삽입 관통 유지부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설치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경사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경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1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경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지지면에 연장되어 고정되는 제2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부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고착 기구에 의해 해당 지지부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지지부 고정부와 연결되는 기단측 연결면과, 상기 기단측 연결면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이자 상기 지지부 고정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 가장자리에 이어짐과 함께 상기 막대형 부재와 연결되는 선단측 연결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경사면은, 한쪽이 다른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현수 지지 장치.
KR1020160083483A 2016-07-01 2016-07-01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KR20180003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83A KR20180003837A (ko) 2016-07-01 2016-07-01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483A KR20180003837A (ko) 2016-07-01 2016-07-01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37A true KR20180003837A (ko) 2018-01-10

Family

ID=6099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483A KR20180003837A (ko) 2016-07-01 2016-07-01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8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53A (ko) * 2018-03-13 2019-09-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 내진성능 보강 지지대
KR20210087732A (ko)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내진용 레이스웨이 행거장치
KR20210001600U (ko)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53A (ko) * 2018-03-13 2019-09-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 내진성능 보강 지지대
KR20210087732A (ko)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내진용 레이스웨이 행거장치
KR20210001600U (ko)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0721B2 (ja) 吊り下げ支持装置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20180003837A (ko) 현수 지지 구조 및 현수 지지 장치
US5495821A (en) Anti-fouling tethering device for displaying flags
US9107518B2 (en) Apparatus for hanging plants
US9879425B2 (en) Device for supporting acoustical ceilings
KR101931809B1 (ko)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JP2001041353A (ja) 配管の継手構造
JP6415770B1 (ja) 支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4139394A (ja) 支柱用の支線アンカー、及び支柱用の支線アンカーの敷設方法
JP6362848B2 (ja) 落下防止装置
JP3516437B2 (ja) 鳥類忌避装置
JPS62215185A (ja) 壁に管を固着する装置
JP3119181B2 (ja) 吊り金具
JP2004230100A (ja) ベッド用蚊帳のスタンド及びベッド用蚊帳装置
JP3222624U (ja) ハンガーラック
CN217153302U (zh) 一种吊架
KR102020110B1 (ko) 절첩식 낚시대 받침틀
KR101732179B1 (ko) 맨홀 뚜껑 기울임 고정용 거푸집 시스템
JP3212418U (ja) 剛体架線用のトロリ線仮支持ハンガ
JP3539507B2 (ja) スリーブ固定用金具
JPS6125818Y2 (ko)
JP2023067155A (ja) 支持部材
JPS6314142Y2 (ko)
JP2010273402A (ja) 配電函支持具及び配電函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