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731A -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731A
KR20180003731A KR1020160083046A KR20160083046A KR20180003731A KR 20180003731 A KR20180003731 A KR 20180003731A KR 1020160083046 A KR1020160083046 A KR 1020160083046A KR 20160083046 A KR20160083046 A KR 20160083046A KR 20180003731 A KR20180003731 A KR 2018000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opening
optical connector
protrusion
connect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960B1 (ko
Inventor
박찬설
전건익
Original Assignee
일신광통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광통신 (주) filed Critical 일신광통신 (주)
Priority to KR102016008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2Multicore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1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the input or output waveguides, e.g. tapered waveguide ends, coupled together pairs of output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에 페룰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하여 한 쌍의 광커넥터 접속작업 중 또는 접속완료 후 발생되는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광섬유의 접촉을 유지하여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커넥터 구조의 내부 하우징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페룰과의 사이에 페룰이 외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Multi-Opticalfiber connector structure having a mobility of ferrule}
본 발명은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에 페룰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하여 한 쌍의 다심 광커넥터 접속작업 중 또는 접속완료 후 발생되는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광섬유의 접촉 및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까지 광케이블을 연결해 방송, 통신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FTTH(Fiber To The Home)시스템이 제안되어 아파트, 주택 등에 적용 설치되고 있다.
광전송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에 광커넥터를 부착하여 종단시켜야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광커넥터에 광섬유가 조립된 피그테일(Pigtail)을 광케이블에 융착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현장에서 직접 광커넥터를 부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데이터센터와 같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심 광커넥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다심 광커넥터의 일 예로, 도 1의 (a)에서와 같이, 광커넥터(10)는 내부에 페룰(12, ferrule)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내장되고, 상기 페룰(12)에는 다심의 광섬유(11)가 삽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룰(12)의 후방에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단일 페룰(12)을 감싸 고정하면서 보호하고, 광섬유(11)와 페룰(12)을 연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심의 광커넥터(10)는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와 함께 어댑터(20)를 통해 결합되어 연결되고, 한 쌍의 페룰(12)을 통해 대응되는 광섬유(11)를 접속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페룰(12)은, 한 쪽이 가이드 핀(미도시.)을 가지고 다른 한 쪽은 핀 홀(미도시.)을 형성하여 가이드 핀과 핀 홀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 정렬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핀과 핀 홀은 페룰(12)에 결합되는 별도의 핀 클램프(미도시.)를 통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광커넥터를 광커넥터 어댑터(20)의 양측에서 삽입하는 것으로 돌출된 페룰(12)이 후방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광섬유(11)를 접속시켜 양호한 광 특성과 접속 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접속된 한 측의 광커넥터(10) 후단에 연결된 광섬유(11)가 잡아당겨져 측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거나 접속상태의 광커넥터(10) 페룰(12) 사이에 측압이 작용할 경우 상기 페룰(12)의 연결, 즉 접속이 어긋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광커넥터(10)를 어댑터를 통해 결합시킬 때, 인입되는 한 쌍의 광커넥터(10) 각도의 차이에 따라 양측 페룰(12)의 가이드 핀과 핀 홀이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기고, 이의 경우 접속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광커넥터(10)는 하우징(13)에 돌출된 페룰(12)이 연결될 때 상기 페룰(12)의 접합단면에 노출되어 있는 광섬유(11)의 연마된 선단이 서로 정밀하게 소정의 압압력으로 접속되어 광섬유(11)의 직경 μm∼수십μm 정도의 코어간이 광결합되는데, 상기 페룰(1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속 중이나 접속완료 후 상기 페룰(12)에 약간의 변위가 생기면 광섬유(11) 간의 압압력의 편재나 광축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될 수 없으며, 광섬유(11) 코어간의 접속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의 (b)에서와 같이, 하우징(13)과 페룰(12) 사이에 페룰(12)이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도록 일정한 여유공간(14)을 형성하는 기술이 종래에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유공간(14)이 일정한 간극을 가지며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 접촉되는 양 측의 페룰(12) 위치를 파악하면서 광커넥터(10)의 연결 결합을 도모할 경우, 상기 페룰(12)이 흔들려 가이드 핀과 핀 홀의 끼움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364082 "광커넥터"와 같은 또다른 종래기술에서는, 하우징(13)과 페룰(12) 사이에 페룰(12)이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도록 여유공간을 형성하되, 하우징(13)의 개구부가 접속방향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확장된 형상의 간극(14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즉, 페룰(12)이 삽입되는 하우징(13)의 선단부에는 페룰(12)과 A에서와 같이 페룰이 움직일 수 있는 간극을 많이 주고, 페룰(12)이 삽입된 하우징(13) 내부에는 B에서와 같이 간극을 거의 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다시 말해, B 지점을 중심으로 페룰이 A 간극에 의해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광커넥터 구조에 따라, 한 쌍의 광커넥터(10)를 연결할 때 가이드 핀(16)과 핀홀(16a)이 B에 의해 페룰(12)이 많이 움직이지 않아 끼워 맞추기가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페룰(12)의 유동은 A에서 보여지는 간극(14a)을 통해 어느 정도 가능하게 구성하여 접속이 안정되게 하고 접속 후에도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광커넥터 구조는 상기 페룰(12)과 하우징(13)이 형성하는 간극(14a)이 하우징(13)의 개구부 입구 즉, 선단부 측이 넓도록 형성됨에 따라 미세한 외부 이물질이 간극(14a)을 통해 페룰(12)이 삽입된 하우징(13) 내부로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상기 간극(14a)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광섬유의 접속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커넥터(10)의 탈착 결합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우징(13)의 내부에서 페룰(12)의 단부와 하우징(13)의 내부면이 접촉하여 마찰됨으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데, 하우징(13)의 내부에서 파손이 발생해 하우징(13) 외부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어 파손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페룰(12)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15)는 대부분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은 곡선을 가지는 형상으로 외력에 의한 페룰(12)의 유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스프링과 페룰(12)이 접하는 부분(C)이 페룰(12)의 움직임에 의해 미세하게 어긋나 페룰(12)이 탄성부재(15)에 의해 후방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광섬유(11)의 접속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접속손실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페룰(12)이 하우징(13)에 결합될 때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 선단에 페룰(12)의 선단부가 돌출되는데, 광커넥터(10)의 어댑터(20)에 의한 결합시 페룰(12)이 하우징(13)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밀리며 내부 간극에 의해 자유 변위를 가지게 되어 페룰(12)이 하우징(13) 내부에서 위치고정되지 못하고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때 스프링과 페룰(12)이 접하는 부분(C)이 어긋나 광섬유(11)의 접속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광섬유(11) 코어 간의 접속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안정적인 광접속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광커넥터 구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364082 (2002.11.26.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한 쌍의 광커넥터 접속작업 중이나 접속완료 후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페룰이 안정적으로 정위치에서의 접속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커넥터의 내부 하우징 내부에서 접속작업 중이나 접속완료 후 페룰이 유동 되더라도 페룰과 탄성부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는, 후방에 핀 클램프를 구비하고 내부에 광섬유가 삽입된 페룰이 내부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부재를 이용해 페룰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대응되는 광섬유를 접속시킨다.
이때, 내부 하우징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페룰과의 사이에 페룰이 외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페룰은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몸체와, 몸체의 후방에 걸림턱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하우징의 개구부는 몸체가 위치되는 제1 개구부와, 걸림턱이 플랜지턱에 걸려 위치되는 제2 개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한편, 핀 클램프는,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끼움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끼움돌부는 측방향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탄성부재의 선단에 맞물리도록 끼워져 페룰의 유동시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 하우징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핀 클램프는,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측면돌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페룰의 유동에 따라 가이드홈을 타고 이동하여 페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가이드홈은 측면돌부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측면돌부가 끼워져 위치고정되는 선단부턱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의 선단부턱 측의 폭은 후방 측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 페룰이 외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는, 첫째, 페룰이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개구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에 따라 다심 광커넥터의 접속작업시 개구부의 전방에서 페룰이 지지되고 후방에서 페룰이 유동성을 가져 정위치에서 가이드 핀과 핀 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광커넥터를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페룰이 삽입되는 내부 하우징의 개구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에 따라 광커넥터의 접속완료 후 외력에도 페룰이 유동성을 가져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핀 클램프의 끼움돌부와 탄성부재가 맞물려 끼워짐에 따라 페룰이 탄성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접속작업 중이나 접속완료 후 페룰이 유동되더라도 페룰과 탄성부재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핀 클램프의 측면돌부와 내부 하우징의 가이드홈 구조에 따라 페룰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페룰이 상.하로 유동 되더라도 페룰이 안정적인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내부 하우징의 A-A' 와 B-B'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적용되는 페룰과 핀 클램프 및 광섬유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적용되는 핀 클램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따라 페룰의 좌.우 유동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따라 페룰의 상.하 유동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광커넥터의 개구부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고, 후방은 광커넥터의 후방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는, 후방에 핀 클램프(170)가 끼워져 결합되고 내부에 광섬유(140)가 삽입된 페룰(130)이 내부 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페룰(130)의 후방에 탄성부재(180)를 구비하여 이를 이용해 상기 페룰(130)을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는 공지의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해 한 쌍의 광커넥터가 접속될 때 상기 페룰(130)의 전단면에 돌출형성되는 광섬유(140)가 대응되는 광커넥터의 페룰에 구비된 광섬유(140)와 서로 접촉하여 접속한다.
한편, 이러한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의 결합 접속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 하우징(110)의 외면을 따라 탄성 이동되는 외부 하우징(120)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80)의 후단부가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180)의 위치를 지지하는 스토퍼(150)와, 상기 스토퍼(150)를 포함하여 광커넥터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결합지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핀 클램프(170)는 한 쌍의 광커넥터에 있어 한 측의 광커넥터에는 페룰에 가이드 핀(170a)을 형성하게 하고 다른 한 측의 광커넥터에는 페룰에 핀 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핀(170a)과 핀 홀(미도시.)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페룰과 페룰이 접촉하고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각 구성요소는 공지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는, 한 쌍의 광커넥터 접속작업 중 또는 접속완료 후 발생되는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상기 광섬유(140)의 접촉을 유지하거나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110)과 페룰(130) 사이에 여유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페룰(130)이 내부 하우징(110)내에서 유동될 때 접속작업 중이나 접속완료 후의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에 적용되는 내부 하우징(11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후방에 핀 클램프(170)가 끼워져 결합되고 내부에 광섬유(140)가 관통되게 삽입된 페룰(130)이 이동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관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11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111)는 입구 측이 좁고 내부 측이 넓어지는 구조로 상기 페룰(130) 외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여유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부(111)는 후술될 페룰(130)과 핀 클램프(170)의 형상에 따라, 상기 페룰(130)의 몸체(131)가 위치되는 제1 개구부(111a)와, 페룰의 플랜지부(132)가 위치되는 제2 개구부(111b)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구부(111a)와 제2 개구부(111b)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11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개구부(111a)와 제2 개구부(111b)의 전방의 폭(a, a')이 후방의 폭(b, b')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과 후방의 폭 차이의 간극(α)은 페룰(130)과의 사이에 여유공간(S)을 형성하고, 외력 발생시 상기 페룰(130)이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외력 발생시 내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의 전방에서 페룰이 지지되고 후방에서 페룰이 유동성을 가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접속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11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개구부(111a)와 제2 개구부(111b)의 전방의 높이(c, c')이 후방의 높이(d, d')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과 후방의 높이 차이의 간극(β)은 여유공간(S)을 형성하고, 외력에 의해 페룰(130)이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하면, 내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페룰(130)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S)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핀 클램프(170)의 측면돌부(173)가 페룰(130)의 이동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내주면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페룰(130)이 유동될 때 상기 핀 클램프(170)의 측면돌부(173)가 가이드홈(114)에 의해 페룰(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홈(114)은, 상기 측면돌부(173)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측면돌부(173)가 끼워져 위치고정되는 선단부턱(114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4)의 선단부턱(114a) 측의 폭(e)은 가이드홈(114) 후방 측의 폭(f)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선단부턱(114a) 측과 후방 측의 높이 차이의 간극(γ)은 상기 상기 페룰(130)이 다른 광커넥터의 페룰과의 결합을 위해 외력에 의해 뒤로 밀릴 때 유동가능한 여유공간(S1)을 형성한다.
따라서, 탄성부재(180)에 의해 페룰(130)이 가압될 때는 측면돌부(173)가 선단부턱(114a)에 고정되어 상기 페룰(130)이 안정적으로 정위치에 고정 위치될 수 있게 하고, 페룰이 결합을 위해 외력에 의해 뒤로 밀릴 때는 상기 여유공간(S1)에 의해 페룰이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커넥터 구조(100)에 적용되는 페룰(130)과 핀 클램프(17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페룰(130)은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후방에 걸림턱(133)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32)와 몸체(131)의 내부로 광섬유(140)가 관통되게 삽입된다.
또한, 가이드 핀(170a)을 가지거나 핀 홀(미도시.)을 가지는 핀 클램프(170)가 플랜지부(132)의 후방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70a)을 가지는 핀 클램프(170)는 가이드 핀(170a)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공(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핀 클램프(170)는 페룰(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132)와 동일 높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핀 클램프(170)는,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끼움돌부(172)와,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부(173)를 형성한다.
상기 끼움돌부(172)와 측면돌부(173)는 바람직하게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끼움돌부(172)은 측방향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측면돌부(173)는 전방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핀 클램프(170)의 끼움돌부(172)는, 탄성부재(180)의 선단에 맞물리도록 끼워져 상기 페룰(130)의 유동시 탄성부재(180)와 페룰(130)이 서로 이탈되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18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핀 클램프(170)의 측면돌부(173)는, 페룰(130)의 유동에 따라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타고 이동하고, 상기 페룰(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는, 광커넥터의 접속작업 중이나 접속작업 후 외력에 의해 페룰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함으로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 미세먼지의 침투를 방지하고 페룰(130)의 유동시에도 각 구성요소가 이탈되거나 어긋남이 없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기 페룰(130)과 내부 하우징(110) 사이의 간극 즉, 여유공간(S)이 크게 보이도록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페룰(130)과 내부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여유공간은 미세 간극을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10의 (a) 및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심 광커넥터 구조(100)는,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탄성부재(180)에 의해 페룰(130)이 전방으로 가압된다.
이때, 상기 페룰(130)의 후방에 형성된 핀 클램프(170)의 끼움돌부(172)는 탄성부재(180)의 선단에 맞물리도록 끼워져 있고, 측면돌부(173)는 내부 하우징(110)의 가이드홈(114)의 선단부턱(114a)에 걸려 페룰(130)의 정위치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페룰(130)의 플랜지부(132) 걸림턱(133)은 내부 하우징(110)의 플랜지턱(113)에 걸려 위치된다.
한편, 한 쌍의 광커넥터(100)를 접속 결합시키고자 할 때, 가이드 핀(미도시.)와 핀 홀(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페룰(130)과 페룰(130)은 결합되고 광섬유는 접촉하여 접속상태를 만들게 되는데, 도 10의 (b)와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페룰(130)은 접촉 결합되는 다른 광커넥터의 페룰(13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이동된다.
이때, 도 6과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페룰(130)이 다른 한 측의 페룰과의 결합을 위해 후방으로 밀려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동될 때, 상기 페룰(130)과 페룰은 정확하게 평행으로 결합되기는 어려우며 미세하게 좌.우 측으로 흔들리게 된다.
상기 페룰(130)이 위치된 내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바, 상기 페룰(130)이 후방으로 밀려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동될 때, 페룰과의 여유공간(S)에 의해 개구부의 전방에서 페룰이 지지되고 후방에서 페룰이 유동성을 가져 정위치에서 가이드 핀과 핀 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접속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룰(130)이 유동될 때 핀 클램프(170)의 끼움돌부(172)가 끼워져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재(180) 또한 유동되어 상기 페룰(130)과 탄성부재(180)가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7과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페룰(130)이 다른 한 측의 페룰과의 결합을 위해 후방으로 밀려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동될 때, 상기 페룰(130)과 페룰은 미세하게 상.하 측으로도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상.하 측의 움직임에도 상기 페룰(130)이 위치된 내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바, 상기 페룰(130)이 후방으로 밀려 내부 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동될 때, 페룰과의 여유공간(S)에 의해 개구부의 전방에서 페룰이 지지되고 후방에서 페룰이 유동성을 가져 정위치에서 가이드 핀과 핀 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접속 결합할 수 있다.
한편, 핀 클램프(170)의 측면돌부(173)는 내부 하우징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되는데, 페룰이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가이드홈(114)의 선단부턱(114a)에서 이탈되어 가이드홈(114)의 후방으로 밀린다.
이때, 가이드홈(114)의 후방은 선단부턱(114a)의 높이와 간극을 가져 여유공간(S1)을 형성하는 바, 상기 페룰은 유동성을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광커넥터 구조 110 : 내부 하우징
111 : 개구부 113 : 플랜지턱
114 : 가이드홈 114a : 선단부턱
130 : 페룰 131 : 몸체
132 : 플랜지부 133 : 걸림턱
140 : 광섬유 170 : 핀 클램프
170a : 가이드 핀 171 : 끼움공
172 : 끼움돌부 173 : 측면돌부
180 : 탄성부재 S, S1 : 여유공간

Claims (5)

  1. 후방에 핀 클램프(170)를 구비하고 내부에 광섬유(140)가 삽입된 페룰(130)이 내부 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탄성부재(180)를 이용해 상기 페룰(13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대응되는 광섬유(140)를 접속시키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의 개구부(111)를 형성하여, 상기 페룰(130)과의 사이에 페룰(130)이 외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S)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130)은, 상기 개구부(1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후방에 걸림턱(133)을 가지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2)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는, 상기 몸체(131)가 위치되는 제1 개구부(111a)와, 상기 걸림턱(133)이 플랜지턱(113)에 걸려 위치되는 제2 개구부(111b)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111a)와 제2 개구부(111b)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 클램프(170)는,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끼움돌부(17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끼움돌부(172)는 측방향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탄성부재(180)의 선단에 맞물리도록 끼워져 상기 페룰(130)의 유동시 상기 탄성부재(18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10)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핀 클램프(170)는,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측면돌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면돌부(173)는 전방으로 볼록한 반원의 단면 형상으로, 상기 페룰(13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114)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페룰(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14)은, 상기 측면돌부(173)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상기 측면돌부(173)가 끼워져 위치고정되는 선단부턱(114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14)의 선단부턱(114a) 측의 폭(e)은 후방 측의 폭(f)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페룰(130)이 외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여유공간(S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KR1020160083046A 2016-06-30 2016-06-30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KR10188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046A KR101882960B1 (ko) 2016-06-30 2016-06-30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046A KR101882960B1 (ko) 2016-06-30 2016-06-30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731A true KR20180003731A (ko) 2018-01-10
KR101882960B1 KR101882960B1 (ko) 2018-07-30

Family

ID=6099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046A KR101882960B1 (ko) 2016-06-30 2016-06-30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9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074A (ja) * 1998-04-24 1999-11-05 Fujikura Ltd 光コネクタ
KR100364082B1 (ko) 1997-08-18 2002-12-11 니혼덴신뎅와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
KR100669947B1 (ko) * 2006-01-06 2007-01-16 노바옵틱스 (주)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411581B1 (ko) * 2012-05-29 2014-06-25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082B1 (ko) 1997-08-18 2002-12-11 니혼덴신뎅와가부시키가이샤 광커넥터
JPH11305074A (ja) * 1998-04-24 1999-11-05 Fujikura Ltd 光コネクタ
KR100669947B1 (ko) * 2006-01-06 2007-01-16 노바옵틱스 (주)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411581B1 (ko) * 2012-05-29 2014-06-25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섬유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960B1 (ko)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3784B1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および二連式の光コネクタプラグ
JP5400155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TWI618958B (zh) 可改變對接極性之光纖連接器
US20150198773A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errule
US8985876B2 (en) Ferrule holder
US9599776B2 (en) Optical coupling member
JP2018049045A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引抜タブ
US20160320566A1 (en) Connector for collimated optical fiber
US11294125B2 (en) Optical connector
JP2019158957A (ja) Lc型簡易コネクタプラグ及びそのプラグを使用した光コネクタ装置
US10247885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JP6543321B2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2019101233A (ja) 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及び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KR101882960B1 (ko) 페룰의 유동성을 가지는 다심 광커넥터 구조
WO2018179679A1 (ja) 光ファイバ接続用工具及び光ファイバ接続用工具付き光コネクタ
JP2020056911A (ja) 光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1150260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CN113167979B (zh) 防止光纤弯曲的现场组装式光连接器
JP2011095493A (ja) 光コネクタ
JP3652621B2 (ja) 光中継コネクタ装置及び光中継コネクタ
JP2000338362A (ja) 光コネクタおよびキー
JP7069376B2 (ja) フェルール
JP2020012913A (ja) 光コネクタ
JP2005134549A (ja) 光コネクタ
EP2801850A1 (en) Opt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