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32A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32A
KR20180003432A KR1020170075583A KR20170075583A KR20180003432A KR 20180003432 A KR20180003432 A KR 20180003432A KR 1020170075583 A KR1020170075583 A KR 1020170075583A KR 20170075583 A KR20170075583 A KR 20170075583A KR 20180003432 A KR20180003432 A KR 2018000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drain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787B1 (ko
Inventor
유타카 시오노이리
도모아키 아츠미
기요시 가토
다카노리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8000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 G11C11/4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with one charge-transfer gate, e.g. MOS transistor, per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3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 G11C11/40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with charge regeneration common to a multiplicity of memory cells, i.e. external refresh with three charge-transfer gates, e.g. MOS transistors, per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25Geometric lay-out considerations of storage- and peripheral-blocks in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14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internal polarisation, e.g. I2L
    • H01L27/021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internal polarisation, e.g. I2L of field effect structures
    • H01L27/0222Charge pumping, substrate bias gener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0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 H01L27/120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combined with devices in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body, i.e. bulk/SOI 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45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 H01L29/7864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multiple gate arranged on opposing sides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7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3K5/2481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5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es covered by H01L21/8206, H01L21/8213, H01L21/822, H01L21/8252, H01L21/8254 or H01L21/8256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는 높은 정밀도로 음전위를 생성한다. 또는 출력 전압이 큰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2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3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4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단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본 출원의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이하, 본 명세서 등이라고 부름)에 개시(開示)되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도체 장치, 그 동작 방법, 사용 방법, 및 제작 방법 등에 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시한 기술 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지 펌프 회로에 의하여 음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음전압을 높은 정밀도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차지 펌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음전압을 양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양전압과 양의 기준 전압과의 차이를 비교 회로에 의하여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차지 펌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비도통 상태에서 누설 전류가 매우 작은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가 매우 작다는 특성이 응용된 저소비전력의 CPU 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2316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1502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2012-257187호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기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규 반도체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전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음전위를 높은 정밀도로 생성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2개의 음전위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출력 전압이 큰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신뢰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도체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일 전원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 중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들 모든 과제를 해결할 필요는 없다. 복수의 과제의 기재는 서로의 과제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열거한 외의 과제는 본 명세서 등의 기재로부터 저절로 명확해지고, 이들 과제도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단자 내지 제 3 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7 트랜지스터와, 제 1 용량 소자 내지 제 4 용량 소자를 가지고,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2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3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4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저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단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단계에서,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제 1 전위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제 2 전위가 각각 인가되고, 제 2 단계에서, 제 1 단자에는 제 3 전위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제 4 전위가, 제 2 단자에는 제 5 전위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제 6 전위가 각각 인가되고, 제 3 단자에서 제 4 전위와 제 6 전위의 차이에 따른 전위가 출력되고, 제 4 전위 및 제 6 전위는 양전위이고, 제 3 전위 및 제 5 전위는 음전위이고, 제 1 전위는 제 4 전위보다 크고, 제 2 전위는 제 6 전위보다 크고, 제 3 트랜지스터 및 제 4 트랜지스터는 채널 형성 영역에 산화물 반도체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제 8 트랜지스터와 제 9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제 8 트랜지스터와 제 9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제 1 단자 내지 제 3 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9 트랜지스터와, 제 1 용량 소자 내지 제 5 용량 소자를 가지고,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1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2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3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4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저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과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단자는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8 트랜지스터는 프런트 게이트와 백 게이트를 가지고, 제 9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제 1 단자, 제 5 용량 소자의 한쪽 전극, 및 제 8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트랜지스터 내지 제 9 트랜지스터는 채널 형성 영역에 산화물 반도체를 가지고, 제 8 트랜지스터 및 제 9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은 인듐, 원소 M, 및 아연을 가지고, 원소 M은 갈륨, 알루미늄, 실리콘, 이트륨, 붕소,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마그네슘, 바나듐, 및 베릴륨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제 8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이 가지는 인듐, 원소 M, 및 아연의 원자수비는 인듐:원소 M:아연=X7:Y7:Z7로 표현되고, 제 9 트랜지스터의 채널 형성 영역이 가지는 인듐, 원소 M, 및 아연의 원자수비는 인듐:원소 M:아연=X8:Y8:Z8로 표현되고, X7/Y7이 X8/Y8보다 큰 부분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제 10 트랜지스터와 제 11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제 10 트랜지스터와 제 11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다른 한쪽은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기억 장치를 가지고, 제 5 트랜지스터는 기억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규 기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규 전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규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규 반도체 장치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전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높은 정밀도로 음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2개의 음전위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출력 전압이 큰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신뢰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반도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여 단일 전원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시한 모든 효과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복수의 효과의 기재는 다른 효과의 존재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대해 위에 열거한 외의 과제, 효과, 및 신규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기재 및 도면으로부터 저절로 명확해진다.
도 1은 콤퍼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 차트.
도 3은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
도 4는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 차트.
도 6은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설명한 타이밍 차트.
도 7은 콤퍼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8은 콤퍼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9는 콤퍼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10은 반도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11은 전압 생성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2는 기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및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3은 기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및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4는 메모리 셀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5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6은 플립플롭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7은 플립플롭의 동작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8은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및 화소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9는 프로그래머블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전자 부품의 제작 방법예를 나타낸 흐름도,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도와 그 확대도, 칩의 구성예를 나타낸 모식도, 및 전자 부품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 모식도.
도 21은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트랜지스터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4는 트랜지스터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5는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26은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27은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28은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29는 트랜지스터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산화물의 원자수비의 범위를 설명한 도면.
도 31은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형태 중에 복수의 구성예(동작예, 제조 방법예도 포함됨)가 나타내어지는 경우는, 구성예를 서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상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크기, 층의 두께, 및 영역 등은 명료화를 위해 과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반드시 그 스케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이상적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낸 형상 또는 값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노이즈로 인한 신호, 전압, 또는 전류의 편차, 또는 타이밍의 어긋남으로 인한 신호, 전압, 또는 전류의 편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위에' '아래에'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어구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끼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성끼리의 위치 관계는 각 구성을 묘사하는 방향에 따라 적절히 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에서 설명한 어구에 한정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바꿔 쓸 수 있다.
도면에 기재된 블록도의 각 회로 블록의 배치는, 설명을 위해 위치 관계를 특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회로 블록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블록도에서, 상이한 회로 블록으로 다른 기능을 실현하도록 나타내고 있어도, 실제의 회로 블록에서는 같은 회로 블록 내에서 다른 기능을 실현하도록 제공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회로 블록의 기능은 설명을 위해 기능을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나타내고 있어도, 실제의 회로 블록에서는 하나의 회로 블록으로 행하는 처리를 복수의 회로 블록으로 행하도록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OS 트랜지스터'라고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에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Si 트랜지스터'라고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에 결정성을 가지는 실리콘을 사용한 트랜지스터를 '결정성 Si 트랜지스터'라고도 한다. 결정성 Si 트랜지스터는 OS 트랜지스터보다도 비교적 높은 이동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결정성 Si 트랜지스터는 OS 트랜지스터와 같이, 매우 적은 오프 전류의 실현이 어렵다. 따라서, 반도체층에 사용하는 반도체 재료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OS 트랜지스터와 결정성 Si 트랜지스터 등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평행'이란, 2개의 직선이 -10° 이상 1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5° 이상 5° 이하의 경우도 그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2개의 직선이 -30° 이상 3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수직'이란, 2개의 직선이 80° 이상 10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85° 이상 95° 이하의 경우도 그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수직'이란, 2개의 직선이 60° 이상 120° 이하의 각도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 등에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한 장치이며, 반도체 소자(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를 포함한 회로 및 이 회로를 가지는 장치 등을 말한다. 또한,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장치 전반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 집적 회로를 가진 칩은 반도체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기억 장치, 표시 장치, 발광 장치, 조명 장치, 및 전자 기기 등은 그 자체가 반도체 장치인 경우가 있고, 또는 반도체 장치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접지 전위를 0V로 하고, 양전위 및 음전위란 접지 전위를 0V 기준으로 한 전위이다.
본 명세서 등에서 X와 Y가 접속되어 있다고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X와 Y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기능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와, X와 Y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본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소정의 접속관계, 예를 들어 도면 또는 문장에 기재된 접속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 또는 문장에 기재된 접속 관계 외의 것도 도면 또는 문장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X, Y는 대상물(예를 들어 장치, 소자, 회로, 배선, 전극, 단자, 도전막, 층 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X와 Y가 사이에 용량 소자를 두고 접속하는 경우, 즉 X가 용량 소자의 한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Y가 용량 소자의 다른 한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X와 Y는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이라고 불리는 3개의 단자를 가진다. 게이트는 트랜지스터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노드로서 기능하는 노드이다. 소스 또는 드레인으로서 기능하는 2개의 입출력 노드는, 트랜지스터의 형태 및 각 단자에 인가되는 전위의 고저(高低)에 따라 한쪽이 소스가 되고, 다른 한쪽이 드레인이 된다. 이로써, 본 명세서 등에서는 소스나 드레인의 어구는 바꿔 쓸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는 게이트 외의 2개의 단자를 제 1 단자, 제 2 단자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노드는 회로 구성이나 디바이스 구조 등에 따라 단자, 배선, 도전층, 도전체, 불순물 영역 등으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단자, 배선 등을 노드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전압은 어떤 전위와 기준의 전위(예를 들어 접지 전위 또는 소스 전위)의 전위차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압을 전위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 '막'이라는 어구와 '층'이라는 어구는 경우 또는 상황에 따라 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이라는 어구를 '도전막'이라는 어구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이라는 어구를 '절연층'이라는 어구로 변경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 등에서, '제 1', '제 2', '제 3'이라는 서수사는 구성 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붙이는 것이며, 이 경우는 수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순서를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음전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전위 전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음전위의 콤퍼레이터(비교 회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콤퍼레이터(40)가 단자(IN) 및 단자(INB)에 인가되는 전위를 비교하는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가 온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며 트랜지스터(5)에 전류가 흐를 필요가 있다. 단자(IN) 및 단자(INB)에 인가되는 전위가 음전위인 경우를 생각한다.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에 전류를 흘리기 위해서는 단자(IN) 및 단자(INB)보다 낮은 전위, 즉 음전위를 단자(Low)에 인가할 필요가 있다. 콤퍼레이터(40)가 높은 정밀도의 비교를 행하기 위해서는 전원 등을 사용하여 높은 정밀도로 전위(VA)를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음전위 전원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콤퍼레이터는 전위(VA)에 접지 전위(이하 GND라고 함)를 사용함으로써 전위를 높은 정밀도로 비교할 수 있다. 음전위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지 전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 안정적인 전원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콤퍼레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콤퍼레이터로서 전압 비교 회로와 전류 비교 회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압의 노이즈가 회로에 인가되는 경우에, 전류 비교 회로에서는 전압 비교 회로와 비교하여 고전압 노이즈의 영향이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콤퍼레이터의 예 1>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콤퍼레이터는 입력되는 2개의 전위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콤퍼레이터에서, 입력되는 2개의 전위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음전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콤퍼레이터에서는, 비교하는 음전위를 양전위로 변환함으로써 음전위용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전위를 비교할 수 있다. 음전위를 양전위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용량 소자를 통하여 전위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콤퍼레이터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는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INP) 및 단자(INN), 단자(OUT1), 단자(High), 단자(Low), 단자(BIAS),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INI1), 노드(ND1) 내지 노드(ND3), 트랜지스터(1) 내지 트랜지스터(5), 트랜지스터(7), 트랜지스터(8), 용량 소자(62) 내지 용량 소자(65)를 가진다. 단자(OUT1)는 출력 단자로서 기능한다.
노드(ND1)에 인가되는 전위와 노드(ND2)에 인가되는 전위의 비교 결과에 따른 전위가 노드(ND3)로부터 출력된다.
노드(ND1)는 용량 소자(62)를 통하여 단자(INP)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노드(ND2)는 용량 소자(65)를 통하여 단자(INN)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ND3)는 단자(OUT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단자(INP) 및 단자(INN)에 인가된 음전위를 용량 소자를 통하여 양전위로 변환한다. 변환된 양전위가 노드(ND1) 및 노드(ND2)에 인가된다. 따라서 음전위 전원은 불필요해진다.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는 차동 쌍이다.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위의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가 출력된다. 트랜지스터(1) 및 트랜지스터(2)는 커런트 미러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3)는 트랜지스터(1)에, 트랜지스터(4)는 트랜지스터(2)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소스는 정전류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정전류원으로서 트랜지스터(5)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트랜지스터(5)의 드레인에는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소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의 게이트에는 단자(BIAS)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에는 GND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에 인가된 전위에 따라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으로부터 전위가 출력된다.
노드(ND1)의 전위는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에, 노드(ND2)의 전위는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에 각각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은 노드(ND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ND3)는 단자(OUT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62)를 통하여 노드(ND1)와 단자(INP)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65)를 통하여 노드(ND2)와 단자(INN)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서는 트랜지스터(1) 및 트랜지스터(2)로서 p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로서 n채널형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1)의 게이트, 트랜지스터(2)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1)의 드레인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 및 트랜지스터(2)의 소스에는 Vdd가 인가된다. 트랜지스터(1)의 드레인은 트랜지스터(3)의 드레인에, 트랜지스터(2)의 드레인은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ND1)는 트랜지스터(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서 노드(ND1)는, 용량 소자(6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7)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7)의 게이트에는 단자(INI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INI1)에는 예를 들어 Vdd가 인가된다. 또한 노드(ND1)는 용량 소자(6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7)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8)의 게이트에는 단자(INI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노드(ND2)는 용량 소자(6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8)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콤퍼레이터의 동작예>
다음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콤퍼레이터의 동작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의 동작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시각(t12)에서 노드(ND1) 및 노드(ND2)의 전위를 양전위인 V1까지 올려둔다(단계 S12). 이때 단자(INP) 및 단자(INN)의 전위에 기준 전위로서, 예를 들어 V0(예를 들어 0V)을 인가한다. 또한 단계 S12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나타낸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문턱값 중 더 큰 값을 Vt로 한다. 콤퍼레이터(20)에서는 (V0-V1+Vt)보다 큰 음전위의 입력에 대해서도 동작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시각(t21)에서 단자(INP) 및 단자(INN)에 신호, 여기서는 음전위를 입력한다(단계 S21). 단자(INP)의 전위를 Vp, 단자(INN)의 전위를 Vn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서는 Vn 및 Vp는 시각(t21)보다 GND에서 전위가 저하된다. 여기서 도 2의 예에서 GND는 0V이다. 시각(t21)에서 시각(t22)에서는 Vn은 Vp보다 높고, 시각(t22) 이후는 낮아진다. 또한 노드(ND1)의 전위가 Vp의 추이(推移)에, 노드(ND2)의 전위가 Vn의 추이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 확인된다.
단자(INP)에 인가되는 전위가 낮아지면 노드(ND1)의 전위도 낮아진다. 노드(ND1)에는 양의 전위가 미리 인가되기 때문에, 단자(INP)에 음의 전위가 인가되어도 노드(ND1)의 전위가 음의 전위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드(ND1)의 전위의 변화량은, Vp의 변화량과 노드(ND1)에 접속되는 용량 성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용량 소자(62), 용량 소자(63),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 용량, 및 노드(ND1)에 접속되는 그 외의 용량 성분(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포함함)을 합친 용량 결합으로 결정된다.
노드(ND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단자(INN)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가 낮아지면 노드(ND2)의 전위도 낮아지고, 그 변화량은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용량 소자(64), 용량 소자(65), 및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 용량 각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에 인가된 전위에 따라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으로부터 High(고전위 전원이라고도 함; 전위가 VH) 또는 Low(저전위 전원이라고도 함; 전위가 VL)의 신호가 단자(OUT1)로 출력된다. 단자(OUT1)의 전압을 Vo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서 Vo는 시각(t21)에서 서서히 전위가 낮아지고 Vo는 Low, 여기서는 GND에 달한다. 시각(t22)에서 Vn이 Vp보다 낮아지면 Vo는 High, 여기서는 약 Vdd에 달한다.
이하에 단계 S12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에 단계 S12에 대한 상세한 사항을 설명한다.
시각(t0)에서 단자(INI1)에는 Low 신호(예를 들어 GND)가 인가된다. 트랜지스터(7)의 드레인에는 Vdd가 인가된다.
단계 S12에 의하여, 시각(t12)에서 단자(INI1)에 High 신호, 예를 들어 Vdd가 인가되고, 트랜지스터(7)의 게이트에는 Vdd가 인가되고, 드레인에는 Vdd가 인가된다.
트랜지스터(7)의 게이트에 Vdd가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7)가 온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7)에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7)의 소스 전위는 상승하고, 트랜지스터(7)의 소스는 Vdd에서 트랜지스터(7)의 문턱값만큼 감소된 전위(이하 Vdd-Vt7이라고 함)에 달한다.
트랜지스터(7)의 소스가 Vdd-Vt7보다 커지면 트랜지스터(7)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은 Vt7 미만이 되어 트랜지스터(7)의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트랜지스터(7)가 OS-FET이며,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에는 매우 낮은 전류밖에 흐르지 않는다. OS-FET인 경우에는, Si-FET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기판 누설 전류나 pn접합 누설 전류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드(ND1)에서의 전하의 누설을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위를 얻을 수 있다.
노드(ND1)의 전위는 트랜지스터(7)의 소스의 전위가 상승됨에 따라 상승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용량 소자(62), 용량 소자(63),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 용량이 주된 용량 성분이 된다. 트랜지스터(7)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용량 소자(62) 및 용량 소자(63)의 용량을 각각 C2 및 C3으로 하고,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 용량을 Ct3으로 하고 Vp의 변화량을 ΔVp로 하면, 노드(ND1)의 전위의 변화량 ΔV는 수학식(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V1+ΔV>0이 되도록 V1을 선택함으로써 노드(ND1)를 양의 전위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7)를 트랜지스터(8)에, 용량 소자(63)를 용량 소자(64)에 각각 치환함으로써 노드(ND2)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으로 전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노드(ND1)의 전위 및 노드(ND2)의 전위는 시각(t12)에서 -3V로부터 약 1.2V 상승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7)와 트랜지스터(8)에 OS-FET를 사용하면 용량 소자(63)와 용량 소자(64)의 누설 전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 전위(즉 노드(ND1)와 노드(ND2)의 전위)가 안정적이다. 콤퍼레이터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콤퍼레이터의 예 2>
도 7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는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에 더하여 트랜지스터(10), 트랜지스터(11), 및 단자(INI2)를 가진다. 노드(ND1)는 트랜지스터(10)의 드레인에, 노드(ND2)는 트랜지스터(11)의 드레인에, 트랜지스터(5)의 드레인은 트랜지스터(10) 및 트랜지스터(11)의 소스에, 단자(INI2)는 트랜지스터(10) 및 트랜지스터(11)의 게이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의 (B)는 도 7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에서는 단계 S12를 행하기 전에 단계 S10을 행한다. 단계 S10에 의하여 시각(t10)에서, 단자(INI2)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0) 및 트랜지스터(11)를 온 상태로 한다. 또한 단자(BIAS)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5)를 온 상태로 한다. 트랜지스터(10), 트랜지스터(11), 및 트랜지스터(5)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노드(ND1) 및 노드(ND2)에 GND가 인가된다. 노드(ND1) 및 노드(ND2)에, 기준이 되는 전위를 인가하는 동작을 '리셋'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노드(ND1) 및 노드(ND2)의 전위의 리셋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전위가 불확정, 즉 부유 상태이다. 단계 S21에서, 입력되는 전위에 부유 전위가 가산되므로 노드(ND1) 및 노드(ND2)에 인가되는 전위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 7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단계 S12를 행하기 전에 단계 S10에 의하여 노드(ND1) 및 노드(ND2)의 전위의 리셋을 행할 수 있다. 노드(ND1) 및 노드(ND2)에 인가되는 전위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콤퍼레이터의 예 3>
도 8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는 트랜지스터(1)와 트랜지스터(3) 사이에 트랜지스터(14)를 가진다는 점, 트랜지스터(2) 및 트랜지스터(4) 사이에 트랜지스터(15)를 가진다는 점, 단자(INI3) 및 단자(INI4)를 가진다는 점, 노드(ND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12) 및 용량 소자(67)를 가진다는 점, 및 노드(ND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랜지스터(13) 및 용량 소자(68)를 가진다는 점이 도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와 상이하다.
트랜지스터(3)는 트랜지스터(14)에, 트랜지스터(14)는 트랜지스터(1)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4)는 트랜지스터(15)에, 트랜지스터(15)는 트랜지스터(2)에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소스는 정전류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7, 및 도 8에는 정전류원으로서 트랜지스터(5)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트랜지스터(5)의 드레인에는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소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의 게이트에는 단자(BIAS)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에는 GND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INI3)에는 트랜지스터(14) 및 트랜지스터(15)의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INI4)에는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의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는 OS-FET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는 각각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문턱값 보정을 행하는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는 각각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문턱 전압을 각각 노드(ND1) 및 노드(ND2)에 기억한다.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를 OS-FET로 함으로써 노드(ND1) 및 노드(ND2)에 기억된 전위에 상당하는 전하가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콤퍼레이터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트랜지스터(1)의 드레인은 트랜지스터(14)의 드레인에, 트랜지스터(2)의 드레인은 트랜지스터(15)의 드레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14)의 소스는 트랜지스터(3)의 드레인에, 트랜지스터(15)의 소스는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5), 트랜지스터(7), 트랜지스터(8), 용량 소자(62), 용량 소자(63), 용량 소자(64), 및 용량 소자(65)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의 (C)는 도 8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콤퍼레이터(20)에서는 단계 S12를 행하기 전에 단계 S11을 행한다. 단계 S11에 의하여 시각(t12)에서 단자(INI3)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4) 및 트랜지스터(15)를 온 상태로 한다. 또한 단자(INI4)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를 온 상태로 한다. 또한 단자(BIAS)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5)를 온 상태로 한다. 트랜지스터(3)는 게이트와 소스 간의 전압이 문턱값이 되었을 때에 오프 상태가 된다. 즉, 트랜지스터(3)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압도 문턱 전압이 된다. 트랜지스터(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게이트-소스 간에 문턱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에 문턱 전압에 상당하는 전하가 축적된다(문턱값의 기억, 문턱값의 보정). 마찬가지로 하여,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에도 문턱 전압에 상당하는 전하가 축적된다(문턱값의 기억, 문턱값의 보정).
다음에, 단자(INI3)에 Low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4) 및 트랜지스터(15)를 오프 상태로 한다. 또한 단자(INI4)에 Low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12) 및 트랜지스터(13)를 오프 상태로 한다. 또한 단자(BIAS)에 High 신호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5)를 오프 상태로 한다.
단계 S11에 의하여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에 문턱 전압을 미리 인가해 둠으로써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콤퍼레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문턱값이 상이한 경우,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에 대한 전류값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문턱값이 큰 경우에는 같은 전류값을 흘리기 위해 더 큰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콤퍼레이터는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자(OUT1)로부터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문턱값이 상이하면, 비교 결과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노드(ND1) 및 노드(ND2)에 정해진 전위를 인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위가 불확정, 즉 부유 상태이다. 단계 S21에서 입력되는 전위에 부유 전위가 가산되기 때문에 노드(ND1) 및 노드(ND2)에 인가되는 전위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트랜지스터(3) 및 트랜지스터(4)의 게이트-소스 간에 각각의 문턱값을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3)와 트랜지스터(4)의 문턱값의 편차로 인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콤퍼레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시뮬레이션예>
도 4 내지 도 6의 타이밍 차트에는 도 1에 나타낸 회로도를 참조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산출한 각 단자의 전위를 나타내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전압은 GND를 기준으로 한 전압이다. 도 4에는 단자(INP) 및 단자(INN)의 전위를, 도 5에는 노드(ND1), 노드(ND2), 트랜지스터(7)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8)의 소스의 전위를, 도 6에는 단자(OUT1) 및 트랜지스터(1)의 소스 전위를 각각 나타내었다. 트랜지스터(1) 내지 트랜지스터(4)는 채널 길이를 0.5μm, 채널 폭을 2.61μm로 하고, 트랜지스터(5)는 채널 길이를 0.5μm, 채널 폭을 0.87μm로 하고, 트랜지스터(7) 및 트랜지스터(8)는 채널 길이를 0.5μm, 채널 폭을 60.9μm로 하고, 용량 소자(62) 및 용량 소자(65)의 용량은 50fF, 용량 소자(63) 및 용량 소자(64)의 용량은 500fF로 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실바코(Silvaco)사 제조, 회로 시뮬레이터 SmartSpice MultiCore Version 4.18.16.R을 사용하였다. Level을 54로 하고, Vth0을 0.531V로 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콤퍼레이터의 상정한 동작이 확인되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전위가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3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반도체 장치의 일례>
반도체 장치(300)는 상기 반도체 소자에 인가되는 음전위를 제 1 기준 전위와 비교하는 콤퍼레이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콤퍼레이터로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콤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는 전압 유지부, 전압 생성부, 제어부 등을 가짐으로써 상기 반도체 소자에 인가되는 음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는 음전위가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의 일례로서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문턱값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채널형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음전위를 인가함으로써 문턱값을 플러스 시프트시킬 수 있다. 트랜지스터로서 OS-FET를 사용한 경우에, 문턱값을 플러스 시프트시킴으로써 매우 낮은 컷 오프 전류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컷 오프 전류란,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이 0V일 때에 흐르는 전류이다.
컷 오프 전류가 낮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하 유지 성능이 향상되어 반도체 장치가 가지는 회로의 리프레시 동작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매우 낮은 반도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일례로서 나타낸 반도체 장치(300)는 콤퍼레이터(51)를 가진다. 콤퍼레이터(51)는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CI)와 단자(REF)와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CO)를 가진다. 콤퍼레이터(51)로서 실시형태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CI), 단자(REF), 및 단자(CO)로서 실시형태 1에 나타낸 단자(INP), 단자(INN), 및 단자(OUT1)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장치(300)는, 반도체 소자에 인가되는 음전위를 유지하기 위해 전압 유지부(4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유지부(43)는 예를 들어 용량 소자(CA2)와 트랜지스터(FE2)와 입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IN)와 출력 단자로서 기능하는 단자(BG)를 가진다. 트랜지스터(FE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단자(IN)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쪽은 용량 소자(CA2)의 한쪽 전극과 콤퍼레이터(51)의 단자(CI)와 단자(B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CA2)의 다른 한쪽 전극에는 예를 들어 GND가 인가된다. 트랜지스터(FE2)의 게이트는 단자(B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용량 소자(CA2)의 전하의 유지 능력을 높이기 위해 트랜지스터(FE2)로서 OS-FET를 사용한다. 또한 트랜지스터(FE2)에서는 백 게이트에 음 전위를 인가하지 않아도 낮은 컷 오프 전류가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랜지스터(FE2)의 문턱값은 0.5V 이상 6V 이하, 또는 1V 이상 4V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MW)의 문턱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랜지스터(FE2)로서 후술하는 트랜지스터(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MW)로서 후술하는 트랜지스터(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7) 및 트랜지스터(8)로서 후술하는 트랜지스터(100) 또는 트랜지스터(200)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자(BG)로부터는 예를 들어 음전위(이하, Vbg이라고 함)가 출력된다.
도 10의 (B)는 Vbg가 인가되는 반도체 소자를 가지는 회로의 일례로서 셀 어레이(44)를 나타내었다. 셀 어레이(44)는 복수의 트랜지스터(MW)를 가지고, 트랜지스터(MW)는 프런트 게이트 및 백 게이트를 가지고, 복수의 트랜지스터(MW) 각각의 프런트 게이트는 배선(WL)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트랜지스터(MW) 각각의 백 게이트에는 전압 유지부(43)로부터 Vnb가 인가된다. 각각의 트랜지스터(MW)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는 용량 소자(CS)의 한쪽 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용량 소자(CS)의 다른 한쪽 전극에는 GND가 인가된다.
또한 도 10의 (B)에서 반도체 장치(300)는 전압 생성부(42)를 가지고, 전압 생성부(42)는 차지 펌프(80a), 차지 펌프(80b), 및 제어 회로(42a)를 가진다. 단자(IN)에는 차지 펌프(80a)로부터 전위가 인가되고, 단자(REF)에는 차지 펌프(80b)로부터 전위가 인가된다. 콤퍼레이터(51)의 단자(CO)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버퍼에 의하여 증폭된 후에 제어 회로(42a)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42a)는 단자(CO)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차지 펌프(80a)를 제어한다.
또한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FE2)는 백 게이트를 가져도 좋다. 도 10의 (B)에서는 트랜지스터(FE2)의 백 게이트는 톱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압 생성부(42)는 차지 펌프 회로 등을 가진다. 이하에 전압 생성부(42)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에 나타낸 음전위 생성 회로(150)는 차지 펌프(160), 클록 버퍼 회로(170)를 가진다. 음전위 생성 회로(150)는 전압 생성부(42)에, 차지 펌프(160)는 차지 펌프(80a)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클록 버퍼 회로)
클록 버퍼 회로(170)는 인버터(70) 내지 인버터(75), 단자(a1) 내지 단자(a3)를 가진다. 클록 버퍼 회로(170)는 신호(CLK_cp)로부터 신호(CK1_cp), 신호(CKB1_cp)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단자(a1)는 신호(CLK_cp)의 입력 단자이고, 단자(a2), 단자(a3)는 신호(CK1_cp), 신호(CKB1_cp)의 출력 단자이다. 신호(CLK_cp)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클록 신호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기준 클록 신호를 분주하여 신호(CLK_cp)를 생성한다. 신호(CK1_cp)와 신호(CKB1_cp)는 상보 관계인 클록 신호이다.
레벨 시프터(LS)를 클록 버퍼 회로에 제공하여도 좋다. 그런 구성예를 도 11의 (B)에 나타내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클록 버퍼 회로(171)는 LS(172), 인버터(76) 내지 인버터(79)를 가진다. LS(172)는 신호(CLK_cp)를 레벨 시프터하여 신호(CK1_LS), 신호(CKB1_LS)를 생성한다. 인버터(77)로부터 신호(CK1_cp)가 출력되고 인버터(79)로부터 신호(CKB1_cp)가 출력된다.
여기서는 클록 버퍼 회로(170)에 6개의 인버터를 제공하지만 인버터의 개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록 버퍼 회로(170)는 적어도 인버터(70), 인버터(71)를 가지면 좋다. 클록 버퍼 회로(170)에는 신호(CLK_cp)의 지연 회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연 시간에 따라 인버터의 개수를 정하면 좋다. 예를 들어 클록 버퍼 회로(17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차지 펌프)
차지 펌프(160)는 강압형 차지 펌프이며, 전위(GND)를 강압하여 전위(Vcp1)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입력 전위는 전위(GND)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지 펌프(160)는 트랜지스터(MN61) 내지 트랜지스터(MN65), 용량 소자(C61) 내지 용량 소자(C65)를 가진다. 차지 펌프(160)의 단수는 5단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MN61) 내지 트랜지스터(MN65)는 다이오드 접속된 n채널형 트랜지스터 Si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N61) 내지 트랜지스터(MN65) 대신에 다이오드 접속된 p채널형 Si 트랜지스터를 제공하여도 좋고, 다이오드 접속된 OS 트랜지스터를 제공하여도 좋다. OS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경우,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를 제공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에 나타낸 반도체 장치(300)의 더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낸다.
<기억 장치 1>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셀 어레이(44)가 도 12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10)가 가지는 셀 어레이(203)에 대응하는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10)는 셀 어레이(203)를 가진다. 셀 어레이(203)는 메모리 셀(209)을 가진다.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셀 어레이(44)를 도 12의 (A)에 나타낸 셀 어레이(203)에 적용할 수 있다.
셀 어레이(203)는 복수의 메모리 셀(209)을 가진다. 도 12의 (B)는 메모리 셀(209)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10)는 전위 생성부(201), 제어부(202), 셀 어레이(203), 주변 회로(208)를 가진다. 주변 회로(208)는 감지 증폭 회로(204), 드라이버(205), 메인 증폭기(206), 입출력 회로(207)를 가진다.
셀 어레이(203)는 복수의 메모리 셀(209)을 가진다. 메모리 셀(209)은 배선(WL), 배선(LBL)(또는 배선(LBLB)),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WL)은 워드선이고, 배선(LBL), 배선(LBLB)은 로컬 비트선이다.
도 12의 (B)에는 메모리 셀(209)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메모리 셀(209)은 트랜지스터(MW1), 용량 소자(CS1)를 가진다. 메모리 셀(209)은 DRAM의 메모리 셀과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는 트랜지스터(MW1)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W1)의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W1)가 OS 트랜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셀(209)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동안 전력을 소비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저소비전력의 메모리 셀이다. 후술하는 트랜지스터(100) 또는 트랜지스터(200)를 트랜지스터(MW1)로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트랜지스터(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W3), 트랜지스터(MW5), 트랜지스터(MW6)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드라이버(205)에는 복수의 배선(WL, CSEL)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드라이버(205)는 복수의 배선(WL, CSEL)에 출력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셀 어레이(203)는 감지 증폭 회로(204)에 적층하여 제공된다. 감지 증폭 회로(204)는 복수의 감지 증폭기(SA)를 가진다. 감지 증폭기(SA)는 인접하는 배선(LBL), 배선(LBLB)(한 쌍의 로컬 비트선대), 배선(GBL), 배선(GBLB)(한 쌍의 글러벌 비트선대), 복수의 배선(CSE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감지 증폭기(SA)는 배선(LBL)과 배선(LBLB)의 전위차를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다.
감지 증폭 회로(204)에는 4개의 배선(LBL)에 대해 하나의 배선(GBL)이 제공되고, 4개의 배선(LBLB)에 대해 하나의 배선(GBLB)이 제공되지만, 감지 증폭 회로(204)의 구성은 도 12의 (A)에 나타낸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증폭기(206)는 감지 증폭 회로(204) 및 입출력 회로(207)에 접속된다. 메인 증폭기(206)는 배선(GBL)의 전압을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다. 메인 증폭기(206)는 생략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207)는 기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위를 배선(GBL)에 입력하는 기능, 배선(GBL)의 전위 또는 메인 증폭기(206)의 출력 전위를 판독 데이터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배선(CSEL)의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판독하는 감지 증폭기(SA) 및 데이터를 기록하는 감지 증폭기(SA)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입출력 회로(207)는 멀티플렉서 등의 선택 회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점유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기억 장치(210)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는 드라이버(205), 메인 증폭기(206), 및 입출력 회로(207)를 제어한다.
기억 장치(210)에는 전원 전위로서 전위(Vdd), 전위(GND)가 입력된다. 전위(Vdd), 전위(GND) 외의 전위는 전위 생성부(201)에서 생성된다. 전위 생성부(201)에서 생성된 전위는 기억 장치(210)의 각 내부 회로에 입력된다. 전위(Vdd)는 OS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MW1))의 구동 전위에 사용된다. OS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위를 전위 생성부(201)에서 생성하여도 좋다.
전위 생성부(201)는 전위(Vbg_w1)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위(Vbg_w1)는 배선(BGL)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전위(Vbg_w1)를 음전위로 하여 트랜지스터(MW1)의 Vt를 양전위 측에 시프트시킴으로써 메모리 셀(209)의 전하 유지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전위 생성부(201)로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를 적용할 수 있다. 전압 유지부(43)는 음전위 또는/및 양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유지부(43)로부터 전위(Vbg_w2)가 인가되고, 셀 어레이(223)가 가지는 트랜지스터(MW2)의 백 게이트에 공급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생성부(42)는 전위 생성부(201)에 포함되어도 좋고 다른 회로 영역, 예를 들어 제어부(202) 등에 포함되어도 좋다.
전위 생성부(201)를 제공함으로써 기억 장치(210)의 단일 전원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장치(210)의 각 회로는 하나의 IC 칩에 집적할 수 있다.
<기억 장치 2>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셀 어레이(44)가 도 13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20)의 셀 어레이(223)에 대응하는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20)는 셀 어레이(223)를 가진다. 셀 어레이(223)는 메모리 셀(227)을 가진다.
셀 어레이(223)는 복수의 메모리 셀(227)을 가진다. 도 13의 (B)는 메모리 셀(227)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낸 기억 장치(220)는 전위 생성부(221), 제어부(222), 셀 어레이(223), 주변 회로(224)를 가진다. 주변 회로(224)는 입력 회로(225), 출력 회로(226), 프리디코더(predecoder)(230), 행 디코더(231), 열 디코더(232), 행 드라이버(234), 열 드라이버(235)를 가진다.
기억 장치(220)에서 각 회로, 각 신호, 및 각 전압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제공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회로 또는 다른 신호를 추가하여도 좋다. 또한 기억 장치(220)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의 구조(예를 들어 비트 길이)는 기억 장치(220)에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의 아키텍처(architecture), 기억 장치(220)의 동작 모드, 및 셀 어레이(223)의 구성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신호(CLK), 신호(CE), 신호(GW), 신호(BW), 신호(ADDR), 신호(WDA)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이고, 신호(RDA)는 외부로의 출력 신호이다. 신호(CLK)는 클록 신호이다. 신호(CE), 신호(GW), 및 신호(BW)는 제어 신호이다. 신호(CE)는 칩 인에이블 신호이고, 신호(GW)는 글러벌 기록 인에이블 신호이고, 신호(BW)는 바이트 기록 인에이블 신호이다. 신호(ADDR)는 어드레스 신호이다. 신호(WDA)는 기록 데이터 신호이고, 신호(RDA)는 판독 데이터 신호이다.
제어부(222)는 기억 장치(22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로직 회로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222)는 신호(CE), 신호(GW), 및 신호(BW)를 논리 연산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제어부(222)는 이 동작 모드가 실행되도록 주변 회로(224)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22)는 신호(CLK)로부터 내부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등의 기능을 가져도 좋다.
셀 어레이(223)는 복수의 메모리 셀(227) 및 복수의 배선(WWL), 배선(RWL), 배선(WBL), 배선(RBL), 배선(SL), 및 배선(BGL)을 가진다. 복수의 메모리 셀(227)은 행렬 형태로 배치된다. 같은 행의 메모리 셀(227)은 그 행의 배선(WWL), 배선(RWL),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같은 열의 메모리 셀은 그 열의 배선(WBL), 배선(RBL), 및 배선(S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WWL)은 기록 워드선이고, 배선(RWL)은 판독 워드선이고, 배선(WBL)은 기록 비트선이고, 배선(RBL)은 판독 비트선이고, 배선(SL)은 소스선이다.
도 13의 (B)에 셀 어레이(223)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메모리 셀(227)은 2 트랜지스터형의 게인 셀이다. 메모리 셀(227)은 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R2), 용량 소자(CS2)를 가진다. 트랜지스터(MW2)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고,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BGL)에는 전위(Vbg_w2)가 입력된다. 전위(Vbg_w2)는 전위 생성부(221)에서 생성되는 전위다.
전위 생성부(221)로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를 적용할 수 있다. 전압 유지부(43)는 음전위 또는/및 양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유지부(43)로부터 전위(Vbg_w2)가 인가되고, 셀 어레이(223)가 가지는 트랜지스터(MW2)의 백 게이트에 공급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생성부(42)는 전위 생성부(221)에 포함되어도 좋고 다른 회로 영역, 예를 들어 제어부(222) 등에 포함되어도 좋다.
트랜지스터(MW2)가 OS 트랜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셀(227)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동안 전력을 소비하지 않으며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저소비전력의 메모리 셀이다. 따라서 기억 장치(220)를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W2), 용량 소자(CS2)는 트랜지스터(MR2)에 적층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셀 어레이(223)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주변 회로(224)는 셀 어레이(223)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회로이다. 예를 들어 주변 회로(224)는 배선(WWL), 배선(RWL), 배선(WBL), 배선(RBL), 및 배선(SL)을 구동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리디코더(230), 행 디코더(231), 및 열 디코더(232)는 신호(ADDR)를 디코더하는 기능을 가진다. 프리디코더(230)는 셀 어레이(223)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 등에 제공하면 좋다. 이 경우, 프리디코더(230)는 접속하는 블록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행 디코더(231)는 접속하는 행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열 디코더(232)는 접속하는 열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열 드라이버(235)는 데이터를 셀 어레이(223)에 기록하는 기능, 셀 어레이(22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 판독한 데이터를 증폭하는 기능, 판독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열 드라이버(235)의 더 구체적인 기능에는 예를 들어, 배선(WBL), 배선(RBL), 및 배선(SL)의 전압을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
행 드라이버(234)는 행 디코더(231)가 지정하는 행의 배선(WWL) 및 배선(RWL)을 액티브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배선(WWL)을 액티브로 함으로써 해당하는 행의 메모리 셀(227)이 선택되고, 선택 상태의 메모리 셀(227)에는 열 드라이버(235)에 의하여 데이터가 기록된다. 배선(RWL)을 액티브로 함으로써 해당하는 행의 메모리 셀(227)이 선택된다. 선택 상태의 메모리 셀(227)은 열 드라이버(235)에 의하여 데이터가 판독된다.
입력 회로(225)는 배선(WDA)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입력 회로(225)가 유지하는 데이터는 배선(GWBL)(글러벌 기록 비트선)을 통하여 열 드라이버(235)에 출력된다. Din은 입력 회로(225)의 출력 데이터이고, 셀 어레이(223)에 기록하는 데이터이다.
열 드라이버(235)가 메모리 셀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신호(Dout)는 배선(GRBL)(글러벌 판독 비트선)을 통하여 출력 회로(226)에 출력된다. 출력 회로(226)는 데이터 신호(Dout)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출력 회로(226)는 유지하는 데이터를 기억 장치(220)의 외부로 출력한다. 출력 회로(22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가 신호(RDA)이다.
기억 장치(220)에는 전원 전위로서 전위(Vdd), 전위(GND)가 입력된다. 전위(Vdd), 전위(GND) 외의 전위는 전위 생성부(221)에서 생성되고, 이들은 기억 장치(220)의 각 내부 회로에 입력된다. 전위(Vdd)는 OS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MW2))의 구동 전위에 사용된다. 물론, 전위 생성부(221)에서 OS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위를 생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전위 생성부(221)는 전위(Vbg_w2)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위(Vbg_w2)를 음전위로 하여 트랜지스터(MW2)의 Vt를 양전위 측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메모리 셀(227)의 전하 유지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전위 생성부(221)를 전원 회로에 사용함으로써 기억 장치(220)의 단일 전원화를 구현할 수 있다. 기억 장치(220)의 각 회로는 하나의 IC 칩에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223)는 도 13의 (B)에 나타낸 메모리 셀(227) 대신에 도 14의 (A)에 나타낸 메모리 셀(241), 도 14의 (B)에 나타낸 메모리 셀(227), 도 14의 (C)에 나타낸 메모리 셀(241), 도 14의 (D)에 나타낸 메모리 셀(242) 또는 도 14의 (E)에 나타낸 메모리 셀(243)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4의 (A) 내지 (E)에 셀 어레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각 도면에는 1행 1열분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도 14의 (A)에는 3 트랜지스터형의 게인 셀을 가지는 셀 어레이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도 14의 (A)에 나타낸 셀 어레이에는 행마다 배선(RCL)이 제공된다. 메모리 셀(241)은 배선(WWL), 배선(RWL), 배선(WBL), 배선(RBL), 배선(SL), 배선(RCL),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41)은 트랜지스터(MW3), 트랜지스터(MR3), 트랜지스터(MR4), 용량 소자(CS3)를 가진다. 트랜지스터(MW3)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고, 백 게이트는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MR4), 트랜지스터(MR3)는 p채널형 Si 트랜지스터이다.
도 14의 (B)에 나타낸 셀 어레이는 도 13의 (B)에 나타낸 셀 어레이의 변형예이고, 도 14의 (C)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는 도 14의 (A)에 나타낸 셀 어레이의 변형예이다. 이들의 셀 어레이에는 배선(WBL), 배선(RBL) 대신에 기록 및 판독용의 비트선(배선(BL))이 제공된다.
도 14의 (D)에 나타낸 셀 어레이는 도 13의 (B)에 나타낸 셀 어레이의 변형예이고, 트랜지스터(MR2)를 n채널형 Si 트랜지스터로 한 예이다. 도 14의 (D)에 나타낸 메모리 셀(242)은 배선(WWL), 배선(RWL), 배선(WBL), 배선(RBL), 배선(SL), 배선(BG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42)은 트랜지스터(MW5), 트랜지스터(MR5), 용량 소자(CS5)를 가진다. 트랜지스터(MW5)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R5)는 n채널형 Si 트랜지스터이다. 도 14의 (D)에 나타낸 셀 어레이에도 도 14의 (B)에 나타낸 셀 어레이와 같이 배선(WBL), 배선(RBL) 대신에 배선(BL)을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의 (D)에 나타낸 셀 어레이를 기억 장치(220)에 적용하는 경우, 비선택행의 배선(RWL)에는 음전위를 입력하고, 선택행의 배선(RWL)에는 양전위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RWL)에 입력하는 음전위는 전위 생성부(221)에서 생성하면 좋다.
도 14의 (E)에 나타낸 셀 어레이는 도 14의 (A)에 나타낸 셀 어레이의 변형예이고, 트랜지스터(MR3), 트랜지스터(MR4)를 n채널형 Si 트랜지스터로 한 예이다. 도 14의 (E)에 나타낸 메모리 셀(243)은 배선(WWL), 배선(RWL), 배선(WBL), 배선(RBL), 배선(BGL), 및 전위(GND)가 입력되는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메모리 셀(243)은 트랜지스터(MW6), 트랜지스터(MR6), 트랜지스터(MR7), 용량 소자(CS6)를 가진다. 트랜지스터(MW6)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R6), 트랜지스터(MR7)는 n채널형 Si 트랜지스터이다. 도 14의 (E)에 나타낸 셀 어레이에도 도 14의 (C)에 나타낸 셀 어레이와 같이 배선(WBL), 배선(RBL) 대신에 배선(BL)을 제공하여도 좋다.
여기서 셀 어레이(203)가 가지는 메모리 셀(209), 셀 어레이(223)가 가지는 메모리 셀(227), 메모리 셀(241), 메모리 셀(242), 및 메모리 셀(243)은 백 게이트를 가지는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MW2), 트랜지스터(MW3), 트랜지스터(MW5), 또는 트랜지스터(MW6))를 하나 가진다.
<<MCU(250)>>
도 15에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MCU(250)는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이 가능한 반도체 장치이다.
MCU(250)는 전원 관리 유닛(PMU)(260), 전위 생성 유닛(261), 버스(262), 파워 스위치(264), 파워 스위치(265), 레벨 시프터(LS) 및 버퍼 회로(267), 프로세서 코어인 코어(270), 메모리(280)를 가진다. PMU(260), 코어(270), 및 메모리(280) 간의 데이터 등의 주고받기는 버스(262)를 통하여 행해진다.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 삭감을 위해,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회로를 파워 게이팅 또는 클록 게이팅에 의하여 정지시킨다. 플립플롭은 반도체 장치에 흔이 포함되는 순서 회로(상태를 유지하는 기억 회로)의 하나이다. 따라서 플립플롭의 소비전력의 삭감은, 플립플롭을 가진 반도체 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데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플립플롭은 전원을 차단하면 유지하는 상태(데이터)가 소실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파워 게이팅하기 위해서는, 플립플롭의 상태를 백업할 필요가 있다.
코어(270)는 복수의 플립플롭(271)을 가진다. 플립플롭(271)은 코어(270)의 각종 레지스터에 제공된다. 플립플롭(271)은 백업 회로(272) 및 스캔 플립플롭(273)을 가진다. 즉 플립플롭(271)은 백업 회로를 탑재한 스캔 플립플롭이다.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 시에 플립플롭(271)의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 플립플롭(271)에는 백업 회로(272)가 제공된다. 백업 회로(272)에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복수의 OS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백업 회로(272)는 Si 트랜지스터를 가지지 않는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Si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논리 셀 위에 적층할 수 있다.
메모리(280)는 제어부(281), 주변 회로(282), 및 셀 어레이(283)를 가진다. 셀 어레이(283)에는 OS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복수의 메모리 셀을 가진다. 메모리(280)에는 상술한 기억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MCU(250)에는 전원 전위로서 전위(Vdd), 전위(GND)가 입력된다. 전위(Vdd), 전위(GND) 외의 양전위 및 음전위는 전위 생성 유닛(261)에서 생성된다. 전위 생성 유닛(261)은 예를 들어 음전위로서 전위(Vbg_ff), 전위(Vbg_mc)를 생성한다. 전위(Vbg_ff)는 백업 회로(272)의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전위(Vbg_mc)는 셀 어레이(283)의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전위(Vdd)는 OS 트랜지스터용의 구동 전위이다. 전위(Vdd)는 LS 및 버퍼 회로(267), 셀 어레이(283)에 공급된다. 전위 생성 유닛(261)은 양전위로서 참조 전압, Si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고전원 전위 등을 생성한다. 물론, 전위 생성 유닛(261)에서 OS 트랜지스터용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도 좋다.
MCU(250)에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 및 전압 생성부(42)를 적용할 수 있다.
전위 생성 유닛(261)은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유지부(43)는 음전위 또는/및 양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유지부(43)로부터 전위(Vbg_ff)가 인가되고, 셀 어레이(283)가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의 백 게이트에 공급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생성부(42)는 전위 생성 유닛(261)에 포함되어도 좋고, 다른 회로 영역에 포함되어도 좋다.
MCU(250)에는 클록 신호, 인터럽트 요구 신호 등이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외부 클록 신호는 PMU(260)에 입력되고, 인터럽트 요구 신호는 PMU(260), 코어(270)에 입력된다.
PMU(260)는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PMU(260)는 외부 클록 신호로부터 게이티드 클록 신호(이하 신호(GCLK)라고 부름)를 생성한다. 신호(GCLK)는 코어(270), 메모리(280)에 입력된다. PMU(260)는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파워 스위치(264), 파워 스위치(265)의 제어 신호, 백업 회로(272)의 제어 신호, 스캔 플립플롭(273)의 제어 신호(예를 들어 리셋 신호)를 포함한다.
백업 회로(272)의 제어 신호는 LS 및 버퍼 회로(267)에 입력된다. LS 및 버퍼 회로(267)는 제어 신호를 레벨 시프트하는 기능, 레벨 시프트한 제어 신호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LS 및 버퍼 회로(267)가 유지하는 제어 신호는 백업 회로(272)에 입력된다.
파워 스위치(264)에 의하여 코어(270)로의 양전위의 공급이 제어된다. 파워 스위치(265)에 의하여 메모리(280)로의 양전위의 공급이 제어된다. 코어(270)가 복수의 전원 도메인을 가지는 경우, 각 전원 도메인에 대응한 파워 스위치를 파워 스위치(264)에 제공하면 좋다. 파워 스위치(265)도 마찬가지이다. 전위(Vdd) 외에 회로 구성에 대응한 복수의 양전위가 파워 스위치(265)를 통하여 메모리(280)에 입력된다. 메모리(280)에 입력되는 양전위에는 제어부(281)의 전원 전위, 주변 회로(282)의 전원 전위, 비트선의 프리차지용의 전위, 데이터 판독용의 참조 전위 등이 있다.
코어(270)로부터 PMU(260)로 신호(SLEEP)가 출력된다. 신호(SLEEP)는 코어(270)를 슬리프 모드(대기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트리거가 되는 신호이다. PMU(260)는 신호(SLEEP)가 입력되면 액티브 모드로부터 슬리프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의 기능 회로로 출력한다. 인터럽트 요구 신호에 의하여 코어(270)를 액티브 모드로부터 슬리프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로부터 슬리프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먼저 PMU(260)는 코어(270)로의 클록 신호의 공급을 정지한다. 다음에 스캔 플립플롭(273)의 데이터를 백업 회로(272)에 기록한다. 필요에 따라 파워 스위치(264)를 제어하여 코어(270)로의 양전위의 공급을 정지한다.
코어(270)를 슬리프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처리는 예를 들어 인터럽트 요구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실행된다. PMU(260)는 인터럽트 요구 신호에 따라 슬리프 모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의 기능 회로에 출력한다. PMU(260)는 파워 스위치(264), 파워 스위치(265)를 제어하여 코어(270), 메모리(280)로의 전위의 공급을 다시 시작한다. 다음에 백업 회로(272)에서 유지하는 데이터를 스캔 플립플롭(273)으로 다시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코어(270), 메모리(280)로의 클록 신호의 공급을 다시 시작한다.
PMU(260)는 메모리(280)의 클록 게이팅 및 파워 게이팅을 코어(270)와 마찬가지로 행한다.
PMU(260)에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회로를 제공하고, 타이머 회로의 계측 시간을 기초하여 코어(270) 및 메모리(280)의 파워 게이팅을 행하여도 좋다.
<플립플롭(271)>
도 16에는 플립플롭(271)(백업 회로(272) 및 스캔 플립플롭(273))의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스캔 플립플롭(273)의 회로 구성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회로 라이브러리에 준비되어 있는 스캔 플립플롭을 사용할 수 있다. 스캔 플립플롭(273)은 노드(D), 노드(Q), 노드(CK), 노드(SD), 노드(SE), 셀렉터(275), 플립플롭(276)을 가진다. 노드(SE)에는 신호(SI)가 입력된다. 셀렉터(275)는 신호(SI)의 논리에 따라 노드(D) 또는 노드(S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노드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플립플롭(276)에 출력한다. 신호(SI)는 PMU(260)로부터 출력된다.
스캔 플립플롭(273)에는 전위(Vdd_core), 전위(GND)가 전원 전위로서 입력된다. 전위(Vdd_core)는 전위 생성 유닛(261)에서 생성된 양전위이다. 전위(Vdd_core)는 파워 스위치(264)를 통하여 코어(270)에 공급된다.
백업 회로(272)는 노드(RE), 노드(BK), 노드(SDIN), 노드(FN), 노드(b1), 노드(b2), 트랜지스터(M71) 내지 트랜지스터(M73), 용량 소자(C71)를 가진다. 노드(FN)는 데이터 유지 노드이다. 노드(FN)에는 용량 소자(C7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b1)는 노드(Q)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노드(b2)는 노드(S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노드(BK)에는 백업 신호(BKUP_LS)가 입력되고, 노드(RE)에는 리스토어 신호(RES_LS)가 입력된다. 신호(BKUP_LS), 신호(RES_LS)는 신호(LS) 및 버퍼 회로(267)로부터 출력된다. 노드(SDIN)는 스캔 테스트 데이터의 입력 노드이다.
트랜지스터(M71) 내지 트랜지스터(M73)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다. 이들 백 게이트에는 전위(Vbg_ff)가 입력된다.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3)의 게이트는 노드(BK)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M72)의 게이트는 노드(R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전위(Vbg_ff)의 생성에는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 및 전압 생성부(4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의 (A) 내지 (C)에 나타낸 회로도를 참조하여 플립플롭(271)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17의 (A) 내지 (C)에는 트랜지스터(M71) 내지 트랜지스터(M73)를 스위치로 나타내었다.
(통상 동작)
도 17의 (A)는 액티브 모드에서의 플립플롭(271)의 동작예를 나타낸 것이고, 플립플롭(271)은 통상 동작을 행한다. 플립플롭(271)은 신호(GCLK)의 상승(또는 하강)에 동기하여 노드(D)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유지하는 데이터를 노드(Q)로부터 출력한다. 노드(D)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예를 들어 'L'(저레벨)의 신호(SI)가 노드(SE)에 입력된다. 신호(BKUP_LS), 신호(RES_LS)는 'L'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M71) 내지 트랜지스터(M73)는 오프 상태이다.
(백업 동작)
스캔 플립플롭(273)의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 먼저 신호(GCLK)의 입력을 정지한다. 이 클록 게이팅에 의하여 노드(Q)의 논리가 확정된다. 다음에, 'H'(고레벨)의 신호(BKUP_LS)를 노드(BK)에 입력하여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3)를 온 상태로 한다(도 17의 (B) 참조). 노드(FN)와 노드(Q) 간이 도통 상태가 되어 노드(FN)의 논리는 노드(Q)와 같게 된다. 노드(Q)의 논리가 '1'이면 노드(FN)의 논리도 '1'이 되고, 노드(Q)의 논리가 '0'이면 노드(FN)의 논리도 '0'이 된다.
다음에 'L'의 신호(BKUP_LS)를 노드(BK)에 입력하여 트랜지스터(M71)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하여 노드(FN)가 전기적으로 부유 상태가 되어 백업 동작이 종료된다. 백업이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스캔 플립플롭(273)으로의 전위(Vdd_core)의 공급을 정지한다.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2)는 매우 작은 오프 전류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백업 회로(272)에서 데이터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리스토어 동작)
스캔 플립플롭(273)의 데이터의 리스토어를 시작하기 위해, 먼저 스캔 플립플롭(273)으로의 전위(Vdd_core)의 공급을 다시 시작한다. 다음에 'H'의 신호(SI)를 노드(SE)에 입력하고, 스캔 플립플롭(273)을 노드(SD)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태로 한다. 'H'의 신호(RES_LS)를 노드(RE)에 입력하여 트랜지스터(M72)를 온 상태로 한다. 노드(FN)와 노드(SD) 간이 도통 상태가 되어 노드(FN)의 데이터가 노드(SD)에 기록된다(도 17의 (C) 참조). 다음에 1클록 사이클 기간에, 신호(GCLK)를 입력하여 노드(SD)의 데이터를 노드(Q)에 기록한다. 이에 의하여 스캔 플립플롭(273)은 신호(GCLK)가 정지된 직후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스캔 플립플롭(273)의 노드(Q)의 논리는 신호(GCLK)가 정지된 직후의 노드(Q)와 같은 논리가 된다.
'L'의 신호(RES_LS)를 노드(RE)에 입력하여 트랜지스터(M72)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리스토어 동작이 종료된다. 신호(GCLK)의 입력을 다시 시작함으로써 스캔 플립플롭(273)은 통상 동작을 시작한다.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2)는 매우 작은 오프 전류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기 때문에 백업 회로(272)에서 데이터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2)의 백 게이트에 음전위를 입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2)의 컷 오프 전류를 저감할 수 있어 데이터 유지 시간을 길게 하는 데 유효적이다.
트랜지스터(M71) 내지 트랜지스터(M73)를 OS 트랜지스터로 함으로써 스캔 플립플롭(273)에 적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캔 플립플롭(273)의 설계 변경 및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 백업 회로(272)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백업 회로(272)에 의한 면적 오버헤드를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플립플롭(271)은 데이터의 백업 및 리스토어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업 동작, 리스토어 동작을 몇 클록 이내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백업 동작, 리스토어 동작은 트랜지스터(M71), 트랜지스터(M7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노드(FN)를 충방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는 DRAM 셀과 마찬가지로 작다. 또한 백업 회로(272)는 데이터를 유지할 때에 전력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플립플롭(271)의 스탠바이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통상 동작 시에는 백업 회로(272)로의 전원 공급은 필요 없기 때문에 백업 회로(272)를 제공하여도 플립플롭(271)의 다이내믹 전력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백업 회로(272)를 제공하면 트랜지스터(M71)로 인한 기생 용량이 노드(Q)에 부가되지만, 노드(Q)에 접속되는 논리 회로로 인한 기생 용량과 비교하여 작으므로 플립플롭(271)의 통상 동작으로의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즉 백업 회로(272)를 제공하여도 액티브 모드에서의 플립플롭(271)의 성능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킬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음전위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회로 블록을 가지지만 실시형태 2에 따른 전위 생성 시스템을 가짐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생성된 음전위를 회로 블록에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위 생성 시스템을 가짐으로써 음전위가 필요한 반도체 장치라도 단일 전원화를 쉽게 실현할 수 있다.
<<촬상 장치>>
도 18의 (A)에 나타낸 촬상 장치(400)는 전위 생성 유닛(401), 제어부(402), 화소 어레이(403), 주변 회로(404)를 가진다. 주변 회로(404)는 행 드라이버(405), 열 드라이버(406)를 가진다. 화소 어레이(403)는 행렬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410)를 가진다. 화소(410)는 촬상 소자이고, 광을 전하로 변환하는 기능, 전하를 축적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도 18의 (B)에 화소(410)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18의 (B)에 나타낸 화소(410)는 포토다이오드(PD1), 트랜지스터(MI1) 내지 트랜지스터(MI4), 용량 소자(C40), 노드(FN40)를 가진다. 노드(FN40)가 데이터 유지 노드이다. 용량 소자(C40)는 노드(FN40)의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용량이다. 트랜지스터(MI1)는 리셋 트랜지스터라고 불린다. 트랜지스터(MI1)는 노드(FN40)의 전압을 리셋하는 기능을 가진다. 트랜지스터(MI2)는 노광 동작을 제어하는 노광 트랜지스터라고 불린다. 트랜지스터(MI2)는 노드(FN40)와 포토다이오드(PD1)와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패스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I2)에 의하여 노광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글러벌 셔터 방식으로의 촬상이 가능하다. 트랜지스터(MI3)는 증폭 트랜지스터라고 불린다. 트랜지스터(MI3)는 노드(FN40)의 전압에 따른 온 전류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트랜지스터(MI4)는 선택 트랜지스터라고 불린다. 트랜지스터(MI4)는 트랜지스터(MI3)와 화소(410)의 출력 단자 간의 도통 상태를 제어하는 패스 트랜지스터이다.
여기서는 트랜지스터(MI1), 트랜지스터(MI2)는 백 게이트를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이고, 트랜지스터(MI3)는 n채널형 Si 트랜지스터이고, 트랜지스터(MI4)는 p채널형 Si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MI1), 트랜지스터(MI2)의 백 게이트에는 전위(Vbg_im)가 입력된다.
포토다이오드(PD1)에는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pn 접합 또는 pin 접합 다이오드 소자 및 비단결정 실리콘막(비정질 실리콘막, 미결정 실리콘막)을 사용한 pin형 다이오드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소(410)는 광전 변환 소자에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하지만 다른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 접속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광전 효과를 이용한 가변 저항 등을 실리콘, 저마늄, 셀레늄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애벌란시 증배라는 현상을 이용한 셀레늄을 사용한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광전 소자에서는 입사되는 광량에 대한 전자의 증폭이 크며 고감도의 센서로 할 수 있다. 셀레늄계 재료로서는 비정질 셀레늄 또는 결정 셀레늄을 사용할 수 있다. 결정 셀레늄은 일례로서, 비정질 셀레늄을 성막 후에 열 처리함으로써 얻으면 좋다. 또한 결정 셀레늄의 결정 입경을 화소 피치보다 작게 함으로써 화소마다 특성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촬상 장치(400)에는 전원 전위로서 전위(Vdd), 전위(GND)가 입력된다. 전위(Vdd)는 OS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MI1), 트랜지스터(MI2))의 구동 전압에 사용된다. 물론, OS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위를 전위 생성 유닛(401)에서 생성하여도 좋다.
전위(Vdd), 전위(GND) 외의 전위는 전위 생성 유닛(401)에서 생성되고, 이들은 촬상 장치(400)의 각 내부 회로에 입력된다. 전위 생성 유닛(401)은 전위(Vbg_im)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위(Vbg_im)를 음전위로 함으로써 트랜지스터(MI1), 트랜지스터(MI2)의 컷 오프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드(FN40)의 전위가 변동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어 촬상 장치(400)는 높은 정밀도로 촬상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위 생성 유닛(401)은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유지부(4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유지부(43)는 음전위 또는/및 양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유지부(43)에서 전위(Vbg_im)가 생성되고, 트랜지스터(MI1), 트랜지스터(MI2)의 백 게이트에 공급된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전압 생성부(42) 등은 전위 생성 유닛(401)에 포함되어도 좋고, 다른 회로 영역, 예를 들어 제어부(402) 등에 포함되어도 좋다.
<프로그래머블 회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일례로서 프로그래머블 회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프로그래머블 회로(700)는 어레이 형태의 복수의 PLE(701)를 가진다. 여기서 어레이 형태란, 행렬 형태로 PLE가 주기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가리키고, 배열은 도 19의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배선이 PLE(7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19에서는 이들의 배선은 복수의 수평의 배선군(703)과 복수의 수직의 배선군(704)을 가진다. 배선군이란, 복수의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의 다발이다. 수평의 배선군(703)과 수직의 배선군(704)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PSE(702)가 제공된다. 또한 수평의 배선군(703) 및 수직의 배선군(704)은 입출력 단자(705)에 접속되어 프로그래머블 회로(700)의 외부 회로와 신호의 수수를 행한다.
입출력 단자(705)는 각각 주위에 제공된 수평의 배선군(703)이나 수직의 배선군(704)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 단자(705)는 도 19에서 각각 상하좌우의 측에서 수평의 배선군(703)이나 수직의 배선군(704)과 접속된다. 이 수평의 배선군(703)이나 수직의 배선군(704)을 사용함으로써 PLE(701)는 다른 PLE(701)에 접속할 수 있다. 임의의 PLE(701)와 이와 다른 PLE(701)의 접속 경로는 PSE(702)가 가지는 스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PSE(702) 내에서의 배선 간의 접속을 전환하는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는 컨피규레이션 데이터를 유지하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에 따라 결정된다. PSE(702)에 제공되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를 재기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기억하는 컨피규레이션 데이터가 전원 전압의 공급 정지로 인해 소실되지 않도록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E(701)는 일례로서 룩업 테이블(LUT: Look Up Table), 플립플롭, 및 컨피규레이션 메모리를 가진다.
LUT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에 기억된 컨피규레이션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정해지는 로직의 기능을 전환할 수 있는 회로이다.
플립플롭은 LUT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유지하고, 클록 신호(CLK)에 따라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PLE(701) 및 PSE(702)가 가지는 컨피규레이션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기억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장치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전압 유지부에 의하여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장치의 일례로서 IC칩, 전자 부품, 전자 기기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부품의 제작 방법예>
도 20의 (A)는 전자 부품의 제작 방법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 부품은 반도체 패키지 또는 IC용 패키지라고도 한다. 이 전자 부품은 단자 추출 방향이나 단자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규격이나 명칭이 존재한다. 거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는 조립 공정(후(後)공정)을 거쳐 인쇄 기판에 탈착 가능한 부품이 복수 조합됨으로써 완성된다. 후공정에 대해서는 도 20의 (A)에 나타낸 각 공정을 거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前)공정에서 얻어지는 소자 기판이 완성(단계 ST71)된 후, 기판의 이면을 연삭한다. 이 단계에서 기판을 박막화함으로써 전공정에서의 기판의 구부림 등을 저감시켜 부품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다음에 기판을 복수의 칩으로 분리하는 다이싱 공정을 행한다(단계 ST72).
도 20의 (B)는 다이싱 공정이 행해지기 전의 반도체 웨이퍼(7100)의 상면도이다. 도 20의 (C)는 도 20의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반도체 웨이퍼(7100)에는 복수의 회로 영역(7102)이 제공된다. 회로 영역(7102)에는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예를 들어 유지 회로, 기억 장치, 촬상 장치, MCU 등)가 제공된다.
복수의 회로 영역(7102)은 각각이 분리 영역(7104)으로 둘러싸인다. 분리 영역(7104)과 중첩되는 위치에 분리선('다이싱 라인'이라고도 함)(7106)이 설정된다. 다이싱 공정(단계 ST72)에서는 분리선(7106)을 따라 반도체 웨이퍼(7100)를 절단함으로써 회로 영역(7102)을 포함하는 칩(7110)을 반도체 웨이퍼(7100)로부터 잘라낸다. 도 20의 (D)에 칩(7110)의 확대도를 나타내었다.
분리 영역(7104)에 도전층이나 반도체층을 제공하여도 좋다. 분리 영역(7104)에 도전층이나 반도체층을 제공함으로써 다이싱 공정 시에 생길 수 있는 ESD를 완화하여 다이싱 공정에 기인하는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싱 공정은 일반적으로 기판의 냉각, 절삭 지스러기의 제거, 대전 방지 등을 목적으로, 탄산 가스 등을 용해시켜 비저항을 낮춘 순수를 잘라내는 부분에 공급하면서 행한다. 분리 영역(7104)에 도전층이나 반도체층을 제공함으로써 이 순수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의 생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단계 ST72를 행한 후, 분리한 칩을 개별적으로 픽업하여 리드 프레임 위에 탑재하고 접합하는 다이 본딩 공정을 행한다(단계 ST73). 다이 본딩 공정에서의 칩과 리드 프레임의 접착 방법은 제품에 걸맞은 방법을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접착은 수지나 테이프를 사용하여 행하면 좋다. 다이 본딩 공정은 인터포저(interposer) 위에 칩을 탑재하여 접합시켜도 좋다. 와이어 본딩 공정에서 리드 프레임의 리드와 칩 위의 전극을 금속 세선(와이어)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단계 ST74). 금속 세선에는 은선(silver line)이나 금선(gold line)을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 본딩으로서는 볼 본딩(ball bonding) 및 웨지 본딩(wedge bonding) 중 어느 쪽을 사용하여도 좋다.
와이어 본딩된 칩을 에폭시 수지 등으로 밀봉하는 몰딩 공정을 행한다(단계 ST75). 몰딩 공정을 행함으로써 전자 부품 내부가 수지로 충전되어, 내장된 회로부나 와이어에 기계적인 외력으로 인해 생기는 대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수분이나 먼지로 인한 특성의 열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리드 프레임의 리드를 도금 처리한다. 그리고 리드를 절단 및 성형 가공한다(단계 ST76). 도금 처리에 의하여 리드의 녹을 방지하고, 나중에 인쇄 기판에 실장할 때의 납땜을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패키지 표면에 인자 처리(마킹)를 행한다(단계 ST77). 검사 공정(단계 ST78)을 거쳐 전자 부품이 완성된다(단계 ST79).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저소비전력의 소형 전자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완성된 전자 부품의 사시 모식도를 도 20의 (E)에 나타내었다. 도 20의 (E)에는 전자 부품의 일례로서 QFP(Quad Flat Package)의 사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20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부품(7000)은 리드(7001) 및 칩(7110)을 가진다.
전자 부품(7000)은 예를 들어 인쇄 기판(7002)에 실장된다. 이러한 전자 부품(7000)이 복수로 조합되고, 각각이 인쇄 기판(7002) 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전자 기기에 탑재할 수 있다. 완성된 회로 기판(7004)은 전자 기기 등의 내부에 제공된다. 전자 부품(7000)을 탑재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를 소형화하기가 쉬워진다.
전자 부품(7000)은 디지털 신호 처리, 소프트웨어 무선, 항공 전자 기기(통신 기기, 항법 시스템, 자동 조종 장치, 비행 관리 시스템 등 항공에 관한 전자 기기), ASIC 프로토타이핑, 의료용 화상 처리, 음성 인식, 암호, 생물 정보 과학(bioinformatics), 기계 장치의 에뮬레이터, 및 전파 천문학에서의 전파 망원경 등, 폭넓은 분야의 전자 기기의 전자 부품(IC 칩)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로서는 카메라(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 표시 장치, 퍼스널 컴퓨터(PC), 휴대 전화, 휴대형을 포함하는 게임기, 휴대형 정보 단말(스마트폰, 태블릿형 정보 단말 등), 전자 서적 단말, 웨어러블형 정보 단말(시계형, 헤드 마운트형, 고글형, 안경형, 완장형, 팔찌형, 목걸이형 등), 내비게이션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카 오디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프린터 복합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자동 판매기, 가정용 전기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도 21의 (A) 내지 도 22의 (E)를 참조하여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1의 (A) 등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는 터치 센서를 가지는 터치 패널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표시부를 전자 기기의 입력부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도 21의 (A)에 나타낸 정보 단말(2010)은 하우징(2011)에 조합된 표시부(2012) 외에, 조작 버튼(2013), 외부 접속 포트(2014), 스피커(2015), 마이크로폰(2016)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표시부(2012)의 표시 영역은 만곡되어 있다. 정보 단말(2010)은 배터리로 구동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이며 태블릿형 정보 단말 또는 스마트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보 단말(2010)은 전화, 전자 메일, 수첩, 인터넷 접속, 음악 재생 등의 기능을 가진다.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2012)를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입력하거나, 표시부(2012)의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 등의 각종 조작은 손가락 등으로 표시부(2012)를 터치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마이크로폰(2016)에서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정보 단말(2010)을 조작할 수도 있다. 조작 버튼(2013)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의 온/오프 동작이나 표시부(2012)의 화면 전환 동작 등의 각종 조작을 할 수도 있다.
도 21의 (B)에 손목시계형 정보 단말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정보 단말(2030)은 하우징(2031), 표시부(2032), 용두(2033), 벨트(2034), 검지부(2035)를 가진다. 용두(2033)를 회전시킴으로써 정보 단말(2030)을 조작할 수 있다. 표시부(2032)를 손가락으로 터치 함으로써 정보 단말(2030)을 조작할 수 있다.
검지부(2035)는 예를 들어 사용 환경의 정보,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마이크로폰, 촬상 소자, 가속도 센서, 방위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측위 센서(예를 들어 GPS(글로벌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검지부(2035)에 제공하여도 좋다.
정보 단말(2010) 및 정보 단말(2030)에 규격이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무선 신호(2020)에 의하여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정보 단말(2010)이 전자 메일, 전화 등을 착신하면 정보 단말(2030)의 표시부(2032)에 착신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된다.
도 21의 (C)에 안경형 정보 단말의 예를 나타내었다. 정보 단말(2040)은 장착부(2041), 하우징(2042), 케이블(2045), 배터리(2046), 표시부(2047)를 가진다. 배터리(2046)는 장착부(2041)에 수납된다. 표시부(2047)는 하우징(2042)에 제공된다. 하우징(2042)은 프로세서, 무선 통신 장치, 기억 장치, 각종 전자 부품을 내장한다. 케이블(2045)을 통하여 배터리(2046)로부터 하우징(2042) 내의 표시부(2047) 및 전자 부품에 전력이 공급된다. 표시부(2047)에는 무선에 의하여 송신된 영상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하우징(2042)에 카메라를 제공하여도 좋다.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구나 눈꺼풀의 움직임을 검지함으로써 정보 단말(2040)을 조작할 수 있다.
장착부(2041)에 온도 센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생체 센서 등 각종 센서를 제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하우징(2042) 내의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2021)에 의하여 정보 단말(2010)과 정보 단말(2040) 간에서 쌍방향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 단말(2040)은 기억하는 생체 정보를 정보 단말(2010)로 송신한다. 정보 단말(2010)은 수신한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피로도, 활동량 등을 산출한다.
도 22의 (A)에 나타낸 노트북형 PC(퍼스널 컴퓨터)(2050)는 하우징(2051), 표시부(2052), 키보드(2053), 포인팅 디바이스(2054)를 가진다. 표시부(2052)의 터치 조작으로 노트북형 PC(205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2의 (B)에 나타낸 비디오 카메라(2070)는 하우징(2071), 표시부(2072), 하우징(2073), 조작 키(2074), 렌즈(2075), 접속부(2076)를 가진다. 표시부(2072)는 하우징(2071)에 제공되고, 조작 키(2074) 및 렌즈(2075)는 하우징(2073)에 제공된다. 하우징(2071)과 하우징(2073)은 접속부(2076)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하우징(2071)과 하우징(2073) 간의 각도는 접속부(2076)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접속부(2076)에서의 하우징(2071)과 하우징(2073) 간의 각도에 따라 표시부(2072)의 영상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표시부(2072)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녹화의 개시 및 정지의 조작, 배율 줌(zoom) 조정, 촬영 범위의 변경 등 각종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2의 (C)에 나타낸 휴대 게임기(2110)는 하우징(2111), 표시부(2112), 스피커(2113), LED 램프(2114), 조작 버튼(2115), 접속 단자(2116), 카메라(2117), 마이크로폰(2118), 기록 매체 판독부(2119)를 가진다.
도 22의 (D)에 나타낸 전기 냉동 냉장고(2150)는 하우징(2151), 냉장실용 도어(2152), 및 냉동실용 도어(2153) 등을 가진다.
도 22의 (E)에 나타낸 자동차(2170)는 차체(2171), 차륜(2172), 대시보드(2173), 및 라이트(2174) 등을 가진다. 실시형태 2의 프로세서는 자동차(2170) 내의 각종 프로세서에 사용된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와 이 반도체 장치가 가지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설명한다.
<트랜지스터(100)>
트랜지스터(100)는 전극(505_1), 절연층(506), 절연층(507), 절연층(508), 반도체층(509_1a), 반도체층(509_1b), 반도체층(509_1c), 전극(510_1a), 전극(510_1b), 층(529_1a), 층(529_1b), 절연층(511_1), 전극(512_1), 및 절연층(513_1)을 가진다(도 23의 (A) 내지 (C) 참조).
도 23의 (A) 내지 (C)에 나타낸 트랜지스터(100)는 기판(501) 위에 절연층(502) 및 절연층(503)을 개재(介在)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층(503) 위에 절연층(504)을 가지고, 절연층(504)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505_1)이 매립되어 있다. 또한 전극(505_1) 및 절연층(504) 위에 절연층(506)을 가지고, 절연층(506) 위에 절연층(507)을 가지고, 절연층(507) 위에 절연층(508)을 가진다. 또한 절연층(508)은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볼록부 위에 반도체층(509_1a)을 가지고, 반도체층(509_1a) 위에 반도체층(509_1b)을 가진다.
반도체층(509_1b)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가진다. 평면도에서 제 3 영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끼워진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반도체층(509_1b)의 제 1 영역 위에 전극(510_1a)을 가지고, 반도체층(509_1b)의 제 2 영역 위에 전극(510_1b)을 가진다. 전극(510_1a) 또는 전극(510_1b) 중 한쪽은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다른 한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층(509_1b)의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 중 한쪽은 소스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_1b)의 제 3 영역은 채널 형성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전극(510_1a) 위에 층(529_1a)을 가지고, 전극(510_1b) 위에 층(529_1b)을 가진다. 또한 층(529_1a), 층(529_1b), 전극(510_1a), 전극(510_1b), 반도체층(509_1b), 및 반도체층(509_1a)을 덮는 반도체층(509_1c)을 가진다. 반도체층(509_1c)은 전극(510_1a) 측면과 접하는 영역, 전극(510_1b)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반도체층(509_1b)의 제 3 영역과 접하는 영역, 반도체층(509_1b)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및 반도체층(509_1a) 측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층(509_1c) 위에 절연층(511_1)을 가지고, 절연층(511_1) 위에 전극(512_1)을 가진다. 절연층(511_1) 및 전극(512_1)은 제 3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전극(512_1) 위에 절연층(513_1)을 가진다. 절연층(511_1) 및 절연층(513_1)은 전극(512_1)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며 이 연장 부분에서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층(509_1c) 및 절연층(513_1) 위에 절연층(514)이 제공되고, 절연층(514) 위에 절연층(515)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반도체층(509_1c), 및 층(529_1a)에 제공된, 전극(510_1a)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1a)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반도체층(509_1c), 및 층(529_1b)에 제공된, 전극(510_1b)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1b)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및 절연층(513_1)에 제공된 전극(512_1)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1c)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층(515) 위에 전극(517_1a), 전극(517_1b), 및 전극(517_1c)이 제공된다. 전극(517_1a)은 전극(516_1a)을 통하여 전극(510_1a)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극(517_1b)은 전극(516_1b)을 통하여 전극(510_1b)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극(517_1c)은 전극(516_1c)을 통하여 전극(512_1)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100)는 채널 폭 방향에서 반도체층(509_1b)이 전극(505_1) 및 전극(512_1)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508)은 볼록부를 가진다. 또한 반도체층(509_1a)과 반도체층(509_1b)은 상기 볼록부 위에 제공된다. 상기 볼록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볼록부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반도체층(509_1b)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전극(512_1)의 저면을 반도체층(509_1b)의 저면보다 기판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절연층(511_1)의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절연층(511_1)의 두께와 반도체층(509_1c)의 두께를 합친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도체층(509_1b)의 측면을 전극(512_1)으로 덮을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100)를 전극(505_1) 및 전극(512_1)의 전계에 의하여 반도체층(509_1b)을 전기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층(트랜지스터(100)에서는 전극(505_1) 및 전극(512_1))의 전계에 의하여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둘러싸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surrounded channel(이하 s-ch라고 함) 구조라고 부른다. s-ch 구조의 트랜지스터(100)는 반도체층(509_1b) 전체(벌크)에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s-ch 구조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크게 할 수 있어 더 큰 온 전류(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때에 소스 드레인 간을 흐르는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_1b)에 형성되는 채널 형성 영역의 모든 영역을 전극(505_1) 및 전극(512_1)의 전계에 의하여 공핍화(空乏化)할 수 있다. 따라서 s-ch 구조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폭을 작게 함으로써 s-ch 구조에 의한 온 전류의 증대 효과, 오프 전류의 저감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다.
전극(505_1) 또는 전극(512_1) 중 한쪽은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은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과 백 게이트 전극으로 반도체층의 채널 형성 영역을 끼우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백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전극과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백 게이트 전극의 전위는 게이트 전극과 같은 전위로 하여도 좋고, 접지 전위나 임의의 전위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백 게이트 전극의 전위를 게이트 전극과 연동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전극(505_1) 및 전극(512_1)은 둘 다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506), 절연층(507), 절연층(508), 및 절연층(511_1)은 각각이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전극(505_1) 또는 전극(512_1) 중 한쪽을 '게이트 전극' 또는 '게이트'라고 하는 경우, 다른 한쪽을 '백 게이트 전극' 또는 '백 게이트'라고 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100)에서 전극(505_1)을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 전극(512_1)을 '백 게이트 전극'이라고 한다. 전극(512_1)을 '게이트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트랜지스터(100)를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백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에 양의 전하를 인가하는 +GBT 스트레스 시험 전후에서의 문턱 전압의 변동도 백 게이트 전극을 가지지 않는 트랜지스터보다 작다.
<트랜지스터(200)>
트랜지스터(100) 및 트랜지스터(200)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트랜지스터(100)보다 문턱값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지스터(200)는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다. 트랜지스터(200)는 전극(505_2), 절연층(506), 절연층(507), 절연층(508), 반도체층(509_2a1), 반도체층(509_2a2), 반도체층(509_2b1), 반도체층(509_2b2), 반도체층(509_2c), 전극(510_2a), 전극(510_2b), 층(529_2a), 층(529_2b), 절연층(511_2), 전극(512_2), 및 절연층(513_2)을 가진다(도 24의 (A) 내지 (C) 참조).
도 24의 (A) 내지 (C)에 나타낸 트랜지스터(200)는 기판(501) 위에 절연층(502) 및 절연층(503)을 개재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층(503) 위에 절연층(504)을 가지고, 절연층(504)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505_2)이 매립되어 있다. 또한 전극(505_2) 및 절연층(504) 위에 절연층(506)을 가지고, 절연층(506) 위에 절연층(507)을 가지고, 절연층(507) 위에 절연층(508)을 가진다.
절연층(508)은 제 1 볼록부 및 제 2 볼록부를 가진다. 트랜지스터(200)는 제 1 볼록부 위에 반도체층(509_2a1)을 가지고, 반도체층(509_2a1) 위에 반도체층(509_2b1)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층(509_2b1) 위에 전극(510_2a)을 가지고, 전극(510_2a) 위에 층(529_2a)을 가진다. 트랜지스터(200)는 제 2 볼록부 위에 반도체층(509_2a2)을 가지고, 반도체층(509_2a2) 위에 반도체층(509_2b2)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층(509_2b2) 위에 전극(510_2b)을 가지고, 전극(510_2b) 위에 층(529_2b)을 가진다. 전극(510_2a) 또는 전극(510_2b) 중 한쪽은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 중 다른 한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반도체층(509_2c)은 층(529_2a), 층(529_2b), 전극(510_2a), 전극(510_2b), 반도체층(509_2b1), 반도체층(509_2b2), 반도체층(509_2a1), 및 반도체층(509_2a2)을 덮고 있다. 반도체층(509_2c)은 전극(510_2a)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반도체층(509_2b1)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및 반도체층(509_2a1) 측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층(509_2c)은 전극(510_2b)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반도체층(509_2b2) 측면과 접하는 영역, 및 반도체층(509_2a2) 측면과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층(509_2c)은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가진다. 평면도에서 제 3 영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끼워진다.
반도체층(509_2c)의 제 1 영역은 층(529_2a), 전극(510_2a), 반도체층(509_2b1), 및 반도체층(509_2a1)과 중첩한다. 또한 반도체층(509_2c)의 제 2 영역은 층(529_2b), 전극(510_2b), 반도체층(509_2b2), 및 반도체층(509_2a2)과 중첩한다. 또한 반도체층(509_2c)의 제 3 영역은 채널 형성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층(509_2c) 위에 절연층(511_2)을 가지고, 절연층(511_2) 위에 전극(512_2)을 가진다. 절연층(511_2) 및 전극(512_2)은 반도체층(509_2c)의 제 3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전극(512_2) 위에 절연층(513_2)을 가진다. 절연층(511_2) 및 절연층(513_2)은 전극(512_2)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며 이 연장 부분에서 서로 접하는 영역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층(509_2c) 및 절연층(513_2) 위에 절연층(514)이 제공되고, 절연층(514) 위에 절연층(515)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반도체층(509_2c), 및 층(529_2a)에 제공된, 전극(510_2a)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2a)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반도체층(509_2c), 및 층(529_2b)에 제공된, 전극(510_2b)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2b)이 제공된다. 또한 절연층(515), 절연층(514), 및 절연층(513_2)에 제공된, 전극(512_2)과 중첩되는 개구에 전극(516_2c)이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층(515) 위에 전극(517_2a), 전극(517_2b), 및 전극(517_2c)이 제공된다. 전극(517_2a)은 전극(516_2a)을 통하여 전극(510_2a)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극(517_2b)은 전극(516_2b)을 통하여 전극(510_2b)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극(517_2c)은 전극(516_2c)을 통하여 전극(512_2)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트랜지스터(100)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200)에서도 전극(505_2) 또는 전극(512_2) 중 한쪽은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백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506), 절연층(507), 절연층(508), 및 절연층(511_2)은 각각이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505_2) 또는 전극(512_2) 중 한쪽을 '게이트 전극' 또는 '게이트'라고 하는 경우, 다른 한쪽을 '백 게이트 전극' 또는 '백 게이트'라고 한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200)에서 전극(505_2)을 '게이트 전극'이라고 하는 경우, 전극(512_2)을 '백 게이트 전극'이라고 한다. 전극(512_2)을 '게이트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트랜지스터(200)를 톱 게이트형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00)에서는 반도체층(509b)에 채널이 형성된다. 또한 트랜지스터(200)에서는 반도체층(509c)에 채널이 형성된다. 반도체층(509b)과 반도체층(509c)은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b)과 반도체층(509c)에 물리적 성질이 상이한 반도체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100)와 트랜지스터(200)의 전기 특성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509b)과 반도체층(509c)의 각각에 에너지 밴드 갭이 상이한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100)와 트랜지스터(200)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도체층(509c)에 반도체층(509b)보다 전자 친화력이 작은 반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200)의 Vth를 트랜지스터(100)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층(509c)이 In-M-Zn 산화물(In과 원소 M 및 Zn을 포함하는 산화물)이고, 반도체층(509b)도 In-M-Zn 산화물인 경우, 반도체층(509c)을 In:M:Zn=X1:Y1:Z1[원자수비], 반도체층(509b)을 In:M:Zn=X2:Y2:Z2[원자수비]로 하면 Y1/X1이 Y2/X2보다 커지는 반도체층(509c) 및 반도체층(509b)을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은 In-M-Zn 산화물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200)의 Vth를 트랜지스터(100)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도 24에서 트랜지스터(200)는 제 1 게이트로서 기능하는 전극(512_2)과 제 2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전극(505_2)을 가지지만, 트랜지스터(200)는 전극(512_2)과 전극(505_2) 중 어느 한쪽만 가져도 좋다. 예를 들어 전극(505_2)만을 가져도 좋다. 제 1 게이트 측의 절연막과 비교하여 제 2 게이트 측의 게이트 절연막이 더 두꺼운 경우에는 제 2 게이트 측의 절연막의 내압이 더 높은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2 등에 나타낸 전압 유지부(43)가 가지는 트랜지스터(FE1) 및 트랜지스터(FE2)로서 높은 게이트 전압에 대한 내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극(505_2)에만 높은 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전극(512_2)을 제공하지 않고 전극(505_2)만을 제공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반도체 장치의 구조예>
다음에,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구조예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25는 반도체 장치의 셀 어레이(44)가 가지는 메모리 셀로서 메모리 셀(209)을 사용하고, 메모리 셀(209)이 가지는 트랜지스터(MW1)로서 트랜지스터(100)를 사용하고, 전압 유지부(43)의 트랜지스터(FE1) 및 트랜지스터(FE2)로서 트랜지스터(200)를 사용한 경우의 반도체 장치(300)의 단면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트랜지스터(FE1), 트랜지스터(FE2), 및 트랜지스터(MW1)는 n채널형 OS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랜지스터(FE2)의 문턱값은 트랜지스터(MW1)의 문턱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FE1)의 문턱값은 트랜지스터(MW1)의 문턱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지스터(FE1) 및 트랜지스터(FE2)의 문턱값을 크게 함으로써 컷 오프 전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전압 유지부(43)의 유지 특성을 높일 수 있다(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MW1)는 전압 유지부(43)로부터 공급되는 음전위를 트랜지스터(MW1)의 백 게이트에 공급함으로써 컷 오프 전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도 25에서 반도체 장치(300)는 기판(501) 위에 절연층(502) 및 절연층(503)을 개재하여 트랜지스터(FE1), 트랜지스터(FE2), 및 트랜지스터(MW1)를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FE1), 트랜지스터(FE2), 및 트랜지스터(MW1) 위에 절연층(515) 및 절연층(439)을 가지고, 절연층(439) 위에 전극(441) 및 전극(427) 등의 전극을 가진다. 또한 전극(441) 및 전극(427) 등의 전극을 덮는 절연층(442)을 가진다. 또한 절연층(442) 위에 전극(441)을 덮는 전극(443) 등의 전극을 가진다.
전극(441), 절연층(442), 및 전극(443)이 중첩되는 영역이 용량 소자(CA1)로서 기능한다. 전극(441)을 덮어 전극(443)을 제공함으로써 전극(441)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용량 소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연층(442)을 끼워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용량 소자(CA2) 및 용량 소자(CS1)를 제공한다.
또한 전극(443) 및 절연층(442) 위에 절연층(437)을 가지고, 절연층(437) 위에 전극(429)을 가지고, 전극(429) 위에 절연층(438)을 가진다. 전극(429)은 절연층(437)의 일부에 제공된 전극(428)을 통하여 전극(42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트랜지스터(100), 트랜지스터(200)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나타낸 트랜지스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나타낸 트랜지스터(MW1) 및 용량 소자(CS1)의 구조는 메모리 셀(227)이 가지는 트랜지스터(MW2) 및 용량 소자(CS2), 메모리 셀(241)이 가지는 트랜지스터(MW3) 및 용량 소자(CS3), 메모리 셀(242)이 가지는 트랜지스터(MW5) 및 용량 소자(CS5), 또는 메모리 셀(243)이 가지는 트랜지스터(MW6) 및 용량 소자(CS6)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5에서 용량 소자(CA1)가 가지는 전극(441)은 다른 전극을 통하여 트랜지스터(FE1)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트랜지스터(FE1)의 게이트와 접속된다. 또한 용량 소자(CA2)의 한쪽 전극은 다른 전극을 통하여 트랜지스터(FE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트랜지스터(FE2)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MW1)의 백 게이트와 접속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FE2)의 백 게이트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프런트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도 26에는 반도체 장치(300)에서 도 24의 W3-W4 방향에 상당하는 트랜지스터(FE2)의 단면을 나타내었다.
도 27에 반도체 장치(300)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27에서 트랜지스터(581) 등의 Si 트랜지스터 위에 절연층이 제공되고, 이 절연층 위에 트랜지스터(FE1), 트랜지스터(FE2), 트랜지스터(MW1) 등의 OS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트랜지스터(581)는 예를 들어 셀 어레이(223)가 가지는 트랜지스터(MR2) 등의 트랜지스터, 반도체 장치(300)가 가지는 회로의 Si 트랜지스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실시형태 1에 나타낸 콤퍼레이터가 가지는 OS 트랜지스터에 적용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300)는 기판(501)으로서 n형 반도체를 사용한다. 트랜지스터(581)는 채널 형성 영역(583),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585), 절연층(586), 전극(587), 측벽(588)을 가진다. 또한 절연층(586)을 개재하여 측벽(588)과 중첩되는 영역에 저농도 p형 불순물 영역(584)을 가진다. 절연층(586)은 게이트 절연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극(587)은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581)는 채널 형성 영역(583)이 기판(501)의 일부에 형성된다.
저농도 p형 불순물 영역(584)은 전극(587) 형성 후, 측벽(588)을 형성하기 전에 전극(587)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불순물 원소를 도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저농도 p형 불순물 영역(584)은 상황에 따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트랜지스터(581)는 소자 분리층에 의하여 다른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소자 분리층의 형성은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법이나 STI(Shallow Trench Isolation)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581)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581) 위에 절연층(593)이 형성되고, 절연층(593) 위에 절연층(594)이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593) 및 절연층(594)은 산소, 수소, 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의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593)과 절연층(594)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하여도 좋고, 절연층을 더 적층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의 예를 나타내지만 기판(501) 위에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는 절연층(594) 위에 평탄한 표면을 가지는 절연층(595)을 가진다.
또한 절연층(595) 위에 전극(522) 등이 형성된다. 또한 전극(522) 등은 콘택트 플러그(521) 등을 통하여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585)의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절연층(595) 위에 절연층(531), 절연층(532), 절연층(533), 절연층(534), 절연층(535), 및 절연층(536)을 가진다. 또한 반도체 장치(300)는 절연층(595) 위에 전극(522) 및 전극(524)을 가진다. 전극(522)은 절연층(531) 및 절연층(532)에 매립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전극(522)은 절연층(593), 절연층(594), 및 절연층(595)에 제공된 콘택트 플러그(52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5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524)은 절연층(535)에 매립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전극(524)은 절연층(533) 및 절연층(534)에 제공된 전극(523)을 통하여 전극(5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예에서는 트랜지스터(581)의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전극(587)을 플러그 및 전극을 통하여 용량 소자(CS1)의 한쪽 전극에 접속된다.
<변형예>
도 28에는 도 25와는 상이한 구조의 트랜지스터(100) 및 트랜지스터(200)를 사용한 경우의 반도체 장치(300)의 단면 구조의 예를 나타내었다. 도 28에 나타낸 트랜지스터(100) 및 트랜지스터(200)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도 29에 나타내었다.
도 29에 나타낸 트랜지스터(200)는 제 1 게이트로서 기능하는 전극(512_2)과 제 2 게이트로서 기능하는 전극(505_2)을 가진다. 전극(505_2)과 같은 층에 형성되는 전극(505_3a) 및 전극(505_3b)은 트랜지스터(200)의 소스 및 드레인으로서 기능한다. 반도체층(509_2c)은 하면에서 전극(505_3a) 및 전극(505_3b)과 접한다.
전극(512_1) 및 전극(512_2)은 절연층(513_1) 및 절연층(513_2)으로 덮이고 절연층(513_1), 절연층(513_2), 층(529_1a), 및 층(529_1b)은 절연층(519)으로 덮인다. 절연층(519)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절연층(515)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층(503), 절연층(519), 및 절연층(515)은 2층 이상의 상이한 재료의 적층막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상이한 성막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을 사용한 산화 알루미늄과 ALD법을 사용한 산화 알루미늄과의 적층으로 하여도 좋다.
도 28에서 트랜지스터(FE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으로서 기능하는 전극은 트랜지스터(FE2)의 게이트 및 용량 소자(CA2)의 한쪽 전극과 콘택트 플러그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FE2)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으로서 기능하는 전극은 트랜지스터(MW1)의 제 2 게이트로서 기능한다.
<구성 재료에 대한 설명>
이하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층)
반도체층(509)으로서 단결정 반도체, 다결정 반도체, 미결정 반도체, 또는 비정질 반도체 등을 단체(單體)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저마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저마늄, 탄소화 실리콘, 갈륨 비소, 산화물 반도체, 질화물 반도체 등의 화합물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b), 및 반도체층(509c)에 각각 상이한 결정 상태를 가지는 반도체를 사용하여도 좋고 각각 상이한 반도체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하, 반도체층(509a)에 관한 기재는 반도체층(509_1a), 반도체층(509_2a1), 및 반도체층(509_2a2)에, 반도체층(509b)에 관한 기재는 반도체층(509_1b), 반도체층(509_2b1), 및 반도체층(509_2b2)에, 반도체층(509c)에 관한 기재는 반도체층(509_1c) 및 반도체층(509_2c)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의 에너지 밴드 갭은 2eV 이상 있으므로 반도체층(509)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면 오프 전류가 매우 작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전압이 3.5V이고 실온(대표적으로는, 25℃)하에서, 채널 폭 1μm당 오프 전류를 1×10-20A 미만, 1×10-22A 미만, 또는 1×10-24A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즉, 온/오프비를 20자릿수 이상 150자릿수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에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소스와 드레인 간의 절연 내압이 높다. 따라서 신뢰성이 양호한 트랜지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이 크며, 내압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양호한 반도체 장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이 크며, 고내압의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층(509)으로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산화물 반도체)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에 대해 설명한다. 산화물 반도체는 적어도 인듐 또는 아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듐 및 아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에 더하여 알루미늄, 갈륨, 이트륨, 또는 주석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또는 마그네슘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이 포함되어도 좋다.
여기서 산화물 반도체가 인듐, 원소 M, 및 아연을 가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한 원소 M은 알루미늄, 갈륨, 이트륨, 또는 주석 등으로 한다. 원소 M에 적용할 수 있는 이들 외의 원소로서는 붕소, 실리콘,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마그네슘 등이 있다. 다만 원소 M으로서 상술한 원소를 복수 조합하여도 좋은 경우가 있다.
<구조>
산화물 반도체는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와 이 외의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나눠진다.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CAAC-OS(c-axis aligne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nc-OS(nano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a-like OS(amorphous-like oxide semiconductor), 및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등이 있다.
CAAC-OS는 c축 배향성을 가지며, a-b면 방향에서 복수의 나노 결정이 연결됨으로써 왜곡을 가진 결정 구조를 가진다. 또한 왜곡이란 복수의 나노 결정이 연결되는 영역에서, 격자 배열이 정렬된 영역과 다른 격자 배열이 정렬된 영역 사이에서 격자 배열의 방향이 변화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나노 결정은 육각형을 기본으로 하지만 정육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비정육각형인 경우가 있다. 또한 왜곡은 오각형 및 칠각형 등의 격자 배열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CAAC-OS의 왜곡 근방에서도 명확한 결정립계(grain boundary라고도 함)를 확인할 수는 없다. 즉 격자 배열의 왜곡에 의하여 결정립계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CAAC-OS가 a-b면 방향에서 산소 원자의 배열이 조밀하지 않은 것이나 금속 원소가 치환됨으로써 원자 간의 결합 거리가 변화되는 것 등에 의하여 왜곡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CAAC-OS는 인듐 및 산소를 가지는 층(이하, In층)과 원소 M, 아연, 및 산소를 가지는 층(이하, (M, Zn)층)이 적층된 층상의 결정 구조(층상 구조라고도 함)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듐과 원소 M은 서로 치환할 수 있고 (M, Zn)층의 원소 M이 인듐과 치환된 경우, (In, M, Zn)층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In층의 인듐이 원소 M과 치환된 경우, (In, M)층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nc-OS는 미소한 영역(예를 들어 1nm 이상 10nm 이하의 영역, 특히 1nm 이상 3nm 이하의 영역)에서 원자 배열에 주기성을 가진다. 또한 nc-OS는 상이한 나노 결정 간에서 결정 방위에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막 전체에서 배향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nc-OS는, 분석 방법에 따라서는 a-like OS나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와 구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like OS는 nc-OS와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의 중간의 구조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이다. a-like OS는 공동(void) 또는 저밀도 영역을 가진다. 즉 a-like OS는 nc-OS 및 CAAC-OS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낮다.
산화물 반도체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각각이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 a-like OS, nc-OS, CAAC-OS 중 2종 이상을 가져도 좋다.
<원자수비>
다음에 도 30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가 가지는 인듐, 원소 M, 및 아연의 원자수비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0의 (A) 내지 (C)에는 산소의 원자수비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는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가 가지는 인듐, 원소 M, 및 아연의 원자수비 각각의 항을 [In], [M], 및 [Zn]으로 한다.
도 30의 (A) 내지 (C)에서 파선은 [In]:[M]:[Zn]=(1+α):(1-α):1의 원자수비(-1≤α≤1)가 되는 라인, [In]:[M]:[Zn]=(1+α):(1-α):2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In]:[M]:[Zn]=(1+α):(1-α):3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In]:[M]:[Zn]=(1+α):(1-α):4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및 [In]:[M]:[Zn]=(1+α):(1-α):5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일점쇄선은 [In]:[M]:[Zn]=5:1:β의 원자수비(β≥0)가 되는 라인, [In]:[M]:[Zn]=2:1:β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In]:[M]:[Zn]=1:1:β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In]:[M]:[Zn]=1:2:β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In]:[M]:[Zn]=1:3:β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 및 [In]:[M]:[Zn]=1:4:β의 원자수비가 되는 라인을 나타낸다.
또한 도 30의 (A) 내지 (C)에 나타낸 [In]:[M]:[Zn]=0:2:1의 원자수비 및 그 근방값의 산화물 반도체는 스피넬형의 결정 구조를 가지기 쉽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 중에 복수의 상이 공존하는 경우가 있다(2상 공존, 3상 공존 등). 예를 들어 원자수비가 [In]:[M]:[Zn]=0:2:1의 근방값인 경우, 스피넬형의 결정 구조와 층상의 결정 구조와의 2상이 공존되기 쉽다. 또한 원자수비가 [In]:[M]:[Zn]=1:0:0의 근방값인 경우, 빅스비아이트(bixbyite)형 결정 구조와 층상 결정 구조의 2상이 공존되기 쉽다. 산화물 반도체 중에 복수의 상이 공존하는 경우, 상이한 결정 구조 간에서 결정립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30의 (A)에 나타낸 영역 A는 산화물 반도체가 가지는 인듐, 원소 M, 및 아연의 원자수비의 바람직한 범위의 일례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의 함유율을 높임으로써 산화물 반도체의 캐리어 이동도(전자 이동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듐의 함유율이 높은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의 함유율이 낮은 산화물 반도체와 비교하여 캐리어 이동도가 높아진다.
한편, 산화물 반도체의 인듐 및 아연의 함유율이 낮아지면 캐리어 이동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원자수비가 [In]:[M]:[Zn]=0:1:0 및 그 근방값인 경우(예를 들어 도 30의 (C)에 나타낸 영역 C)에서는 절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는 캐리어 이동도가 높으며 결정립계가 적은 층상 구조를 가지기 쉬운, 도 30의 (A)에 나타낸 영역 A에 나타내어지는 원자수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0의 (B)에 나타낸 영역 B에서는, 영역 A 중에서도 CAAC-OS를 가지기 쉽고, 캐리어 이동도도 높은 우수한 산화물 반도체가 얻어진다.
CAAC-OS는 결정성이 높은 산화물 반도체이다. 한편, CAAC-OS는 명확한 결정립계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결정립계에 기인하는 전자 이동도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의 결정성은 불순물의 혼입이나 결함의 생성 등으로 인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CAAC-OS는 불순물이나 결함(산소 결손 등)이 적은 산화물 반도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CAAC-OS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는 물리적 성질이 안정된다. 그러므로 CAAC-OS를 가지는 산화물 반도체는 열에 대한 내성이 높고 신뢰성이 높다.
또한 영역 B는 [In]:[M]:[Zn]=4:2:3 내지 4.1, 및 그 근방값을 포함한다. 근방값에는 예를 들어 [In]:[M]:[Zn]=5:3:4가 포함된다. 또한 영역 B는 [In]:[M]:[Zn]=5:1:6 및 그 근방값, 및 [In]:[M]:[Zn]=5:1:7 및 그 근방값을 포함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가 가지는 성질은 원자수비에 따라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원자수비가 같더라도 형성 조건에 따라 산화물 반도체의 성질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를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여 성막하는 경우, 표적의 원자수비에서 벗어난 원자수비의 막이 형성된다. 또한 성막 시의 기판 온도에 따라서는 표적의 [Zn]보다 막의 [Zn]이 작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가 특성을 가지는 경향이 있는 원자수비를 나타낸 영역이고, 영역 A 내지 C의 경계는 엄밀하지 않다.
[산화물 반도체를 가지는 트랜지스터]
이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에 사용함으로써 결정립계에서의 캐리어 산란 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에는 캐리어 밀도가 낮은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물 반도체막의 캐리어 밀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산화물 반도체막 중의 불순물 농도를 낮게 하여 결함 준위 밀도를 낮게 하면 좋다. 본 명세서 등에서, 불순물 농도가 낮고 결함 준위 밀도가 낮은 것을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의 캐리어 밀도를 8×1011/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1/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0/cm3 미만이며, 1×10-9/cm3 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는 결함 준위 밀도가 낮기 때문에 트랩 준위 밀도도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의 트랩 준위에 포획된 전하는 소실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 마치 고정 전하처럼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트랩 준위 밀도가 높은 산화물 반도체에 채널 영역이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는 전기 특성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불순물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 내의 불순물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근접한 막 내의 불순물 농도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로서는, 수소, 질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철, 니켈, 실리콘 등이 있다.
<불순물>
여기서 산화물 반도체에서 각 불순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산화물 반도체에 제 14족 원소 중 하나인 실리콘이나 탄소가 포함되면, 산화물 반도체에서 결함 준위가 형성된다. 그래서, 산화물 반도체에서의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와, 산화물 반도체와의 계면 근방에서의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SIMS: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측정되는 농도)를 2×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7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에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 포함되면, 결함 준위를 형성하고, 캐리어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이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normally-on) 특성을 가지기 쉽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 내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를 1×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6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에 질소가 포함되면, 캐리어인 전자가 생겨 캐리어 밀도가 증가됨으로써 n형화되기 쉽다. 결과적으로, 질소가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에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을 가지기 쉽다. 따라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에서 질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질소 농도를 5×1019atoms/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17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에 포함되는 수소는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물이 되기 때문에, 산소 결손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결손에 수소가 들어감으로써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소의 일부가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소가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을 가지기 쉽다. 그러므로 산화물 반도체 내의 수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수소 농도를 1×1020atoms/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9atoms/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미만으로 한다.
불순물이 충분히 저감된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에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전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트랜지스터에 사용함으로써 입계에서의 캐리어 산란 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이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에는 캐리어 밀도가 낮은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화물 반도체는 캐리어 밀도를 8×1011/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1/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0/cm3 미만이며, 1×10-9/cm3 이상으로 하면 좋다.
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음으로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산화물 반도체의 캐리어 밀도를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물 반도체의 캐리어 밀도를 낮게 하는 경우에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불순물 농도를 낮게 하여 결함 준위 밀도를 낮게 하면 좋다. 본 명세서 등에서, 불순물 농도가 낮고 결함 준위 밀도가 낮은 것을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이라고 한다. 고순도 진성의 산화물 반도체의 캐리어 밀도로서는 8×1015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1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1010cm-3 미만이며 1×10-9cm-3 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는 캐리어 발생원이 적어 캐리어 밀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고순도 진성 또는 실질적으로 고순도 진성인 산화물 반도체는 결함 준위 밀도가 낮기 때문에 트랩 준위 밀도도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트랜지스터의 전기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불순물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적이다.
산화물 반도체 내의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와 산화물 반도체의 계면 근방의 실리콘이나 탄소의 농도(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측정되는 농도)는 2×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7atoms/cm3 이하이다.
또한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농도는 1×1018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16atoms/cm3 이하이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에 질소가 포함되면, 캐리어인 전자가 생겨 캐리어 밀도가 증가됨으로써 n형화되기 쉽다. 결과적으로, 질소가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에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을 가지기 쉽다. 따라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에서 질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질소 농도를 5×1019atoms/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17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에 포함되는 수소는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물이 되기 때문에, 산소 결손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산소 결손에 수소가 들어감으로써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소의 일부가 금속 원자와 결합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캐리어인 전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소가 포함되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트랜지스터는 노멀리 온 특성을 가지기 쉽다. 그러므로 산화물 반도체 내의 수소는 가능한 한 저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MS에 의하여 측정되는 산화물 반도체 내의 수소 농도를 1×1020atoms/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1019atoms/cm3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미만으로 한다.
반도체층(509b)에는 예를 들어, 에너지 밴드 갭이 큰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다. 반도체층(509b)의 에너지 밴드 갭은 예를 들어, 2.5eV 이상 4.2eV 이하, 바람직하게는 2.8eV 이상 3.8e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eV 이상 3.5eV 이하로 한다.
반도체층(509)을 스퍼터링법으로 성막하는 경우, 표적의 원자수비를 In:M:Zn=3:1:1, 3:1:2, 3:1:4, 1:1:0.5, 1:1:1, 1:1:2, 1:4:4, 4:2:4.1, 1:3:2, 1:3:4 등으로 하면 좋다.
반도체층(509)을 스퍼터링법으로 성막하는 경우에는, 표적의 원자수비로부터 어긋난 원자수비를 가지는 막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아연은 표적의 원자수비보다 막의 원자수비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적에 포함되는 아연의 원자수비의 40atomic% 이상 90atomic% 정도 이하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은 반도체층(509b)을 구성하는 산소 외의 원소 중 1종류 이상의 동일한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면, 반도체층(509a)과 반도체층(509b)의 계면, 및 반도체층(509c)과 반도체층(509b)의 계면에 계면 준위가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계면에서 캐리어가 산란되거나 포획되기 어려워,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하, 'Vth'라고도 함)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전기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b)이 In-M-Zn 산화물(In, 원소 M, Zn을 포함하는 산화물)이고,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도 In-M-Zn 산화물일 때,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을 In:M:Zn=X1:Y1:Z1[원자수비]로 하고, 반도체층(509b)을 In:M:Zn=X2:Y2:Z2[원자수비]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Y1/X1이 Y2/X2보다 커지는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c), 및 반도체층(509b)을 선택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Y1/X1이 Y2/X2보다 1.5배 이상 커지는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c), 및 반도체층(509b)을 선택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Y1/X1이 Y2/X2보다 2배 이상 커지는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c), 및 반도체층(509b)을 선택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Y1/X1이 Y2/X2보다 3배 이상 커지는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c), 및 반도체층(509b)을 선택한다. 이때 반도체층(509b)에서 Y2가 X2 이상이면 트랜지스터에 안정된 전기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만 Y2가 X2의 5배 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전계 효과 이동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Y2는 X2의 5배 미만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을 상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을 반도체층(509b)보다 산소 결손이 발생되기 어려운 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a)이 In-M-Zn 산화물일 때, In 및 M의 합을 100atomic%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In이 50atomic% 미만, M이 50atomic%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In이 25atomic% 미만, M이 75atomic%보다 높게 한다. 또한 반도체층(509b)이 In-M-Zn 산화물일 때, In 및 M의 합을 100atomic%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In이 25atomic%보다 높고, M이 75atomic%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In이 34atomic%보다 높고, M이 66atomic% 미만으로 한다. 또한 반도체층(509c)이 In-M-Zn 산화물일 때, In 및 M의 합을 100atomic%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In이 50atomic% 미만, M이 50atomic%보다 높고, 더 바람직하게는 In이 25atomic% 미만, M이 75atomic%보다 높게 한다. 또한 반도체층(509c)에는 반도체층(509a)과 같은 종류의 산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In 또는 Ga를 포함하는 반도체층(509a) 및 In 또는 Ga를 포함하는 반도체층(509c)으로서, 원자수비가 In:Ga:Zn=1:3:2, 1:3:4, 1:3:6, 1:4:5, 1:6:4, 또는 1:9:6 등인 표적을 사용하여 형성한 In-Ga-Zn 산화물이나, 원자수비가 In:Ga=1:9 또는 7:93 등인 표적을 사용하여 형성한 In-Ga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b)으로서 예를 들어, 원자수비가 In:Ga:Zn=1:1:1 또는 In:Ga:Zn=3:1:2 등인 표적을 사용하여 형성한 In-Ga-Zn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b), 및 반도체층(509c)의 원자수비는 각각 상기 원자수비의 ±20%의 오차 변동을 포함한다.
반도체층(509b)으로서는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보다 전자 친화력이 큰 산화물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509b)에는 반도체층(509a) 및 반도체층(509c)보다 전자 친화력이 0.07eV 이상 1.3eV 이하, 바람직하게는 0.1eV 이상 0.7e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5eV 이상 0.4eV 이하 큰 산화물을 사용한다. 또한 전자 친화력이란 진공 준위와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의 차이이다.
또한, 인듐 갈륨 산화물은 전자 친화력이 작고 산소 차단성이 높다. 그러므로, 반도체층(509c)이 인듐 갈륨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륨 원자 비율[Ga/(In+Ga)]은 예를 들어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한다.
반도체층(509a) 또는/및 반도체층(509c)이 산화 갈륨이라도 좋다. 산화 갈륨을 사용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오프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면 트랜지스터(100)에서는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b), 반도체층(509c) 중 전자 친화력이 큰 반도체층(509b)에 채널이 형성된다.
또한 층(529)(층(529_1a), 층(529_1b), 층(529_2a), 층(529_2b))을 반도체층(509)과 같은 재료 및 방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층(529)에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소가 방출되기 어려운 및/또는 흡수되기 어려운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_1a), 반도체층(509_1b), 및 반도체층(509_1c)의 적층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도체층(509)의 기능 및 그 효과에 대해,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의 (A)에는, 도 23의 (B) 및 (C)에 A1-A2로서 나타낸 일점쇄선 부분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내었다. 즉 도 31의 (A)는 트랜지스터(100)의 채널 형성 영역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의 (A) 중 Ec382, Ec383a, Ec383b, Ec383c, Ec386은 각각 절연층(508), 반도체층(509_1a), 반도체층(509_1b), 반도체층(509_1c), 절연층(511_1)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절연층(508)과 절연층(511_1)은 절연물이기 때문에 Ec382와 Ec386은 Ec383a, Ec383b, 및 Ec383c 보다 진공 준위에 가깝다(전자 친화력이 작다).
또한 Ec383a는 Ec383b보다 진공 준위에 가깝다. 구체적으로는 Ec383a는 Ec383b보다 0.07eV 이상 1.3eV 이하, 바람직하게는 0.1eV 이상 0.7e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5eV 이상 0.4eV 이하 진공 준위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c383c는 Ec383b보다 진공 준위에 가깝다. 구체적으로는 Ec383c는, Ec383b보다 0.07eV 이상 1.3eV 이하, 바람직하게는 0.1eV 이상 0.7eV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5eV 이상 0.4eV 이하 진공 준위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지스터(100)는 s-channel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반도체층(509_1b) 전체에 채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반도체층(509_1b)이 두꺼울수록 채널 형성 영역은 커진다. 즉 반도체층(509_1b)이 두꺼울수록 트랜지스터(100)의 온 전류를 높게 할 수 있다. 반도체층(509_1b)의 두께는 5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nm 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100)의 온 전류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층(509_1c)의 두께는 얇을수록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_1c)의 두께는 20n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nm 이하로 하면 좋다. 한편, 반도체층(509_1c)은 인접한 절연체에 포함되는 산소 외의 원소(수소, 실리콘 등)가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509_1b)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반도체층(509_1c)은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_1c)의 두께는 0.3nm 이상, 바람직하게는 1n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nm 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도체층(509_1a)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509_1a)의 두께는 10n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nm 이상으로 하면 좋다. 반도체층(509_1a)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인접한 절연체(절연층(508))와 반도체층(509_1a)의 계면에서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층(509_1b)까지의 거리를 멀리할 수 있다. 다만 트랜지스터(100) 또는 트랜지스터(100)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층(509_1a)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로 하면 좋다.
도 31의 (B)는 도 23의 (D)에 B1-B2로서 나타낸 일점쇄선 부분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1의 (B)는 반도체층(509_1b) 측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의 (B) 중 Ec387, Ec383c, Ec383b는 각각 절연층(514), 반도체층(509_1c), 반도체층(509_1b)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반도체층(509_1b)의 측면과 절연층(514)의 계면 근방에는 불순물이나 결함에 기인한 트랩 준위(390)가 형성될 수 있지만 반도체층(509_1c)이 있음으로써 반도체층(509_1b)의 측면과 상기 트랩 준위를 멀리 할 수 있다.
도 32는 도 24의 (C)에 C1-C2로서 나타낸 일점쇄선 부분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2는 트랜지스터(200)의 채널 형성 영역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2 중 Ec382, Ec383c, Ec386은 각각 절연층(508), 반도체층(509_2c), 절연층(511_2)의 전도대 하단의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트랜지스터(200)에서는 반도체층(509_2c)의 채널이 형성되는 영역이 절연층(508)과 절연층(511_2)에 직접 접하기 때문에 계면 산란이나 트랩 준위(390)의 영향을 미치기 쉽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00)는 트랜지스터(100)보다 온 전류나 전계 효과 이동도가 작아진다. 또한 트랜지스터(200)는 트랜지스터(100)보다 Vth가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랜지스터(100)의 반도체층을 상술한 3층 구조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을 반도체층(509_1a) 또는 반도체층(509_1c) 중 한쪽이 없는 2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는 반도체층(509_1a), 반도체층(509_1b), 및 반도체층(509_1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단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는 반도체층(509_1a) 위 또는 아래, 또는 반도체층(509_1c) 위 또는 아래에 상술한 반도체층 중 어느 한쪽을 가지는 4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는 반도체층(509a) 위, 반도체층(509a) 아래, 반도체층(509c) 위, 및 반도체층(509c) 아래 중 어느 2군데 이상에 반도체층(509a), 반도체층(509b), 및 반도체층(509c)으로서 예시한 반도체층 중 어느 한쪽을 가지는 n층 구조(n은 5 이상의 정수(整數))로 하여도 좋다.
(기판)
기판(501)으로서 사용하는 재료에 큰 제한은 없지만 적어도 나중에 행하는 가열 처리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기판(501)으로서 실리콘이나 탄소화 실리콘 등을 재료로 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 다결정 반도체 기판, 및 실리콘 저마늄 등을 재료로 한 화합물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SOI 기판이나 반도체 기판 위에 스트레인드 트랜지스터(strained transistor)나 FIN형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 것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EMT: high-electron-mobility Transistor)에 적용할 수 있는 비소화 갈륨, 비소화 알루미늄 갈륨, 비소화 인듐 갈륨, 질화 갈륨, 인화 인듐, 실리콘 저마늄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즉 기판(501)은 단순한 지지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트랜지스터 등의 디바이스가 형성된 기판이라도 좋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100) 및/또는 트랜지스터(200)의 게이트, 소스, 또는 드레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기판(501)으로서 바륨보로실리케이트 유리나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등의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석영 기판, 사파이어 기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501)으로서 가요성 기판(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요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가요성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나 용량 소자 등을 직접 제작하여도 좋고, 다른 제작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나 용량 소자 등을 제작하고, 그 후 가요성 기판에 박리, 전치(轉置)하여도 좋다. 또한 제작 기판에서 가요성 기판에 박리, 전치하기 위해 제작 기판과 트랜지스터나 용량 소자 등 사이에 박리층을 제공하면 좋다.
가요성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합금, 수지, 또는 유리, 또는 이들의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501)에 사용하는 가요성 기판은 선팽창률이 낮을수록 환경으로 인한 변형이 억제되어 바람직하다. 기판(501)에 사용하는 가요성 기판은 예를 들어 선팽창률이 1×10-3/K 이하, 5×10-5/K 이하, 또는 1×10-5/K 이하인 재질을 사용하면 좋다.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나일론, 아라미드 등),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등이 있다. 특히 아라미드는 선팽창률이 낮기 때문에 가요성 기판으로서 적합하다.
(절연층)
절연층(502) 내지 절연층(504), 절연층(506) 내지 절연층(508), 절연층(511_1) 및 절연층(511_2)(이하, 절연층(511)이라고 기재함), 절연층(513_1), 절연층(513_2), 절연층(514), 및 절연층(515)은 질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질화산화 알루미늄, 산화질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질화 실리콘, 산화 실리콘, 질화산화 실리콘, 산화질화 실리콘,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산화 탄탈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에서 선택된 재료를, 단층 또는 적층하여 사용한다. 또한 산화물 재료, 질화물 재료, 산화질화물 재료, 질화산화물 재료 중 복수의 재료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질화 산화물이란, 산소보다 질소의 함유량이 많은 화합물을 가리킨다. 또한 산화 질화물이란, 질소보다 산소의 함유량이 많은 화합물을 가리킨다. 또한 각 원소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RBS: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절연층(502), 및/또는 절연층(503), 및 절연층(515)은 불순물이 투과되기 어려운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붕소, 탄소, 질소, 산소, 불소,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콘, 인, 아르곤, 갈륨, 저마늄, 이트륨, 지르코늄, 란타넘, 네오디뮴, 하프늄, 또는 탄탈럼을 포함하는 절연 재료를 단층 또는 적층하여 사용하면 좋다. 예를 들어 불순물이 투과되기 어려운 절연성 재료로서 산화 알루미늄, 질화 알루미늄, 산화질화 알루미늄, 질화산화 알루미늄, 산화 갈륨, 산화 저마늄, 산화 이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란타넘, 산화 네오디뮴, 산화 하프늄, 산화 탄탈럼, 질화 실리콘 등이 있다.
절연층(502) 및/또는 절연층(503)에 불순물이 투과되기 어려운 절연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기판(501) 측으로부터의 불순물의 확산이 억제되어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층(515)에 불순물이 투과되기 어려운 절연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절연층(515)보다 위에 있는 층으로부터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이 억제되어 트랜지스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층(502), 및/또는 절연층(503), 및 절연층(515)으로서 이들의 재료로 형성되는 절연층을 복수 적층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절연층(502) 또는 절연층(503)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반도체층(509)으로서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반도체층(509) 내의 수소 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 내의 수소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MS에서 절연층 내의 수소 농도를 2×1020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5×1019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9atoms/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이하로 한다. 특히 절연층(504), 절연층(506) 내지 절연층(508), 절연층(511), 및 절연층(514)의 수소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반도체층(509)과 접하는 절연층(508), 절연층(511), 및 절연층(514)의 수소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도체층(509) 내의 질소 농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 내의 질소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SIMS에서 절연층 내의 질소 농도를 5×1019atoms/cm3 이하, 바람직하게는 5×1018atoms/cm3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018atoms/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17atoms/cm3 이하로 한다.
또한 절연층(508), 절연층(511), 및 절연층(514) 중 적어도 하나는 가열에 의하여 산소가 방출되는 절연층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TDS 분석에서 산소 원자로 환산한 산소의 이탈량이 1.0×1018atoms/cm3 이상, 바람직하게는 3.0×1020atoms/cm3 이상인 절연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하여 방출되는 산소를 '과잉 산소'라고도 한다.
또한 절연층(514)으로서 폴리이미드, 아크릴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뷰텐계 수지, 폴리아마이드, 에폭시계 수지 등 내열성을 가지는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재료 외에 저유전율 재료(low-k 재료), 실록산계 수지, PSG(인 유리), BPSG(인 붕소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로 형성되는 절연층을 복수 적층시킴으로써 절연층(514)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층(529)으로서 상기 절연층을 사용하여도 좋다. 층(529)에 절연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소가 방출되기 어려운 및/또는 흡수되기 어려운 절연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전극(505_1), 전극(505_2), 전극(510_1a), 전극(510_1b), 전극(510_2a), 전극(510_2b), 전극(512_1), 전극(512_2), 전극(516_1a), 전극(516_1b), 전극(516_1c), 전극(516_2a), 전극(516_2b), 전극(516_2c), 전극(517_1a), 전극(517_1b), 전극(517_1c), 전극(517_2a), 전극(517_2b), 및 전극(517_2c)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크로뮴, 구리, 은, 금, 백금, 탄랄럼, 니켈, 타이타늄, 몰리브데넘, 텅스텐, 하프늄, 바나듐, 나이오븀, 망가니즈, 마그네슘, 지르코늄, 벨리륨, 인듐 등에서 선택된 금속 원소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 등의 불순물 원소를 함유시킨 다결정 실리콘으로 대표되는 전기 전도도가 높은 반도체, 니켈 실리사이드 등의 실리사이드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금속 원소 및 산소를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금속 원소 및 질소를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질화 타이타늄, 질화 탄탈럼 등의 질소를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산화 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산화 타이타늄을 포함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실리콘을 첨가한 인듐 주석 산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질소를 포함하는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재료로 형성되는 도전층을 복수 적층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극(516)으로서는 예를 들어 텅스텐, 폴리실리콘 등의 매립성이 높은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매립성이 높은 도전성 재료를 타이타늄층, 질화 타이타늄층, 질화 탄탈럼층 등의 배리어층(확산 방지층)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전극(516_1a), 전극(516_1b), 전극(516_1c), 전극(516_2a), 전극(516_2b), 및 전극(516_2c)을 '콘택트 플러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층(529)으로서 상기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층(529)에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산소가 방출되기 어려운 및/또는 흡수되기 어려운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막 방법에 대한 설명>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성 재료,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재료, 또는 반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반도체 재료는 스퍼터링법, 스핀코트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열 CVD법,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 PECVD(Plasma Enhanced CVD)법, 고밀도 플라스마 CVD(High Density Plasma CVD)법, LPCVD(Low Pressure CVD)법, APCVD(Atmospheric Pressure CVD)법 등을 포함함),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 MBE(Molecular Beam Epitaxy)법, 또는 PLD(Pulsed Laser Deposition)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마 CVD법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고품질의 막이 얻어진다. MOCVD법, ALD법, 또는 열 CVD법 등 성막 시에 플라스마를 사용하지 않는 성막 방법을 사용하면 피형성면에 대미지가 생기기 어렵고 또한 걸함이 적은 막이 얻어진다.
또한 ALD법에 의하여 성막하는 경우는 재료 가스로서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트랜지스터
2: 트랜지스터
3: 트랜지스터
4: 트랜지스터
5: 트랜지스터
7: 트랜지스터
8: 트랜지스터
10: 트랜지스터
11: 트랜지스터
12: 트랜지스터
13: 트랜지스터
14: 트랜지스터
15: 트랜지스터
20: 콤퍼레이터
40: 콤퍼레이터
42: 전압 생성부
43: 전압 유지부
44: 셀 어레이
51: 콤퍼레이터
52: 논리 회로
58: 셀렉터
62: 용량 소자
63: 용량 소자
64: 용량 소자
65: 용량 소자
67: 용량 소자
68: 용량 소자
70: 인버터
71: 인버터
72: 인버터
73: 인버터
74: 인버터
75: 인버터
76: 인버터
77: 인버터
78: 인버터
79: 인버터
80a: 차지 펌프
80b: 차지 펌프
100: 트랜지스터
150: 음전위 생성 회로
160: 차지 펌프
170: 클록 버퍼 회로
171: 클록 버퍼 회로
172: LS
200: 트랜지스터
201: 전위생성부
202: 제어부
203: 셀 어레이
204: 감지 증폭 회로
205: 드라이버
206: 메인 증폭기
207: 입출력 회로
208: 주변 회로
209: 메모리 셀
210: 기억 장치
220: 기억 장치
221: 전위 생성부
222: 제어부
223: 셀 어레이
224: 주변 회로
225: 입력 회로
226: 출력 회로
227: 메모리 셀
230: 프리디코더
231: 행 디코더
232: 열 디코더
234: 행 드라이버
235: 열 드라이버
241: 메모리 셀
242: 메모리 셀
243: 메모리 셀
250: MCU
260: PMU
261: 전위 생성 유닛
262: 버스
264: 파워 스위치
265: 파워 스위치
267: 레벨 시프터 및 버퍼 회로
270: 코어
271: 플립플롭
272: 백업 회로
273: 스캔 플립플롭
275: 셀렉터
276: 플립플롭
280: 메모리
281: 제어부
282: 주변 회로
283: 셀 어레이
300: 반도체 장치
382: Ec
383a: Ec
383b: Ec
383c: Ec
386: Ec
387: Ec
390: 트랩 준위
400: 촬상 장치
401: 전위 생성 유닛
402: 제어부
403: 화소 어레이
404: 주변 회로
405: 행 드라이버
406: 열 드라이버
410: 화소
427: 전극
428: 전극
429: 전극
437: 절연층
438: 절연층
439: 절연층
441: 전극
442: 절연층
443: 전극
501: 기판
502: 절연층
503: 절연층
504: 절연층
505_1: 전극
505_2: 전극
505_3a: 전극
505_3b: 전극
506: 절연층
507: 절연층
508: 절연층
509: 반도체층
509_1a: 반도체층
509_1b: 반도체층
509_1c: 반도체층
509_2a1: 반도체층
509_2a2: 반도체층
509_2b1: 반도체층
509_2b2: 반도체층
509_2c: 반도체층
509a: 반도체층
509b: 반도체층
509c: 반도체층
510_1a: 전극
510_1b: 전극
510_2a: 전극
510_2b: 전극
511: 절연층
511_1: 절연층
511_2: 절연층
512_1: 전극
512_2: 전극
513_1: 절연층
513_2: 절연층
514: 절연층
515: 절연층
516: 전극
516_1a: 전극
516_1b: 전극
516_1c: 전극
516_2a: 전극
516_2b: 전극
516_2c: 전극
517_1a: 전극
517_1b: 전극
517_1c: 전극
517_2a: 전극
517_2b: 전극
517_2c: 전극
519: 절연층
521: 콘택트 플러그
522: 전극
523: 전극
524: 전극
529_1a: 층
529_1b: 층
529_2a: 층
529_2b: 층
531: 절연층
532: 절연층
533: 절연층
534: 절연층
535: 절연층
536: 절연층
552_1: 전극
581: 트랜지스터
583: 채널 형성 영역
584: 저농도 p형 불순물 영역
585: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
586: 절연층
587: 전극
588: 측벽
592: 절연층
593: 절연층
594: 절연층
595: 절연층
2010: 정보 단말
2011: 하우징
2012: 표시부
2013: 조작 버튼
2014: 외부 접속 포트
2015: 스피커
2016: 마이크로폰
2020: 무선 신호
2021: 무선 신호
2030: 정보 단말
2031: 하우징
2032: 표시부
2033: 용두
2034: 벨트
2035: 검지부
2040: 정보 단말
2041: 장착부
2042: 하우징
2045: 케이블
2046: 배터리
2047: 표시부
2051: 하우징
2052: 표시부
2053: 키보드
2054: 포인팅 디바이스
2070: 비디오 카메라
2071: 하우징
2072: 표시부
2073: 하우징
2074: 조작 키
2075: 렌즈
2076: 접속부
2110: 휴대 게임기
2111: 하우징
2112: 표시부
2113: 스피커
2114: LED 램프
2115: 조작 버튼
2116: 접속 단자
2117: 카메라
2118: 마이크로폰
2119: 기록 매체 판독부
2150: 전기 냉동 냉장고
2151: 하우징
2152: 냉장실용 도어
2153: 냉동실용 도어
2170: 자동차
2171: 차체
2172: 차륜
2173: 대시보드
2174: 라이트
7000: 전자부품
7001: 리드
7002: 프린트 기판
7004: 회로 기판
7100: 반도체 웨이퍼
7102: 회로 영역
7104: 분리 영역
7106: 분리선
7110: 칩

Claims (14)

  1. 반도체 장치로서,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7 트랜지스터, 제 1 용량 소자 내지 제 4 용량 소자,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콤퍼레이터;
    프런트 게이트 및 백 게이트를 각각 포함하는 제 8 트랜지스터 및 제 9 트랜지스터; 및
    제 5 용량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1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3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4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저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및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입력 단자는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상기 백 게이트,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상기 프런트 게이트 및 상기 백 게이트,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상기 제 5 용량 소자의 한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 상기 제 8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9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 상기 제 8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9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9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 및 원소 M을 포함하고,
    상기 원소 M은 갈륨, 알루미늄, 실리콘, 이트륨, 붕소, 타이타늄, 철, 니켈, 저마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넘, 란타넘, 세륨, 네오디뮴, 하프늄, 탄탈럼, 텅스텐, 마그네슘, 바나듐, 및 베릴륨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상기 채널 형성 영역은 인듐:상기 원소 M=X7:Y7인 원자수비를 가지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상기 채널 형성 영역은 인듐:상기 원소 M=X8:Y8인 원자수비를 가지고,
    X7/Y7은 X8/Y8보다 큰, 반도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콤퍼레이터는 제 10 트랜지스터 및 제 11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콤퍼레이터는 제 10 트랜지스터 및 제 11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0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다른 한쪽 및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트랜지스터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5 용량 소자는 전압 유지부에 포함되는, 반도체 장치.
  10. 반도체 장치로서,
    제 1 트랜지스터 내지 제 7 트랜지스터, 제 1 용량 소자 내지 제 4 용량 소자,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1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제 2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3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4 용량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고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5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저전위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6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 및 상기 제 7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제 1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제 2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력 단자에 음전위인 제 3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양전위인 제 4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력 단자에 은전위인 제 5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양전위인 제 6 전위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 4 전위와 상기 제 6 전위의 차이에 따른 제 7 전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위는 상기 제 4 전위보다 높고,
    상기 제 2 전위는 상기 제 6 전위보다 높은,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 형성 영역은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인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제 8 트랜지스터 및 제 9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제 8 트랜지스터 및 제 9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8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9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한쪽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중 상기 다른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75583A 2016-06-30 2017-06-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67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0650 2016-06-30
JP2016130650 201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32A true KR20180003432A (ko) 2018-01-09
KR102367787B1 KR102367787B1 (ko) 2022-02-24

Family

ID=6080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583A KR102367787B1 (ko) 2016-06-30 2017-06-15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0022B2 (ko)
JP (2) JP2018011294A (ko)
KR (1) KR102367787B1 (ko)
TW (1) TWI7231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2647B2 (en) 2018-12-19 2022-06-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ysteresis comparato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6311B2 (en) * 2015-05-07 2019-0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or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WO2018167601A1 (ja) * 2017-03-13 2018-09-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WO2019186323A1 (ja) * 2018-03-29 2019-10-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記憶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138360B2 (en) * 2018-10-31 2021-10-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filler cell region, method of generating layout diagram and system for same
US11714138B2 (en) 2018-11-22 2023-08-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WO2021001719A1 (ko) * 2019-07-04 2021-01-07
JPWO2022013676A1 (ko) * 2020-07-17 2022-01-20
KR20230041967A (ko) * 2020-07-24 2023-03-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11659709B2 (en) * 2020-08-21 2023-05-23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Single well one transistor and one capaci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integration schem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647A (ja)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11150230A (ja) 1997-11-17 1999-06-02 Nec Corp 負電圧生成回路
JP2012257187A (ja) 2010-08-06 2012-12-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916A (ja) * 1988-08-08 1990-02-16 Nec Corp アナログコンパレータ
JPH06245489A (ja) * 1993-02-15 1994-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定電位発生回路
US5514972A (en) * 1994-10-20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 comparison circuit
US6433712B1 (en) 2001-07-25 2002-08-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ffset error compensation of input signals i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7113017B2 (en) 2004-07-01 2006-09-26 Intersil Americas Inc. Floating gate analog voltage level shift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voltage reference that operates on a low supply voltage
JP4068040B2 (ja) * 2003-10-10 2008-03-26 富士通株式会社 オペアンプ、ラインドライ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237164A (ja) 2004-02-23 2005-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回路
KR101850086B1 (ko) 2011-07-08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비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투 디지털 컨버터
US8947158B2 (en) 2012-09-03 2015-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385592B2 (en) 2013-08-21 2016-07-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harge pump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6111677A (ja) 2014-09-26 2016-06-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無線センサ、及び電子機器
JP6563313B2 (ja) 2014-11-21 2019-08-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613318B1 (ko) 2015-12-28 2023-12-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US9953695B2 (en) 2015-12-29 2018-04-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emiconductor wafer
US10250247B2 (en) 2016-02-10 2019-04-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10236875B2 (en) 2016-04-15 2019-03-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647A (ja) 1994-02-15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US6069518A (en) * 1994-02-15 2000-05-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allowing generation of desired internal voltage at high accuracy
JPH11150230A (ja) 1997-11-17 1999-06-02 Nec Corp 負電圧生成回路
US6229379B1 (en) * 1997-11-17 2001-05-08 Nec Corporation Generation of negative voltage using reference voltage
JP2012257187A (ja) 2010-08-06 2012-12-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US8547771B2 (en) * 2010-08-06 2013-10-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8995174B2 (en) * 2010-08-06 2015-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2647B2 (en) 2018-12-19 2022-06-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ysteresis comparato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US11664786B2 (en) 2018-12-19 2023-05-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ysteresis comparator,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1294A (ja) 2018-01-18
JP7242792B2 (ja) 2023-03-20
TW201812748A (zh) 2018-04-01
US20180005668A1 (en) 2018-01-04
JP2022002397A (ja) 2022-01-06
US10090022B2 (en) 2018-10-02
TWI723187B (zh) 2021-04-01
KR102367787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5773B2 (ja) 半導体装置
JP7242792B2 (ja) コンパレータ、半導体装置
US10693448B2 (en)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11678490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wafe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998447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wafer, and electronic device
US9443564B2 (en)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2020109715A (ja) 電子装置、電子部品、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TWI794834B (zh) 比較電路、半導體裝置、電子元件及電子裝置
US10445227B2 (en) Semiconductor device, sens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002648B2 (en) Memor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275086A1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wafe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250680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230003301A (ko) 메모리 시스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JP2017138979A (ja) 半導体装置、電子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WO2018220471A1 (ja) 記憶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11985828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wafer,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7201661A (ja) 半導体装置、記憶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