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93U -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 Google Patents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93U
KR20180003193U KR2020170002190U KR20170002190U KR20180003193U KR 20180003193 U KR20180003193 U KR 20180003193U KR 2020170002190 U KR2020170002190 U KR 2020170002190U KR 20170002190 U KR20170002190 U KR 20170002190U KR 20180003193 U KR20180003193 U KR 201800031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vaporator
solution
distill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섭
Original Assignee
송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섭 filed Critical 송화섭
Priority to KR2020170002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93U/ko
Publication of KR20180003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단으로 용기를 배치한 증류 농축기에 관한 것으로, 물, 목초액, 한약, 과일즙, 꿀 등을 증류 농축하기 위해 용기 외부 바닥에서 가열 작업을 시행하고, 용기 내부에 브로워를 이용 공기를 흡입 하는 과정에 의해 증발기 내부의 기압을 강하 시켜 용액의 증발을 빠르게 진행하는 저온 증류 농축기로, 증발기 내부의 공기를 송풍기에서 흡입하여, 증류 농축기 용기(b)를 반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증류 농축기 내부, 반 진공상태로 생성된 공간에 의해 기존의 80~100℃이상의 온도에서 시행하던 증류 농축 온도를 40~80℃로 기존의 증류 농축기의 수증기 증발 온도보다 낮은 저온에서 수증기 증발 온도를 40~80℃로 형성 저온에서 용액을 증류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단으로 구성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공기 흡입에 의한 반 진공 상태로 조성하고, 또한 증발기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용기 바닥에서 배출하는 기능을 순환시키는 작용과, 송풍기에서 흡입 후 배출과정에서 항균력 99.9% 기능의 항균 직물 (FITI시험연구원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 H232-14-09604, 발급일자 : 2014-06-30, FITI 시험연구원 항균력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H232-14-09604 발급일자 :2014-06-30) 설치한 공기 정화장치에 의해 항균 기능과 소금을 장치한 공기 정화기에서 냉각에 의한 메탄올 등을 응축, 저장 제거하는 기능의 공기 정화장치를 부착 용액 등을 증류하며 용액 내의 메탄올 페놀 등의 유해 물질 제거와 항균 기능을 가진 공기의 주입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omitted}
본 고안은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는 꿀, 한약, 과일즙, 목초액 등의 용액을 증류, 농축하기 위해 1차 외부 공기의 진입을 차단하는 기능의 개폐기를 가진 용액 주입 용기(a), 2차 공기 주입과 공기흡입 기능을 가진 반 밀폐된 증발용기(b), 3차 개방형의 증류수 저장 용기(d), 등 총 3개의 용기를 3단으로 설치관로로 3단의 설치한 다중 증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 목초액, 한약, 과일즙, 꿀 등(이하 용액으로 통칭함)을 1차 주입용기(a)에서 2차 증발용기(b)에 일정한 높이(y)로 계속적으로 용액을 증발된 만큼 보충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에 관한 것이다.
증류기 또는 농축기는 뚜껑에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뚜껑에 밀폐, 고정 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뚜껑 상부에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를 연결한 형태의 구성과 파이프로 배출된 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 냉 장치에 의해 가열된 증기를 응축수로 만드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종래의 소형 증류기는 가열, 증발기 주위의 단열 부재로, 인해 증기 가열 중 냉각 현상이 발생 증기의 배출량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구조와 또한 증류기 내부압력의 증가에 의한 내부 물, 목초액, 한약 등을 외부로 연결된 관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증류 작업 중 작업자가 증류기와 접촉 시 화상을 초래하고 또한 내부압력의 하강 시 증류 작업이 중단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고, 꿀 농축기는 농축기를 가열 시키는 작업과 꿀의 위치를 변화 시키는 스크류 장치, 또한 가열된 꿀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유도관 등의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다.
기존 증류기는 밀폐식으로 되어 있는 상황에서 1회 증류 작업 후 용기 내부의 목초액, 물을 밀폐 상태에서 증류 작업 후 다시 찬 목초액을 가열시키는 구조로 증류기 내부의 다량의 액체를 전체적으로 교환, 가열함으로 대량의 에너지가 사용되는 방식이며, 또한 목초액을 증류 시 가열 후 증류 과정에서 목초액에 함유된 타르, 페놀 및 메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 후 제 정재 작업을 수행으로 다양한 여과장치를 사용하는 상황이었고, 목초액 증류 후 타르 등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 작업 후 용기 전체를 세척하는 등의 작업자의 노동력이 과다한 투입이 수반되는 방법이었고 또한 기존의 목초액 증류기의 경우 목초액 특유의 페놀 및 메탄올 등의 불순물을 90% 이상 제거에 다양한 공정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복잡한 공정이었다.
1. FITI 시험연구원 항균력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51-62-04-00603 발급일자 :2004. 07. 10 균주 1-황색포도 상구균, 균주 2-대장균, 감소율 99.9% 2. FITI 시험연구원 항균력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H232-14-09604 발급일자 :2014-06-30 균주 1-Staphylococcus ATCC6538 균주 2-Klebsiella pneumoniae ATCC4352정균 감소율 99.9%
본 고안은 용액에 포함된 액체를 증류, 농축, 목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증발 증류와 침전방식을 채택 하였고,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2개의 용기를 사용한 필터 여과 방식을 혼용 사용하는 저온 다중 증류기로. 종래의 증류기는 대량의 용액을 밀폐된 용기에서 가열, 증발, 냉각, 응축저장 방식으로 대형의 용기에서 대량의 용액을 가열하는 방식에 따른 에너지 사용 증가와 증류 후 용액에 함유된 타르, 카본 등의 불순물이 증류기 바닥에 침전현상으로 증류 작업 후 다시 증류기 가동 시에는 탱크의 세척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과다한 노동력 투입이 소요되는 방식의 증류기로, 비용과 효과 대비 과다한 노동력과 에너지 소모가 수반되는 방법에서,
본 고안은 용액을 밀폐된 보충 탱크(a)에서 용액이 증발한 양만큼 증발기(b)로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y)만큼 보충하는 방식을 적용 용액을 소량씩 가열, 증류 농축 작업을 하는 것으로 용기에 일부만의 용액을 보충, 가열 증류 농축하는 방식으로 증발기 바닥으로 항균과 불순물을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분출하는 기능에 의해 기존의 증류 농축 시 대량의 용액을 가열 증발 시키는 에너지 사용 방식에서 탈피 소량의 용액을 지속적으로 가열방식으로 소량의 용액을 연속적으로 증류, 농축하는 기능과 증류 농축작업 후, 반구형태의 증발기 뚜껑 최 상부(f)에서 증기를 배출하고, 반구 형태의 증발기 바닥의 중앙에 설치한 밸브(ㄹ)의 개방으로 증발기 내부에 농축한 용액과 용액 증류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탱크 세척 과정의 생략 할 수 있는 증류 농축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용액을 밀폐된 보충 탱크(a)에 저장 후 2차 가열 증발기(b)에 용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과정으로 증발기의 가열에 의한 물 등의 수분의 증발로 발생하는 증발기 상부에 생성되는 빈 공간에 증발기에서 보충 탱크(a)로 공기를 전달하고, 전달된 공기의 양만큼 용액을 연속적으로 증발기에 공급하는 기능에 의해 증발기 바닥 10~30%분량(y)만 용액을 가열증류 농축하는 방식을 시행하고, 또한 외부 송풍기(h)의 가동에 의해 1차 항균 기능99.9%의 직물을 장치한 공기 정화 장치(i)를 설치하고 공기정화 장치(i) 이전에 송풍기에서 배출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감습 기능의 냉각기(j)를 설치 용기 내부에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기에서 분사된 공기를 항균, 제습 필터에 의해 항균, 제습된 정화 공기를 분사하는 항균, 저습 상태로 유지하여 꿀, 사과즙 등의 식품에 증발기(b) 내부의 공기를 상부(f)에서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수증기를 증발 제거하고, 증발기 내부의 기압을 하락시키는 반 진공 상태를 계속 적으로 유지하는 기능과 송풍기(h)의 흡입 작용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를 수 냉식 냉각 응축장치(c)와 응축 증류수 저장 용기(d) 내부에서 공기 순환에 의한 액체화 전 송풍기의 흡입력으로 흡입 1차 수분을 수분 저장탱크(d)에서 응축 제거하고 송풍기에서 배출된 공기는 냉각기(j)와 공기 정화 장치(i)에서 항균 기능과 흡습 기능으로 불순물을 응집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증류 농축기에 관한 것이다,
목초액, 과일즙, 꿀 등을 증류, 농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밀폐된 용액 주입 용기(a)에 용액을 저장하고 바닥의 밸브(ㄷ)를 개방한 상태에서 증발기(b) 바닥에서 일정높이(y)까지 용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바닥의 가열히터(e)로 증발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바닥으로 외부의 송풍기(h)에서 공기를 용기바닥으로 분사, 목초액 등을 증류하기 위한 공기 순환 방식에서 가열된 목초액에 포함된 메탄올, 페놀 등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h)에서 증발기(b)로 공기를 이송 전, 공기 정화기(i)와 공기 중 수분 응축기(j)에 의해 항균과 공기정화 작업을 수행 하고, 용액에 정화된 공기를 분출, 용액 가열 용기에서 40~80℃의 온도로 가열된 용액을 증발 시키는 작업에 의해 용액 내부의 타르, 납, 등의 중금속 물질을 바닥에 잔류 시켜 증류 용기 바닥에 설치된 밸브에 의해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액을 농축 증류하기 위해 용액을 3단으로 설치한 용기에서 1차 용액 주입 용기(a) 양쪽에 설치된 흡입밸브(ㄱ)로 용액을 주입 1차 용액 용기(a)에 배출 밸브(ㄴ)로 용액이 배출될 때 까지 주입한 후 흡입밸브(ㄱ)와 배출밸브(ㄴ)를 잠그고 바닥의 주입 밸브(ㄷ)를 개방함으로 1차 용기에 저장된 용액을 지속적으로 증발기(b)로 주입하는 기능으로 증발기 하부의 일정 지점(y)까지 용액이 저장된 상태를 지속 하고, 송풍기(h)에 의해 외부에서 바닥으로 원형의 공기 불출구(z)로 분출된 냉각공기를 반구형으로 조성된 증발기 뚜껑의 최상부(f)로 흡입하여 증발기 내부의 공기를 반 진공 상태로 조성하고 작업 후 내용물을 반구형으로 조성된 증발기 최하부(g)로 배출 바닥의 히터(m)는 증발기(b) 하부의 용액을 40~80℃로 가열, 증발 시키는 기능과 일정 시간 증류기 가동 후 증류기 하부의 제거 밸브(ㄹ)를 개방, 용액 증류 후 바닥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으로 용액 증류에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량 감소와 또한 증발기의 세척작업 없이 작업을 연속적으로 하는 효과에 의한 인력 감소의 효과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증발기(b)의 단면도.
도 3은 1차 밀폐된 용액 주입 용기(a)의 단면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용액 저장용기(a) 바닥의 주입밸브(ㄷ)를 잠근 후 흡입밸브(ㄱ)와 배출벨브(ㄴ)를 개방 시킨 후 용액을 펌프(n)를 이용 용액 저장고(m)의 용액을 저장용기(a)에 주입 시키고, 저장용기(a)의 배출밸브(ㄴ)로 목초액이 흐를 만큼 가득 채운 후 흡입밸브(ㄱ)와 배출밸브(ㄴ)를 잠그고, 주입밸브(ㄷ)를 개방시킴으로 목초액은 증발기(b)의 바닥에 주입밸브(ㄷ)상부 지점(y)까지 용액이 주입되고, 저장용기에 형성되는 진공 현상에 의해 용액 저장용기(a)에 주입밸브(ㄷ)에서 공기의 주입이 차단됨으로 증발기(b)바닥 주입밸브(ㄷ) 상부지점(y)에서 용액의 진입은 차단된다.
상기의 용액 저장용기(a)에서 주입밸브(ㄷ) 상부지점(y)까지 저장된 용액은 증발기 외부 바닥에 설치된 히터(e)의 가열에 의해 40~100℃의 온도까지 온도 지정장치(o)에 의해 입력되 온도 까지 가열시키는 작용과, 증발기(b) 외부에 설치한 온도센스(o)에 의해 일정하게 입력된 40~80℃의 온도에서 외부의 송풍기(h)를 가동 증발기 바닥으로 공기를 배출 하는 작업으로 증발기(b)내부에 저장된 용액에 대류현상을 유발 시키고, 40~80℃의 온도로 외부에서 입력된 온도센스(o)까지 온도로 용액이 가열 시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h)를 작동 증발기(b)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②에 의해 흡입하는 작용을 실행으로 증발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 증발기(b)내부의 압력을 저하 시키는 반 진공 상태로 유지 40~80℃로 가열된 용액을 빠르게 증발작업을 실행한다.
증발된 용액은 수냉식 냉각기(c)에 의해 응결 액체형태로 증류용기(d)로 공기와 함께 빠르게 주입 증류용기(d) 바닥에 저장되고, 증류용기에 흡입된 공기는 공기 흡입관②으로 빠르게 통과 송풍기(h)의 흡입구로 진행하고, 흡입구로 진행된 공기는 송풍기를 거쳐 배출관에 설치된 공기정화기(i)와 수분 응축기(j)에서 메탄올, 페놀 등을 제거하는 필터 작용에 의해 제거 한 항균, 공기 정화기를 거친 공기는 다시 공기 송풍관①으로 진행하는 작용으로 송풍기(h)에 의한 내부에서의 공기순환으로 공기 흡입관②의 공기 흡입에 의해 증발기(b) 내부의 기압을 대기압 이하의 저압 상태를 유지함으로 다량의 용액을 증발 시키는 작업을 수행 한다. 또한 흡입공기에 포함된 용액 증기는 냉각기(c)에 의해 액체로 환원 증류 용액 농축 통(d)에 저장 되는 원리로,
본 고안은 용액을 증류하며 발생하는 불순물과 농축된 과일즙, 꿀을 배출하기 위한 기능으로 증발기(b)의 바닥을 반구 형태로 제작하고 반구 형태의 바닥 중앙에 배출밸브(ㄹ)를 설치하여 증발기를 1회 사용 후 배출밸브에서 용액과 함께 바닥에 응집된 고농도의 불순물과 농축된 과일즙, 꿀을 밸브(ㄹ)를 개방 배출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목초액 등 용액 내부에 불순물이 많은 물질을 증류기 사용 후 증류기 전체를 세척하는 노동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고
본 고안에서는 용액 저장탱크(a)에 설치된 3개의 밸브(ㄱ, ㄴ, ㄷ)중 흡입밸브(ㄱ,)와 배출밸브(ㄴ)를 개방하고 주입밸브(ㄷ)를 잠근 상태에서 펌프(n)를 가동 바닥의 용액 주입탱크(m)에 저장된 용액을 저장탱크(a)로 주입하고, 용액 저장탱크에 용액이 완전히 저장 된 후 흡입밸브(ㄱ)와 배출밸브(ㄴ)를 잠그고 주입밸브를 개방 하여 용액이 증발기 내부에서 주입밸브 상부지점(y)까지 저장한 상태에서 증발기의 일부만 채워진 용액을 가열하는 기능으로 증류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타르와 납 등 무거운 불순물과 농축된 과일즙, 꿀 등은 증발기(b)의 바닥에 침전시켜 증발기 바닥의 배출밸브(ㄹ)로 제거하고, 또한 메탄올, 등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불순물은 공기를 빠르게 순환 시켜 공기에 의해 공기정화기(i)와 수분 응축기(j)에 의해 응집 제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목초액, 과일즙, 꿀 등을 증류, 농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밀폐된 용액 주입 용기(a)에 용액을 저장하고 바닥의 밸브(ㄷ)를 개방한 상태에서 증발기(b) 바닥에서 일정높이(y)까지 용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바닥의 가열히터(e)로 증발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바닥으로 외부의 송풍기(h)에서 공기를 용기바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2. 청구항 1에서 송풍기(h)에 의해 외부에서 바닥으로 원형의 공기 불출구(z)로 분출된 냉각공기를 반구형으로 조성된 증발기 뚜껑의 최상부(f)로 흡입하여 증발기 내부의 공기를 반 진공 상태로 조성하고 작업 후 내용물을 반구형으로 조성된 증발기 최하부(g)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3. 청구항 1에서 송풍기에서 분사된 공기를 항균, 제습 필터에 의해 항균, 제습된 정화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KR2020170002190U 2017-05-01 2017-05-01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KR201800031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90U KR20180003193U (ko) 2017-05-01 2017-05-01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190U KR20180003193U (ko) 2017-05-01 2017-05-01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93U true KR20180003193U (ko) 2018-11-09

Family

ID=6432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190U KR20180003193U (ko) 2017-05-01 2017-05-01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60A (ko) * 2020-03-06 2021-09-15 정영복 진공 저온 순환 추출 및 농축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FITI 시험연구원 항균력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51-62-04-00603 발급일자 :2004. 07. 10 균주 1-황색포도 상구균, 균주 2-대장균, 감소율 99.9%
2. FITI 시험연구원 항균력 시험성적서 접수번호 H232-14-09604 발급일자 :2014-06-30 균주 1-Staphylococcus ATCC6538 균주 2-Klebsiella pneumoniae ATCC4352정균 감소율 99.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60A (ko) * 2020-03-06 2021-09-15 정영복 진공 저온 순환 추출 및 농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5068A1 (en) Systems including a condensing apparatus such as a bubble column condenser
CN203836931U (zh) 集装密闭式高温蒸汽冷凝水回收系统
CN103657353A (zh) 尾气分离塔
US80528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liquid desiccant
JP2008055334A5 (ko)
WO2013143246A1 (zh) 一种净化聚四氟乙烯分散液的母液蒸汽的系统和方法
CN104436724A (zh) 一种中药浸出液mvr浓缩工艺
KR20180003193U (ko) 용기를 3단으로 설치한 저온 다중 증류, 농축기
CN205216256U (zh) 降膜及mvr强制循环蒸发结晶系统
CN109432806A (zh) 一种溶液低温蒸发的方法和装置
US10352615B2 (en) Vacuum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vacuum cooling of foodstuff
CN106978318A (zh) 一种白酒冷凝器
CN206027114U (zh) 加湿除湿系统
CN104524806A (zh) 一种乌洛托品完全连续结晶生产工艺及设备
CN209917286U (zh) 一体式升膜蒸发器
CN209618919U (zh) 一种废水脱盐脱溶装置
CN208193713U (zh) 一种制药提取用球形浓缩器
KR100632346B1 (ko) 진공 증발기
JP6563484B2 (ja) 潜在的に爆発性の不純物を含有する液体を蒸発させる装置および方法
CN220098615U (zh) 一种高盐高有机物蒸发离心母液处理设备
CN206473827U (zh) 安全型旋转蒸发器
US20170144893A1 (en) Desalination method by heat and condensation
KR101585673B1 (ko) 기액분리장치
KR20060019278A (ko) 수평관내 증발식 농축장치
DE102021205029A1 (de) Heißwasserbere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