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29A -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29A
KR20180003129A KR1020160082568A KR20160082568A KR20180003129A KR 20180003129 A KR20180003129 A KR 20180003129A KR 1020160082568 A KR1020160082568 A KR 1020160082568A KR 20160082568 A KR20160082568 A KR 20160082568A KR 20180003129 A KR20180003129 A KR 2018000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de
length
information
det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인포텍
Priority to KR102016008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129A/ko
Publication of KR2018000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08Inspecting textile materials by photo-electric or televis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16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ace or embroide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2201/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속직물을 후가공 처리하는 과정 동안 봉제 등으로 형성된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는 마디검출기에서 획득한 마디정보와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에서 획득한 길이정보로 이루어진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PLC 제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연속직물이 감겨있는 롤 등에는 해당 마디검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부여함으로써, 직물원단을 최종검사하고 원하는 길이를 갖는 양품수량으로 절단하여 포장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절단된 이후 다음 마디 출현시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길이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마디의 존재로 인한 길이미달 등의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TEXTILE INSPECTION SYSTEM USING SEAM DETECTOR}
본 발명은 직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속직물을 후가공 처리하는 과정 동안 봉제 등으로 형성된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는 마디검출기에서 획득한 마디정보와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에서 획득한 길이정보로 이루어진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PLC 제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연속직물이 감겨있는 롤 등에는 해당 마디검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부여함으로써, 직물원단을 최종검사하고 원하는 길이를 갖는 양품수량으로 절단하여 포장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절단된 이후 다음 마디 출현시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길이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마디의 존재로 인한 길이미달 등의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직물은 직조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후 염색, 가공 등 여러 후가공 처리를 거치면서 원하는 직물원단으로 제조되는데, 이처럼 직조, 염색, 가공, 운반 등의 여러 공정을 거치는 동안 제직불량으로 인한 위사나 경사의 손실과 같은 결점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음은 물론, 염색불량으로 인한 원단내 얼룩 발생, 또는 운반이나 기타 공정 중 취급 부주의 등에 의한 원단 표면 오염 등 직물원단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여러 결함들이 발생되곤 한다.
그에 따라, 직물제조 현장에서는 제직 및 염색이 완료된 직물을 출하하기 전에 직물의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직물검사 시스템이 이용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직물검사 시스템에서는 최종검사자가 큰 롤이나 말대 등에 감겨 있는 직물원단의 제직불량이나, 염색불량 또는 오염 등 직물 자체의 결함여부를 검사함과 아울러, 생성된 연속직물을 일정한 양품길이에 맞게 절단(절포)하여 별도의 롤이나 말대에 감아서 포장함으로써 상품화하고자 하는 1롤(Roll)에 대한 포장과 품질검사를 함께 수행하곤 하였다.
그러나, 직물원단에서는 연속직물을 생성하기 위해 직물원단 상호간을 봉제 등으로 연결하는 이음부(seam)인 마디가 있는 곳도 불량에 해당하게 되는바, 일정한 양품길이(예를 들어, 20m 또는 30m)안에 마디가 포함될 경우 해당 직물원단은 전체가 불량으로 취급될 수 밖에 없어, 뜻하지 않게 많은 직물이 길이미달로 인한 불량품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여러 공정을 거치며 최종검사자에게 전달된 검사대상물인 연속직물의 어느 부분에 마디가 있는지 그에 대한 사전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이었는바, 종래에는 길이미달로 인한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종검사자가 검사대상물인 연속직물을 전달받은 후 전체물량을 한 번 고속으로 감으면서 어느 위치에 마디가 있는지 먼저 파악한 후, 이를 파악한 작업자의 판단으로 양품수량(길이)를 맞추어 절단해가면서 품질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품질정보와 제품 생산정보를 입력하여 상품화하고자 하는 1롤을 생성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최종검사자가 마디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직물 전체물량을 고속으로 감으면서 마디를 파악해야 할 경우, 그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최적의 양품수량(길이) 산정이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길이미달로 인해 불량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원단의 손실부담을 여전히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22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7520호
본 발명은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속직물을 후가공 처리하는 과정 동안, 봉제 등으로 형성된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는 마디검출기에서 획득한 마디정보와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로터리 엔코더에서 획득한 길이정보로 이루어진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PLC 제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연속직물이 감겨있는 롤 등에는 해당 마디검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부여함으로써, 직물원단을 최종검사하고 원하는 길이를 갖는 양품수량으로 절단하여 포장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절단된 이후 다음 마디 출현시점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길이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마디의 존재로 인한 길이미달 등의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은,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가 존재하는 연속직물의 품질을 검사하는 직물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연속직물에 존재하는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여 마디정보를 생성하는 마디검출기;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마디정보가 생성된 후, 다음 마디가 감지될 때까지 처리된 직물원단의 길이를 산출하여 길이정보를 획득하는 로터리 엔코더;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생성된 마디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서 생성된 길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연속직물의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PLC 제어부; 각 연속직물에 부착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마디검출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연속직물을 특정하고 그에 대해 생성된 마디검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한 패턴등록부; 및 연속직물의 품질검사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연속직물에 부착되어 있는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제공받는 검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사시스템은, 상기 마디검출정보를 형성하는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정보를 토대로 다음 마디의 출현시점을 예측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최대길이 또는 최적길이를 산출한 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길이미달로 인한 불량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등록부에서 생성되는 고유패턴은, 그 고유패턴에 매칭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각 마디검출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작업자가 상기 검사시스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숫자코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디검출기에서 획득한 마디정보와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 로터리 엔코더에서 획득한 길이정보로 이루어진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PLC 제어부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직물원단을 최종검사하고 원하는 길이를 갖는 양품수량으로 절단하여 포장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절포 이후의 다음 마디 출현시점을 정확히 예측하면서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길이를 최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양품수량(길이)을 결정하여 포장함으로써, 연속직물 중 마디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으로 인해 불량으로 처리되는 직물원단을 최소화하여 불필요한 원단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다른 공정 수행 중 마디정보와 길이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마디검출정보로 PLC 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음으로써, 마디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직물을 다시 감아야 하는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피하고, 그로 인해 직물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에서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에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양품수량(길이)에 맞게 절포하여 포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에서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에서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양품수량(길이)에 맞게 절포하여 포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은,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가 존재하는 연속직물에서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여 마디정보를 생성하는 마디검출기(100)와,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마디정보가 생성된 후 다음 마디가 감지될 때까지 후가공 처리된 직물원단의 길이를 산출하여 길이정보를 획득하는 로터리 엔코더(200)와,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생성된 마디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서 생성된 길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연속직물의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PLC 제어부(300)와, 각 연속직물에 부착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마디검출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연속직물을 특정하고 그에 대해 생성된 마디검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한 패턴등록부(400)와, 연속직물의 품질검사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연속직물에 부착되어 있는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제공받고 마디와 마디사이의 길이정보를 토대로 다음 마디의 출현시점을 예측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최대길이를 산출한 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길이미달로 인한 불량품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직물원단의 포장을 가능하게 하는 검사시스템(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디검출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직물의 표면을 스캔하듯이 검사하면서 두 개의 직물원단 상호간을 연결하는 봉제부분인 이음매(seam)로 이루어진 마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해 낼 수 있는 검출장치로 구성되어, 둘 이상의 직물원단을 길게 연결하여 형성된 연속직물 상에서 마디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마디검출기(100)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물의 두께에 관계없이 마디를 잘 검출할 수 있는 ㈜동영테크의 마디검출기(DYSD-300)를 채택하여 연속직물의 마디를 검출한 후 마디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러한 특정 제품에 제한되지 않고 이음매(seam) 부분을 감지하여 마디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마디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디검출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로터리 엔코더(200)는, 상기 마디검출기와 함께 구비되어 마디가 검출된 지점부터 다음 마디가 검출될 지점까지의 길이를 산출하는 길이측정수단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추후 염색 등의 후가공이 완료된 연속직물을 절단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은 영역들로 이루어진 10m, 20m, 또는 30m 단위의 직물원단으로 포장하고자 할 경우, 다음 마디가 출현되기까지 확보할 수 있는 직물원단의 길이를 예상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장하고자 하는 길이에 못 미치는 순간 마디가 나타나서 제품화하지 못하고 길이미달의 불량품으로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디검출기(100)에서 마디의 존재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마디가 발견된 지점부터 다음 마디가 발견된 지점까지의 직물원단 길이를 상기 로터리 엔코더(200)에서 산출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마디의 위치와 그러한 마디가 나타나기까지 남은 직물원단의 길이를 미리 파악하면서 직물의 품질을 검사하고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디검출기(100)에서의 마디 감지에 따른 마디정보 생성과, 상기 로터리 엔코더(200)에서의 마디 상호간의 길이 산출에 따른 길이정보 생성은, 마디 점검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진행되기보다는 염색 등 통상적인 공정을 위하여 이송되는 직물원단의 후가공 공정 중 마디 감지와 길이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1에서는 Bar-type의 금속탐지기를 이용하여 직물원단에 금속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검사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마디 감지와 길이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마디검출기와, 로터리 엔코더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마디검출기(100)와 로터리 엔코더(200)의 설치위치가 이러한 금속탐지기 주변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지만, 연속직물의 많은 공정 중 최종 품질검사 직전의 공정에서 마디 감지와 길이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LC 제어부(PLC Controller)(300)는, 직물검사시스템의 전체적인 자동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생성된 마디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서 생성된 길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연속직물에 대한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각 연속직물의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양품으로 절단해야 하는 길이를 산출하여 최종 출하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PLC 제어부에 의해 자동제어되면서 연속직물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패턴등록부(4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각 연속직물 물량과 매치시키고, 연속직물의 품질을 검사하거나 절단하는 오프라인 상의 공정 수행 중 해당 연속직물 물량에 매치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확하게 받을 수 있도록, 각 연속직물의 물량에 부착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마디검출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유패턴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상기 연속직물에 부착할 수 있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 태그 등 다양한 형태의 코드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순히 날짜나 작업시간 또는 작업순서 등에 의해 순차적으로 부여되는 숫자코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코드나 패턴 또는 숫자 등으로 이루어져 연속직물을 특정할 수 있게 한 고유패턴을 생성하고, 이를 연속직물에 부착하거나 기재하는 등 최종검사와 같은 품질검사 공정에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부여한 후, 이러한 고유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마디검출정보에 매치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작업자 등이 품질검사 등의 현장에서 연속직물에 부여되어 있는 고유패턴을 인식하거나 입력하는 것만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제공받아 마디의 위치와 그 마디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등에 대한 산출결과를 확인하면서, 생산하고자 하는 양품의 길이를 결정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사시스템(500)은, 염색 등 후가공 공정의 진행이 완료된 연속직물을 일정 길이의 양품단위로 절단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연속직물의 품질을 최종적으로 검사하고 그 품질정보를 등록하는 최종검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검사시스템(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인 품질검사(도 2에서는 ‘최종검사’로 지칭)가 완료된 후, 직물원단의 출하를 위해 양품으로 판단된 연속직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포장하게 되는데, 직물원단에서 마디는 불량으로 파악되므로 양품으로 포장되는 길이 내에는 마디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검사시스템(5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토대로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정보를 파악하고, 양품으로 절단된 시점부터 다음 마디가 나타나기 직전까지의 직물 길이를 산출한 후 이처럼 산출된 길이를 토대로 양품으로 출하할 수 있는 최적의 길이를 산출함으로써, 마디의 존재로 인해 불량품으로 취급될 수 있는 직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물원단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여러 가공 공정 중 마디검출기와 로터리 엔코더에 의해 마디검출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직물을 검사하려는 검사원이 마디체크를 위해 연속직물 물량을 다시 감으면서 마디를 파악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어 마디체크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품질검사 및 양품 절단과 포장, 출하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마디검출기
200 : 로터리 엔코더
300 : PLC 제어부
400 : 패턴등록부
500 : 검사시스템

Claims (4)

  1. 복수의 직물원단이 봉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디가 존재하는 연속직물의 품질을 검사하는 직물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연속직물에 존재하는 마디의 존부를 감지하여 마디정보를 생성하는 마디검출기;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마디정보가 생성된 후, 다음 마디가 감지될 때까지 처리된 직물원단의 길이를 산출하여 길이정보를 획득하는 로터리 엔코더;
    상기 마디검출기에서 생성된 마디정보와, 상기 로터리 엔코더에서 생성된 길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연속직물의 마디검출정보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PLC 제어부;
    각 연속직물에 부착할 수 있는 고유패턴을 생성한 후, 상기 마디검출정보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연속직물을 특정하고 그에 대해 생성된 마디검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한 패턴등록부; 및
    연속직물의 품질검사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연속직물에 부착되어 있는 고유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제공받는 검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시스템은, 상기 마디검출정보를 형성하는 마디와 마디 사이의 길이정보를 토대로 다음 마디의 출현시점을 예측하여, 마디가 포함되지 않는 양품수량의 최대길이 또는 최적길이를 산출한 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길이미달로 인한 불량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등록부에서 생성되는 고유패턴은, 그 고유패턴에 매칭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마디검출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각 마디검출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등록부에서 생성되는 고유패턴은, 작업자가 상기 검사시스템에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숫자코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시스템.
KR1020160082568A 2016-06-30 2016-06-30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KR2018000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68A KR20180003129A (ko) 2016-06-30 2016-06-30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68A KR20180003129A (ko) 2016-06-30 2016-06-30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29A true KR20180003129A (ko) 2018-01-09

Family

ID=6100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568A KR20180003129A (ko) 2016-06-30 2016-06-30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1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897A (zh) * 2019-01-30 2019-05-17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仿蜡产品智能验整设备
CN114232318A (zh) * 2021-12-28 2022-03-25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一种织造与切断同步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897A (zh) * 2019-01-30 2019-05-17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仿蜡产品智能验整设备
CN109760897B (zh) * 2019-01-30 2021-03-23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仿蜡产品智能验整设备
CN114232318A (zh) * 2021-12-28 2022-03-25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一种织造与切断同步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69649B (zh) 用于在卷绕成卷的薄产品的中间处理步骤期间预测产品缺陷的存在的方法
US5873392A (en) Process for monitoring faults in textile webs
CN102224096B (zh) 对待测长条形纺织品中接纱品质的监测
KR20180003129A (ko) 마디검출정보를 이용한 직물검사 시스템
JP4049107B2 (ja) 紡績機における繊維束の品質管理方法
CN107817335A (zh) 在纺织单元进行在线监测和离线测试的集成系统和方法
US20190100381A1 (en) Device for at Least One Industrial Automated Process
CN110997537A (zh) 使合成纱线变形的方法和装置
US20190330774A1 (en) Device for processing threads or yarns of textile fibers
JP2002162364A (ja) ロール起因欠陥の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2016057170A (ja) 検出センサーの動作確認方法、検針機、及びテストピース
CN110068571B (zh) 一种织物尺寸变化率自动测量方法
KR101872934B1 (ko) 직기정대 및 제직불량 위치정보로 편성되는 롤맵을 이용한 정단위치 결정방법
Wesley D et al. A simple system for the online detection of skip/loop stitches in single needle lockstitch sewing machines
CN105953733B (zh) 布料缩率检测装置及方法
US11148894B2 (en) Method and devices and system for winding and unwinding a reel
CN205718853U (zh) 布料缩率检测装置
US20120019649A1 (en) Measurement of Textile Fabrics
JP2607085B2 (ja) 織布の検反処理方法
JPS59179826A (ja) 紡績機の糸品質管理装置
JP4998389B2 (ja) ループ材検査装置
IT201800006075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di rilevazione e taglio in continuo di tessuto per capi di abbigliamento
US20220178056A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ct the presence of a broken needle in a needle textile machine
JP3274003B2 (ja) 製品検査方法
Gawde Fabric Inspection in Folding: Current Scenario in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