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037U -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037U
KR20180003037U KR2020170001842U KR20170001842U KR20180003037U KR 20180003037 U KR20180003037 U KR 20180003037U KR 2020170001842 U KR2020170001842 U KR 2020170001842U KR 20170001842 U KR20170001842 U KR 20170001842U KR 20180003037 U KR20180003037 U KR 20180003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arbitrary
presen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316Y1 (ko
Inventor
지민식
Original Assignee
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민식 filed Critical 지민식
Priority to KR2020170001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1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평면에 접촉하여, 상기 송풍부를 상기 임의의 평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형성 되며, 상기 송풍부가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선풍기를 임의의 평면에 안착시킬 수도 있고,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휴대용 선풍기의 활용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Description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PORTABLE FAN CAPABLE OF BEING FIXED AND BEING PUT}
본 고안은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써, 임의의 평면에 안착 되거나,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충전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가 개발되어 크게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용의 목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책상 또는 구조물 등에 안착 또는 고정되지 못한다.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제품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거치대는 휴대용 선풍기를 단순히 책상 위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조로만 마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거치대에 의해서는 휴대용 선풍기를 다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의의 평면에 안착 되거나,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평면에 접촉하여, 상기 송풍부를 상기 임의의 평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형성 되며, 상기 송풍부가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양측면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송풍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임의의 평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중단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금속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선풍기를 임의의 평면에 안착시킬 수도 있고,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휴대용 선풍기의 활용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므로,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정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를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100)는 송풍부(110)와, 지지부(120)와,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송풍부(110)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것으로써, 양측면에 돌출부(110a)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10a)에는 후술하는 지지부(120)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돌출부(110a)에 지지부(120)가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송풍부(110)가 지지부(120)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다.
송풍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단자가 형성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탑제하여 자가 발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은, 송풍부(110) 주변의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전원을 생산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은 송풍부(1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층을 구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송풍부(110)에 설치되며, 임의의 평면에 접촉하여 송풍부(110)를 임의의 평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부(130)가 단부에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임의의 평면 이란, 책상, 탁자, 등의 상면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20)가 접촉될 수 있는 면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지지부(120)의 일단부는 상술한 돌출부(110a)에 권취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타단부는 임의의 평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지지부(120)에 따르면 송풍부(110)를 임의의 평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120)는 외력이 의해 쉽게 구부려지는 철사 등의 금속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재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부(130)는 지지부(120)에서 연장형성 되는 것으로써, 송풍부(110)가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임의의 구조물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임의의 구조물 이란, 책상, 탁자, 파티션(P)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고정부(130)는 제1부(131)와 제2부(132)를 포함한다.
제1부(131)는 지지부(120)의 타단부가 임의의 평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지지부(120)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써,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부(132)가 일체적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된다.
제2부(132)는 제1부(131)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써, 중단부분에서 절곡 형성된다.
상술한 제1부(131) 및 제2부(132)를 포함하는 고정부(130)에 따르면, 2중 절곡 부분의 형상에 따라 삽입공간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간에 파티션(P)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송풍부(110)를 파티션(P)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132)의 중단부분은 제1부(131)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기 때문에, 삽입공간에 파티션(P)을 삽입하는 경우, 제2부(132)의 후단부 측에 의해서, 파티션(P)의 일측이 압박을 받게 되며, 이에 의해서, 고정부(130)가 파티션(P)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130)는 지지부(120)와 마찬가지로 외력이 의해 쉽게 구부려지는 철사 등의 금속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재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부(120)와 고정부(130)는 하나의 철사에 외력이 인가됨으로써 구부려져,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와 고정부(130)는 제작시에 별도의 금형 등이 일체 필요 없고, 단순히 철사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풍부(110)와, 지지부(120)와,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100)에 따르면, 송풍부(110)를 임의의 평면에 안착시킬 수도 있고,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송풍부(110)의 활용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110 : 송풍부
110a : 돌출부
120 : 지지부
130 : 고정부
131 : 제1부
132 : 제2부
P : 파티션

Claims (5)

  1.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설치되며, 임의의 평면에 접촉하여, 상기 송풍부를 상기 임의의 평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형성 되며, 상기 송풍부가 임의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송풍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양측면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송풍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임의의 평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중단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를 포함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금속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2020170001842U 2017-04-12 2017-04-12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200488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42U KR200488316Y1 (ko) 2017-04-12 2017-04-12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842U KR200488316Y1 (ko) 2017-04-12 2017-04-12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37U true KR20180003037U (ko) 2018-10-22
KR200488316Y1 KR200488316Y1 (ko) 2019-01-11

Family

ID=6404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842U KR200488316Y1 (ko) 2017-04-12 2017-04-12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32Y1 (ko) 2019-03-28 2019-11-28 주식회사 뉴바이오제약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220102858A (ko) 2021-01-14 2022-07-21 방성민 광고기능을 가진 마스크 포장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683B1 (ko) 2019-06-27 2020-07-01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수직 거치 및 충전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018B2 (en) * 2001-08-14 2003-07-08 Lakewood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 Electric fan motor assembly with motor housing control switch and electrical input socket
CN204755351U (zh) * 2015-07-02 2015-11-11 许文龙 一种便携小风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018B2 (en) * 2001-08-14 2003-07-08 Lakewood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 Electric fan motor assembly with motor housing control switch and electrical input socket
CN204755351U (zh) * 2015-07-02 2015-11-11 许文龙 一种便携小风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공개본 (2014.07.1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32Y1 (ko) 2019-03-28 2019-11-28 주식회사 뉴바이오제약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220102858A (ko) 2021-01-14 2022-07-21 방성민 광고기능을 가진 마스크 포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16Y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316Y1 (ko)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US1173593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693132B2 (en) Loudspeaker with a helmholtz resonator
US20100132979A1 (en) Wire keeper
US8879778B2 (en) Ultra-slim speaker unit capable of improving low-pitched sound characteristic and sound pressure and board equipped with the same
JP2017520101A (ja) 可動ソケット対応の電源用レールのための装置
US10575077B2 (en) Speaker and speaker module
US20120107096A1 (en) Air exchange fan and circuit board box therefor
TW201806400A (zh) 用於揚聲器之薄膜
US20150349505A1 (en) Wire fixture
US20190038004A1 (en) Vanity mirror
JP3128352U (ja) ファンフレーム及びワイヤアレンジメント構造
US20070187128A1 (en) Power supply adapter of ventilation device
KR20180002934U (ko)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JP2011196558A (ja) 電装品箱
CN105042721A (zh) 空调室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792388B (zh) 微型扬声器壳体和扬声器单体
KR20190023363A (ko)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0527302B2 (en) Ventilation assembly for a heat exchanger
CN207610335U (zh) 盘体组件和空调设备
JP3166928U (ja) Usb扇風機
CN209623037U (zh) 一种电控盒及空调器
KR102315440B1 (ko) 노이즈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CN216354163U (zh) 一种二极管连接稳定结构
JP7149283B2 (ja) 配線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