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34U -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34U
KR20180002934U KR2020170001661U KR20170001661U KR20180002934U KR 20180002934 U KR20180002934 U KR 20180002934U KR 2020170001661 U KR2020170001661 U KR 2020170001661U KR 20170001661 U KR20170001661 U KR 20170001661U KR 20180002934 U KR20180002934 U KR 201800029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ixed state
unit
present
blow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민식
Original Assignee
지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민식 filed Critical 지민식
Priority to KR2020170001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934U/ko
Publication of KR20180002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및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면인 부착면아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조절되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부가 임의의 구조물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의 송풍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PORTABLE FAN WITH ADJUSTABLE AIRFLOW DIRECTION DURING FIXED STATE}
본 고안은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충전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가 개발되어 크게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선풍기는 휴대용의 목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책상 또는 구조물 등에 거치, 고정되지 못한다.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 고정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제품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거치대 또는 고정대는 단순히 휴대용 선풍기를 거치 또는 고정하는 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거치대 또는 고정대에 의해서는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및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면인 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조절되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플랙서블부와, 일단부가 상기 플랙서블부에 설치되며 타단부에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플랙서블부에 설치되는 제1모듈과, 상기 제1모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몸체부와,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분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탄성부를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압착시키는 인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과 타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부가 임의의 구조물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의 송풍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부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베이스부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송풍부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100)는 송풍부(110)와 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송풍부(110)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것으로써, 몸통부(111)와 회전부(112)를 포함한다.
몸통부(111)는 후술하는 설치부(123)에 접촉, 결합되는 설치홈(111b)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회전부(1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몸통부(111)의 설치홈(111b)은 개구된 형태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설치부(123)의 제2모듈(123b)에 슬라이딩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몸통부(111)에는 외부에서 후술하는 회전부(112)로 전원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전원입력단자가 형성될 수 있고, 송풍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그다이얼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통부(111)의 일측면에는 제1돌출부(111a)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1a)는 후술하는 회전부(112)의 제2돌출부(112a)와 맞닿도록 형성되는데, 제1돌출부(111a)와 제2돌출부(112a)가 맞닿음으로 인해서, 회전부(112)의 회동이 저지되어 회전부(112)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부(112)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몸통부(1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부(112)를 적절하게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 송풍의 각도가 1차적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112)의 일측면에는 제2돌출부(112a)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112a)는 상술한 제1돌출부(111a)에 맞닿도록 형성되는데, 제2돌출부(112a)와 제1돌출부(111a)가 맞닿음으로 인해서, 회전부(112)의 회동이 저지되어 회전부(112)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절부(120)는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면인 부착면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송풍부(110)가 설치되며, 송풍부(110)의 송풍방향이 조절되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된다.
여기서, 임의의 구조물 이란, 책상, 탁자, 파티션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부(120)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조절부(120)는 베이스부(121)와 플랙서블부(122)와 설치부(12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부착면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몸체부(121a)와 탄성부(121b)와 인장부(121c)를 포함한다.
몸체부(121a)는 후술하는 플랙서블부(122)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저면에는 후술하는 탄성부(121b)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후술하는 인장부(121c)가 설치된다.
탄성부(121b)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몸체부(121a)의 저면에 설치되어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성부(121b)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인장부(121c)는 몸체부(121a)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탄성부(121b)가 임의의 구조물에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부(121b)의 중심부분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탄성부(121b)를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에 압착시킨다.
이러한 인장부(121c)에 의해서, 탄성부(121b)의 부착면이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에 효과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몸체부(121a)와 탄성부(121b)와 인장부(121c)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21)에 의하면, 조절부(120)가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플랙서블부(122)는 일단부가 상술한 베이스부(121)의 몸체부(121a)에 설치되며 타단부가 후술하는 설치부(123)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플랙서블부(122)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구부려지거나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플랙서블부(122)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플랙서블부(122)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후술하는 설치부(123)에 설치되는 송풍부(110)의 송풍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2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설치부(123)는 일단부가 상술한 플랙서블부(122)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타단부에 상기 송풍부(110)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제1모듈(123a)과 제2모듈(123b)을 포함한다.
제1모듈(123a)은 상술한 플랙서블부(12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2모듈(123b)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모듈(123b)은 일단부가 상술한 제1모듈(123a)의 타단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제1모듈(123a)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모듈(123a)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부는 상술한 송풍부(110)의 몸통부(111)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모듈(123b)의 타단부는 상술한 몸통부(111)에 형성된 설치홈(111b)이 슬라이딩 형태로 설치되도록 마주하는 한쌍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술한 제1모듈(123a)과 제2모듈(123b)을 포함하는 설치부(123)에 따르면, 제2모듈(123b)이 회동됨에 따라 송풍부(110)의 송풍각도가 3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부(121)와 플랙서블부(122)와 설치부(123)를 포함하는 조절부(120)에 따르면, 송풍부(110)가 임의의 구조물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110)의 송풍 방향이 1차, 2차, 3차에 걸쳐 조절되므로, 사실상, 송풍 방향이 모든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송풍부(110)와 조절부(12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100)에 따르면, 송풍부(110)가 임의의 구조물, 즉, 책상의 상면 또는 책상의 저면 등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110)의 송풍 방향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200)는 송풍부(110)와 조절부(2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송풍부(110)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100)의 송풍부(1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조절부(220)에 포함되는 베이스부(221), 플랙서블부(122), 설치부(123) 중 플랙서블부(122) 및 설치부(12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100)의 플랙서블부(122) 및 설치부(12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측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의 베이스부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21)는, 임의의 구조물, 즉, 파티션(P)의 일면과 타면을 압박하여 파티션(P)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몸체부(221a)와 연장부(221b)를 포함한다.
몸체부(221a)는 상술한 플랙서블부(122)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일측 부분에서 연장형성되어 임의의 구조물, 즉, 파티션(P)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분을 형성하며, 타측 부분에는 후술하는 연장부(221b)가 설치된다.
또한, 몸체부(221a)에는 관통홀(V)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V)과 관통홀(V)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면, 파티션(P)에 베이스부(221)를 고정하는 경우, 베이스부(221)가 파티션(P)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21b)는 상술한 몸체부(221a)의 타측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몸체부(221a)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몸체부(221a)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장부(221b)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연장부(221b)는 몸체부(221a)의 타측부분에서 이격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몸체부(221a)의 타측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상술한 몸체부(221a) 및 연장부(221b)의 구조에 따르면, 연장부(221b)에 외력을 인가하여 연장부(221b)를 몸체부(221a)의 타측부분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몸체부(221a)의 접촉부분을 임의의 구조물, 즉, 파티션(P)의 일측면에 접촉시키고, 이후, 외력을 제거하여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파티션(P)의 타측면을 연장부(221b)로 압박시키는 과정으로 파티션(P)에 베이스부(221)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송풍부(110)와 조절부(22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200)에 따르면, 송풍부(110)를 파티션(P)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부(110)가 파티션(P)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부(110)의 송풍 방향이 1차, 2차, 3차에 걸쳐 조절되므로, 사실상, 송풍 방향이 모든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110 : 송풍부
111 : 몸통부
111a : 제1돌출부
111b : 설치홈
112 : 회전부
112a : 제2돌출부
120 : 조절부
121 : 베이스부
121a : 몸체부
121b : 탄성부
121c : 인장부
122 : 플랙서블부
123 : 설치부
123a : 제1모듈
123b : 제2모듈
200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221 : 베이스부
221a : 몸체부
221b : 연장부
P : 파티션
V : 관통홀

Claims (5)

  1.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는 송풍부; 및
    임의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면인 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의 송풍방향이 조절되도록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조절되는 플랙서블부와, 일단부가 상기 플랙서블부에 설치되며 타단부에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플랙서블부에 설치되는 제1모듈과, 상기 제1모듈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모듈을 포함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몸체부와,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면이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분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탄성부를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압착시키는 인장부를 포함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임의의 구조물의 일면과 타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KR2020170001661U 2017-04-04 2017-04-04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KR201800029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61U KR20180002934U (ko) 2017-04-04 2017-04-04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61U KR20180002934U (ko) 2017-04-04 2017-04-04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34U true KR20180002934U (ko) 2018-10-12

Family

ID=6386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61U KR20180002934U (ko) 2017-04-04 2017-04-04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3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54A (zh) * 2019-03-18 2019-05-31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供人体散热的山地自行车及其工作方法
KR20200117418A (ko) 2019-04-04 2020-10-14 김석호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200492685Y1 (ko) * 2019-05-17 2020-11-24 김재문 무선 전력 수신 선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454A (zh) * 2019-03-18 2019-05-31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供人体散热的山地自行车及其工作方法
KR20200117418A (ko) 2019-04-04 2020-10-14 김석호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KR200492685Y1 (ko) * 2019-05-17 2020-11-24 김재문 무선 전력 수신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934U (ko) 고정된 상태에서 송풍 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휴대용 선풍기
CN106200779B (zh) 扩充座及电子设备
KR101839872B1 (ko) 공기 환기 장치
KR20110114179A (ko) 헤어 아이론
KR101143463B1 (ko) 단말기의 받침장치
US1051217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231902B2 (en) Message apparatus
JP2019502150A (ja) 電気機器用ペダルをペダルボードに取り付けるためのコネクタ
US10258922B2 (en) Device for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KR101614826B1 (ko)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351299A1 (en) Cover
JP2006082802A (ja) 空気通気装置
KR200488316Y1 (ko) 안착 및 고정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US20050059911A1 (en) Centrifugal, rotating power element and a massag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90006907A1 (en) Motor and blower using the motor
US7507920B2 (en) Hearing aid with a control element
CN105157330A (zh) 用于校正冰箱门平面差的调节装置及包含其的冰箱
CN201047925Y (zh) 一种弹性减震低噪音电脑风扇
US20140110089A1 (en) Air duct and heat dissip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209514334U (zh) 一种升降平台旋转遥控器
KR20180002830U (ko) 고정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CN109930979A (zh) 一种纱窗
JP2018516721A (ja) 第1および/または第2のデバイスをフレームに結合するための高さ調整を有する矩形フレーム
CN104843286B (zh) 移动终端包装盒内托及移动终端包装盒
CN216536088U (zh) 一种面部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