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179A - 헤어 아이론 - Google Patents

헤어 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179A
KR20110114179A KR1020100033674A KR20100033674A KR20110114179A KR 20110114179 A KR20110114179 A KR 20110114179A KR 1020100033674 A KR1020100033674 A KR 1020100033674A KR 20100033674 A KR20100033674 A KR 20100033674A KR 20110114179 A KR20110114179 A KR 2011011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ower cases
hair
box
hair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258B1 (ko
Inventor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주) 지에치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에치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지에치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3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58B1/ko
Priority to EP10190204A priority patent/EP2377419B1/en
Priority to AU2010246341A priority patent/AU2010246341A1/en
Priority to US12/953,991 priority patent/US8418699B2/en
Publication of KR2011011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상,하측케이스의 힌지결합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하측케이스의 밀착 및 벌어짐 동작시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발열부의 열이 상,하측케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히터를 열판에 밀착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하여 약해진 모발, 모공세포에 음이온 영양을 줌으로써 모공세포 촉진 및 탈모예방 기능을 부가한 헤어 아이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하측케이스, 발열부 및 힌지결합부를 구비하는 헤어 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힌지박스와, 상기 힌지축을 각각 구비하여 힌지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이 힌지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힌지결합위치와 힌지박스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결합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제1 및 제2 이동부재와, 제1 및 제2 이동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힌지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박스의 외부에서 상기 힌지축을 힌지결합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힌지결합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힌지결합유지수단과, 상기 상,측케이스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힌지조립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헤어 아이론{Hair Iron}
본 발명은 모발에 열을 가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미용실이나 가정에서 머릿결을 세팅하는 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헤어 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아이론은 모발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하측케이스로 분리되어 있고, 이 상,하측케이스의 한쪽 끝단 부분은 힌지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상,하측케이스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밀착 또는 벌어짐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하측케이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모발에 열을 가하기 위한 발열부가 구비되어 있고, 발열부는 예를 들어 모발에 직접 닿는 열판과, 자체 발열로 열판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부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원공급회로부에서 히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히터가 발열하여 열판을 가열하게 되고, 이로써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끼워진 모발 즉 머리카락에 대하여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하측케이스를 밀착시키거나 소정각도 벌어짐 가능하게 하는 힌지구조는, 통상 상,하측케이스의 한쪽 끝단부분에 각각 형성한 힌지구멍을 일치시킨 후, 힌지축을 양쪽 힌지구멍에 끼워 구성된다. 또한 상,하측케이스 사이에는 토션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탄성부재의 양끝단이 상,하측케이스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측케이스를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양쪽 발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탄성부재가 탄력적으로 압축되고, 상,하측케이스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하측케이스 사이가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힌지구조는 상,하측케이스에 각각 형성한 힌지구멍에 힌지축을 끼운 후, 힌지축이 힌지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고, 이러한 구성은, 예들 들면 힌지축의 양끝단면에 힌지구멍보다 큰 머리부를 가지는 고정나사를 체결하거나, 힌지축의 양끝단부에 힌지구멍보다 큰 바깥지름을 가지는 고정링을 결합하였다.
따라서, 상,하측케이스의 힌지구조를 조립 및 분해할 때, 힌지축 양쪽에 고정된 고정나사 또는 고정링을 결합하거나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신속하지 못하며, 고정나사의 경우, 힌지구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사체결되므로, 상,하측케이스의 반복 회전동작에 의해 서서히 풀리는 단점이 있으며, 고정링의 경우 풀림은 방지될 수 있지만, 힌지축에 결합하거나 결합해제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힌지축의 양끝단에 고정나사 또는 고정링을 결합하는 방식은 상,하측케이스의 양측방향에서 분해 조립해야 하므로 상,하측케이스의 외부로 결합부분이 노출되고, 이로써 외관상 보기 좋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커버부재로 결합부분을 커버하였던 것으로, 커버부재는 힌지구조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더욱 번거롭게 할 뿐만 아니라, 상,하측케이스에 커버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상,하측케이스의 힌지 결합부분에 대한 구조가 더욱 복잡해져 금형제작을 어렵게 하고 비용을 증가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헤어 아이론은, 발열부의 열이 상,하측케이스에 전달되는 것에 의해 열손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발열부의 히터와 열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경우, 열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측케이스의 힌지결합부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하측케이스의 반복 회전동작에 의해서도 힌지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힌지축의 양끝단 고정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부재가 필요 없는 헤어 아이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탄성부재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고 탄성력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상,하측케이스의 밀착 및 벌어짐 동작시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하측케이스와 발열부 사이에 단열부재를 구비하여 발열부의 열이 상,하측케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발열부의 히터와 히터케이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히터를 열판에 밀착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어 아이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 음이온발생기를 구비하여 약해진 모발, 모공세포에 음이온 영양을 줌으로써 모공세포 촉진 및 탈모예방 기능을 부가한 헤어 아이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발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된 상,하측케이스; 상기 상,하측케이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된 발열부; 및 상기 상,하측케이스 일측 끝단부분을 힌지축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하케이스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결합부를 구비한 헤어 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힌지박스와, 상기 힌지축을 각각 구비하여 힌지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이 힌지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힌지결합위치와 힌지박스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결합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제1 및 제2 이동부재와, 제1 및 제2 이동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힌지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박스의 외부에서 상기 힌지축을 힌지결합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힌지결합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힌지결합유지수단과, 상기 상,측케이스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힌지조립부로 이루어지는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유지수단은, 상기 힌지박스의 측벽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 끝단에는 끝이 뾰족하게 경사져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위치된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박스의 외부에서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된 힌지결합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상,하측케이스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폭이 넓은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어 폭이 좁은 탄성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폭이 넓은 굴곡부에 탄성력조절구멍을 형성한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열부의 발열면 반대쪽에 단열부재를 구비한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발열면이 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과 결합되는 히터케이스와, 상기 열판과 히터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와 히터케이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히터를 열판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는,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음이온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끼인 모발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음이온유도통로를 더 구비하는 헤어 아이론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박스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힌지축을 힌지결합위치 또는 힌지결합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하측케이스의 힌지 결합 및 분해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힌지축이 회전방향과 전혀 다른 축방향으로 출몰하여 결합되는 방식이므로 힌지결합상태가 풀릴 염려가 없으며, 힌지박스를 케이스 자체로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커버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판스프링의 굴곡부에 형성되는 탄성력조절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탄성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헤어 아이론 사용시의 탄력성 및 조작감을 최적의 상태로 향상시킬 수 있고, 발열부의 발열면 반대쪽에 구비된 단열부재에 의해서는 발열부의 발열면 반대쪽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열부의 히터가 밀착부재에 의해 열판에 밀착됨에 따라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론에 구비된 음이온발생기로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헤어 아이론의 사용시 약해진 모발, 모공세포에 음이온 영양을 줌으로써 모공세포 촉진 및 탈모예방 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에서 힌지결합부의 힌지박스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결합 및 결합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힌지결합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에서 발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상기 발열부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에 구비된 음이온 발생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아이론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상기 헤어 아이론의 분해 사시도로서, 헤어 아이론은 모발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된 상,하측케이스(10,20)를 구비한다.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발열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측케이스(10,20) 양쪽에 발열부(30,40)가 마주보도록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 일측 끝단부분은 힌지결합부(50)로 연결되어 상,하측케이스(10,20)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0)는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중 어느 한쪽,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케이스(20)에 고정된 힌지박스(52)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박스(52)는 박스본체(52a)와 덮개(52b)로 이루어져 내부에 힌지축(51)이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는, 도 5a 및 도 5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힌지축(51)이 힌지박스(52)의 양쪽벽면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상기 힌지축(51)이 힌지박스(52)의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한쪽인 상측케이스(10)의 힌지조립부(55)에 형성한 힌지구멍(55a)에 끼워지는 힌지결합위치(도 5b의 힌지축(51) 위치)와, 힌지박스(52) 내부쪽으로 삽입되어 힌지구멍(55a)으로부터 빠지는 힌지결합해제위치(도 5a의 힌지축(51)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는 힌지축(51)에 형성한 가이드돌기(51a)를 힌지박스(52)에 형성한 홈에 안내시키는 것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힌지결합부(50)는,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부재(56)와, 상기 힌지박스(52)의 외부에서 상기 힌지축(51)을 힌지결합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힌지결합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힌지결합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힌지축(51)이 항상 힌지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인장코일스프링의 양단을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유지수단은, 상기 힌지박스(52)의 측벽에 형성한 나사구멍(57)과, 상기 나사구멍(57)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8a)를 형성한 힌지결합유지부재(58)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결합유지부재(58)의 나사부(58a) 끝단에는 끝이 뾰족하게 경사져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 사이에 위치되는 테이퍼부(58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이퍼부(58b)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의 측면은 상기 테이퍼부(58b)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결합유지부재(58)의 힌지박스(52) 외부쪽 끝단부는 상기 힌지박스(52)의 외부에서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고, 예를 들면 끝단면에 일자홈이나 십자홈을 형성하여 드라이버로 힌지결합유지부재(5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끝단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힌지박스(52)의 외부에서 힌지결합유지부재(58)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힌지결합유지부재(58)가 전,후진하여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를 작동시킴으로써 각각의 힌지축(51)을 힌지결합위치와 힌지결합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측케이스(10,20)는 상기 판스프링(60)에 의해 항상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되고, 도 6에서와 같이 상,하측케이스(10,20)에 힘을 가하여 오무리는 경우, 판스프링(60)이 압축되고, 상,하측케이스(10,2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하측케이스(10,20)가 원위치로 벌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6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넓은 굴곡부(61)에 의해 구부러져 있고, 이 굴곡부(61)로부터 양쪽으로 폭이 좁은 탄성접촉부(62)를 연장 형성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하측케이스(10,2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폭이 넓은 굴곡부(61)에는 탄성력조절구멍(63)을 형성하여 판스프링(6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탄성력조절구멍(63)을 크게 형성할수록, 굴곡부(61)의 단면적이 작아지므로 탄성력이 낮아지고, 탄성력조절구멍(63)을 작게 형성할수록, 굴곡부(61)의 단면적이 커지므로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발열부(30,40)의 발열면 반대쪽, 즉 발열부(30,40)와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단열재질의 단열부재(70)를 구비한다. 단열부재(70)는 발열부(30,40)에서 발생한 열이 상,하측케이스(10,20)쪽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이고, 상,하측케이스(10,20)의 바깥쪽, 즉 손으로 잡는 부분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케이스(10,20)의 내부에는 발열부(30,40)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부(11,21)가 각각 발열부(30,40)와 나란히 설치되고, 이 전원공급회로부(11,21)는 상,하측케이스(10,20)와 결합되는 내부커버(12,2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여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30,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면이 되는 열판(31)과, 상기 열판(31)과 결합되는 히터케이스(32)와, 상기 열판(31)과 히터케이스(32) 사이에 설치되어 열판(31)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33)는 전원공급회로부(11,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며, 상기 열판(31)의 가장자리부에는 촉형의 결합돌기(31a)가 복수개 형성되고, 히터케이스(32)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촉형의 결합돌기(31a)가 걸림유지되는 결합홈(32a)이 복수개 형성되어 열판(31)과 히터케이스(32)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터(33)와 히터케이스(32) 사이에는 밀착부재(34)가 탄력설치되어 히터(33)를 열판(31)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밀착부재(34)는 중앙부가 만곡된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열판(31)과 히터케이스(32)의 결합시 판스프링(60)의 만곡부가 탄력적으로 히터(33)를 열판(3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측케이스(10,20)중 어느 한쪽, 예들 들어 상측케이스(10)에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음이온발생기(13)와, 상기 음이온발생기(13)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끼인 모발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음이온유도통로(14)를 구비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13)는 공지의 것으로,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드는 대전판에 전압을 인가하면 금속에서 음이온이 분리돼 발생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음이온발생기(13)는 전원공급회로부(11)에 설치하여 전원공급회로부(11,21)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음이온발생기(13)와 전원공급회로부(11) 사이에 전선(도시 안됨)으로 연결된 온,오프스위치(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오프스위치(15)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측케이스(10)의 바깥표면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유도통로(14)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버(12)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음이온발생기(13)로부터 발생한 음이온이 발열부(30,40)쪽으로 유도되도록 발열부(30,40)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상,하측케이스(10,20)를 연결하고 있는 힌지결합부(50)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상,하측케이스(10,20)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1)이 힌지결합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대측 상측케이스(10)의 힌지조립부(55)에 형성된 힌지구멍(55a)을 힌지축(51)에 일치시킨 후, 힌지결합유지부재(58)를 힌지박스(52)의 외부에서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 회전시켜 전진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 사이에 위치된 힌지결합유지부재(58)의 테이퍼부(58b)가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를 양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힌지축(51)이 힌지결합위치로 이동하여 상측케이스(10)의 힌지조립부(55)에 형성된 힌지구멍(55a) 내로 삽입됨으로써 간단하게 상측케이스(10)와 하측케이스(20)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부재(56)(인장코일스프링)는 인장되어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에는 힌지결합해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지만, 힌지결합유지부재(58)의 나사부(58a)와 힌지박스(52)의 나사구멍(57)이 나사결합되어 힌지결합유지부재(58)를 역회전시키지 않는 한, 힌지결합위치에 힌지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하측케이스(10,20)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반복하여도 힌지축(51)이 축방향으로 출몰하는 방식으로 힌지결합되는 것이므로 힌지결합유지부재(58)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힌지결합상태가 풀리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상,하측케이스(10,20)가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측케이스(10,20)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힌지결합유지부재(58)를 역회전시켜 후진시키게 되면, 도 5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및 제2 이동부재(53,54)가 자동적으로 원위치하여 양쪽의 힌지축(51)이 상측케이스(10)의 힌지조립부(55)에 형성된 힌지구멍(55a)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힌지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간단하게 상,하측케이스(10,20)를 분해할 수 있다.
또한, 힌지결합부(50)를 조립하고 분해하기 위한 힌지결합유지부재(58)가 상,하측케이스(10,20) 안쪽에서 상,하측케이스(10,20)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상,하측케이스(10,20)를 벌린 상태에서 조작하게 되므로, 양쪽 힌지축(51)의 끝단면은 하측케이스(20)로 커버하여도 충분하고, 이로써 별도의 커버부재가 필요 없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하측케이스(10,20)의 힌지결합부분의 외관을 제한 없이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판스프링(60)의 굴곡부(61)에 형성된 탄성력조절구멍(63)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판스프링(6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탄성력조절구멍(63)을 크게 형성할수록, 굴곡부(61)의 단면적이 작아져 판스프링(60)의 자체 탄성력이 낮아지고, 탄성력조절구멍(63)을 작게 형성할수록, 굴곡부(61)의 단면적이 커져 판스프링(60)의 자체 탄성력이 높아지므로, 판스프링(60)의 탄성력 조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헤어 아이론 사용시의 탄력성 및 조작감을 최적의 상태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발열부(30,40)의 발열면 반대쪽, 즉 발열부(30,40)와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단열부재(70)가 구비된 것이므로, 발열부(30,40)의 열판(31)(발열면) 반대쪽으로 열이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상,하측케이스(10,20)의 바깥면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열부(30,40)의 히터(33)와 히터케이스(32) 사이에 설치된 밀착부재(34)에 의해서는 열판(31)과 히터케이스(32)를 결합할 때, 밀착부재(34)가 탄력적으로 히터(33)를 열판(31)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아이론은, 음이온발생기(13)를 작동시켜 음이온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음이온은 음이온유도통로(14)를 통해 상,하측케이스(10,20) 사이에 끼인 모발로 유도되므로, 헤어 아이론의 사용시 약해진 모발, 모공세포에 음이온 영양을 줌으로써 모공세포 촉진 및 탈모예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음이온발생기(13)는 상측케이스(10)의 바깥표면에 노출된 온,오프스위치(1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헤어 아이론 사용시 편리하게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20 : 상,하측케이스 13 : 음이온발생기
14 : 음이온유도통로 30,40 : 발열부
31 : 열판 32 : 히터케이스
33 : 히터 34 : 밀착부재
50 : 힌지결합부 51 : 힌지축
52 : 힌지박스 53,54 : 제1 및 제2 이동부재
55 : 힌지조립부 55a : 힌지구멍
56 : 탄성부재 57 : 나사구멍
58 : 힌지결합유지부재 58a : 나사부
58b : 테이퍼부 60 : 판스프링
61 : 굴곡부 62 : 탄성접촉부
63 : 탄성력조절구멍 70 : 단열부재

Claims (6)

  1. 모발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된 상,하측케이스; 상기 상,하측케이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된 발열부; 및 상기 상,하측케이스 일측 끝단부분을 힌지축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하케이스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결합부를 구비한 헤어 아이론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힌지박스와,
    상기 힌지축을 각각 구비하여 힌지박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이 힌지박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힌지결합위치와 힌지박스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결합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제1 및 제2 이동부재와,
    제1 및 제2 이동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힌지결합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박스의 외부에서 상기 힌지축을 힌지결합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힌지결합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힌지결합유지수단과,
    상기 상,측케이스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이 끼워지는 힌지구멍을 형성한 힌지조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유지수단은,
    상기 힌지박스의 측벽에 형성한 나사구멍과,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 끝단에는 끝이 뾰족하게 경사져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 사이에 위치된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박스의 외부에서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된 힌지결합유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상기 상,하측케이스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폭이 넓은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양쪽으로 연장되어 폭이 좁은 탄성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폭이 넓은 굴곡부에 탄성력조절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발열면 반대쪽에 단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발열면이 되는 열판과, 상기 열판과 결합되는 히터케이스와, 상기 열판과 히터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열판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와 히터케이스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히터를 열판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케이스중 어느 한쪽에는,
    음이온을 발생하기 위한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음이온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상,하측케이스 사이에 끼인 모발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음이온유도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론.
KR1020100033674A 2010-04-13 2010-04-13 헤어 아이론 KR10112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74A KR101124258B1 (ko) 2010-04-13 2010-04-13 헤어 아이론
EP10190204A EP2377419B1 (en) 2010-04-13 2010-11-05 Hair iron
AU2010246341A AU2010246341A1 (en) 2010-04-13 2010-11-15 Hair iron
US12/953,991 US8418699B2 (en) 2010-04-13 2010-11-24 Hair ir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674A KR101124258B1 (ko) 2010-04-13 2010-04-13 헤어 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179A true KR20110114179A (ko) 2011-10-19
KR101124258B1 KR101124258B1 (ko) 2012-03-27

Family

ID=4321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74A KR101124258B1 (ko) 2010-04-13 2010-04-13 헤어 아이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8699B2 (ko)
EP (1) EP2377419B1 (ko)
KR (1) KR101124258B1 (ko)
AU (1) AU201024634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19Y1 (ko) * 2013-07-29 2015-02-23 주식회사 심지 헤어아이론
KR20160028052A (ko) * 2014-09-02 2016-03-11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헤어컬링장치
KR20190135841A (ko) * 2018-05-29 2019-12-09 김진협 화학 반응 열을 이용한 일회용 고데기
KR20220018669A (ko) * 2020-08-07 2022-02-15 안나은 헤어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07Y1 (ko) * 2011-05-17 2011-11-14 주종현 헤어 매직기
GB201211253D0 (en) 2012-06-25 2012-08-08 Jemella Ltd Hair dryer
GB2500733B (en) 2012-06-25 2014-05-21 Jemella Ltd Hair styling appliance
GB2505171A (en) * 2012-08-20 2014-02-26 Jemella Ltd A hair styling apparatus with a resiliently flexible portion
GB2505269B (en) * 2012-08-20 2018-02-28 Jemella Ltd Hair styling device
GB2555310B (en) 2012-12-03 2018-07-18 Jemella Ltd Hair styling apparatus
WO2014095095A1 (en) * 2012-12-18 2014-06-26 Koninklijke Philips N.V. Hair straightener
WO2015011588A1 (en) 2013-07-24 2015-01-29 Koninklijke Philips N.V. Hair styling device
KR101396707B1 (ko) * 2013-12-12 2014-05-16 박태종 음이온 발생 고데기
FR3028392B1 (fr) * 2014-11-18 2016-11-11 Seb Sa Appareil de coiffure avec moyen d'isolation thermique integre
US10278469B2 (en) * 2016-04-29 2019-05-07 Shenzhen Lady Merry Technology Co., Ltd. Hairdressing apparatus with anion function having switch, temperature regulation and display parts
USD816270S1 (en) * 2016-09-08 2018-04-24 Conair Corporation Heated hair straightener
USD829989S1 (en) * 2016-09-21 2018-10-02 Shenzhen Lady Merry Technology Co., Ltd. Hairdressing apparatus
USD837448S1 (en) * 2017-06-13 2019-01-01 Wenzhou Shi Labo Electrics Co., Ltd. Hair iron
USD893098S1 (en) * 2018-08-30 2020-08-11 Shenzhen Lady Merry Technology Co., Ltd. Hair straightener
JP7320751B2 (ja) * 2019-08-29 2023-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アーアイロン
USD979134S1 (en) * 2020-12-22 2023-02-21 Conair Llc Hair styling iron
USD990776S1 (en) * 2021-07-07 2023-06-27 Babyliss FACO SRL Hair straighte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309A (en) * 1995-05-18 1997-07-15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xially aligned cover release mechanism
KR200213331Y1 (ko) 1998-10-23 2001-03-02 김진천 휴대폰의 플립 커버용 힌지 조립체
KR100421370B1 (ko) * 2001-11-16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에프피씨 연결 구조 및 전자기기용 에프피씨
KR100503028B1 (ko) * 2003-04-28 2005-07-25 최영범 헤어 아이론
KR100508817B1 (ko) 2003-05-15 2005-08-18 주식회사티케이이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410807Y1 (ko) 2005-12-30 2006-03-08 (주) 지에치디코리아 헤어용 아이롱
WO2007078049A1 (en) * 2005-12-30 2007-07-12 Ghd Korea, Inc. Hair iron
US20080236609A1 (en) * 2007-03-29 2008-10-02 Hang Shun Hing Company Limited Electric hair straightening and waving iron
EP1980173A3 (en) * 2007-04-10 2010-11-03 Hang Shun Hing Company Limited Electric hair straightening and waving iron
US20080283079A1 (en) * 2007-05-14 2008-11-20 Ying Chung Huang Hair dyeing and treatment tongs that emit supersonic energ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19Y1 (ko) * 2013-07-29 2015-02-23 주식회사 심지 헤어아이론
KR20160028052A (ko) * 2014-09-02 2016-03-11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헤어컬링장치
KR20190135841A (ko) * 2018-05-29 2019-12-09 김진협 화학 반응 열을 이용한 일회용 고데기
KR20220018669A (ko) * 2020-08-07 2022-02-15 안나은 헤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8699B2 (en) 2013-04-16
US20110247647A1 (en) 2011-10-13
EP2377419B1 (en) 2013-01-16
KR101124258B1 (ko) 2012-03-27
EP2377419A1 (en) 2011-10-19
AU2010246341A1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258B1 (ko) 헤어 아이론
JP2004531046A (ja) 電源プラグ
KR100966798B1 (ko) 헤어 아이론
KR101506086B1 (ko) 회전형 롤 고데기
KR101399389B1 (ko) 다리미겸용 헤어아이론
WO2021104041A1 (zh) 可调节的卷发器
KR101714470B1 (ko) 헤어아이론
KR20120095206A (ko) 헤어 아이론의 방열 구조
KR101682069B1 (ko) 가변접속장치를 구비한 스마트 선풍기
CN110338540B (zh) 一种头部有曲直发转换的造型器
CN204048509U (zh) 二合一直发卷发器
KR200393691Y1 (ko) 헤어아이론
CA2665811C (en) Hair styling iron with raised fins
KR101439162B1 (ko) 브러쉬를 구비한 헤어아이론
KR102121024B1 (ko) 발열판을 구비하는 헤어 아이론
KR101846945B1 (ko) 방수기능을 갖는 헤어 아이론
CN210539501U (zh) 一种头部有曲直发转换的造型器
CN217487881U (zh) 可调节卷发器
US20170290402A1 (en) Flatiron with Central Comb
JP7077183B2 (ja) ヘアブラシ
CN103932475A (zh) 一种自动夹发卷发器
KR200478428Y1 (ko) 탈부착형 고데기
KR102479913B1 (ko) 헤어 기기
CN209915244U (zh) 一种旋转式调温卷发器
CN215685410U (zh) 一种美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