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39U -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 Google Patents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39U
KR20180002939U KR2020170002313U KR20170002313U KR20180002939U KR 20180002939 U KR20180002939 U KR 20180002939U KR 2020170002313 U KR2020170002313 U KR 2020170002313U KR 20170002313 U KR20170002313 U KR 20170002313U KR 20180002939 U KR20180002939 U KR 20180002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irror
container
ho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희
박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교육
Publication of KR20180002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을 구비하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 포장재를 일일이 뜯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덮는 과정에서, 용기에 구비된 거울을 보면서 마스크 팩이 얼굴의 정 위치에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Package for Make Up with Mirror}
본 고안은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표면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마스크 팩을 포장하기 위한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질환 및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손상받은 피부를 빠르게 회복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이나 팩, 마사지, 전문적인 시술 등으로 피부 관리를 하고 있다. 특히, 여러 종류의 피부관리법 중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시트형 마스크 팩 제품들이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마스크 팩은 얼굴에 바르거나 붙여 피부 표면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적으로 만들며,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얇은 포장재에 밀봉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포장재의 밀봉상태를 해제하여 포장재 안에 있는 마스크 팩을 꺼내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을 한 장 수용하고 있으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마다 포장재를 일일이 뜯어서 사용해야 한다. 이는, 사용 과정이 번거롭고, 포장재는 한번 사용한 후 버려지므로, 포장재로 인한 원가 상승과 함께,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재에는 거울이 없어, 사용자는 마스크 팩을 얼굴의 정 위치에 붙이기 위하여 별도로 거울을 준비하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7441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을 구비하도록 하여,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 포장재를 일일이 뜯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 비용이 절약되도록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덮는 과정에서, 용기에 구비된 거울을 보면서 마스크 팩이 얼굴의 정 위치에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덮는 과정에서, 용기에 구비된 거울을 보면서 마스크 팩이 얼굴의 정 위치에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거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되 그 중앙에 상기 인출구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위치된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덮개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는 영양 성분이 흡수 또는 도포된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이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는 영양 성분이 함유된 액상 용액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점착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울부가 상기 덮개의 안쪽에 구비될 때, 상기 덮개의 안쪽에는 상기 거울부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울부는 상기 끼움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울부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부착부에 점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덮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이형지는 상기 반사체의 상기 부착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반사체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덮개의 안쪽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울부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반사체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결합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결합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안쪽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개폐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덮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때,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상기 개폐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개폐캡 방향으로 제 1 착탈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캡은 상기 제 1 착탈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착탈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용기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을 구비하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 포장재를 일일이 뜯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기에 수용된 마스크 팩 또는 액상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용기에 구비된 거울을 보면서 마스크 팩이 얼굴의 정 위치에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부는 용기에 수용되고, 사용 과정에서 덮개의 안쪽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부는 부착부를 구비하여 덮개의 안쪽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거울부가 덮개에서 잘 떨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부는 덮개의 안쪽에 위치되되, 거울부의 결합부가 덮개의 제 2 결합안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거울부는 덮개의 안쪽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용기에서 거울부가 떼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덮개에 거울부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개방된 커버부재의 덮개에 거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커버부재의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커버부재의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개폐캡이 클로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개폐캡이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제 1, 2 착탈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용기에서 거울부가 떼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덮개에 거울부가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10)는 영양 성분이 흡수 또는 도포된 마스크 팩(미도시), 복수 개의 상기 마스크 팩이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는 상기 마스크 팩이 인출되도록 인출구(110)가 형성되는 용기(100), 상기 인출구(110)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상면에 거울이 구비되는 거울부(2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구(110)와 상기 거울부(200)를 동시에 커버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용기(100)의 상부에 장착되되 그 중앙에 상기 인출구(110)가 노출되도록 관통홀(312)이 형성되는 베이스(310) 및 상기 베이스(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관통홀(312)을 개폐시키는 덮개(320)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312)을 폐쇄하도록 용기(100)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덮개(3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312)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용기(100)의 상면에 점착된 거울부(200)가 덮개(320)의 안쪽에 점착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310)와 덮개(320)는 제 1, 2 결합부(314, 322)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마스크 팩을 얼굴에 덮는 과정에서, 용기(100)에 구비된 거울을 보면서 마스크 팩이 얼굴의 정 위치에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100)에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을 구비하므로,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 종래와 같이 포장재를 일일이 뜯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유지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는 거울부(210)가 용기(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거울부(210)는 용기(10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02a)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212a)을 구비하는 결합부(212)와, 결합부(212)의 외면에 장착되는 거울(214)을 포함한다. 이러한 거울부(210)는 덮개(320)가 오픈되면, 덮개(32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2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거울부는 스티커와 같이 점착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결합홈과 결합부에 의한 끼움 결합 구조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거울부는 상술한 결합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용기 또는 덮개에 수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개방된 커버부재의 덮개에 거울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20)는 용기(400), 커버부재(600) 및 거울부(500)를 포함한다.
용기(400)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용기(400)의 내부 공간에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마스크 팩 대신에 액상용액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 용기(400) 내부에 마스크 팩이 수용되거나 또는 액상용액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액상용액은 각종 영양 성분이 함유된 로션, 스킨, 에센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400)는 그 상측에 마스크 팩 또는 액상용액이 인출되도록 인출구(402)가 형성된다. 용기(400) 내부에 마스크 팩이 수용된다면 인출구(402)는 마스크 팩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용기(400) 내부에 액상용액이 수용된다면 인출구(402)는 액상용액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인출구(402)는 추가적으로 점착스티커(미도시)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스티커는 용기(400) 내부의 마스크 팩 또는 액상용액이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커버부재(600)는 용기(4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인출구(402)를 커버하는 것으로, 베이스(610) 및 덮개(620)를 포함한다. 베이스(610)는 용기(400)의 상측에 장착되되 그 중앙에 인출구(40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612)이 형성된다. 덮개(620)는 베이스(610)를 덮도록 형성되되 베이스(6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덮개(620)는 베이스(610)와 힌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610)의 테두리에는 제 1 끼움결합부(614)가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610)와 마주보는 덮개(620)의 안쪽 테두리에는 상기 끼움결합부(525)와 맞닿도록 제 2 끼움결합부(62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620)가 베이스(610)를 덮도록 위치되면, 제 1 끼움결합부(614)와 제 2 끼움결합부(622)가 맞닿으면서 걸림 결합된다. 이때, 덮개(620)의 테두리를 따라 베이스(610)부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테두리부(6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620)가 베이스(610)를 덮도록 위치되면, 덮개(620)가 관통홀(612) 및 인출구(402)를 폐쇄하게 되고, 덮개(620)가 베이스(610)를 오픈하도록 회전되면 덮개(620)가 관통홀(612) 및 인출구(402)를 개방하게 된다.
거울부(500)는 거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 또는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울부(500)는 용기(400)와 커버부재(600) 사이에 구비된다. 거울부(500)는 도 8을 참조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거울부(500)는 베이스(610)와 덮개(6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용기(400)의 상면에 위치된 덮개(6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관통홀(612)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용기(400)의 베이스(610)에 놓여진 거울부(500)가 덮개(620)의 안쪽에 위치된다. 이때, 거울부(500)는 단순히 덮개(620)의 안쪽에 놓여질 수도 있고, 덮개(620)의 제 2 끼움결합부(622)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처럼 덮개(620)가 오픈되면, 거울부(500)가 덮개(620)의 안쪽에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별도로 거울을 찾거나 거울을 보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20)는 거울부(510)가 반사체(512), 부착부(512a) 및 이형지(5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반사체(512)는 거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도록 구성된다. 부착부(512a)는 점착물질 또는 접착물질로 구성되며 반사체(512)의 일면에 코팅된다. 이형지(514)는 부착부(512a)에 점착된다.
그리고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용기(400)의 상면에 위치된 덮개(6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관통홀(612)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이형지(514)는 반사체(512)의 부착부(512a)에서 제거된다.
이어서, 도 9의 (b)를 참조하면, 반사체(512)의 부착부(512a)는 덮개(620)의 안쪽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거울부(510)는 부착부(512a)를 구비하여 덮개(620)의 안쪽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거울부(510)가 덮개(620)에서 잘 떨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커버부재의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20)는 거울부(520)가 반사체(522), 결합판(524) 및 결합부(525)를 갖도록 형성되고 커버부재(600)에 제 1, 2 결합안내부(616, 624)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반사체(522)는 거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도록 구성된다. 결합판(524)은 반사체(522)에 결합되는 것으로 반사체(522)를 덮도록 판형으로 형성된다. 결합부(525)는 반사체(522)와 마주보지 않는 결합판(524)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결합판(524)의 일면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안내부(616)는 베이스(610)에 결합부(525)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620)가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위치된 용기(400)의 상면에 위치되고, 거울부(520)가 베이스(610)에 위치된 상태에서, 거울부(520)의 결합부(525)가 끼움 결합되도록 베이스(610)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결합안내부(624)는 덮개(620)가 관통홀(612)을 개방하도록 회전되고, 거울부(520)가 덮개(620)의 안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거울부(520)의 결합부(525)가 끼움 결합되도록 덮개(620)의 안쪽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거울부가 커버부재의 덮개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용기(400)의 상면에 위치된 덮개(6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관통홀(612)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제 1 결합안내부(616)에 끼움 결합된 결합부(525)가 제 1 결합안내부(616)에서 탈거되어, 거울부(520)가 베이스(610)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후, 거울부(520)는 덮개(620)의 안쪽에 위치되는데, 이때, 거울부(520)의 결합부(525)가 덮개(620)의 제 2 결합안내부(624)에 끼움 결합되어, 거울부(520)는 덮개(620)의 안쪽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부(525)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1, 2 결합안내부(616, 624)는 결합부(525)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나,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결합부(525)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1, 2 결합안내부(616, 624)가 결합부(525)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개폐캡이 클로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커버부재에 구비되는 개폐캡이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20)는 커버부재(600)에 개폐캡(630)이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개폐캡(630)은 인출구(402) 및 관통홀(612)을 개폐하는 것으로, 관통홀(612)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610)의 일측에 덮개(6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때, 베이스(610)의 타측에 개폐캡(6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개폐캡(630)의 일측에는 베이스(610)의 타측 방향으로 캡연결부(632)가 돌출 형성되어, 캡연결부(632)가 베이스(6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베이스(610)에 구비되는 제 1 끼움결합부(614)의 캡연결부(632)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오목하게 연결안내홈(61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캡(630)이 관통홀(612)을 커버하도록 회전될 때, 개폐캡(630)과 연결된 캡연결부(632)는 연결안내홈(614a)에 삽입된 상태로 개폐캡(630)을 관통홀(612)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한다.
그리고 개폐캡(630)의 일측에 캡연결부(632)가 돌출 형성될 때, 개폐캡(630)의 타측에는 결합연장부(63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연장부(634)에는 제 2 착탈결합부(634a)가 형성되고, 베이스(610)에는 제 2 착탈결합부(634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1 착탈결합부(618)가 형성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의 제 1, 2 착탈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착탈결합부(618)는 개폐캡(630)이 베이스(610)의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위치될 때, 베이스(610)의 제 2 착탈결합부(634a)와 마주보는 위치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 결과, 개폐캡(630)이 베이스(610)의 관통홀(612)을 폐쇄하도록 위치되면, 개폐캡(630)의 제 2 착탈결합부(634a)에 베이스(610)의 제 1 착탈결합부(618)가 삽입되어, 개폐캡(630)이 베이스(610)에 결합된다. 그리고 개폐캡(630)이 베이스(610)의 관통홀(612)을 폐쇄하지 않도록 회전되면, 제 2 착탈결합부(634a)는 제 1 착털결합부(525)에서 빠져 나와 이들의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착탈결합부(618)는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제 2 착탈결합부(634a)는 제 1 착탈결합부(618)가 삽입되도록 홀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2 착탈결합부(634a)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제 1 착탈결합부(618)가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20: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100: 용기 110: 인출구
200: 거울부 300: 커버부재
310: 베이스 312: 관통홀
320: 덮개 20: 패키지
400: 용기 402: 인출구
500: 거울부 510: 거울부
512: 반사체 512a: 부착부
514: 이형지 520: 거울부
522: 반사체 524: 결합판
525: 결합부 600: 커버부재
610: 베이스 612: 관통홀
614: 제 1 끼움결합부 614a: 연결안내홈
616: 제 1 결합안내부 618: 제 1 착탈결합부
620: 덮개 621: 테두리부
622: 제 2 끼움결합부 624: 제 2 결합안내부
630: 개폐캡 632: 캡연결부
634: 결합연장부 634a: 제 2 착탈결합부

Claims (12)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상부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인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용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거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장착되되 그 중앙에 상기 인출구가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위치된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거울부는 상기 덮개의 안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영양 성분이 흡수 또는 도포된 복수 개의 마스크 팩이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영양 성분이 함유된 액상 용액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점착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가 상기 덮개의 안쪽에 구비될 때, 상기 덮개의 안쪽에는 상기 거울부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울부는 상기 끼움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부착부에 점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덮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이형지는 상기 반사체의 상기 부착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반사체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덮개의 안쪽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을 맺는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에 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반사체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결합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1 결합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안쪽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개폐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상기 덮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때,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상기 개폐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개폐캡 방향으로 제 1 착탈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캡은 상기 제 1 착탈결합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 2 착탈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KR2020170002313U 2017-04-04 2017-05-11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KR2018000293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1674 2017-04-04
KR2020170001674 2017-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39U true KR20180002939U (ko) 2018-10-12

Family

ID=6386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13U KR20180002939U (ko) 2017-04-04 2017-05-11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6444A (ja) * 2019-10-18 2021-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有する包装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10B1 (ko) 2008-06-19 2010-08-05 추봉세 마스크팩 포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10B1 (ko) 2008-06-19 2010-08-05 추봉세 마스크팩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66444A (ja) * 2019-10-18 2021-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有する包装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8659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ara cartuchos de afeitar.
US6786329B2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617545T3 (es) Dispositivo para envasar un producto, en particular un producto cosmético, que presenta un elemento de sellado
GB2511820A (en) Compact housing and godet for a cosmetic container
KR20120005569U (ko) 물티슈용기 개폐커버
KR20180002939U (ko) 거울부를 갖는 화장용 패키지
US20180184859A1 (en) Dispensing container
ES2371427T3 (es) Recipiente plano.
KR101845623B1 (ko) 물티슈 용기용 인출브라켓
KR200480270Y1 (ko) 물티슈 용기
KR20160115248A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ES2953319T3 (es) Recipiente de cosméticos que incluye un recipiente interno recargable
KR200479142Y1 (ko) 물티슈 케이스
AU2007202506B2 (en) Storage device for shaving razor, cartridges, or other stored items
KR20090011361U (ko) 압박테이프의 수납케이스
JP2008201439A (ja) ストロー入り飲料容器用合成樹脂製蓋
KR20140063540A (ko) 용기마개
KR20180039391A (ko)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JP2005279092A (ja) 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