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19U - 트롤리 캐리어 - Google Patents

트롤리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19U
KR20180002719U KR2020170001130U KR20170001130U KR20180002719U KR 20180002719 U KR20180002719 U KR 20180002719U KR 2020170001130 U KR2020170001130 U KR 2020170001130U KR 20170001130 U KR20170001130 U KR 20170001130U KR 20180002719 U KR20180002719 U KR 201800027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andle
wheel
trolley carri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세열
Original Assignee
맹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세열 filed Critical 맹세열
Priority to KR2020170001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719U/ko
Publication of KR20180002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5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adjustable in rotation to a towing element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행 시에 필요한 물품을 케이스에 보관하고 이동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관하는 물품의 특성 및 형태에 따라 케이스를 기울인 상태 또는 케이스를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로 견인하며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는 물품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피봇 결합되어 선회하며 신축되는 핸들과,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제1바퀴들과, 상기 제1바퀴들이 장착된 부위의 케이스 측면에 장착된 제2바퀴를 포함하며, 케이스를 기울인 상태로 제1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이동하거나 케이스를 눕힌 상태로 제1바퀴와 제2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롤리 캐리어{Trolley Carrier}
본 고안은 여행 시에 필요한 물품을 케이스에 보관하고 이동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관하는 물품의 특성 및 형태에 따라 케이스를 기울인 상태 또는 케이스를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로 견인하며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 시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고 이동하기 위해 캐리어를 이용한다.
특히 트롤리 캐리어는 상향으로 길쭉한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케이스의 하부 모서리 양측에 바퀴가 장착되고, 케이스의 상부에는 견인할 수 있도록 핸들이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종래의 트롤리 캐리어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기존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핸들을 연장한 상태로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4개의 캐스터가 장착된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캐리어(10D)는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상면에서 상하향으로 미끄러져 인출 또는 인입되는 핸들(13)과, 케이스(11)의 저면 네 모서리 중 핸들(13)이 장착된 쪽의 측면 하부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바퀴(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 캐리어(10D)에 있어서, 케이스(11)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하지 않거나 트롤리 캐리어를 보관할 경우, 핸들(13)을 케이스(11) 내부에 인입시킨 후 케이스(11)를 세운 상태로 정당한 장소에 트롤리 캐리어(10D)를 위치시킨다.
한편, 트롤리 캐리어(10D)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13)을 인출하고, 인출된 핸들(13)을 파지한 상태로 바퀴(15)만 지면에 접하도록 케이스(11)를 기울인 후 핸들(13)을 끌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트롤리 캐리어(10D)는 바퀴(15)를 이용하여 끌고 이동함에 따라 통상적으로 들고 이동하는 가방보다 이동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보 이동이 많은 여행의 경우, 트롤리 캐리어(10D)의 쓰임새가 일반적인 가방보다 월등히 우수하여 해외여행과 같이 장거리 여행 시에 트롤리 캐리어(10D)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10D)는 이동 시에 케이스(11)를 기울인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지만, 도 3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10F)는 케이스(11)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11)의 저면 꼭짓점 근처에는 각각 캐스터(15c)가 장착된다. 4개의 캐스터(15c)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4개의 캐스터(15c)가 정렬됨에 따라 트롤리 캐리어(10F)를 어느 방향으로 밀더라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D)와 도 3에 도시된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를 비교할 경우, 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D)는 케이스(11)를 기울인 상태로 끌어 이동하는 구조인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는 케이스(11)를 기울이지 않고 세워진 상태에서 케이스(11)를 밀어 이동하는 구조이다.
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D)는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케이스(11)에 보관된 물품의 무게중심이 변경되어 사용자가 초기에 물품을 쌓아놓은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쏟아지거나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가 개발되었으며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는 케이스(11)가 세워진 상태 그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물품의 무게중심이 사용자가 쌓아 놓은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는 케이스(11) 내부에 담긴 물품이 쏟아지거나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무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F)와 방향성 트롤리 캐리어(10D)의 케이스(11)는 모두 상향으로 길쭉한 직육면체 구조임에 따라 케이스에 수용되는 물품 또한 상향으로 세워져 보관되는 물품의 수납이 용이하다.
하지만, 수평하게 보관되어야 하는 넓은 평판 구조의 물품 경우에는 케이스의 구조에 의해 이 또한 세워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향으로 길쭉한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에 물품을 보관할 경우에 케이스의 무게중심이 높게 위치하게 됨에 따라 이동 중에 무게중심을 잃고 트롤리 캐리어가 쉽게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055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065호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수용되는 물품의 특성 및 형태에 따라 케이스를 수평으로 눕혀 이동하거나 종래와 같이 케이스를 세운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트롤리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는 물품을 보관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피봇 결합되어 선회하며 신축되는 핸들과,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제1바퀴들과, 상기 제1바퀴들이 장착된 부위의 케이스 측면에 장착된 제2바퀴를 포함하며, 케이스를 기울인 상태로 제1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이동하거나 케이스를 눕힌 상태로 제1바퀴와 제2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퀴는 방향성 바퀴이며, 제2바퀴는 무방향성 바퀴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은, 그 하단이 케이스에 피봇 결합되어 설정된 선회 각도만큼 선회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어 핸들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핸들의 길이를 신축하는 확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의 선회각도 이상으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부의 선회범위 바깥쪽에 형성된 스토퍼와, 회전부가 특정 각도로 선회하였을 경우 회전부의 선회범위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회전부의 선회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인출되거나 케이스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잠금해제하는 잠금블록과, 잠금블록이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잠금해제레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의 핸들 바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확장부의 핸들 바와 상기 회전부의 핸들 바를 관통하는 잠금핀과, 잠금핀이 회전부의 핸들 바와 확장부의 핸들 바를 관통하여 확장부의 이동을 잠금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잠금핀이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확장부에 장착된 잠금해제버튼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는 케이스가 지면과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이동하거나 또는 종전과 같이 케이스가 세워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에 보관된 물품의 특성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케이스의 위치를 눕히거나 세워 이동함으로써, 케이스에 담긴 물품의 위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이동 후 케이스를 개방하더라도 물품이 쏟아지거나 심하게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는 케이스를 수평하게 눕혀 이동할 수 있어 트롤리 캐리어의 전복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핸들을 연장한 상태로 견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4개의 캐스터가 장착된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케이스를 수평하게 위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케이스를 세워 기울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핸들과 케이스의 피봇 결합된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핸들의 연장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케이스를 수평하게 위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트롤리 캐리어의 케이스를 세워 기울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핸들과 케이스의 피봇 결합된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핸들의 연장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캐리어(100)는 길쭉한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110)와, 케이스(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양측면 상단부에 피봇(120P) 결합된 핸들(120)과, 케이스(110)의 양측면 하단부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바퀴(131)와, 케이스(110)의 배면 상단부 양측에 각각 장착된 무방향성 바퀴인 캐스터(1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100)는 케이스(110)의 저면과 배면이 접하는 모서리의 양측에 바퀴(131)가 각각 장착되고, 배면의 상단부 양측에 캐스터(132)가 각각 장착됨에 따라 도 4에 보이듯이 길쭉한 직육면체 구조의 케이스(110)를 기울어지게 세운 상태 즉 바퀴(131)만이 지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120)을 끌어 이동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바퀴(131)와 캐스터(132)가 지면에 접하도록 케이스(110)를 수평하게 눕힌 상태에서 핸들(120)을 끌거나 밀어 케이스(110)를 이동한다.
또한 케이스(110)를 기울어지게 세우거나 눕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밀거나 끌어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위치에 따라 핸들(120)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120P)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 캐리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배면 상단에는 한 쌍의 캐스터(132)가 장착되고, 케이스(110)의 배면과 저면이 접하는 모서리의 양단에는 각각 방향성 바퀴(131)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상단 양측면에는 배면에 근접하여 핸들(120)의 양단이 피봇(120P) 결합되며, 핸들(120)은 그 길이가 2단으로 신축 가능한 연장형 핸들(120)로서, 앞서 설명한 케이스(110)의 위치 즉 눕거나 세워진 상태의 케이스(110) 위치에 따라 피봇(120P) 지점에서 사용자의 손까지의 거리에 맞춰 2단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핸들(120)이 피봇(120P)을 중심으로 선회함에 있어서 케이스(110)의 상면과 접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을 때에, 케이스(110)의 양측면의 상단에는 핸들(120)이 수납될 수 있는 레일형 홈(111)이 형성된다.
핸들(120)의 바 끝단이 케이스(110)의 홈(111) 안쪽에 접한 상태로 피봇(120P) 결합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핸들(120)을 상향으로 선회하였을 경우 핸들(120)의 평행한 바(이하 '핸들 바'라 함)는 케이스(110)의 홈(111)에 정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바(121)의 끝단은 홈(111)의 안쪽 내측면에 피봇(120P) 체결되어 피봇(120P)을 축으로 선회 가능하며, 케이스(110)에는 핸들 바(121)의 선회를 제한하는 스토퍼(113)가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봇(120P)을 축으로 선회하는 핸들 바(121)는 스토퍼(113)에 간섭되는 각도 범위인 90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다.
또한 핸들 바(121)의 선회각도인 90도의 안쪽 내각에는 케이스(110)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블록(141)이 장착되며, 잠금블록(141)은 케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된 잠금해제레버(143)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케이스(110) 내부로 인입되어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잠금블록(141)이 케이스(1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핸들 바(121)는 피봇(120P)을 중심으로 90도 선회 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 가능하며, 핸들 바(121)가 케이스(110)의 스토퍼(113)에 접한 상태에서 잠금블록(141)이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면 스토퍼(113)와 잠금블록(141)의 사이에 핸들 바(121)가 끼워져 핸들 바(121)의 선회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잠금블록(141)과 잠금해제레버(143)의 결합관계 즉 잠금해제레버(143)를 누르면 잠금블록(141)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되고 잠금해제레버(143)에 인가된 힘이 제거되면 잠금블록(141)이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되는 결합관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핸들 바(121)의 인출 및 그 잠금에 따른 결합관계와 동일 유사하다.
그러므로 잠금블록(141)과 잠금해제레버(143)의 결합관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잠금핀(155)과 잠금해제버튼(151)의 구성 및 결합관계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 또는 누운 상태의 케이스(110) 피봇(120P)에서 사용자의 손까지의 거리 차를 보상하기 위해 핸들 바(121)는 미끄러져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은 케이스(110)에 피봇(120P)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123)와, 상기 회전부(123)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미끄러져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확장부(125)로 구분되며, 회전부(123)의 양측 핸들 바(121A)를 보강부(127)가 연결한다.
그리고 확장부(125)의 양측 핸들 바(121B)는 회전부(123)의 핸들 바(121A) 안쪽으로 미끄러져 인입되거나 인출되게 구성되며 확장부(125)의 양측 핸들 바(121)의 상단 또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보강부(127)의 중간에는 잠금해제버튼(151)이 위치하며, 잠금해제버튼(151)에서 연장된 와이어(153)는 회전부(123)의 핸들 바(121A)를 관통해 확장부(125)의 핸들 바(121B)에 삽입되는 잠금핀(155)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27)의 길이 중간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잠금해제버튼(151)이 장착되며, 잠금해제버튼(151)의 저면 양측에는 절곡 레버(152)가 보강부(127)에 힌지 결합되고 절곡 레버(152)의 일단은 잠금해제버튼(151)에 힌지결합되며, 절곡 레버(152)의 타단에는 와이어(153)가 고정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버튼(151)을 누르면, 절곡 레버(152)가 선회하면서 와이어(153)를 잠금해제버튼(151) 방향으로 당기게 되며, 와이어(153) 끝단에 고정된 잠금핀(155)은 확장부(125)의 핸들 바(121B)에서 인출된다. 이때 잠금핀(155)은 압축 코일스프링(15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압축 코일스프링(157)은 잠금핀(155)이 확장부(125)의 핸들 바(121B)와 회전부(123)의 핸들 바(121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잠금해제버튼(151)을 누르면, 잠금핀(155)에 의해 잠금된 회전부(123)와 확장부(125)가 잠금해제되면서 확장부(125)의 핸들 바(121B)가 회전부(123)의 핸들 바(121A)에서 자유롭게 외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110)가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에서 잠금해제버튼(151)을 눌러 확장부(125)를 인출하여 핸들(12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케이스(110)가 눕혀짐에 따른 손까지의 거리 차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케이스(110)가 세워질 경우 확장부(125)의 핸들 바(121B)를 회전부(123)의 핸들 바(121A) 안쪽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케이스(110)의 위치변화에 따른 손까지의 거리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금핀(155)과 잠금해제버튼(151)의 결합구조는 잠금블록(141)에서 잠금해제레버(143)까지의 결합구조와 유사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핸들(120)의 선회에 따른 구성 그리고 핸들 바(121)의 확장 및 잠금에 따른 구성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구성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 캐리어(100)를 이용하여 물품을 보관하고 이동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100)에 있어서, 케이스(110)에 보관할 물품이 세워져 보관되는 물품일 경우 케이스(110)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물품을 케이스(110) 내부에 적재하고 트롤리 캐리어(1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기울인 상태로 이동한다. 그러면 물품의 무게중심이 케이스(110)의 기울기에 따라 약간 변경될 뿐 큰 변경이 발생하지 않아 적재한 상태 그대로 유지하며 트롤리 캐리어(100)를 끌어 당겨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케이스(110)에 보관할 물품이 수평하게 보관되어야 하는 넓은 평판 구조의 물품일 경우 케이스(11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지면에 수평하게 눕힌다. 그러면 한 쌍의 바퀴(131)와 한 쌍의 캐스터(132)가 지면에 접한 상태로 케이스(110)는 수평하게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케이스(110) 내부에 물품을 적재한다.
그리고 케이스(110)를 닫고 핸들(120)을 상향으로 선회시킨 후 핸들(120)을 밀거나 당기면서 이동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120)이 0도와 90도 즉 스토퍼(113)에 접하는 상태에서 잠금블록(141)이 핸들 바(121)의 선회를 고정함으로써, 핸들(120)은 케이스(110)와 수평 또는 직각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핸들(120)의 회전부(123)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사용자가 핸들(120)을 파지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피봇(120P)에서 사용자의 손까지의 거리에 맞춰 핸들(120)을 신축한다.
본 고안에 따른 트롤리 캐리어(100)는 물품의 특성 및 형태에 따라 케이스(110)를 세워 이동하거나 또는 눕혀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 적재된 물품이 쏟아지거나 위치가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를 수평상태로 이동함에 있어 케이스(110) 위에 다른 적재물을 올려 이동할 수 있어 케이스의 크기보다 많은 양의 물품의 이동이 가능하다.
100 : 트롤리 캐리어
110 : 케이스
111 : 홈
113 : 스토퍼
120 : 핸들
121 : 핸들 바
123 : 회전부
125 : 확장부
127 : 보강부
131 : 바퀴
132 : 캐스터
141 : 잠금블록
143 : 잠금해제레버
151 : 잠금해제버튼
153 : 와이어
152 : 절곡 레버
155 : 잠금핀
157 : 코일스프링

Claims (5)

  1. 물품을 보관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피봇 결합되어 선회하며 신축되는 핸들(120)과,
    케이스(110)의 하부에 장착된 제1바퀴(131)들과,
    상기 제1바퀴(131)들이 장착된 부위의 케이스(110) 측면에 장착된 제2바퀴를 포함하며,
    케이스(110)를 기울인 상태로 제1바퀴(131)를 이용하여 케이스(110)를 이동하거나 케이스(110)를 눕힌 상태로 제1바퀴(131)와 제2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스(110)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제1바퀴(131)는 방향성 바퀴이며, 제2바퀴는 무방향성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120)은,
    그 하단이 케이스(110)에 피봇(120P) 결합되어 설정된 선회 각도만큼 선회하는 회전부(123)와,
    상기 회전부(123)에 장착되어 핸들(12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핸들(120)의 길이를 신축하는 확장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123)의 선회각도 이상으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회전부(123)의 선회범위 바깥쪽에 형성된 스토퍼(113)와,
    회전부(123)가 특정 각도로 선회하였을 경우 회전부(123)의 선회범위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회전부(123)의 선회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거나 케이스(110)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잠금해제하는 잠금블록(141)과,
    잠금블록(141)이 잠금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잠금해제레버(1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캐리어.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123)의 핸들 바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확장부(125)의 핸들 바와 상기 회전부(123)의 핸들 바를 관통하는 잠금핀(155)과,
    잠금핀(155)이 회전부(123)의 핸들 바와 확장부(125)의 핸들 바를 관통하여 확장부(125)의 이동을 잠금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7)과,
    잠금핀(155)이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을 해제하도록 확장부(125)에 장착된 잠금해제버튼(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캐리어.
KR2020170001130U 2017-03-09 2017-03-09 트롤리 캐리어 KR201800027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30U KR20180002719U (ko) 2017-03-09 2017-03-09 트롤리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130U KR20180002719U (ko) 2017-03-09 2017-03-09 트롤리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19U true KR20180002719U (ko) 2018-09-19

Family

ID=6370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130U KR20180002719U (ko) 2017-03-09 2017-03-09 트롤리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7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09Y1 (ko) * 2018-10-16 2019-10-11 황석진 여행용 캐리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58Y1 (ko) 2002-05-02 2002-10-04 표인학 여행가방
KR20160000065U (ko) 2014-06-26 2016-01-06 시프러 인코포레이티드 고정 핸들이 부착된 슈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58Y1 (ko) 2002-05-02 2002-10-04 표인학 여행가방
KR20160000065U (ko) 2014-06-26 2016-01-06 시프러 인코포레이티드 고정 핸들이 부착된 슈트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09Y1 (ko) * 2018-10-16 2019-10-11 황석진 여행용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400B2 (en) Rolling luggage article
US8827305B2 (en) Hand truck
CN108725527B (zh) 折叠车
US5228706A (en) Handle-propelled container having extending and retracting wheels
US4575109A (en) Luggage case with retractable wheels
US6662916B2 (en) Wheeled luggage and associated devices
US8979100B2 (en) Modular container assembly
US20120018966A1 (en) Adjustable multi-purpose dolly
US8333404B2 (en) Shopping cart with assembly for vehicle storage
US8333271B2 (en) Convertible luggage
US20160128442A1 (en) Rolling luggage with multiple modes of conveyance
US20140238799A1 (en) Hand Truck/ Briefcase Mobile Table
US8668210B2 (en) Wheelbarrow configuration
KR20120000001A (ko) 휴대용 절첩식 카트
US10023214B2 (en) Device for moving a load
KR20180002719U (ko) 트롤리 캐리어
CN110868884B (zh) 相互连接的行李箱系统
CN205034143U (zh) 手推车
CA2715583A1 (en) Container with a retractable handle
US11109657B2 (en) Rolling luggage with multiple modes of conveyance
JP4499255B2 (ja) キャリーカート
CN201989823U (zh) 手推车把手的开关装置及带有该装置的手推车
CN204355089U (zh) 手推车
CN204020917U (zh) 手推车
CN105329268A (zh) 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