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06A -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06A
KR20180002406A KR1020160081875A KR20160081875A KR20180002406A KR 20180002406 A KR20180002406 A KR 20180002406A KR 1020160081875 A KR1020160081875 A KR 1020160081875A KR 20160081875 A KR20160081875 A KR 20160081875A KR 20180002406 A KR20180002406 A KR 2018000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and
sewn
sole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6008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06A/ko
Publication of KR2018000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등을 기준으로 발바닥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가락 고정부; 및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바닥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뒤꿈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몸체부는 신축성 원단을 사용하며 압박 강도에 따라 홑겹 또는 두 겹으로 재단되어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부는 발등부와 발바닥부로 구분되며, 상기 발가락 고정부는 일측 끝단이 발등부에 재봉되고, 타측 끝단이 발바닥부에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뒤꿈치 고정부는 양쪽 끝단이 발바닥부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Hallux Valgus Reform Band}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교정용 밴드가 벗어지지 않도록 발가락 사이와 발뒤꿈치에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정용 밴드만 착용하여 운동하거나 양말과 구두를 신고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지외반증은 폭이 좁은 신발과 하이힐을 많이 신고 생활하는 여성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제1 중족골의 내측에 자극에 의한 통증, 비후(肥厚)가 일어나고 더 진행되면 무지골의 외반, 제1 중족골의 내반 변형이 일어난다.
이러한 원인은 무지 내측에 비정상적인 자극과 이에 따른 변형이 원인이며, 이의 치료방법으로는 폭이 큰 신발을 신거나 교정기를 사용하는 것과, 수술로서는 종괴제거, 무지골의 정렬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건이식 또는 절골술에 의한 무지에 가해지는 외력을 조절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기 이전에 이러한 무지외반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래에는 엄지 발가락과 발 몸체에 무지외반증 교정기를 착용하는 교정기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착용이 매우 불편하며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말이나 신발을 신고 벗기가 어렵고, 아울러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로 일상적인 생활 및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경우에 교정기가 자주 변형되거나 벗겨져 사용자가 수시로 신발과 양말을 벗어 교정기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교정기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교정기를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에는 발 자체가 불편하여 교정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17855(공개일자 2015년02월23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교정용 밴드가 벗어지지 않도록 발가락 사이와 발뒤꿈치에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정용 밴드만 착용하여 운동하거나 양말과 구두를 신고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정용 밴드의 발바닥부 외측에 미끄럼 방지부와 내측에 지압 돌기를 다수개 도포함으로써, 사용자가 맨발 상태로 교정용 밴드를 착용하는 경우 바닥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다수개의 지압 돌기를 통해 발바닥을 지압하면서 발바닥 피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등을 기준으로 발바닥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가락 고정부; 및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바닥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뒤꿈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몸체부는 신축성 원단을 사용하며 압박 강도에 따라 홑겹 또는 두 겹으로 재단되어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는 발등부와 발바닥부로 구분되며, 상기 발가락 고정부는 일측 끝단이 발등부에 재봉되고, 타측 끝단이 발바닥부에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뒤꿈치 고정부는 양쪽 끝단이 발바닥부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는 발등부와 발바닥부로 구분되며, 발바닥부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발바닥부 내측면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문제 해결은, 밴드의 몸체를 신축성이 있는 원단을 사용하여 교정용 밴드를 발에 착용하기 매우 편리하며,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교정용 밴드가 벗어지지 않도록 발가락 사이와 발뒤꿈치에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일상적인 생활은 물론 간단한 운동시에도 불편함이 없고,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말이나 구두를 신을 때, 벗을 때 전혀 무리가 없는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정용 밴드의 발바닥부 외측에는 미끄럼 방지부와 내측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도포되어, 맨발 상태로 교정용 밴드를 착용하는 경우 바닥이 미끄러운 대리석 바닥이나 나무 바닥 등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지압 돌기를 통해 발바닥을 지압하면서 발바닥의 피부 온도를 상승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는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교정용 밴드가 벗어지지 않도록 발가락 사이와 발뒤꿈치에 고리를 걸어 고정하여 고정용 밴드만 착용하여 운동하거나 양말과 구두를 신고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10)와, 발가락 고정부(20), 발뒤꿈치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발가락 고정부(20)는 몸체부(10)에 재봉되며 사용자의 발등을 기준으로 발바닥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발뒤꿈치 고정부(30)로 몸체부(10)에 재봉되며 사용자의 발바닥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신축성 원단을 사용하며, 압박 강도에 따라 홑겹 또는 두 겹으로 재단되어 재봉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발등부(40)와 발바닥부(50)로 구분되며, 상기 발가락 고정부(20)는 일측 끝단이 발등부(40)에 재봉되고, 타측 끝단이 발바닥부(50)에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된다.
상기 발뒤꿈치 고정부(30)는 양쪽 끝단이 발바닥부(50)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무지외반증을 압박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등과 발바닥에 몸체부(10)를 착용하면서, 착용되는 몸체부(10)의 착용 위치가 유지되도록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 사이에 발가락 고정부(20)를 걸어서 착용하고, 이어 발뒤꿈치 고정부(30)를 발뒤꿈치에 걸어서 착용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무지외반증 상태에 따라 예방 차원에서 교정용 밴드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가 홑겹으로 구성된 교정용 밴드를 사용하고, 무지외반증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무지외반증 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몸체부(10)가 두겹으로 구성된 교정용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재봉되며 사용자의 발등을 기준으로 발바닥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가락 고정부(20), 몸체부(10)에 재봉되며 사용자의 발바닥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뒤꿈치 고정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는 신축성 원단을 사용하며, 압박 강도에 따라 홑겹 또는 두 겹으로 재단되어 재봉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발등부(40)와 발바닥부(50)로 구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부(50)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부(52)가 더 구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부(50) 내측면에는 지압 돌기(54)가 다수개 도포되어 구성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얇은 막 형태로 제작되며, 다양한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몸체부(10) 원단에 직접 도포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압 돌기(54)는 고무, 실리콘, 세라믹 재질로 몸체부(10) 내측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몸체부(10) 원단에 직접 도포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는 사용자가 맨발로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이 미끄러운 장소, 예를 들어 헬스장, 트레이닝 센터, 요가 센터, 체육관 등에서 운동을 하거나 집에서 맨발에 교정용 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가사일을 하는 경우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20 : 발가락 고정부
30 : 발뒤꿈치 고정부 40 : 발등부
50 : 발바닥부 52 : 미끄럼 방지부
54 : 지압 돌기

Claims (5)

  1. 사용자의 발에 착용되는 링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등을 기준으로 발바닥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가락 고정부; 및
    몸체부에 재봉되며 발바닥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방향으로 고리가 형성되는 발뒤꿈치 고정부;로 구성되고,
    몸체부는 신축성 원단을 사용하며 압박 강도에 따라 홑겹 또는 두 겹으로 재단되어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발등부와 발바닥부로 구분되며,
    상기 발가락 고정부는 일측 끝단이 발등부에 재봉되고, 타측 끝단이 발바닥부에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 고정부는
    양쪽 끝단이 발바닥부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재봉되어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발등부와 발바닥부로 구분되며,
    발바닥부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부 내측면에는 지압 돌기가 다수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KR1020160081875A 2016-06-29 2016-06-29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KR20180002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875A KR20180002406A (ko) 2016-06-29 2016-06-29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875A KR20180002406A (ko) 2016-06-29 2016-06-29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06A true KR20180002406A (ko) 2018-01-08

Family

ID=6100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875A KR20180002406A (ko) 2016-06-29 2016-06-29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2755S1 (en) 2020-07-24 2021-10-12 New Balance Athletics, Inc. Shoe so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2755S1 (en) 2020-07-24 2021-10-12 New Balance Athletics, Inc. Shoe sole
USD939813S1 (en) 2020-07-24 2022-01-04 New Balance Athletics, Inc. Outsole
USD943943S1 (en) 2020-07-24 2022-02-22 New Balance Athletics, Inc. Shoe upper
USD964007S1 (en) 2020-07-24 2022-09-20 New Balance Athletics, Inc. Article of footwear
USD990104S1 (en) 2020-07-24 2023-06-27 New Balance Athletics, Inc. Shoe s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932Y1 (ko) 미끄럼 방지용 발착용구
JP4355364B1 (ja)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JP6161292B2 (ja) 外反母趾の機械的治療のための整形外科デバイス
KR101319464B1 (ko) 발가락 교정구
JP2015514528A (ja) 外反母趾用サンダル
KR20160000703U (ko) 발가락 교정기
US20160331070A1 (en) Devices for Treating Targeted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US20160100973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JP6578401B1 (ja) 足健康装具
KR20180002406A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밴드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JPWO2006098042A1 (ja) 足部刺激健康具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JP5249463B1 (ja) 外反母趾による痛み解消を目的とした靴下
JP6402044B2 (ja) 足背アーチ調整バンド、足部アーチ調整バンド
CN211213733U (zh) 改善足部痉挛畸形的训练器
JP2006326264A (ja) ツボ押し、外反母趾、健康具
KR101797734B1 (ko) 내반슬 및 외반슬 교정구
JP3200517U (ja) 踵矯正装具及び踵矯正用靴下
RU1258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плоскостопия у детей
EP3430923A1 (en) Medical sock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JP3197911U (ja) 足首矯正ベルト
KR102462175B1 (ko) 발가락 스트레칭기
JP3084399U (ja) 足用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