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85U -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 Google Patents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85U
KR20180002085U KR2020160007635U KR20160007635U KR20180002085U KR 20180002085 U KR20180002085 U KR 20180002085U KR 2020160007635 U KR2020160007635 U KR 2020160007635U KR 20160007635 U KR20160007635 U KR 20160007635U KR 20180002085 U KR20180002085 U KR 20180002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connecting member
mounting
hole
assembly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562Y1 (ko
Inventor
최창수
Original Assignee
최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수 filed Critical 최창수
Priority to KR2020160007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6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수깡을 다양하게 연결하는 다양한 연결부재 및 이러한 연결부재들을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면에 구비되어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수깡 연결부재 및 모형조립세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Connector for straw tie and assembling set for model having it}
본 고안은 수수깡을 다양하게 연결하는 다양한 연결부재 및 이러한 연결부재들을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와 관련된다.
모형은 실물을 축소 및 간소화하여 제작하는데, 제작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대형 건축물이나 기계장치에 대한 제작성을 검토하기 위해 제작하거나, 교육용 교구로 제작된다. 나아가 조립에 의한 흥미를 유발하므로 취미 생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형을 구성하는 재료는 모형의 디테일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기구 또는 기계적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목적의 경우에는 실제와 유사한 재질의 것을 선택하고, 교육용 모형 또는 취미용 모형일 때는 주로 다루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것을 선택한다.
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모형의 재료 중 수수깡과 우드락이 있다.
수수깡과 우드락은 칼 등 소도구를 통해 쉽게 재단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되고 있어 유아 교육부터 성인까지 널리 사용하고 있다.
수수깡을 다양하게 연결하는 커넥터부재에 대한 다양한 종래의 기술이 존재한다.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자의 연령을 고려한 편의성, 안전성 및 우수한 결합력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제공되는 연결용 커넥터의 구조와 수가 한정됨에 따라 복잡한 모형의 제작이나 큰 모델의 제작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421호 (2011.03.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8259호 (2006.11.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0-1999-000432호 (1999.01.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848호 (2013.04.11)
본 고안은 수수깡이나 우드락 등의 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연결 가능하면서, 조립된 부재의 분리가 용이하여 모형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면에 구비되어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수깡 연결부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수수깡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장축이 놓이는 장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용부의 단면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수수깡의 단부가 노출되는 단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장착부는 수수깡의 외주면을 탄성 있게 파지하는 고리이거나, 판형 부재의 단부를 파지하는 격자클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과, 상기 장착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에 끼워지는 돌출핀을 구비하는 장착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수수깡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수깡에 결합되는 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연결부재는 상기 수수깡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진입하여 상기 수수깡 연결부재의 수용부에 삽입된 수수깡을 파고들어 고정하는 고정핀부와, 상기 고정핀부와 연결되며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를 제시한다.
나아가 수수깡의 중간에 연결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링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다른 수수깡의 둘레를 감싸되, 내경이 상기 다른 수수깡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수깡과 연결되는 블록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블록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두 판형 부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판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연결부재는 어느 한 판부재의 단부를 감싸는 'ㄷ' 자형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ㄷ' 자형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수수깡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직선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용부가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의 내부에는 수수깡의 진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톱퍼편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수깡을 절단하는 수수깡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수깡커터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수수깡의 둘레를 감싸는 탄성고리편 및 상기 탄성고리편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수용된 수수깡의 둘레를 파고드는 커터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수깡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수수깡을 연결할 수 있어 복잡한 구조의 모형을 만들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의 사시도와 분해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핀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링연결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구동블록과, 이 구동블록의 연결에 사용되는 블록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판연결부재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직선연결부재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수수깡커터의 사시도.
도 10의 (a)와 (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채용된 이종연결부재의 사시도와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는 수수깡과 같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긴 봉 형상의 부재나, 우드락과 같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모형조립세트는 이후 설명되는 연결부재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수깡이나 우드락과 같은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와 관련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100)는 수용부(10)와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수용부(10)는 수수깡(S)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장착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수수깡(S)의 단부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면에서 수용부(10)는 원통형상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각형이나 타원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수용부(10)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2)은 수용부의 중심을 향하여 수용부(10)를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에 삽입된 수수깡(S)의 둘레 일부분이 관통홀(12)을 통해 일부 드러나게 된다.
나아가 관통홀(12)은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홀의 장축이 놓이는 방향은 수용부(10)에 수수깡이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된다.
관통홀(12)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장착부(20)와 연결되는 수용부(10)의 단면(10a)에는, 수용부(10)에 삽입된 수수깡(S)의 단부가 노출되는 단부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단부홀(13)은 원통형 캡을 형성하는 수용부(10)의 상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0)의 상면에서 단부홀(13)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단부홀(13)은 원형 외에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2)과 단부홀(13)은, 수용부(10)에 삽입된 수수깡(S)을 이탈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0)에 삽입된 수수깡을 밀어 빼내기 위해 단부홀에 막대(도시 생략) 등의 도구를 삽입할 수 있다. 또는 관통홀(12)을 통해 송곳 등으로 수수깡(S)의 측면을 찌른 후 수수깡을 수용부(10)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과 단부홀(13)은 수용부(10) 안으로 수수깡이 진입함에 있어, 수용부(10)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수수깡의 진입이 가능하게 한다. 만일 수용부의 내부가 막힌 공간으로 형성된다면, 수수깡이 진입함에 따라 수용부 내에 갇힌 공기가 압축되면서 수수깡을 밀어내게 되어 수수깡의 끼움이 용이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관통홀(12)은 수수깡의 다른 연결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장착부(20)는 수용부(10)에 끼워진 수수깡(S) 외에 다른 수수깡(S)을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서 장착부(20)는 원형 내주면을 가지면서 일측이 터진 고리(21)이다.
고리(21) 형태의 장착부(20)는 수수깡의 외주면을 물어 고정하는 것이다. 고리(21)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부(20)는 수용부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두 수수깡을 수직으로 연결하게 된다.
장착부(20)는 수용부(10)의 단면(10a)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장착부(20)는 수용부(10)의 단면(10a)의 전체 평면 중 1/2에 해당하는 평면에 치우쳐 배치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수수깡 연결부재(100)의 장착부(20)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장착부(20)를 서로 겹친 상태로 한 다음 하나의 수수깡을 동시에 파지하도록 하여 2개의 수수깡 연결부재가(100) 동일 평면상의 직선이나 꺾인선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와 관련되며, 도 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와 관련된다.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수용부(10)와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수용부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서 장착부(20)는 우드락과 같은 판형 부재의 단부를 파지하는 격자클립(23)이다. 격자클립(23)은 평평한 수용부(10)의 단면(10a)에 연결되어, "ㄷ" 자 형상을 이루어, 판형 부재의 단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격자클립(23)에 물린 판형 부재와 수용부(10)에 장착된 수수깡은, 판형 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수수깡을 수직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장착부(20)는 고리(21)이면서, 수용부(1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용부(10)와 장착부(20)의 힌지 연결은, 구체적으로 수용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핀홀(141)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14)과, 장착부(20)를 형성하는 고리(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핀홀(141)에 끼워지는 돌출핀(2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핀(22)은 핀홀을 통과한 후 벌어져 핀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가 핀홀보다 크게 형성된 한 쌍의 탄성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10)와 장착부(20)의 힌지 연결은 도시한 바와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두 수수깡을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조립세트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재들과 관련된다. 또한 모형조립세트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4는 핀연결부재와 관련된다.
핀연결부재(2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관통홀(12)을 통해 수수깡(S)이나 판형 부재를 추가로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핀연결부재(200)는 고정핀부(30) 및 고정핀부(30)에 연결되어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파지부(40)를 포함한다.
고정핀부(30)는 다른 연결부재의 관통홀(12)을 통해 진입하여 수용부(10)에 삽입된 수수깡(S)을 파고들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고정핀부(30)는 선단부(31)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는 톱니(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에는 고정핀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슬릿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홈(33)은 선단부(31)까지 이어져 고정핀부(30)를 상하로 분할하게 된다.
나아가 고정핀부(30)의 최대 폭(D1)(도면의 상하 방향의 길이)은 관통홀(12)의 장축 길이에 대응된다.
한편, 관통홀(12)이 장홀로 형성되어 있으며, 장홀의 장축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핀부(30)가 관통홀(12)로 진입할 때에 톱니(32)의 끝부분과 관통홀(12)의 장축 단부의 곡면에서 간섭이 발생하고, 슬릿홈(33)에 의해 분할된 고정핀부(30)가 탄성 변형하면서 타 연결부재의 수용부(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핀부(30)의 탄성 변형은, 톱니(32) 부분을 통해 수용부(10) 내의 수수깡(S)과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관통홀(12)에서 고정핀부(30)가 쉽게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파지부(40)는 수수깡의 중간 부분을 물어 고정하기 위한 고리(21)로 제시되어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파지부는 판형 부재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ㄷ" 자 형상의 클립 형태이거나, 후술하는 링부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핀연결부재(200)는 보다 다양한 수수깡 등의 결합 방식을 제공하여 다양한 모형의 제작을 가능케 한다.
도 5는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링연결부재와 관련된다.
링연결부재(300)는 수용부(10)와 링부(50)를 포함하고, 여기서 수용부(10)는 전술한 실시예에 구비된 수용부와 사실상 동일하다.
링부(50)는 수수깡(S)의 중간에 연결되는 부재이며, 이에 연결된 수수깡(S)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링부(50)는 수수깡(S)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이면서, 내경이 수수깡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내주면을 제공한다. 즉 링부(50)의 내부에 헐겁게 연결되는 수수깡(S)은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나아가 내주면의 단부는 곡면(51)으로 처리하여, 링부(50) 내로 수수깡의 진입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고, 링부(50) 내에서 회전하는 수수깡(S)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링부(50)를 사용함으로써 모형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구동블록 및 블록연결부재와 관련된다.
구동블록(400)의 내부에는 회전력을 모터(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나아가 도지하지 아니하였으나, 구동블록의 내부에는 모터의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나 건전지 등 에너지 소스와, 모터의 회전력을 적정하게 하기 위한 감속기, 출력축으로써 수수깡 등과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블록의 내부 구성물과 그들 간의 작용 관계는 공지된 다양한 모형 완구 등과 동일할 수 있다.
구동블록(400)에는 수수깡이나 판형 부재와 연결되기 위한 블록연결부재(50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블록(400)에는 블록연결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40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홈(402)은 구동블록(400)의 각진 모서리(401)마다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401)를 형성하면서 수직 관계를 이루는 두 인접한 면에 각기 슬라이딩홈(402)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블록연결부재(500)를 어느 한 면에 평행하도록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블록연결부재(500)는 수용부(10)와 슬라이딩 돌기(60)를 포함한다. 수용부(10)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결부재에 구비된 수용부와 사실상 동일하다.
슬라이딩 돌기(60)는 구동블록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02)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져 구동블록(400)과 술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슬라이딩 돌기(60)는 중간부가 잘록하게 형성되어 있어, 구동블록(400)에서 블록연결부재(500)가 슬라이딩 결합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블록연결부재(50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블록(400)을 수수깡이나 우드락 등으로 제작한 모형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블록(400)에 대한 블록연결부재(500)의 다양한 각도로의 연결은, 구동블록(400)의 배치 구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판연결부재(600)와 관련된다.
판연결부재(600)는 우드락(W)과 같은 판 부재를 서로 수직되게 연결하는 부재이다.
판연결부재(600)는 격자부(70)와 끼움부(80)를 포함한다. 격자부(70)와 끼움부(80)는 각기 "ㄷ" 자형 클립의 형태를 제공한다.
격자부(7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끼움부(80)는 한 쌍의 파지편(81)을 구비하는데, 격자부(70)의 하단부에 결합된 파지편(81)에는 보강용 필렛(82)을 형성함으로써, 끼움부(80)에 결합되는 판 부재를 물림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직선연결부재와 관련된다.
직선연결부재(700)는 수수깡(S)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1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용부(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용부(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들의 수용부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한 쌍의 수용부(10)는 서로 단부가 마주보게 연결되어 있어, 각 수용부(10)로 들어온 수수깡(S)을 직선으로 연결하게 된다.
한 쌍의 수용부(10)가 연결된 부분, 즉 직선연결부재(700)의 내부 중간에는 수수깡(S)의 진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톱퍼편(701)이 형성되어 있다. 어느 한 쪽 수용부(10)로 들어온 수수깡(S)의 선단부가 스톱퍼편(701)에 접촉하여 더 이상 진입하지 아니함에 따라, 다른 수용부로 수수깡(S)이 온전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수수깡커터와 관련된다.
수수깡커터(800)는 수수깡의 중간을 쉽게 자를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수수깡으로 쉽게 만들 수 있게 한다.
수수깡커터(800)는 손잡이부(85), 탄성고리편(86) 및 커터날(87)을 포함한다.
손잡이부(85)는 적당한 길이와 두께의 막대나 봉으로 제공된다.
탄성고리편(86)은 손잡이부(85)의 일단에 구비되며, 수수깡의 둘레를 감싸는 내주면(86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고리편(86)의 일측은 터져 있어 수수깡이 들어오는 통로가 된다.
커터날(87)은 탄성고리편(86)의 내주면(861)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커터날(87)은 탄성고리편(86) 안으로 들어온 수수깡의 둘레를 파고들어 수수깡의 외주면을 얕게 절개하게 된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부를 잡아 고정한 후 자르고자 한 수수깡을 탄성고리편 안으로 밀어 넣은 후 수수깡 또는 수수깡커터를 1회전 시킨 후 수수깡의 양단을 잡아 꺾어서 수수깡을 깨끗하게 잘라낼 수 있다.
수수깡커터(800)를 이용하여 수수깡의 둘레를 먼저 얕게 잘라낸 후 꺾어 수수깡을 잘라내는 방식을 채택하므로, 수수깡의 깨끗한 잘린 면을 얻게 된다.
커터날(87)이 탄성고리편(86)의 내주면(86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긴 호형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수수깡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수깡 둘레에 거의 원형의 절개선을 남길 수 있다. 이로써 수수깡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절개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커터날(87)은 탄성고리편(86)의 내주면(861)을 따라 짧게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나이 어린 사용자가 손을 다치지 않고 수수깡을 절개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모형조립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이종연결부재와 관련된다.
이종연결부재(900)는 수수깡과 판 부재를 같은 평면상에서 연결하는 것이다.
이종연결부재(900)는 수수깡과 결합하는 수수깡연결부(90)와 판 부재와 결합하는 판연결부(95)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수깡연결부(90)는 고리로 형성되어 있고, 판연결부(95)는 고리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ㄷ" 자 클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종연결부재(900)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모두 판 부재와 수수깡을 수직으로 연결하거나, 같은 평면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수수깡만으로 제작되는 모형은 면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건축물과 같이 면 위주로 이루어진 모형의 제작에는 효율적이지 아니하다. 이러한 경우에 이종연결부재(900)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면을 포함하는 모형의 제작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들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모형조립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건축물을 제작하기 위해 소요되는 연결부재의 종류와 개수를 선정하여 모형조립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100 : 연결부재
10 : 수용부
11 : 장착홈 12 : 관통홀 10a : 단면
13 : 단부홀 14 : 연결편 141 : 핀홀
20 : 장착부 21 : 고리 22 : 돌출핀 23 : 격자클립
200 : 핀연결부재
30 : 고정핀부 31 : 선단부 32 : 톱니 33 : 슬릿홈 폭 : D1
40 : 파지부
300 : 링연결부재 50 : 링부 51 : 곡면
400 : 구동블록 401 : 모서리 402 : 슬라이딩홈
500 : 블록연결부재 60 : 슬라이딩 돌기
600 : 판연결부재
70 : 격자부 80 : 끼움부 81 : 파지편 82 : 보강용 필렛
700 : 직선연결부재 701 : 스톱퍼편
800 : 수수깡커터
85 : 손잡이부 86 : 탄성고리편 861 : 내주면 87 : 커터날
900 : 이종연결부재 90 : 수수깡연결부 95 : 판연결부
S : 수수깡 W : 우드락

Claims (11)

  1.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면에 구비되어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수깡 연결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수수깡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장축이 놓이는 장홀로 형성되어 있는
    수수깡 연결부재.
  3.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상기 수용부의 단면에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수수깡의 단부가 노출되는 단부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수깡 연결부재.
  4.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수수깡의 외주면을 탄성 있게 파지하는 고리이거나,
    판형 부재의 단부를 파지하는 격자클립인
    수수깡 연결부재.
  5.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용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과,
    상기 장착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핀홀에 끼워지는 돌출핀을 구비하는 장착편을 통해 구현되는
    수수깡 연결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수깡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수깡에 결합되는 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연결부재는
    상기 수수깡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진입하여 상기 수수깡 연결부재의 수용부에 삽입된 수수깡을 파고들어 고정하는 고정핀부와,
    상기 고정핀부와 연결되며 다른 수수깡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7. 제6항에서,
    수수깡의 중간에 연결되어 회전을 허용하는 링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다른 수수깡의 둘레를 감싸되, 내경이 상기 다른 수수깡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링부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8. 제6항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블록과,
    상기 구동블록의 외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수깡과 연결되는 블록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블록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9. 제6항에서,
    두 판형 부재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판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연결부재는
    어느 한 판부재의 단부를 감싸는 'ㄷ' 자형 격자부와,
    상기 격자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ㄷ' 자형 끼움부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10. 제6항에서,
    두 수수깡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직선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연결부재는
    수수깡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용부가 서로 대향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의 내부에는 수수깡의 진입 깊이를 한정하는 스톱퍼편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조립세트.
  11. 제6항에서,
    수수깡를 절단하는 수수깡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수깡커터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수수깡의 둘레를 감싸는 탄성고리편 및
    상기 탄성고리편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수용된 수수깡의 둘레를 파고드는 커터날을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KR2020160007635U 2016-12-28 2016-12-28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KR200487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35U KR200487562Y1 (ko) 2016-12-28 2016-12-28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635U KR200487562Y1 (ko) 2016-12-28 2016-12-28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85U true KR20180002085U (ko) 2018-07-09
KR200487562Y1 KR200487562Y1 (ko) 2018-10-08

Family

ID=6290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635U KR200487562Y1 (ko) 2016-12-28 2016-12-28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88A (ko) * 2020-11-27 2022-06-03 김태훈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32A (ko) 1997-06-05 1999-01-15 김영환 개인휴대통신 기지국 디지탈 유니트의 에스엠에프에이(smfa) 이중화 운용장치 및 방법
KR200397271Y1 (ko) * 2005-07-07 2005-09-29 (주)마그넷포유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100648259B1 (ko) 2006-02-24 2006-11-23 한세윤 플라톤 입체
KR20110022421A (ko) 2009-08-27 2011-03-07 이해곤 다변형조립완구
KR20110038783A (ko) * 2009-10-09 2011-04-15 석재준 교구용 조립식 볼튜브
KR101255848B1 (ko) 2011-11-24 2013-04-17 박남영 로봇 조립블럭용 모터블럭 조립체
KR20140066290A (ko) * 2012-11-23 2014-06-02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의 와이 연결구
KR20140092178A (ko) * 2013-01-15 2014-07-23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의 일자형 연결구
KR101464444B1 (ko) * 2013-08-27 2014-11-21 박수희 아동용 블록빌더
KR20150071900A (ko) * 2013-12-19 2015-06-29 이성진 모형 조립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키트
KR20150089192A (ko) * 2014-01-27 2015-08-05 유니트러스트개발(주)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32A (ko) 1997-06-05 1999-01-15 김영환 개인휴대통신 기지국 디지탈 유니트의 에스엠에프에이(smfa) 이중화 운용장치 및 방법
KR200397271Y1 (ko) * 2005-07-07 2005-09-29 (주)마그넷포유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100648259B1 (ko) 2006-02-24 2006-11-23 한세윤 플라톤 입체
KR20110022421A (ko) 2009-08-27 2011-03-07 이해곤 다변형조립완구
KR20110038783A (ko) * 2009-10-09 2011-04-15 석재준 교구용 조립식 볼튜브
KR101255848B1 (ko) 2011-11-24 2013-04-17 박남영 로봇 조립블럭용 모터블럭 조립체
KR20140066290A (ko) * 2012-11-23 2014-06-02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의 와이 연결구
KR20140092178A (ko) * 2013-01-15 2014-07-23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의 일자형 연결구
KR101464444B1 (ko) * 2013-08-27 2014-11-21 박수희 아동용 블록빌더
KR20150071900A (ko) * 2013-12-19 2015-06-29 이성진 모형 조립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키트
KR20150089192A (ko) * 2014-01-27 2015-08-05 유니트러스트개발(주)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립용 완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 가능하게 된 고안 (2016.10.11. 공지) 1부. *
카탈로그(201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88A (ko) * 2020-11-27 2022-06-03 김태훈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62Y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8080A (en) Manual tool for feeding refuse to a garbage grinder disposal
US20130075122A1 (en) Work machine having main pole
US8925842B2 (en) Grating device for grating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KR200487562Y1 (ko) 수수깡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조립세트
CA2679681A1 (en) Jab saw with accessible internal fastening location
US20040200079A1 (en) Tool with ergonomic soft-grip handle
US7966735B1 (en) Scissors assembly with rotatable blades
US7232112B2 (en) Staple removing bit especially for upholstery
US2653638A (en) Nut opener
US10228124B2 (en) Electrical plug assist tool
US4300286A (en) Coring machine for frankfurters and the like
US4646437A (en) Cutting tools
FR2504843A1 (fr) Outil a fendre
CN206338370U (zh) 切锯齿轮箱机构
CN203031639U (zh) 一种食物切割器
US10239232B2 (en) Bolster
JP2006141663A (ja) 鉈および鉈の製造法
CN102114639A (zh) 一种多功能折叠剪刀
US11452262B1 (en) Manual hand-held clone clutters
KR102347411B1 (ko) 포장 개봉 가위
EP4311638A1 (en) Razor components
CN209986979U (zh) 一种具有高防护性的剪刀
KR200484940Y1 (ko) 편리한 도끼
GB22475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ols and tool handles
KR200405930Y1 (ko) 절단용 주방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