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46U -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46U
KR20180002046U KR2020160007588U KR20160007588U KR20180002046U KR 20180002046 U KR20180002046 U KR 20180002046U KR 2020160007588 U KR2020160007588 U KR 2020160007588U KR 20160007588 U KR20160007588 U KR 20160007588U KR 20180002046 U KR20180002046 U KR 20180002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cket body
fixing
bracke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38Y1 (ko
Inventor
정대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7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3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은, 커넥터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기판에 실장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고정한다. 상기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양측부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판 상의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판 상의 수평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 몸체부가 서로 절곡되도록 연결하는 절곡부; 및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BRACKET FOR FIXING CONNECTOR AND PCB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 몸체의 절곡부 일부를 절개하여 란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외력으로 인해 커넥터의 측부 설치구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실장형 커넥터는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여 기판에 실장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상에 기판 실장 커넥터를 고정하는 경우 고정용 메탈 브라켓을 사용한다.
통상,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고정 브라켓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기판 실장형 커넥터의 양측부에 설치된다.
종래의 고정 브라켓은 전체적으로 L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의 수직을 따르는 수직 몸체는 커낵터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qwo로 사용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의 수평을 따르는 수평 몸체는 실질적으로 기판의 실장 영역에 위치되며,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기판에 고정되는 체결홀들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이의 구성에 의해,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커넥터가 기판에 고정되는 경우, 커넥터는 수직 몸체와의 밀착 정도 및 수평 몸체가 기판에 고정되는 정도에 의해 고정 상태가 결정된다.
즉, 종래에는 수평 몸체가 기판에 정상적으로 고정되더라도, 수직 몸체가 변형되는 경우 커넥터의 양측부와 수직 몸체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유격이 발생되는 만큼 외력에 의해 커넥터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유동이 자속적으로 발생되면, 커낵터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 브라켓은 단순히 커넥터를 고정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기판과 커넥터와 배선을 이루는 경우, 해당 배선은 필연적으로 브라켓의 외측을 경유하여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해당 배선을 별도로 고정하기 어렵고, 배선이 손상되는 경우 기판 상의 다른 접점과 통전되어 쇼트가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81360호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켓 몸체의 절곡부 일부를 절개하여 란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외력으로 인해 커넥터의 측부 설치구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은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은, 커넥터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기판에 실장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고정한다.
상기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양측부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판 상의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판 상의 수평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 몸체부가 서로 절곡되도록 연결하는 절곡부; 및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고정부의 일단은,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에는, 상기 보조 고정부가 형성되기 위한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고정부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절개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벌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절곡부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로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는, 벌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의 사이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 테두리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술한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브라켓 몸체의 절곡부 일부를 절개하여 란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외력으로 인해 커넥터의 측부 설치구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200)은 커넥터(100)의 양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100)에는 다수의 단자들(110)이 설치된다.
상기의 커넥터(100)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로서,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기판에 형성되는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100)는 상술한 브라켓(200)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어, 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기판에 작용되는 외력이 커넥터(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역할을 하는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200)은 크게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와,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와, 절곡부(230) 및, 보조 고정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몰론, 내열성을 갖고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와,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와, 절곡부(230) 및, 보조 고정부(240)는 하나의 브라켓(200)을 형성하여, 커넥터(100)의 일측부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브라켓(2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커넥터(100)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어, 상기 각 구성들을 설명한다.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상단 양측부에는 양측방을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2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양측면에는 상하를 따라 간격을 형성하는 톱니 형상의 걸림 돌기들(213)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기부(212)는 커넥터(1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삽입홀(120)의 상단 양측에 걸려 고정되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들(213) 역시, 상기 삽입홀(120)의 양측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대 걸림 구조(미도시)에 다단으로 걸려 고정되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들(213)이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양측부에서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 걸림 구조에 걸리는 위치에 따라, 커넥터(100)는 기판 상에서 고정되는 수준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 역시 금속으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에는 다수의 체결홀(22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홀(221)은,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기판 상에 고정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하단과 수평 브라켓 몸체부(220)의 일단은 본 고안에 따르는 절곡부(230)에 의해 밴딩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30)는 수직 및 수평 브라켓 몸체부(210,220)가 서로 직교 상태로 벤딩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는 상기 보조 고정부(240)는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보조 고정부(240) 자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보조 고정부(240)는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절개되는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일부 영역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에는 상기와 같이 절개되는 일부 영역에 의해 절개홀(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고정부(240)는 상기 절개홀(211)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고정부(240)의 하단은 절곡부(2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부분 이외, 다른 면들은 절개되어 절개홀(211)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조 고정부(240)가 사각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한다.
상기 보조 고정부(240)의 하단면은, 절곡부(230)에 연결되어 회전축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고정부(240)의 양측면 및 상단면은 절개홀(211)로부터 상기 하단면을 회전축선으로 하여 전후방을 따라 회전되어 경사를 형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르는 보조 고정부(240)는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의 외측을 따라 돌출되도록 절개홀(211)로부터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것이 좋다. 즉, 커넥터(100)의 측면을 따라 경사를 이루어 돌출되는 것이 좋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브라켓(200)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커넥터(100)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브라켓(200)에서의 보조 고정부(240) 각각은, 해당 절개홀(211)로부터 경사지도록 돌출되어 커넥터(100)의 양측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브라켓(200)은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에 의해 1차적으로 커넥터(100) 측부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고정부(240)에 의해 2차적으로 커넥터(10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고정부(240)는 그 하단면이 절곡부(230)에 연결됨으로 인해 일정의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2차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력은 커넥터(100)의 측부를 탄성 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브라켓(200)이 상기 커넥터(100)의 양측부에 1,2차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커넥터(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서의 보조 고정부(240)는 해당 절개홀(211)로부터 외측을 따라 경사지도록 또는 벌어지도록 벤딩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홀(211)은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절개홀(211)을 통해 배선(90)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배선(90)은, 하나 또는 다수 일수 있고, 이는 커넥터(100)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배선들(90)을 절개홀(211)을 통해 안내함으로써, 배선(90)의 배열 상태를 절개홀(211) 내에서 한정하여, 배선(90)이 과도하게 유동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선들(90)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배선(9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보조 고정부(240)는, 상기 절곡부(230)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브라켓(200)에는 다수의 보조 고정부(240)가 형성되며, 아울러, 다수의 절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보조 고정부(240)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고정부(240)의 크기는 탄성력에 비례하고, 또한 잘개홀(211)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에, 절개홀(21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베선들(90)을 안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러 위치에서의 탄성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로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240)는, 벌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210)와의 사이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보조 고정부들(240)의 벌어짐으로 인한 사이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탄성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역으로, 커넥터(100)의 삽입홀(120)의 내측면의 형상에 따라 그 지지 위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각을 가변시켜, 다수의 보조 고정부(240)를 통해 형성되는 탄성 고정력을 균일하게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르는 실시예는 브라켓 몸체의 절곡부 일부를 절개하여 란스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외력으로 인해 커넥터의 측부 설치구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넥터
120 : 삽입홀
200 : 브라켓
210 : 수직 브라켓 몸체부
211 : 절개홀
212 : 돌기부
213 : 걸림 돌기
220 : 수평 브라켓 몸체부
221 : 체결홀
230 : 절곡부
240 : 보조 고정부

Claims (7)

  1. 커넥터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기판에 실장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양측부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판 상의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판 상의 수평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 몸체부가 서로 절곡되도록 연결하는 절곡부; 및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의 일단은,
    상기 절곡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에는,
    상기 보조 고정부가 형성되기 위한 절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고정부는, 판 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절개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벌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상기 절곡부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로 형성되는 보조 고정부는,
    벌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와의 사이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브라켓 몸체부 테두리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KR2020160007588U 2016-12-27 2016-12-27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KR200493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8U KR200493738Y1 (ko) 2016-12-27 2016-12-27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8U KR200493738Y1 (ko) 2016-12-27 2016-12-27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46U true KR20180002046U (ko) 2018-07-06
KR200493738Y1 KR200493738Y1 (ko) 2021-05-31

Family

ID=6290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88U KR200493738Y1 (ko) 2016-12-27 2016-12-27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3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360A (ko) * 2009-12-28 2011-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KR20160123870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실장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360A (ko) * 2009-12-28 2011-07-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사이드브라켓 조립방법
KR20160123870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실장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38Y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2091B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6093404A (ja) 電気接続箱
US20140014600A1 (en) Sub-rack mounting bracket and assembly
KR20180002046U (ko) 커넥터 고정용 브라켓 및 이를 갖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
JP4913428B2 (ja) 回路基板構造及び電気接続箱
KR20150124908A (ko) 2개의 전자 기판 사이의 전기 접속 유닛
US20060266780A1 (en) Universal running board mounting bracket
KR20080105894A (ko) 차량용 엘이디 전광판의 지지프레임
KR200432926Y1 (ko) 인쇄회로기판의 보조기판 설치구조
JP2008181746A (ja) 導電接続部材
KR100547277B1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JP4930945B2 (ja) クランプ部品の支持金具及び配線用クランプ
KR100857535B1 (ko) 모터와 기판의 결합 구조물
KR101636288B1 (ko) 정션박스
JP7237426B2 (ja) キュービクルへの遮光板の取付構造
KR200338646Y1 (ko) 보조기판의 설치구조
JP5174576B2 (ja) 締結部材
JP6150923B1 (ja) ブラケット
KR100645582B1 (ko) 전기단자장치
KR20000007293U (ko) 회로기판 접지구조
JP2021118088A (ja) 照明装置
KR20170141518A (ko) 차량용 전장품 어셈블리
JP2014150033A (ja) 端子台
KR200416872Y1 (ko) 가습기 연결을 위한 환기장치용 행거
KR20000009185U (ko) 회로기판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