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65A -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65A
KR20180001865A KR1020160080862A KR20160080862A KR20180001865A KR 20180001865 A KR20180001865 A KR 20180001865A KR 1020160080862 A KR1020160080862 A KR 1020160080862A KR 20160080862 A KR20160080862 A KR 20160080862A KR 20180001865 A KR20180001865 A KR 2018000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vending machine
smart
service provid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선
송혁주
Original Assignee
이효선
송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선, 송혁주 filed Critical 이효선
Priority to KR102016008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65A/ko
Publication of KR2018000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고,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며,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앱과 연계하여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통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입할 시 결제를 위한 모바일 앱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계해주며,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ID를 부여하며,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의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헬스 보충제 관련 광고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스마트폰을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자별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 추천,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health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헬스 클럽에 설치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스마트폰을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자별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 추천,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웰빙의 열풍으로 헬스 클럽을 이용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한 체력과 몸매를 가꾸기 위해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훈련과 함께 헬스 보충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헬스 보충제를 먹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운동을 하면서 먹을 수 있는 헬스 보충제는 보통 인체에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등을 보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헬스 보충제는 보통 분말의 형태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크게 근육 강화제, 체중 증가제 및 체지방 감량제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헬스 보충제는 건강한 체력과 몸매를 가꾸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 물에 타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헬스 보충제 자판기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헬스 보충제 자판기는 헬스 보충제와 물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만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에 따른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다. 즉, 종래 헬스 보충제 자판기에 의하면 모든 헬스 보충제가 항상 일정한 비율로 물과 혼합된 상태로만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물의 양의 조절을 통해 헬스 보충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없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570호(특허문헌 1)에는 "자동믹싱 및 개별포장 1회용 선택 가능한 헬스 보충제 자동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의하면 헬스 보충제와 물을 혼합하여 바로 먹을 수 있거나 컵 속에 헬스 보충제가 캡핑되어 사용자가 개봉하여 물에 타서 먹을 수 있도록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동 전후에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매하여 섭취할 수 있고,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 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헬스 보충제 자동판매기는 기존의 커피 자판기나 음료수 자판기와 같이 단순히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헬스 보충제 자동판매기를 통해 헬스 보충제를 구입함은 물론, 자신의 건강 상태나 운동 진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얻거나 트레이너로부터의 어떤 조언 등을 구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건강관리를 한층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지만, 종래 헬스 보충제 자동판매기는 그와 같은 기능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7570호(2013.10.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헬스 보충제 자동판매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헬스 클럽에 설치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스마트폰을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고,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건강증진 관련 장소(예를 들면, 헬스 클럽 또는 체육종합센터)에 설치되며,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고,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며,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앱(application)과 연계하여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통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입할 시 결제를 위한 모바일 앱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계해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ID를 부여하며,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의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헬스 보충제 관련 광고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 앱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와 연계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장치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 다양한 측정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그 DB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및 운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 제품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판매정보를 바탕으로 사전 계약에 따른 지정된 금액을 지정된 날짜에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운영업자의 계좌에 자동으로 이체시켜주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은,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계해주며, 건강 및 운동 관련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탑재된 모바일 앱을 실행시킨 후, 스마트 헬스 자판기 ID를 입력하여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로그인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로그인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 결과 기등록 회원이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자판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획득된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추천받은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를 승인한 후, 결과를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h)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결제 결과를 전달받아, 해당 헬스 보충제 제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b)에서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등록 회원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헬스 보충제 제품 선택 페이지를 안내하여 사용자에 의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함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헬스 보충제 제품을 토출한 후, 판매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헬스 클럽에 설치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스마트폰을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고,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측정장치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스마트 헬스 자판기 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및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는 건강증진 관련 장소(예를 들면, 헬스 클럽 또는 체육종합센터 등)에 설치되며,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헬스 보충제, 예를 들면, 체중증가를 위해 탄수화물을 주원료로 한 탄수화물 보충제(체중증가제), 양질의 근육 형성을 위한 단백질의 함량이 많은 단백질 보충제(근육강화제), 신진대사와 지방대사를 촉진시켜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지방 연소제(다이어트제) 등을 판매하고,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며,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앱(application)과 연계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는 후술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는 사용자 단말기(120)(스마트폰)와의 연동으로 스마트폰에 의한 헬스 보충제 제품 구매에 따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로는 LCD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 LCD 디스플레이 화면은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광고 및 제품 선택을 위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품 선택과 관련하여 다수의 자판기 버튼이 LCD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버튼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력보충제, 체력보충제, 다이어트 식품, 식사대용 식품, 음료수 등을 제조사별, 맛별로 구분하여 구비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판기 버튼이 10∼12개 정도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통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입할 시 결제를 위한 모바일 앱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20)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 앱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와 연계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20)로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도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를 연계해주며, 사용자 단말기(120)에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ID를 부여하며,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로부터의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헬스 보충제 관련 광고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100)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장치(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계(140a),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계(140b), 사용자의 체성분(예컨대, 근육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BMI) 등)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기 (140c)와 같은 다양한 측정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상기와 같은 측정장치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 다양한 측정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그 DB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관리하는 원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만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자신의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필요시 타인이나 특정 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 건강 및 운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서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 제품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의 판매정보를 바탕으로 헬스클럽 업주, 프랜차이즈 업주 등과 사전 계약에 따른 지정된 금액(예를 들면, 헬스클럽 업주에게는 자판기 수익의 25%, 프랜차이즈 업주에게는 자판기 수익의 15%)을 지정된 날짜에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운영업자(헬스클럽 업주 및/또는 프랜차이즈 업주)의 계좌에 자동으로 이체시켜주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스마트 헬스 자판기 간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건강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와,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20)와,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를 연계해주며, 건강 및 운동 관련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100)을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 방법으로서, 먼저 사용자 단말기(120)가 탑재된 모바일 앱을 실행시켜 앱에 로그인 한 후, 스마트 헬스 자판기 ID를 입력하여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로그인한다(단계 S401). 이때, 이와 같이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로그인한 후, 후속되는 회원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02)로 진행하기 전에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 또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20)의 결제용 잔여 포인트를 확인하고, 잔여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예컨대, 잔여 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최소의 포인트 미만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가 포인트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20)가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로그인하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로그인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402). 이때,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모바일 앱을 실행하기 위해 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하여 모바일 앱에 먼저 로그인하는 과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등록 회원이 아니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헬스 보충제 제품 선택 페이지를 안내하여 사용자에 의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선택하도록 프로세스(실행 과정)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402에서의 확인 결과 기등록 회원이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확인한다(단계 S403). 여기서, 각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사전에 부여한 각각의 고유 ID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된 자판기 ID와 각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부여된 고유 ID를 매칭시킴으로써 대응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자판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의 확인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404). 여기서,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로부터 획득함에 있어서,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획득된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기(120)에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한다(단계 S405). 여기서,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장치들(140a∼140c)(도 2 참조)에 의해 측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이 DB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 측에 구축되어 있음)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20)로 헬스 보충제 제품이 추천되면,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로부터 추천받은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결제를 요청한다(단계 S406). 즉,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로부터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받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그 추천받은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매하기를 원할 경우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 측으로 결제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결제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를 승인한 후, 결과를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로 전달한다(단계 S407).
그러면,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결제 결과를 전달받아, 해당 헬스 보충제(예를 들면, 단백질 보충제 또는 탄수화물 보충제) 제품을 토출한다(단계 S408). 이때, 헬스 보충제는 물에 혼합된 혼합용액 형태로 종이컵이나 기타 특정 용기에 담긴 형태로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에 마련되어 있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이컵이나 특정 용기에 담겨 토출된 헬스 보충제를 토출구로부터 꺼내어 마시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영양 성분을 보충하게 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408에서 스마트 헬스 자판기(110)가 헬스 보충제 제품을 토출한 후, 바람직하게는 판매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130)가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헬스 클럽에 설치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스마트폰을 연계하여 이용함으로써 현금이나 카드와 관계없이 헬스 보충제를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고,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이나 운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헬스클럽 업주 측면에서는 자신의 헬스클럽에 설치된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서의 헬스 보충제 제품 판매 수익금의 일정액을 받음으로써 부가 수입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 인해 헬스클럽을 찾는 고객(회원)이 증가하여 헬스클럽 영업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스마트 헬스 자판기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140: 측정장치

Claims (12)

  1. 건강증진 관련 장소에 설치되며,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고,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며,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에 대한 결제를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앱(application)과 연계하여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통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입할 시 결제를 위한 모바일 앱이 탑재되며, 상기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계해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모바일 앱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ID를 부여하며,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의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헬스 보충제 관련 광고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상기 모바일 앱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와 연계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장치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 다양한 측정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그 DB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운동법, 식단조절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및 운동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헬스 보충제 제품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해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판매정보를 바탕으로 사전 계약에 따른 지정된 금액을 지정된 날짜에 스마트 헬스 자판기의 운영업자의 계좌에 자동으로 이체시켜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7. 헬스 보충제를 판매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헬스 보충제 구매에 따른 결제를 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스마트 헬스 자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연계해주며, 건강 및 운동 관련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탑재된 모바일 앱을 실행시킨 후, 스마트 헬스 자판기 ID를 입력하여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로그인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로그인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확인 결과 기등록 회원이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자판기 ID에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대응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획득된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추천받은 헬스 보충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g)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구매에 따른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를 승인한 후, 결과를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h)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부터 헬스 보충제 제품 결제 결과를 전달받아, 해당 헬스 보충제 제품을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 단계 b)로 진행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 또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결제용 잔여 포인트를 확인하고, 잔여 포인트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가 포인트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기등록 회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등록 회원이 아니면,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헬스 보충제 제품 선택 페이지를 안내하여 사용자에 의해 헬스 보충제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헬스 보충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헬스 자판기로부터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헬스 보충제들의 제품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함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운동 상태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장치들에 의해 측정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DB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헬스 보충제 제품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스마트 헬스 자판기가 헬스 보충제 제품을 토출한 후, 판매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가 판매정보를 수신하여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20160080862A 2016-06-28 2016-06-28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62A KR20180001865A (ko) 2016-06-28 2016-06-28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62A KR20180001865A (ko) 2016-06-28 2016-06-28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65A true KR20180001865A (ko) 2018-01-05

Family

ID=6100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862A KR20180001865A (ko) 2016-06-28 2016-06-28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8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10A (ko) 2018-06-29 2020-01-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이벤트를 이용하여 보상을 수행하는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KR20200009457A (ko) 2018-07-19 2020-01-3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사용자 인식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78668A (ko) * 2019-12-19 2021-06-29 황문구 단백질 보충제 공급 기반의 신체 관리 시스템
US20230252838A1 (en) * 2022-02-07 2023-08-10 Life Spectacular, Inc., D/B/A Proven Skincare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customer-specific personal care articles and produc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110A (ko) 2018-06-29 2020-01-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이벤트를 이용하여 보상을 수행하는 자동판매기 제어방법
KR20200009457A (ko) 2018-07-19 2020-01-3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사용자 인식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78668A (ko) * 2019-12-19 2021-06-29 황문구 단백질 보충제 공급 기반의 신체 관리 시스템
US20230252838A1 (en) * 2022-02-07 2023-08-10 Life Spectacular, Inc., D/B/A Proven Skincare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customer-specific personal care articles and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819A1 (en) System and method to obtain and optimize mixtures for preparing beverages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RU271791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иготавливаемого на заказ напитка или сухого концентрат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питков
JP2020529297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量の栄養補助食品および機能性補助食品を送達する分配システム
KR101723382B1 (ko)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EP2953082A1 (en) User-state mediated product selection
KR20180001865A (ko) 스마트 헬스 자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302084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et control
US201300309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CN109791802A (zh) 为个体动态生成健康相关和定制推荐的技术
CN110996685A (zh) 用于以单份供应和多份供应配置输送定制量的膳食和营养制品补充剂和调味剂的分配系统
US20120083669A1 (en) Personal Nutrition and Wellness Advisor
WO2008054231A1 (en) Nutritional information service
CN108305104A (zh) 评价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180232B (zh) 食物营养分析及烹饪系统
KR102330705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CA2406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et control
KR100386679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식단 제공 시스템
KR20200052824A (ko) 고객의 신체기능에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맞춤형으로 선택하고 배송하는 시스템
KR10173212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양식단 제공시스템
US20150262506A1 (en) Lunchin system for recording students' meal selections
KR101872674B1 (ko) 다이어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US20130030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food or beverage products to consumer requirements
JP738536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27739A (ko)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관리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