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05B1 -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05B1
KR102330705B1 KR1020200063806A KR20200063806A KR102330705B1 KR 102330705 B1 KR102330705 B1 KR 102330705B1 KR 1020200063806 A KR1020200063806 A KR 1020200063806A KR 20200063806 A KR20200063806 A KR 20200063806A KR 102330705 B1 KR102330705 B1 KR 10233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activity
management applica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대진
Original Assignee
현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진 filed Critical 현대진
Priority to KR102020006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705B1/ko
Priority to PCT/KR2021/006599 priority patent/WO202124202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Nursing (AREA)
  • Obes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별 신체 특성 및 생활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수집과, 트레이너의 회원 관리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건강 정보의 다차원적 종합 분석을 통해 보다 심도 높은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PERSONALIZED MANAGEMENT APPLICATION STORED IN RECORDING MEDIUM AND SYSTEM FOR HEALTH CA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별 신체 특성 및 생활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현대인들은 어느 때보다 자신의 건강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있으며, 질환의 조기발견 혹은 예방을 목적으로 병원 등의 의료기관의 전문가의 진단이나 조언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스포츠 클럽과 같은 비의료기관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관리, 유지 및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인이 직접 의료기관 등에 방문하지 않고도 집에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등을 이용하여 체중관리, 심박수 체크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다이어트, 헬스케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개개인의 체조성과 생활패턴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종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웨어러블 장치는 정보 수집능력은 뛰어나다고 할 수 있겠으나,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례로서, 종래 심박수 측정 웨어러블 장치는 심박수에 기초하여 활동량을 분석할 수 있지만, 칼로리 소비량과의 오차는 상당하다.
또한, 비만도의 척도인 많이 사용되는 BMI(Body Mass Index)는 체중과 키로 계산하며, 근육량과 체지방률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이 적은 사람도 비만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중 보건학적으로 볼 때 체중보다 근육량과 체지방률을 기반으로 한 식단,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근육량과 체지방이 같더라도 하루 활동량에 따라 필요 영양소는 상당히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무업무, 서서 일하는 업무의 칼로리 필요량의 차이는 상당하다. 이에 따라, 키, 성별, 활동량, 체지방률, 근육량 등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개개인에 맞춤 영양 지표를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된 맞춤형 개인 영양 프로그램은 상당히 고가에 판매가 되어 일반인들이 쉽게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피트니스 센터와 같은 전문 헬스케어 기관에서도 근무하는 트레이너가 영양학적 지식을 갖추기 힘들뿐더러 개개인의 회원들을 관리하기도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트레이너, 전문 선수 코치 등은 회원 즉, 개인의 영양 분석을 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실질적으로 개인의 영양 관리나 이를 기초로 한 종합 데이터 베이스 관리에 소홀하고 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62313호(공고일자: 2014.11.2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생활패턴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목적에 맞추어 개인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 목적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에 적절한 식단, 보충제, 영상자료 및 운동방법 등을 제시함과 더불어, 웨어러블 장치와의 연동을 통한 정보수집과, 트레이너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또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목표를 입력받는 목적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체중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입력 받는 신체정보 제공부, 하나 이상으로 정의되는 활동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 및 표시하는 활동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섭취 영양량을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식단을 추천하는 식단정보를 산출하는 식단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속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심박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고,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신체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규칙성을 판단하여 상기 신체정보에 반영하는 웨어러블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되, 각 활동별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응하여 활동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본 템플릿을 편집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설정하여 커스텀 템플릿을 생성 및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식단정보 제공부는, 현재까지의 사용자의 체중변화를 누적 기록 및 표시하고, 설정된 기간까지 목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별 비율 및 섭취량을 일자별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망을 통해 트레이너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상기 식단정보를 갱신하는 코칭부 및 상기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섭취가 필요 영양소 및 섭취량을 산출하고, 상기 필요 영양소가 포함된 하나 이 식품을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주문 요청하는 식품 주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목표에 따라 활동 대사량에 적합한 식단관리를 위한 식단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고,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화하여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라 상기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어플 연동부,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또는 식단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및 기 저장된 정보를 최신버전으로 갱신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건강 솔루션을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 및 영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외부 시스템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 솔루션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보충을 위한 식품을 판매하는 외부 온라인 마켓과 연결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식품 주문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사용자와 협약된 트레이너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트레이너 단말을 서로 연결하고,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코칭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수집과, 트레이너의 회원 관리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건강 정보의 다차원적 종합 분석을 통해 보다 심도 높은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너 회원관리 기능에 따라, 트레이너가 자신이 관리하는 선수 회원의 데이터를 시트화하여, 쉽고 간편하게 영양지도를 할 수 있으며 회원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통합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버나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서버나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나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한 센서들을 직접 혹은 별도의 드라이버나 센서 제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보드나 모듈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논리적, 전기적 및 광학적 변형들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으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은 "건강 관리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목표에 따라 활동 대사량에 적합한 식단관리를 위한 식단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고,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화하여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라 상기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건강 관리 시스템에 회원 등록하여 체중, 근육생성 등 자신의 피트니스 관리 또는 전반적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장치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배포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어 통합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고,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리 목적을 설정받고, 이에 적합한 건강 관리 정보, 일 예로서, 식단, 보충제, 영상자료 및 운동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현재 신체정보, 활동정보를 입력받아 식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수치값 및 그래픽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신체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신장, 키 등과 같은 신체와 관련된 정보를 가리키고, 활동정보는 일상 또는 운동에 따른 사용자가 수행한 활동, 일례로서, 걷기, 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푸시 업과 같은 적극적 활동과, 책 읽기, 업무수행 등과 같은 소극적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사용자의 활동에 관련된 정보를 가리킨다. 또한, 식단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섭취하거나 섭취해야 할 영양소별 필요량, 식품, 보충제 및 영양제 등에 관한 정보를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또는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50)와 연동할 수 있고,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50)로부터 사용자의 일상생활 또는 운동시의 신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및 분석하여 건강 관리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50)는 가속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심박계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탑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정한 값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신체정보에 반영 및 통합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50)는 측정 및 분석결과의 정확도는 높이기 위해, 비 규칙적 상태의 데이터 값이 발견되면 재 측정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저장된 데이터의 오차 보정 프로세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회원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개인 종합적인 건강 관리를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합 관리 서버(200)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체중 등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일반인 또는 피트니스 선수가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시스템에 회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체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 별로 저장 및 분석하여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즉 사용자 단말(100)이 단말장치 수준에서 제공할 수 없는 다양한 운동 방법 및 운동용품 사용방법, 식품 섭취방법 등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와 같은 확장된 콘텐츠와, 각 사용자의 현재 영양상태에 따른 식품, 보충제 등의 구매 서비스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건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통신망은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관리 서버(200)간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타 시스템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OTT 서버 등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300)과 더 연결될 수 있고, 신체정보 등이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적합한 운동 방법 또는 운동 기구 사용방법을 주제로 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마켓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고, 분석된 회원 중, 특정 영양소의 보충이 요구되는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식품, 영양제 및 보충제 등을 온라인을 통해 대량 주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섭취가 필요한 식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대행 구매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특히 전문 피트니스 선수와 같이 전문적인 집중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트레이너를 매칭할 수 있으며, 트레이너가 매칭된 사용자 단말(100)과 트레이너 단말(500)을 서로 중개하여 트레이너에 의한 지시를 사용자가 직접 전달받아 훈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관리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식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 또는 피트니스 전문 선수인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고 체중 및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각 구성부는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에 탑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또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목표를 입력받는 목적 입력부(110), 사용자로부터 체중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입력 받는 신체정보 제공부(120), 하나 이상으로 정의되는 활동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 및 표시하는 활동정보 제공부(130),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섭취 영양량을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식단을 추천하는 식단정보를 산출하는 식단정보 제공부(150),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저장소(160), 가속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심박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고,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신체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규칙성을 판단하여 상기 신체정보에 반영하는 웨어러블 연동부(170), 정보통신망을 통해 트레이너 단말과 연결되고,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상기 식단정보를 갱신하는 코칭부(180) 및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섭취가 필요 영양소 및 섭취량을 산출하고, 필요 영양소가 포함된 하나 이 식품을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주문 요청하는 상품 주문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목적 입력부(11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관리 목적, 일례로서, 체중 조절, 다이어트 또는 피트니스 대회 출전 등의 목적을 설정 받는 것으로, 이에 따라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 및 후술하는 통합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신체정보 제공부(120)는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 예를 들면 체중, 성별 및 키 등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정보와, 운동 경력, 기간 등 사용자의 신체와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신체정보 및 이로부터 판단되는 체지방률 등을 수치 또는 그래프 형태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되는 체중 등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측정결과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활동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가 건강 관리 기간 동안 매일 자신의 생활 활동에 대한 활동정보를 입력할 수 받을 수 있고, 입력된 활동정보를 수치 또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정보는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큰 영향을 주는 달리기, 근육운동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책 읽기, 회사업무 등 영양소 소모에 대한 비중은 크지 않으나 사용자의 신체에 간접적으로라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정보 제공부(130)는 다양한 관점의 활동정보를 입력받는 데 있어서, 활동에 따른 열량 소모량을 수치값으로 직접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이를 대체하여 수치값이 아닌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템플릿(135)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입력 받을 수 있다.
일례로서, 템플릿(135)은 '걷기', '달리기' 등의 열량을 소모하는 활동에 대응하는 아이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각 템플릿(135)에는 활동에 대응하는 열량 소모량이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걷기' 템플릿을 선택하고 시간을 입력하면, 별도의 계산 없이도 간편하게 자신의 활동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135)은 추상적인 키워드로도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템플릿(135)은 '좌식업무', '돌아다니는 업무' 등이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당일 자신이 수행한 활동에 적합한 템플릿을 선택하여 활동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활동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본 템플릿을 편집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설정하여 커스텀 템플릿을 생성 및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이 제공하는 기본 템플릿 이외에도 자신만의 독특한 활동들을 커스텀 템플릿으로 설정하여 활동정보 입력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활동정보 제공부(130)는 활동정보를 열량 소비량 등의 수치로 환산하고, 현재 사용자의 신체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된 현재 신체상태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활동 대사량 산출시 각 활동별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응하여 활동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계수는 동일한 활동을 수행하더라도 개인별 특성차에 따라 그 열량 소모량이 달라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일종의 보정계수로서, 사용자는 각 활동별로 자신의 특성에 적합하게 활동계수를 설정하여 보다 개인화된 열량 소모량, 필요 영양소량 등의 산출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활동계수는 운동량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도출되며, 운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에 비례해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에 대하여 안정된 상태에서의 심박수(Normal Heart; NH), 운동시간(Exercise Time; ET), 운동시 평균 심박수 또는 운동시 심박수(Exercise Heart; EH)는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라,
Figure 112020053766373-pat00001
Figure 112020053766373-pat00002
Figure 112020053766373-pat00003
'A' 또는 'B'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A' 또는 'B'가 1.2 이상이면 운동시간(ET)에 따라 신체활동비(PAR)가 증가하고, 아울러 운동시간(ET)가 1 이상(ET > 1)이면, 이하의 수학식 2에 따라 활동계수(Activity Coefficient; AC)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0053766373-pat00004
식단정보 제공부(150)는 전술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영양소 상태를 산출하고 각 영양소별 필요 섭취량과,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식단에 대한 정보인 식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식단정보 제공부(150)는 현재까지의 사용자의 체중변화를 누적 기록 및 표시하고, 설정된 기간까지 목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별 비율 및 섭취량을 일자별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식단정보 제공부(150)는 '다이어트', '유지어트', '치팅 도우미' 등 다양한 메뉴에 따른 식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이 제공하는 GUI의 구체적 예는 후술한다.
또한, 식단정보 제공부(150)에 의해 추천되는 식단으로는 고탄수 식단, 고지방 식단, ketone 식단 및 간헐적 식단 등이 있다.
단말 저장소(160)는 사용자가 일, 주, 월, 년 단위로 입력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와, 이에 따라 산출된 현재상태 및 식단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저장소(160)에는 전술한 활동정보 제공부(130)가 이용하는 템플릿, 사용자가 생성한 커스텀 템플릿 등이 저장될 수 있고,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의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연동부(170)는 체중, 신장 등,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신체정보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여 장치가 감지한 심박수, 운동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연동부(170)는 블루투스,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로 웨어러블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수신한 정보는 전술한 신체정보 또는 활동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코칭부(180)는 사용자가 별도의 트레이너의 지도를 받아 체중관리, 근육관리 등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의 중개에 의해 트레이너 단말과 연결되어 트레이너 단말이 전송하는 코칭정보를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주문부(190)는 본 발명의 시스템과 협약된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식단정보에 대응하는 식품, 보충제 등의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마켓은 상품 주문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판매중인 식품 중 영양소 보충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식품을 추출하여 그 목록을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하나 이상의 식품, 보충제 등을 선택하여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통합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어플 연동부(210),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220),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신체정보, 활동정보 또는 식단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 및 기 저장된 정보를 최신버전으로 갱신하는 정보 수집부(230), 수집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건강 솔루션을 생성하는 분석부(240),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 및 영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외부 시스템 또는 데이터 베이스(270)로부터 추출하여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250), 건강 솔루션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보충을 위한 식품을 판매하는 외부 온라인 마켓과 연결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식품 주문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연동부(260), 사용자와 협약된 트레이너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트레이너 단말(500)을 서로 연결하고, 트레이너 단말(500)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는 코칭 제공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 연동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220)는 연동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접속에 따라 로그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최초 접속시 회원 가입을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요청할 수 있고, 계정명, 패스워드, 설정된 목표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입력받아 회원 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등록된 회원과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270)의 회원DB(271)에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30)는 연동된 각각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회원 등록된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30)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로는 전술한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 등이 있고, 정보 수집부(230)는 일정 주기에 따라 회원 계정별로 상기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270)의 분석DB(273)에 계정별로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240)는 각 사용자별로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분석부(240)는 사용자별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함과 아울러, 설정된 목표에 따라 사용자의 식단정보가 적합하게 산출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부(240)는 한정된 컴퓨팅 자원을 갖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는 달리 대용량의 분석DB(273)를 비롯하여 고속의 컴퓨팅 자원을 갖는 통합 관리 서버(200)가 공지의 기계학습 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되어 사용자에 대한 식단정보가 목표(241)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지 판단함과 아울러, 객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콘텐츠, 일례로서, 운동교육, 운동방법 설명, 운동기구 선택 및 식품/보충제 선택 등과 같은 솔루션을 선정할 수 있다.
솔루션 제공부(250)는 분석부(240)에 의해 선정된 솔루션을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건강 솔루션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베이스(270)에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복수의 동영상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고, 솔루션 제공부(250)는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외부의 OTT 서버 등에 저장된 동영상 콘텐츠의 URL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마켓 연동부(260)는 사용자의 식단정보에 따라 필요한 식품, 보충제 및 영양제 등을 협약된 온라인 마켓에 사용자 단말(100)을 대행하여 주문 요청할 수 있고, 주문된 식품은 사용자측에 직접 배달될 수 있다. 이때 주문을 위한 배송지 등의 정보는 회원DB(271)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켓 연동에 따른 식품 주문 절차는 통합 관리 서버(200)에서 수행되거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나, 통합 관리 서버(200)가 주체가 되어 주문 요청하는 경우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식품을 동시에 대량으로 주문 가능함에 따라, 공동구매 방식으로 보다 저렴한 가격에 식품, 보충제 등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베이스(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별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일, 주, 월, 년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270)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회원DB(271), 분석DB(273) 및 콘텐츠DB(275)로 구분될 수 있고, 회원DB(271)에는 사용자의 계정명, 주소지와 같은 개인적인 정보가 저장되고, 분석DB(273)에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 설정된 신체정보, 활동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콘텐츠DB(275)에는 건강 솔루션과 관련된 동영상 콘텐츠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코칭 제공부(280)는 피트니스 선수 등 사용자의 목표가 일정기간 체중 또는 근육량 조절이 필요하거나, 전문가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 트레이너를 매칭 및 연결해주는 것으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트레이너 단말(500)간의 연결을 중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한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개인 관리 어플케이션이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20), 통합 관리 서버가 수집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건강 솔루션을 생성하는 단계(S130) 및 통합 관리 서버가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 및 영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외부 시스템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개인 관리 어플케이션이 사용자에 대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00)에서는 회원 등록된 일반인 또는 전문 피트니스 선수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다라,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목적을 설정 받고, 관리를 위한 자신의 체중을 포함하는 신체정보 및 일상활동에 대한 활동정보를 입력 받게 된다.
다음으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대응하여 식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활동정보에 따른 활동 대사량을 산출 및 신체상태에 적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영양 상태, 부족하거나 필요한 영양소 종류, 섭취량 등을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체중, 근육량 등과 관련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20)는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장 및 시스템을 통해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데이터화 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는 수집된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건강 솔루션을 생성하는 단계(S130)로서, 하나 이상의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개인별 목표에 따라 식단정보가 적합한지 검증 및 개인화된 콘텐츠를 선정하여 종합적인 건강 솔루션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가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 및 동영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외부 시스템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140)에서는 생성된 건강 솔루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방법, 운동기구 사용법 등의 운동정보와, 운동 및 건강관리와 관련된 동영상 콘텐츠 등을 건강 솔루션으로서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S140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필요한 식품 주문 절차, 트레이너 단말과의 연결 절차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메뉴로서,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 가능하고, 회원 등록 이후,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를 통해 자신의 신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정보로는 체중, 체지방률, 운동경력 및 성별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신체정보를 입력하면 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단백질 권장 섭취량의 산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매일의 단백질 권장 섭취량을 확인하여 현재 체중을 확인하고, 체중 조절 및 건강 관리에 참조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활동관리 메뉴로서 활동정보 UI를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일상, 운동 등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 즉, 자신의 일일 열량 소비량과 관련된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활동으로서 걷기, 달리기뿐만 아니라, 업무, 책읽기 등 일상적인 활동에 대응하는 복수의 템플릿을 제공하고 그 시간을 입력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 열량 소비량을 직접 수치형태로 입력하는 것이 아닌 템플릿 선택을 통해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고, 그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활동 대사량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백질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근육유지, 근육증가 및 초보자 등의 기준에 따라, 각각 0.91g/day, 1.2g/day, 1.6g/day, 2g/day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좌식업무', '돌아다니는 업무' 등 다양한 활동에 대응하는 기본 템플릿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커스텀 템플릿을 더 추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템플릿명, 단위시간 및 열량 소비량을 입력 및 등록하여 이후 반복 없이 편리하게 템플릿 선택만으로 활동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를 이용하여 기초 대사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대사량에 도 5c에 예시된 활동계수를 곱하여 활동 대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활동의 유형, 즉 예시된 잠자기, 누워있기, 책 읽기 등의 활동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활동계수가 할당될 수 있고, 이는 활동 대사량 산출 시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활동계수의 실제 수치는 개개인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본인의 생활에 맞춰서 수정할 수 있다.
도 5d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 등에 기초하여 산출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식단정보를 표시하는 식단메뉴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정보들을 토대로 현재 사용자가 필요한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고 있는지, 체중감소, 근육증가 등 본인의 목적에 따라 영양섭취가 이루어지고 식단에 고탄수식단, 저탄수식단 및 간헐적단식 등의 식사 스타일에 따른 영양섭취를 위한 식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다이어트', '유지어트(체중유지 프로그램)', '치팅도우미(식단조절 프로그램)' 및 '보충제 활용' 등의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대사량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영양 비율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다이어트 메뉴는 진행속도에 따른 대사량 감소를 고려하여 매주 변하는 칼로리에 따른 영양비율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식단정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5f는 도 5e의 유지어트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유지어트 메뉴는 다이어트 후 줄어든 사용자의 대사량을 고려하여 체중 유지를 위해서 천천히 식사량을 늘려야 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전술한 다이어트 메뉴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5g는 도 5e의 치팅 도우미 메뉴의 선택시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다이어트 중인 자가 특정일을 지정하여 1회 또는 1일 식단조절 없이 다이어트를 중단하는 소위 치팅 데이(cheating day)를 운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골격근에 따른 섭취하면 지방으로 변환이 적게 되는 탄수화물 섭취량을 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헬스 관련 선수인 경우 대회 준비를 위한 글리코겐 로딩 섭취 방법 등도 제시할 수 있다.
도 5h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의 치팅데이 운영시 사용자의 열량 섭취량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6d의 식단메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에 일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전술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의 진행과 상호 작용하여 줄어든 대사량을 일시적으로 복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i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체중 분석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체중분석정보는 다이어트시 감소된 칼로리 정보를 바탕으로 체중변화를 예측하여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중 변화를 매일 추적하여 그 결과를 추세선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50 : 웨어러블 장치 100 : 사용자 단말
101 :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110 : 목적 입력부
120 : 신체정보 입력부 130 : 활동정보 제공부
135 : 템플릿 150 : 식단정보 제공부
160 : 단말 저장소 170 : 웨어러블 연동부
180 : 코칭부 190 : 상품 주문부
200 : 통합 관리 서버 300 : 외부 시스템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을,
    사용자로부터 개인 또는 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목표를 입력받는 목적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체중을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입력 받는 신체정보 제공부;
    체중 조절 및 건강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입력되는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 및 표시하는 활동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섭취 영양량을 수치적으로 산출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식단을 추천하는 식단정보를 산출하는 식단정보 제공부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되, 각 활동별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응하여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한 활동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는 것인,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가속센서, 자이로스코프 및 심박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연동하고,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신체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규칙성을 판단하여 상기 신체정보에 반영하는 웨어러블 연동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본 템플릿을 편집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설정하여 커스텀 템플릿을 생성 및 추가하는 것인, 기록매체에 기록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정보 제공부는,
    현재까지의 사용자의 체중변화를 누적 기록 및 표시하고, 설정된 기간까지 목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별 비율 및 섭취량을 일자별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것인, 기록매체에 기록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트레이너 단말과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고, 상기 식단정보를 갱신하는 코칭부; 및
    상기 식단정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섭취가 필요 영양소 및 섭취량을 산출하고, 상기 필요 영양소가 포함된 하나 이 식품을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주문 요청하는 식품 주문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7.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목표에 따라 활동 대사량에 적합한 식단관리를 위한 식단정보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고,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화하여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따라 상기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체중 조절 및 건강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템플릿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템플릿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입력되는 활동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 및 표시하는 활동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는,
    상기 신체정보 및 활동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되, 각 활동별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대응하여 심박수에 기초하여 산출한 활동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활동 대사량을 산출하는 것인,
    건강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어플 연동부;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또는 식단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및 기 저장된 정보를 최신버전으로 갱신하는 정보 수집부;
    수집된 상기 신체정보, 활동정보 및 식단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달성에 필요한 건강 솔루션을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건강 솔루션에 대응하는 운동정보 및 영상 콘텐츠 중, 하나 이상을 외부 시스템 또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
    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건강 솔루션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보충을 위한 식품을 판매하는 외부 온라인 마켓과 연결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식품 주문 요청 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사용자와 협약된 트레이너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트레이너 단말을 서로 연결하고, 트레이너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운동 내용, 운동량 및 식품 섭취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칭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코칭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0200063806A 2020-05-27 2020-05-27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33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6A KR102330705B1 (ko) 2020-05-27 2020-05-27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PCT/KR2021/006599 WO2021242023A1 (ko) 2020-05-27 2021-05-27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06A KR102330705B1 (ko) 2020-05-27 2020-05-27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05B1 true KR102330705B1 (ko) 2021-11-25

Family

ID=7874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06A KR102330705B1 (ko) 2020-05-27 2020-05-27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0705B1 (ko)
WO (1) WO20212420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08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06628B1 (ko) 2023-02-17 2023-11-29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리온 과체중 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WO2024025308A1 (ko)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에 기반한 운동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3B1 (ko) 2012-07-27 2014-11-20 노영희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포탈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80118871A (ko) * 2017-04-24 2018-11-01 유현무 개인별 특성 및 운동량에 따른 헬스클럽의 식단 추천시스템
KR102005195B1 (ko) * 2018-09-28 2019-07-29 이민재 건강관리 시스템
KR20190119236A (ko) * 2018-04-05 2019-10-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및 습관정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415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신체활동계수의 활동구분 레벨 변경을 이용한 영양관리 시스템
KR20200049438A (ko) * 2018-10-31 2020-05-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식단케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3B1 (ko) 2012-07-27 2014-11-20 노영희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포탈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180118871A (ko) * 2017-04-24 2018-11-01 유현무 개인별 특성 및 운동량에 따른 헬스클럽의 식단 추천시스템
KR20190119236A (ko) * 2018-04-05 2019-10-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및 습관정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4151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지에이치씨 신체활동계수의 활동구분 레벨 변경을 이용한 영양관리 시스템
KR102005195B1 (ko) * 2018-09-28 2019-07-29 이민재 건강관리 시스템
KR20200049438A (ko) * 2018-10-31 2020-05-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식단케어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08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25308A1 (ko)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메디컬에이아이 심전도에 기반한 운동 추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6628B1 (ko) 2023-02-17 2023-11-29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리온 과체중 또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 및 어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2023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709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16968B1 (ko) Ai 기반의 스마트 코칭 방법
US20230019375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685585B2 (en)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based services
US20180344215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344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health regimen
KR102330705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개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US10706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and community-specific eating and activity planning, linked to tracking system with automated multimodal item identification and size estimation system
JP2020187756A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350451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3680913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067282B1 (ko)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별적으로 맞춤화되고, 피어-파생 메시지의 자동 구성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US200902166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a Healthcare Individual Through Music Distribution
KR101723382B1 (ko)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4533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peration of a health maintenance device
CN107249435A (zh) 基于实时生理参数提供用户洞察力的系统和方法
US20220115114A1 (en) Nutrition and Fitness System
CN116246754B (zh) 一种人体体重监测评估干预管理方法和系统
JP2023144212A (ja) 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又は方法
EP4010857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220047421A (ko) 영상처리 기반 개인 맞춤형 운동법 제공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근력 강화 및 당뇨 질환 개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