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14U - 전선거치대 - Google Patents

전선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14U
KR20180001814U KR2020160007143U KR20160007143U KR20180001814U KR 20180001814 U KR20180001814 U KR 20180001814U KR 2020160007143 U KR2020160007143 U KR 2020160007143U KR 20160007143 U KR20160007143 U KR 20160007143U KR 20180001814 U KR20180001814 U KR 201800018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raised
rods
grou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 류
Original Assignee
(주)애니원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원씨앤씨 filed Critical (주)애니원씨앤씨
Priority to KR2020160007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814U/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93Service 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 건축공사장, 예컨대, 아파트 건축단지 등의 공사현장에서,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워진봉에 복수의 전선거치대를 설치하여 전선들을 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세워진봉의 첨단에 조명기구인 투광기를 설치하여 야간에 공사현장을 환하게 빛출 수 있고, 또한, 세워진봉의 아래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들이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형성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공사현장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리의 일부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들이 설치되고, 다리들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10)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분리결합 가능한 전선거치홈(30)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세워진봉(10)의 첨단에 투광기(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가설과 조명기구들을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은 세워진봉(10)에 다리(50)들이 사방으로 개구된 브라켓(40)에서 힌지(41)에 의하여 접었다 펼 수 있으면서, 다리(50)을 지면(1)으로부터 90각도로 유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40)의 사방의 개구된 양쪽 측면(42)에 등간격으로 걸이홈(43)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43)에 대응하여 다리(50)들에 장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40)의 걸이홈(43)과 다리(50)의 장공(51에 핀(52)이 결합되고, 세워진봉(10)부터 다리(50)들이 지면(1)과 지면(1)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선거치대{Wire hanger}
본 고안은 전선을 거치할 수 있는 전선거치홈들과, 또한 조명기구인 투광기 등을 복합적으로 세워서 설치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공사장, 예컨대, 아파트 건축단지 등의 공사현장에서,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워진봉에 복수의 전선거치대를 설치하여 전선들을 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세워진봉의 첨단에 조명기구인 투광기를 설치하여 야간에 공사현장을 환하게 빛출 수 있고, 또한, 세워진봉의 아래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들이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형성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공사현장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리의 일부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 건축공사장, 예컨대, 아파트 건축단지 등의 공사현장에서는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공사하는 각종 공사자들이 각자의 조명기구를 비롯하여 각종 전기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함)을 특별하게 가설하지 않고 지면에 임시적으로 놓아두고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블은, 정지되지 않은 움푹 파여 물이 고인 곳에 잠기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고 각종 운송차량이 케이블을 밟고 지나는 등 케이블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경우가 허다하다.
토목공사장은 작업장 단위로 작업기간이 길지 않고 작업현장이 수시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공사용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케이블도 정돈하여 가설함이 없이, 임시적으로 공사장 바닥에 깔아 두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사장을 수시로 출입하는 무거운 대형 수송차량 등이 어지럽게 깔린 케이블 위를 밟고 지나게 되어 케이블이 훼손되기 쉽고 또한 각종 공사자재와 공구 등이 케이블에 충격적으로 부딪쳐서 케이블의 절연재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움푹 파여 물이 고인 곳에 훼손된 케이블이 잠기는 경우에는 불의하게 감전(感電)사고를 유발하는 위험한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550호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전선 거치대를 이루는 대략 직사각형의 각목형태의 몸체(10)에 C형 클램프의 탄성홀더(14)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또한, 몸체(10)의 수직방향(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띠구멍(1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홀더(14)는 좁은 입구로 전선이 끼우면 탄성적으로 확장하였다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대로 복원됨에 따라, 전선을 원터치로 간편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 및 탄성홀더(14)는 합성수지를 일정한 형틀 속에서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거치대는 몸체(10)를 기둥 또는 지지대 등의 시설물(1)에 묶음띠(20)로 밀착 고정하게 되며, 상기 묶음띠(20)를 띠구멍(12)으로 통과시킨 후, 시설물에 감고 양단부를 매듭지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위와 같은 전선거치대의 몸체(10)가 기둥 또는 지지대의 시설물(1)에 고정하여야 하는 관계로 시설물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고, 또한 몸체(20)가 묶은띠(20)를 이용하여 띠구멍(12)을 통과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관계로 사용상의 한계가 많았다.
또한, 전선거치대의 몸체(10)가 튀어나와 설치되는 C형 클램프의 탄성홀더(14)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운반 또는 보관 중에 탄성홀더(14)가 손상될 수 있고, 더욱이 몸체(10)에 탄성홀더(14)가 튀어나와 부피가 큰 관계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 등이 있다.
또한, 세워서 설치하는 거치대의 경우, 중앙의 세워진봉의 아래에 다리들이 형성되는 형태인데, 세워진봉에 다리가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다리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에서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의 위치가 제한된 형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550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 등을 가설할 수 있는 전선거치홈들이 지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의 벽쪽은 물론 전설의 가설방향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세워진봉의 첨단에 고정부재에 조명기구인 투광기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현장에 야간작업시 전선의 가설위치는 물론, 공사현장의 조명기구를 임의 위치로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세워진봉의 아래에 4개의 다리를 설치하면서, 세워진봉과의 브라켓에 의하여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하여, 공사현장의 바닥 또는 벽의 위치에 따라서, 다리의 일부를 접거나 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리들의 끝단에 팩을 고정할 수 있는 팩구멍들을 형성하여, 팩구멍을 통하여 지면에 팩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세워진봉이 안정적으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들이 설치되고, 다리들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분리결합 가능한 전선거치홈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세워진봉의 첨단에 투광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가설과 조명기구들을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워진봉에 다리들이 사방으로 개구된 브라켓에서 힌지에 의하여 접었다 펼 수 있으면서, 다리를 지면으로부터 90각도로 유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브라켓의 사방의 개구된 양쪽 측면에 등간격으로 걸이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에 대응하여 다리들에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걸이홈과 다리의 장공에 핀이 결합되고, 세워진봉으로부터 다리들이 지면과 지면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토목 건축공사장, 예컨대, 아파트 건축단지 등의 공사현장에서,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세워진봉에 복수의 전선거치대를 설치하여 전선들을 가설할 수 있으며, 또한 세워진봉의 첨단에 조명기구인 투광기를 설치하여 야간에 공사현장을 환하게 빛출 수 있고, 또한, 세워진봉의 아래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들이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형성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공사현장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리의 일부를 접거나 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의 투광기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의 확대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를 벽모퉁이에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거치대는 지면(1)으로부터 세워설치할 수 있는 세워진봉(10)과, 또한 세워진봉(10)을 지면으로부터 받칠 수 있는 다리(50)와, 또한 세워진봉(10)에 설치할 수 있는 투광기(20) 및 전선거치홈(30)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워진봉(10)은 길이를 늘렸다 좁힐 수 있는 이동봉(11)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봉(11)은 세워진봉(10)에 고정핀(12) 및 조임나사(13)들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2) 또는 조임나사(13)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멍(도시생략)들이 등간격으로 뚫려 있다.
또한, 세워진봉(10)에는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전선거치홈(30)들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거치홈(30)들은 유지구(31)에 복수의 전선거치홈(30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구(31)는 이동봉(11) 또는 세워진봉(10)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칫수이다. 상기 유지구(31)의 이동봉(11) 또는 세워진봉(10)의 고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조임나사(도시생략) 또는 클램프 등으로 유지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워진봉(10)의 첨단에는 나사구멍(21)이 형성되고, 이 나사구멍(21)에 고정나사(22)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투광기(20의 결합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광기(20의 브라겟(23)의 결합구멍(24)이 상기 이동봉(11)의 첨단의 나사구멍(21)과 일치시킨 후, 고정나사(22)의 조임에 의하여 투광기(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봉(11)의 첨단에 투광기(20의 결합은 도시의 그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동봉(11)의 첨단에 투광기(20)를 고정한다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의 어떠한 방법으로도 채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워진봉(10)의 아래에는 고정편(14)들이 고정되고, 이 고정편(14)들에 나사(15)가 결합되게 하여 기타 세워진봉(10)에 부가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물품들을 고정하던가 또는 세워진봉(10)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워진봉(10)의 하단에는 브라켓(40)들이 고정되고 있는데, 세워진봉(10)에 다리(50)들이 사방으로 개구된 브라켓(40)에서 힌지(41)에 의하여 접었다 펼 수 있으면서, 다리(50)을 지면(1)으로부터 90각도로 유지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브라켓(40)의 사방의 개구된 양쪽 측면(42)에 등간격으로 걸이홈(43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43에 대응하여 다리(50)들에 장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40)의 걸이홈(43과 다리(50)의 장공(51)에 핀(52)이 결합되고, 세워진봉(10)부터 다리(50)들이 지면(1)과,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1)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유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공사작업장에서 전선거치대의 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서 다리(5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리의 일부를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반 또는 보관시에는 세워진봉(10)에 4개의 다리(50)을 모두 접을 수 있다.
1 : 지면 10 : 세워진봉
11 : 이동봉 12 : 고정핀
13 : 조임나사 20 : 투광기
21 : 나사구멍 22 : 고정나사
23 : 브라켓 24 : 결합구멍
30 : 전선거치홈 31 : 유지구
40 : 브라켓 41 : 힌지
42 : 측면 43 : 걸이홈
50 : 다리 51 : 장공
52 : 핀 53 : 팩구멍
60 : 팩

Claims (3)

  1.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들이 설치되고, 다리들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전선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세워진봉(10)에 전선을 가설할 수 있는 분리결합 가능한 전선거치홈(30)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세워진봉(10)의 첨단에 투광기(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가설과 조명기구들을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워진봉(10)에 다리(50)들이 사방으로 개구된 브라켓(40)에서 힌지(41에 의하여 접었다 펼 수 있으면서, 다리(50)을 지면(1)으로부터 90각도로 유지 고정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거치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브라켓(40)의 사방의 개구된 양쪽 측면(42)에 등간격으로 걸이홈(43)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43)에 대응하여 다리(50)들에 장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40)의 걸이홈(43)과 다리(50)의 장공(51)에 핀(52)이 결합되고, 세워진봉(10)부터 다리(50)들이 지면(1)과 지면(1)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유지 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거치대.
KR2020160007143U 2016-12-08 2016-12-08 전선거치대 KR201800018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43U KR20180001814U (ko) 2016-12-08 2016-12-08 전선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43U KR20180001814U (ko) 2016-12-08 2016-12-08 전선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653U Division KR20190001122U (ko) 2019-04-22 2019-04-22 전선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4U true KR20180001814U (ko) 2018-06-19

Family

ID=6274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43U KR20180001814U (ko) 2016-12-08 2016-12-08 전선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8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444A (ko) 2019-11-02 2021-05-12 김승현 공기튜브 마우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005A (ko) * 2001-09-05 2001-10-24 안영남 스탠드형 작업등
KR20120017550A (ko) 2010-08-19 2012-02-29 정동한 전선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005A (ko) * 2001-09-05 2001-10-24 안영남 스탠드형 작업등
KR20120017550A (ko) 2010-08-19 2012-02-29 정동한 전선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444A (ko) 2019-11-02 2021-05-12 김승현 공기튜브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343B2 (en)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TWI524615B (zh) 理線支撐裝置及其安裝組件
KR101703495B1 (ko)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US8959869B2 (en) Stud bracket for temporary wall
ITPD20120292A1 (it) Stativ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KR20180001814U (ko) 전선거치대
JP6328544B2 (ja) 実験用什器の配線構造
US5779350A (en) Hand tool case with detachably connected working light
US20060197000A1 (en) System and clamp for supporting articles
KR20190001122U (ko) 전선거치대
MX2008010201A (es) Soporte electrico montable en tandem.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200470382Y1 (ko)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KR20150134042A (ko) 블로우 몰딩 전선거치대
KR20170004946A (ko) 블로우 몰딩 전선거치대
JP2016213077A (ja) 分離型のled照明器具の接続構造
US10895370B2 (en)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KR100638549B1 (ko) 설치폭의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안전휀스
KR102517181B1 (ko)
KR20100099401A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200002011U (ko)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US20030168236A1 (en) Cable tidy
KR200483076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10007636U (ko) 접이식 공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