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011U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 Google Patents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011U KR20200002011U KR2020190000912U KR20190000912U KR20200002011U KR 20200002011 U KR20200002011 U KR 20200002011U KR 2020190000912 U KR2020190000912 U KR 2020190000912U KR 20190000912 U KR20190000912 U KR 20190000912U KR 20200002011 U KR20200002011 U KR 2020000201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lighting lamp
- lower bracket
- lamp mount
- fasten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마운트는, 조명등과 연결된 여분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며, 조명등 마운트가 고정될 영역과 결합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고정캡, 상단부는 제 1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캡과 결합되고, 조명등과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공동(cavity)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대, 상단부가 제 2 체결부재를 통해 원통형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측면부가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에 맞물려 제 3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조명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배선 및 결합 구조를 통해 LED 전구와 같은 조명기구의 효율적인 배선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 마운트는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을 이용한 구조물을 통해 LED 전구와 같은 조명기구를 벽 또는 천정 등의 고정된 구성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조명등 마운트는 조명기구를 벽 또는 천정 등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조명등 마운트를 통해 고정되는 조명기구는 광원의 출력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선로가 필요하며, 빛을 일정한 영역으로 발산시키기 위해서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조명기구의 무게가 통상 수 킬로그램(kg)이므로, 조명용 마운트는 이러한 무게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136호 등과 같은 종래의 조명등 마운트는 조명기구를 적절히 지탱함과 동시에 조명기구의 빛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광원의 출력을 위해 필요한 선로의 배선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조립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명기구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쉬운 배선 및 설치를 통해 경제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소모되는 조명등 마운트가 제작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배선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저렴한 생산비용으로도 견고하게 조명기구를 보호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기구 고정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저렴한 생산비용으로도 각도조절 등의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선로를 보호함과 동시에 설치 장소의 미관을 보호할 수 있는 조명기구 고정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는, 조명등과 연결된 여분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며, 조명등 마운트가 고정될 영역과 결합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고정캡, 상단부는 제 1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캡과 결합되고, 조명등과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공동(cavity)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대, 상단부가 제 2 체결부재를 통해 원통형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측면부가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에 맞물려 제 3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및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조명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은,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각도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은, 판금 가공을 통해 상부 브라켓의 소정의 부위가 접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은,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각도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은,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와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은, 판금 공정을 통해 연결부가 점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가로폭은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의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마운트는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ㄷ자형의 제 1 브라켓 고정부 및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며, 측면부가 제 1 브라켓 고정부의 측면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ㄷ자형의 제 2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장치에 따르면,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배선 및 결합 구조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도 구조적으로 효과적인 전기 배선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 구조 등을 통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현장에서 쉽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 및 상부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하우징을 제외한 조명등 마운트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과 조명등 하우징 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브라켓 고정부들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b) 브라켓 고정부들의 결합 후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 및 상부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하우징을 제외한 조명등 마운트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과 조명등 하우징 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브라켓 고정부들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b) 브라켓 고정부들의 결합 후 모습을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는, 조명등과 연결된 여분의 전선(6)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며, 조명등 마운트가 고정될 영역과 결합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고정캡(10), 상단부는 제 1 체결부재(1)를 통해 고정캡(10)과 결합되고, 조명등과 연결된 전선(6)이 통과하는 공동(cavity)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대(20), 상단부가 제 2 체결부재(2)를 통해 원통형 지지대(20)의 하단부(44)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30), 측면부(41)가 상부 브라켓(30)의 측면부(31)에 맞물려 제 3 체결부재(3)를 통해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40) 및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삽입되는 슬롯(slot)(51)을 구비하는 조명등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캡(10)은 조명등 마운트가 고정될 영역과의 결합을 위해 고정캡(10)의 하단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11) 및 지지대(2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캡(10)의 하단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캡(10)은 제 1 결합홀(11)에 볼트가 삽입됨으로써 벽면 혹은 천정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캡(1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조명등 마운트의 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분의 전선(6)은 고정캡(10)의 내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고정캡(10)을 이용하여 조명등 마운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ex. 벽면, 천정 또는 칠판 등)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과정에서 남는 여분의 전선(6)을 고정캡(10)의 내부 빈 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전선(6)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20)는 지지대(20)의 상단부가 고정캡(10)의 제 1 결합홀(11)에 삽입되어 제 1 체결부재(1)를 통해 고정캡(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0)의 상단부에는 제 1 체결부재(1)가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지지대(20)의 상단부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다면, 제 1 체결부재(1)로서 육각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지지대(20)의 상단부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된다면, 제 1 체결부재(1)로서 육각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20)는 지지대(20)의 하단부가 후술할 상부 브라켓(30)의 제 2 결합홀(33)에 삽입되어 제 2 체결부재(2)(ex. 육각볼트, 육각너트 등)를 통해 상부 브라켓(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0)의 하단부에는 제 2 체결부재(2)가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지지대(20)의 하단부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다면, 제 2 체결부재(2)로서 육각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지지대(20)의 하단부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된다면, 제 2 체결부재(2)로서 육각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20)의 상단부가 상단부가 고정캡(10)과 결합되고, 지지대(20)의 하단부가 상부 브라켓(30)과 결합됨으로써, 고정캡(10), 지지대(20) 및 상부 브라켓(30)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간의 결합을 통해 지지대(20)는 조명등과 연결된 전선(6)이 판금 브라켓을 통과하여 고정캡(10)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6)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20)는 조명등 마운트의 설치 위치, 조명등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조명등 마운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등 마운트가 학교의 칠판에 설치된다면, 조명등 마운트로 인한 칠판의 가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지대(20)의 길이가 일반적인 벽면 혹은 천정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짧은 지지대(2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40) 및 상부 브라켓(30)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하우징(50)을 제외한 조명등 마운트 구성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40)과 조명등 하우징(50) 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30) 및 하부 브라켓(40)은 편평한 금속재(ex. 철판 등)를 절단하고 접는 방식의 판금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3은 상부 브라켓(30) 및 하부 브라켓(40)이 판금 공정 중에서 절단된 직후(일부분이 접히기 이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30)은 지지대(20)의 하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부 브라켓(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32) 및 하부 브라켓(40)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 브라켓(30)의 측면부(31)에 형성되는 제 2 결합홀(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40)은 상부 브라켓(30)과의 결합을 위해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에 형성되는 제 1 결합홀(42) 및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조명등 하우징(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4 체결부재(4)(ex. 볼트 등)가 결합되는 제 2 결합홀(4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부 브라켓(30)의 제 1 결합홀(32)은 상부 브라켓(30)의 상단부가 되는 일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브라켓(30)의 제 2 결합홀(33)은 상부 브라켓(30)의 측면부(31)가 되는 일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부 브라켓(30)의 제 2 결합홀(33)은 하부 브라켓(40)의 제 2 결합홀(45)과 맞물려 제 3 체결부재(3)(ex.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하부 브라켓(40)의 제 1 결합홀(42)은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가 되는 일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브라켓(40)의 제 2 결합홀(45)은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되는 일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하부 브라켓(40)의 제 2 결합홀(45)에 제 4 체결부재(4)가 삽입되면, 조명등 하우징(50)과 제 4 체결부재(4)가 맞닿는 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력으로 인해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움직이지 않고 조명등 하우징(5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30)은, 상부 브라켓(30)의 측면부(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각도조절홀(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40)은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각도조절홀(4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각도조절홀(34)은 제 2 각도조절홀(46)과 제 5 체결부재(5)(ex. 볼트 및 너트 등)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 1 각도조절홀(34)과 제 2 각도조절홀(46)의 결합 위치에 따라 조명등 하우징(50)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조명등의 광원이 빛을 조사하는 영역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부 브라켓(30)에는 3개의 제 1 각도조절홀(34)이 상부 브라켓(30)의 제 1 결합홀(32)의 상측(i.e. 상부 브라켓(30)의 상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40)에는 5개의 제 2 각도조절홀(46)이 하부 브라켓(40)의 제 1 결합홀(42)의 하측(i.e.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제 1 각도조절홀(34)의 직경은 5개의 제 2 각도조절홀(4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각도조절홀(34)과 제 2 각도조절홀(46)은 개수와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며,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는 상부 브라켓(30)의 측면부(31) 내측에 밀착되므로, 3개의 제 1 각도조절홀(34) 중 어떤 제 1 각도조절홀이 5개의 제 2 각도조절홀(46)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느냐에 따라 조명등 하우징(50)의 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각도조절홀(34)과 제 2 각도조절홀(46)의 개수 및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판금 브라켓의 크기에 따라 각도조절홀들이 비교적 작은 개수로 형성되더라도 다양한 각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40)은,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와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브라켓(40)의 측면부(41)의 중심선 상에 연결부(43)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의 중심선 상에 연결부(43)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43)의 가로폭은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의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는 세로폭이 가로폭이 비해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연결부(43)의 가로폭은 하부 브라켓(40)의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에 삽입된 이후에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슬롯(51)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롯(51)의 수직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은 하부 브라켓(40)이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부(43)의 가로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상단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삽입되는 슬롯(51)의 내부 가로폭은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의 가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슬롯(51) 상단의 개방 부분의 가로폭은 연결부(43)의 가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롯(51) 상단의 개방 부분의 가로폭은 슬롯(51)의 내부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 연결부(43) 및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의 구조를 통해 하부 브라켓(40)이 조명등 하우징(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하부 브라켓(40)이 조명등 하우징(50)의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30)은, 판금 가공을 통해 상부 브라켓(30)의 소정의 부위가 접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브라켓(40)은, 판금 공정을 통해 연결부(43)가 점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와 같이 상부 브라켓(30)은 2개의 측면부(31)와 상단부가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부(31)와 상단부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소정의 부위가 판금 공정에 의해 접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부 브라켓(40)은 2개의 측면부(41)와 하단부(44)를 연결시키는 연결부(43)의 중심이 판금 공정에 의해 접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부 브라켓(30)은 뒤집한 U자형태, 하부 브라켓(40)은 U자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브라켓 고정부들(61, 62)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b) 브라켓 고정부들(61, 62)의 결합 후 모습을 사시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마운트는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ㄷ자형의 제 1 브라켓 고정부(61) 및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며, 측면부가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측면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ㄷ자형의 제 2 브라켓 고정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중심부 및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중심부에는 제 6 체결부재(ex. 볼트 등)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홀(63, 6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결합홀(63)과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결합홀(64)에는 제 6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이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결합홀(63)과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결합홀(64)로 제 6 체결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제 1 브라켓 고정부(61)와 제 2 브라켓 고정부(62)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가로폭은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브라켓 고정부(61)가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브라켓 고정부(61)와 제 2 브라켓 고정부(62)는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와 조명등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브라켓 고정부들의 결합을 통해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와 조명등 하우징(50) 사이의 거리를 늘림으로써,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가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 고정부(61)와 제 2 브라켓 고정부(62)가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와 조명등 하우징(50)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면, 도 6의 (b)와 같이 제 1 브라켓 고정부(61)의 측면부와 제 2 브라켓 고정부(62)의 측면부의 경사진 구조가 겹치면서 하부 브라켓(40)의 하단부(44)와 조명등 하우징(5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으로 인해 하부 브라켓(40)이 조명등 하우징(50) 상에 고정됨으로써, 더 이상 하부 브라켓(40)이 조명등 하우징(50)의 슬롯(51)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조명등 하우징(50)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 1 체결부재 2: 제 2 체결부재
3: 제 3 체결부재 4: 제 4 체결부재
5: 제 5 체결부재 6: 전선
10: 고정캡 11: 고정캡의 제 1 결합홀
12: 고정캡의 제 2 결합홀 20: 원통형 지지대
30: 상부 브라켓 31: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
32: 상부 브라켓의 제 1 결합홀 33: 상부 브라켓의 제 2 결합홀
34: 제 1 각도조절홀 40: 하부 브라켓
41: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 42: 하부 브라켓의 제 1 결합홀
43: 하부 브라켓의 연결부 44: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
45: 하부 브라켓의 제 2 결합홀 46: 제 2 각도조절홀
50: 조명등 하우징 51: 슬롯
61: 제 1 브라켓 고정부 62: 제 2 브라켓 고정부
63: 제 1 브라켓 고정부의 결합홀 64: 제 2 브라켓 고정부의 결합홀
3: 제 3 체결부재 4: 제 4 체결부재
5: 제 5 체결부재 6: 전선
10: 고정캡 11: 고정캡의 제 1 결합홀
12: 고정캡의 제 2 결합홀 20: 원통형 지지대
30: 상부 브라켓 31: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
32: 상부 브라켓의 제 1 결합홀 33: 상부 브라켓의 제 2 결합홀
34: 제 1 각도조절홀 40: 하부 브라켓
41: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 42: 하부 브라켓의 제 1 결합홀
43: 하부 브라켓의 연결부 44: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
45: 하부 브라켓의 제 2 결합홀 46: 제 2 각도조절홀
50: 조명등 하우징 51: 슬롯
61: 제 1 브라켓 고정부 62: 제 2 브라켓 고정부
63: 제 1 브라켓 고정부의 결합홀 64: 제 2 브라켓 고정부의 결합홀
Claims (8)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에 있어서,
조명등과 연결된 여분의 전선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조명등 마운트가 고정될 영역과 결합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고정캡;
상단부는 제 1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캡과 결합되고, 상기 조명등과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공동(cavity)를 구비하는 원통형 지지대;
상단부가 제 2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원통형 지지대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측면부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에 맞물려 제 3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하부 브라켓; 및
상기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슬롯(slot)을 구비하는 조명등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상기 상부 브라켓의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각도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판금 가공을 통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소정의 부위가 접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각도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하부 브라켓의 측면부와 상기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판금 공정을 통해 상기 연결부가 점힘으로써 U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가로폭은 상기 하부 브라켓의 하단부의 가로폭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 제 1 항에 있어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ㄷ자형의 제 1 브라켓 고정부; 및
경사진 구조를 갖는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면부가 상기 제 1 브라켓 고정부의 측면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ㄷ자형의 제 2 브라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마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912U KR200492446Y1 (ko) | 2019-03-05 | 2019-03-05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912U KR200492446Y1 (ko) | 2019-03-05 | 2019-03-05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011U true KR20200002011U (ko) | 2020-09-16 |
KR200492446Y1 KR200492446Y1 (ko) | 2020-10-16 |
Family
ID=7266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912U KR200492446Y1 (ko) | 2019-03-05 | 2019-03-05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44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2581B1 (ko) * | 2022-05-09 | 2022-11-04 | 주식회사 우정일렉트릭컴퍼니 | 틸팅형의 조명등 지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136Y1 (ko) | 1999-12-01 | 2000-05-15 | 주식회사혜성라이팅 | 칠판용 조명등기구의 조사각 조절장치 |
KR200261004Y1 (ko) * | 2001-10-22 | 2002-01-17 | 정승문 | 천정현수형 형광등기구의 장착구조 |
KR20110016605A (ko) * | 2009-08-12 | 2011-02-18 | 주식회사 대일씨엠 | 신호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
-
2019
- 2019-03-05 KR KR2020190000912U patent/KR20049244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136Y1 (ko) | 1999-12-01 | 2000-05-15 | 주식회사혜성라이팅 | 칠판용 조명등기구의 조사각 조절장치 |
KR200261004Y1 (ko) * | 2001-10-22 | 2002-01-17 | 정승문 | 천정현수형 형광등기구의 장착구조 |
KR20110016605A (ko) * | 2009-08-12 | 2011-02-18 | 주식회사 대일씨엠 | 신호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446Y1 (ko) | 2020-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08396B2 (en) | Junction box for regressed light module | |
US20200393118A1 (en) | Casing for lighting assembly | |
US8092041B2 (en) | Low profile linear high bay fluorescent luminaire | |
US10132477B1 (en) | Mounting assembly of a light fixture | |
US9689564B2 (en) | System to allocate luminance | |
KR200492446Y1 (ko) | 판금 브라켓을 이용한 조명등 마운트 | |
US10364968B2 (en) | Externally actuated joiner assembly for connecting adjacent structures | |
US7287883B1 (en) | Yielding hanger for stem mounting fluorescent highbays | |
US10429043B2 (en) | Stand for elongated lighting apparatus | |
KR101310159B1 (ko) | Led 등기구 장치 | |
ES2585033T3 (es) | Dispositivo para el montaje de dos elementos | |
KR101749139B1 (ko) | 조명등 장착장치 | |
US6332695B1 (en) | Adjustable reflector assembly for luminaire | |
KR200390194Y1 (ko) | 일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 |
CN109114458B (zh) | 模组式led灯具及照明装置 | |
US10895370B2 (en) |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 |
US10480966B1 (en) | Adaptable fixture mount sensor for vapor tight light fixtures | |
DE102019122209A1 (de) | Leuchtenelement, Leuchte | |
ES2679249T3 (es) | Luminaria con blindaje elástico | |
KR101387373B1 (ko) | 천정 매입 등기구용 탄성클립 | |
US11274814B2 (en) | Holders for a light source | |
CN108266674A (zh) | 具有可调节框架的照明系统 | |
JP6945352B2 (ja) | 照明器具 | |
US20170268735A1 (en) | Skewed Luminaire Housing | |
JP2022035662A (ja) | 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