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39B1 - 조명등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39B1
KR101749139B1 KR1020160140239A KR20160140239A KR101749139B1 KR 101749139 B1 KR101749139 B1 KR 101749139B1 KR 1020160140239 A KR1020160140239 A KR 1020160140239A KR 20160140239 A KR20160140239 A KR 20160140239A KR 101749139 B1 KR101749139 B1 KR 10174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rossbar
suspension bracket
led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서전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라이팅 filed Critical (주)서전라이팅
Priority to KR102016014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천장고정바에 조명등유니트를 장착하는 조명등 장착장치가 개시된다. 조명등 장착장치는 한 쌍의 상기 천장고정바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조명등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조명등유니트는 편리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취약한 천장고정와 천장보드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등 장착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the light}
본 발명은 조명시스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을 천장의 고정바에 설치하는 조명등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명등은 디자인, 에너지 효율 및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한 LED 면광원을 채택한 LED 조명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등은 천장을 가로지르는 고정바, 즉 M바에 고정된 천장보드 및/또는 M바에 직접 고정 설치한다. 이때, LED 조명등의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볼트로 천장보드 및/또는 M바에 나사 고정한다.
그러나 볼트에 의한 천장보드 또는 M바에 고정하는 방법은 천장보드의 재질이 약하고, M바의 두께가 얇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다. 따라서, 지진 등이 발생할 경우 추락하여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천장에는 마감재로서 다양한 두께의 천장보드가 채용되고 있다. 천장보드 두께가 다름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LED 조명등을 안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진과 같은 진동에도 견고하고 안정되게 조명등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조명등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장보드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유연하게 조명등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는 조명등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천장고정바에 조명등유니트를 장착하는 조명등 장착장치가 개시된다. 조명등 장착장치는 한 쌍의 상기 천장고정바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조명등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크로스바와 현수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현수브래킷은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를 상기 크로스바에 이격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는 조절체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천장보드의 두께에 상관없이 가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천장고정바의 하면에는 천장보드가 장착되며, 상기 현수브래킷은 하부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천장보드의 둘레영역의 하면과 측단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하면연장부와 측단멈춤부가 마련됨으로써, 천장보드의 두께에 상관없이 가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등유니트는 조명등을 지지하는 조명등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결합부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편리하고 견고하게 조명등을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을 천장에 설치하는 조명등시스템이 개시된다. 조명등시스템은 상기 조명등을 지지하는 조명등지지프레임을 가진 조명등유니트와, 천장에 설치된 한 쌍의 천장고정바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조명등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과, 상기 현수브래킷을 상기 크로스바에 이격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는 조절체결부재와,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과 상기 현수브래킷을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 M바에 걸쳐지는 크로스바와 현수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설치함으로써 지진에 따른 진동에도 견딜 수 있는 조명등을 편리하게 고정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천장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천장보드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이격간격 조절 가능한 조절체결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유연하게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조명등 유니트(100)가 현수브래킷(2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조명등유니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현수브래킷(200)을 상기 조명유니트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발췌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현수브래킷(200)을 상기 조명유니트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촉되어 (conta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조명등유니트(100)을 천장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조명등유니트(100)는 엣지 타입 LED 면광원을 적용한 LED 조명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직하 타입 LED 조명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등이 적용될 수 있다. 천장에는 약 250~300mm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천장고정바(이하 'M바'라 칭한다)(10)가 설치되며, M바(10)에는 천장보드(20)가 마감재로서 설치되어 천장의 외관을 구성한다. 조명등유니트(10)를 설치하는 위치는 한 쌍의 M바(10) 사이에 설치된 천장보드(20)를 제거 또는 배제한 경우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M바(10)에 조명등유니트(100)를 장착하는 조명등 장착장치(200)는 한 쌍의 상기 M바(10)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210)와 상기 크로스바(210)와 상기 조명등유니트(100)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220)을 포함한다. 한 쌍의 M바(10)에는 한 쌍의 크로스바(210)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크로스바(210)는 한 쌍의 M바(10)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걸쳐진다. 크로스바(21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대략 수직으로 접힌 형태로서, 일측이 개방된 4각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물론 크로스바(210)는 소정 두께를 가진 판재나 막대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크로스바(210)는 각각의 중앙 부분에 크로스바(210)의 연장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바(240)에 의해 결합하여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크로스바(210)가 연결바(240)에 의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크로스바(210)가 M바(10)의 연장방향에 경사지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명등유니트(100)를 현수브래킷(220)에 결합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좋게 한다. 연결바(240)는 조명등유니트(100)의 전원공급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조명등 유니트(100)가 현수브래킷(2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발췌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조명등(120) 및 조명등지지프레임(110)의 커버(114)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조절체결부재(223,224)는 현수브래킷(220)의 하부결합부(226)와 크로스바(210) 사이에 M바(10)와 천장보드(20)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도록 현수브래킷(220)을 크로스바(210)에 이격 조절 가능하게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현수브래킷(220)은 상기 크로스바(230)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222), 상기 상부결합부(222)를 상기 크로스바(240)에 이격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는 조절체결부재(223,224), 조명유니트(100)의 조명등지지프레임(112)을 지지하는 하부결합부(226), 및 하부결합부(226)를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에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227,228)를 가진다. 상부결합부(222)와 하부결합부(226)는 연결결합부(221)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결합부(222)는 크로스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조절체결부재(223,224)에 의해 크로스바(210)에 체결 고정된다. 조절체결부재(223,224)는 예를 들면 볼트(223)와 (나비)너트(224)로 구현될 수 있고, 그외 다양한 방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조절체결부재(223,224)는 천장보드(2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이격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크로스바(210)와 현수브래킷(220)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개재될 수 있다.
하부결합부(226)는 M바(1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지지부(225), 천장보드(20)의 판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2지지부(230), 및 제1지지부(225)와 제2지지부(230)를 단차를 두고 연결하는 연결부(229)를 포함한다. 하부결합부(226)는 제2체결부재(227,228)에 의해 조명등 지지프레임(210)에 체결 고정된다. 제2체결부재(227,228)는 예를 들면 볼트(228)와 (나비)너트(227)로 구현될 수 있고, 그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지지부(225)와 제2지지부(230)의 단차는 제2체결부재(227,228)의 볼트(228)의 머리가 놓이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지지부(230)는 항상 천장보드(20)에 밀착되어야 하며, 제1지지부(225)는 천장보드(20)의 두께에 따라 M바(10)에 밀착되거나 갭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230)에는 상기 천장보드(20)의 둘레영역의 하면과 측단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하면연장부(231)와 측단멈춤부(232)가 마련되어 있다. 하면연장부(231)와 측단멈춤부(232)는 제2지지부(230)의 단부로부터 대략 중간부분을 2부분으로 절개하여 일측을 M바(10)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즉,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은 측단멈춤부(232)가 형성되고 남아 있는 부분은 하면연장부(231)가 형성된다.
현수브래킷(200)에 체결 고정되는 조명등유니트(100)의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등(120)의 외곽을 둘러싸는 4각틀 형상을 가진다.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은 너트(227) 체결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하는 커버(114)를 포함한다. 커버(114)는 힌지(1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있다.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의 배면부(112)는 볼트(228)가 통과하는 장공(118)을 포함한다. 장공(118)은 조명등유니트(100)를 천장에 설치하는 작업, 즉 볼트(228) 및 너트(227)로 조명등유니트(100)를 현수브래킷(200)에 체결고정하는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의 구성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장치(200)에 의한 조명등유니트(100)를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명등유니트(100)를 설치할 위치에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한 쌍의 M바(10)에 가로로 크로스바(210)를 걸친다. 다음에, 현수브래킷(220)의 하면연장부(231)를 천장보드(20) 하면을 받친 상태에서 조절체결부재(223,224)의 너트(224)를 이용하여 현수브래킷(220)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볼트(223)에 체결한다. 이때, 제2체결부재(227,228)의 볼트(228)는 하부결합부(226)의 볼트공에 끼워진 상태로 하방 돌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커버(114)를 열고 돌출된 볼트(228)를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의 배면부(112)에 형성된 장공(118)에 끼워 나비너트(227)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체결함으로써 조명등유니트(100)를 천장에 설치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조명등유니트(10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및 부분발췌 사시도이다. 조명등유니트(110)는 조명등(120) 및 조명등(120)을 착탈하는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은 스프링(115)에 의해 조명등(120)의 측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된 걸림부(113)를 포함한다. 조명등(120)은 외곽을 감싸면서 상기 걸림부(113)를 수용하는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등 장착장치(200)는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하는 한 쌍의 M바(10)에 걸쳐지는 크로스바(210) 및 현수브래킷(220)을 포함한다. 현수브래킷(220)은 조명등 지지유니트(110)의 후면부(112)에 고정부재(240)에 의해 사전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에는 현수브래킷(2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크로스바(210)에 체결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브래킷(220)은 크로스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상부결합부(222) 및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226)를 포함한다. 상부결합부(222)와 하부결합부(226)는 연결결합부(2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결합부(226)는 고정부재(240)에 의해 조명등 지지프레임의 후면부(112)에 나사 체결된다. 또한, 하부결합부(226)는 제2고정부재(250)에 의해 추가적으로 조명등 지지프레임의 후면부(112)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재(240) 및 제2고정부재(25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재(240) 및 제2고정부재(250)는 나사 이외에 용접, 납땜, 볼트너트 체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에 하부결합부(226)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장치(200)에 의한 조명등유니트(100)를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크로스바(210)를 한 쌍의 M바(10)에 걸쳐 놓는다. 이때, 볼트(223)는 크로스바(210)의 중앙에 형성된 제1볼트공에 끼워 놓는다. 별도로, 고정부재(240) 및 제2고정부재(250)를 이용하여 현수브래킷(220)을 조명등 지지프레임(210)에 고정한다. 작업자는 현수브래킷(220)이 일체로 고정된 조명등 지지프레임(210)으로부터 조명등(120)를 분리한다. 이후, 볼트(223)에 스페이서(234)를 끼우고 현수브래킷(220)의 중앙에 형성된 제2볼트공에 볼트(223)를 끼운다. 작업자는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의 후면 지지부(117)가 천장보드(20)에 지지된 상태로 나비너트(224)를 이용하여 볼트(223)에 체결한다. 결과적으로,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은 크로스바(210)와 후면 지지부(117) 사이에 M바(10)가 개재된 상태에서 현수브래킷(220) 및 조절체결부재(223,224)에 의해 견고하게 천장보드(20)에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조명등(120)의 측면 걸림턱(122)에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의 걸림부(115)가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장치(200)는 작업전에 조명등(120)을 제거하여 중앙이 비워진 상태에서 중앙의 조절체결부재(223,224)만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장착함으로써 작업자는 매우 쉽고 편이하게 조명등(120)을 천장에 장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장착장치(200)는 현수브래킷(220)의 두께운 재질의 금속 판재로 제작하되, 하부결합부(226)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탭을 형성한다. 즉,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제1실시예에서와 다르게, 제2실시예에서는 나사(260)와 하부결합부(226의 나사탭이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나사(260)를 조명등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하여 조명등 지지프레임의 후면(112)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나사공(미도시)을 삽입하여 하부결합부(226)에 나사 체결한다. 나사 체결을 통해 조명등유니트(100)를 현수브래킷(220)의 하부결합부(226)에 장착한 후에 캡(227)을 채워 마감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낸 조명등 지지프레임(110)에 커버(114)가 없는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M바
20: 천장보드
100: 조명등유니트
110: 조명등 지지프레임
120: 조명등
200: 조명등 장착장치
210: 크로스바
220: 현수브래킷
240: 연결바

Claims (5)

  1. 상호 평행하게 배열된 천장고정바에 LED 조명등유니트를 장착하는 조명등 장착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천장고정바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LED 조명등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LED 조명등유니트는 LED면광원 및 상기 LED면광원의 외곽을 둘러싸는 조명등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현수브래킷은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로부터 상기 천장고정바의 하측으로 연장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결합부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제2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고정바의 하면에는 천장보드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천장보드의 둘레영역의 하면과 측단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는 하면연장부와 측단멈춤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장착장치.
  4. 삭제
  5. 천장에 설치하는 조명등시스템에 있어서,
    LED 면광원과 상기 LED 면광원의 외곽을 둘러싸며 지지하는 조명등지지프레임을 가진 LED조명등유니트와;
    천장에 설치된 한 쌍의 천장고정바의 상부에 걸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와;
    상기 크로스바와 상기 LED조명등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현수브래킷과;
    상기 현수브래킷을 상기 크로스바에 이격간격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는 조절체결부재와;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과 상기 현수브래킷을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수브래킷은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로부터 상기 천장고정바의 하측으로 연장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부재는 상기 조명등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결합부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시스템.
KR1020160140239A 2016-10-26 2016-10-26 조명등 장착장치 KR10174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39A KR101749139B1 (ko) 2016-10-26 2016-10-26 조명등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39A KR101749139B1 (ko) 2016-10-26 2016-10-26 조명등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139B1 true KR101749139B1 (ko) 2017-07-04

Family

ID=593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239A KR101749139B1 (ko) 2016-10-26 2016-10-26 조명등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37A (ko) * 2017-07-12 2019-01-22 박병기 조명등 장착장치
KR20210032138A (ko) * 2019-09-16 2021-03-24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102Y1 (ko) * 2003-03-06 2003-08-14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102Y1 (ko) * 2003-03-06 2003-08-14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현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37A (ko) * 2017-07-12 2019-01-22 박병기 조명등 장착장치
KR101993750B1 (ko) * 2017-07-12 2019-09-30 박병기 조명등 장착장치
KR20210032138A (ko) * 2019-09-16 2021-03-24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장치
KR102347452B1 (ko) 2019-09-16 2022-01-06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8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leveling a light fixture
CA2594897C (en) Captive retaining spring
CA2804563C (en) Downlight support
KR101731680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US9903571B2 (en) Adjustable mounting torsion spring receiver assembly for LED retrofit
PL1739347T3 (pl) System sufitu podwieszanego
KR10174913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160077296A (ko)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KR101806869B1 (ko) 천장 등기구
WO2016051613A1 (ja) 支持装置
EA200702513A1 (ru) Фиксирующий зажим для настенной установк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180038721A (ko) 전등 장착용 브래킷
RU2011143356A (ru)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лотна пассивной двери двупольной двери
JP6350947B2 (ja) 照明器具
CN105351825A (zh) 一种吸顶灯安装结构
KR20190007237A (ko) 조명등 장착장치
JP6994442B2 (ja) 照明器具
JP6497361B2 (ja) 機器の取付用固定金具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JPH07245012A (ja) 照明装置
KR20160123169A (ko)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KR20200104482A (ko) 엣지형 led 슬림조명 등기구
CN211372212U (zh) 一种灯具支架及灯具
JP5807141B1 (ja) 支持装置
CN103851574A (zh) 嵌入式灯具的安装装置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