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811U - 무음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무음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811U
KR20180001811U KR2020187000039U KR20187000039U KR20180001811U KR 20180001811 U KR20180001811 U KR 20180001811U KR 2020187000039 U KR2020187000039 U KR 2020187000039U KR 20187000039 U KR20187000039 U KR 20187000039U KR 20180001811 U KR20180001811 U KR 201800018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r
contact piece
pivot connection
moving plate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7000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시 우
Original Assignee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동관 카이후아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01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04Larger or different actuat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2Damping vib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음 키 스위치는, 베이스 바디(110), 정적 접촉편(120), 동적 접촉편(130), 무빙 플레이트(140), 제1 균형대(150), 제2 균형대(160) 및 키 캡(170)을 포함하고; 무빙 플레이트(140)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소음기 바디(141), 테일부에 설치되는 U형 홈(142), 소음기 바디(14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훅크 슬롯(143)을 포함하며, 무빙 플레이트(140)의 소음기 바디(141) 단은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과 서로 당접하고;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150)의 상단 및 제2 균형대(160)의 상단은 각각 키 캡(170)의 최저부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제1 균형대(150) 및 제2 균형대(160)는 X형 구조를 이루며, 무빙 플레이트(140),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은 모두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의 교차 중첩 부위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균형대(150)와 무빙 플레이트(140)의 U형 홈(142) 사이에 탄성체(18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은 간단하고 교묘하며, 평온하게 내리 누를 수 있고 작동 시의 소리가 매우 작으며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하다.

Description

무음 키 스위치
본 고안은 키 스위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무음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키 스위치는 말 그대로 키보드에 장착되는 스위치이며, 이러한 스위치는 주요하게 베이스, 상부 커버, 정적 접촉편, 동적 접촉편 및 키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버와 베이스는 둘러싸여 수용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정적 접촉편, 동적 접촉편 및 키는 상기 수용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키의 일단은 수용 챔버의 외부에 노출되고, 제어 키를 누르는 것을 통해 키를 상, 하로 이동시키며, 키를 동적 접촉편에 작용시키는 것을 통해, 동적 접촉편과 정적 접촉편을 접촉 연결하거나 이탈 분리하여, 키보드의 온 오프를 실현한다.
상기 기존의 키 스위치 구조는 비록 사용자에게 정적 접촉편과 동적 접촉편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바, 이는 확실히 진보성을 구비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경우 그 자체의 구조와 사용 성능상에서 여전히 매우 많은 부족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기존의 키 스위치가 실질적인 응용상에서 가장 바람직한 사용 효과 및 작업 효능에 도달할 수 없고, 아래 그 흠결을 귀납하도록 한다.
기존의 키 스위치의 버튼 부재는 카이드 필라 형식으로서, 한편으로는 제품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두번째 방면으로는 버튼 부재는 상부 커버의 최저부 중심에 장착되어, 손가락이 단지 상부 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 작용할 경우, 버튼 부재는 안정적으로 내리 눌러질 수 없기에, 정적 접촉편과 동적 접촉편의 도통을 실현할 수 없고, 세번째 방면으로는 접촉 도통하는 순간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발생되는 소리는 일부 장소에서 복잡하게 들려 타인의 근무 생활에 간섭될 수 있으며, 정숙해야 되는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부적합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교묘하며, 평온하게 내리 누를 수 있고 작동 시의 소리가 매우 작으며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한 무음 키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무음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인 바, 베이스 바디, 정적 접촉편, 동적 접촉편, 무빙 플레이트, 제1 균형대, 제2 균형대 및 키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정적 접촉편과 동적 접촉편은 서로 분리되어 베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정적 접촉편은 제1 용접 핀 및 정적 터치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동적 접촉편은 제2 용접 핀 및 동적 터치 포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용접 핀과 제1 용접 핀은 모두 베이스 바디 외부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소음기 바디, 테일부에 설치되는 U형 홈, 소음기 바디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훅크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소음기 바디 단은 동적 접촉편 및 정적 접촉편과 서로 당접하고;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의 하단 및 제2 균형대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의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제1 균형대의 단 및 제2 균형대의 상단은 각각 키 캡의 최저부 양단과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X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 동적 접촉편 및 정적 접촉편은 모두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의 교차 중첩 부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균형대와 무빙 플레이트의 U형 홈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소음기 바디는 연질 고무이고, 상기 탄성체는 텐션 스프링이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모두 U형을 이루고, 상기 제1 균형대는 제1 크로스 바 및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1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1 피봇 연결축과 키 캡은 피봇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1 크로스 바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 연결되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2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2 피봇 연결축과 베이스 바디는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2 균형대는 제2 크로스 바 및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크로스 바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3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으며, 제3 피봇 연결축과 키 캡은 피봇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2 크로스 바의 양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4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4 피봇 연결축과 베이스 바디는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내측에 대응되고,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의 중부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중부에 대응되게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가 제2 크로스 바에 마주하는 일측에 제2 훅크 슬롯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로스 바가 제1 크로스 바에 마주하는 일측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훅크 슬롯과 돌기는 마주하여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의 양단은 무빙 플레이트의 제1 훅크 슬롯과 제1 균형대의 제2 훅크 슬롯에 각각 걸려, 무빙 플레이트를 함께 동작시켜 이동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말단 표면에 제1 상감 설치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전단 내측에 제2 상감 설치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첩된 상태하에서,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전반 부분은 상기 제1 상감 설치홈에 상감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후반 부분은 상기 제2 상감 설치홈에 상감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중부 외측에 제5 피봇 연결축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대응되게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피봇 연결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 피봇 연결축은 상기 피봇 연결홀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1 피봇 연결홈 및 제2 피봇 연결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피봇 연결축과 제4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1 피봇 연결홈과 제2 피봇 연결홈에 클립 삽입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키 캡에 버클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바디가 상기 버클홀에 대응되는 곳에 버클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클홀과 버클은 매칭되어 키 캡이 탈착 가능하게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한 부가적인 개선점으로서,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베이스 바디의 주변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첫째로, 무빙 플레이트 헤드부에 소음기 바디(消音體)가 장착되어 있고, 무빙 플레이트가 상, 하로 이동할 경우, 소음기 바디를 통해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에 충돌하여, 완충 작용을 일으키며, 스위치를 누를 경우 발생되는 소리를 경감시키고, 구조가 간단하고 교묘하다. 두번째 방면으로, 손가락이 키 캡의 임의의 위치에 작용할 지라도,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모두 연동을 실현하여 무빙 플레이트와 함께 동작시켜 이동할 수 있기에, 안정적인 프레싱을 실현하여, 정적 접촉편과 동적 접촉편의 도통 연결이 더욱 민감하도록 하며, 접촉하는 순간에 소리가 발생하지 않기에, 키 스위치의 작동 시의 소리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세번째 방면으로,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는 것을 이용하고,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X형 구조를 이루는 것에 결부하여, 탄성체로써 무빙 플레이트를 함께 동작시켜 이동하도록 하며, 기존의 가이드 필라를 사용하는 형식을 대체하였고,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하게 하여, 제품의 소형화를 유리하게 실현한다. 네번째 방면으로, 소음기 바디는 연질 고무이고, 충격에 대해 훌륭한 완화 작용을 일으키며, 소음 효과가 좋고, 키 스위치의 작동 시의 소리를 더욱 경감시켜, 타인의 근무 생활을 간섭하지 않기에, 정숙해야 하는 장소에서 본 고안을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적인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동적 접촉편과 정적 접촉편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무빙 플레이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베이스 바디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키 캡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연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연결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연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차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차단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차단 상태의 단면도이다.
아래 도면과 결부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본 고안의 분해도 및 부분적인 조립도이다. 무음 키 스위치(100)는 베이스 바디(110), 정적 접촉편(120), 동적 접촉편(130), 무빙 플레이트(140), 제1 균형대(150), 제2 균형대(160) 및 키 캡(170)을 포함하고; 정적 접촉편(120)과 동적 접촉편(130)은 서로 분리되어 베이스 바디(110)에 설치되며,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베이스 바디(110)의 주변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동적 접촉편(130)과 정적 접촉편(120)의 구조도이다. 정적 접촉편(120)은 제1 용접 핀(121) 및 정적 터치 포인트(122)를 구비하고, 동적 접촉편(130)은 제2 용접 핀(131) 및 동적 터치 포인트(132)를 구비하며, 제2 용접 핀(131)과 제1 용접 핀(121)은 모두 베이스 바디(110) 외부에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빙 플레이트(140)의 구조도이다. 무빙 플레이트(140)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소음기 바디(141), 테일부에 설치되는 U형 홈(142), 소음기 바디(141)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훅크 슬롯(143)을 포함하며, 무빙 플레이트(140)의 소음기 바디(141) 단은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과 서로 당접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균형대(150) 및 제2 균형대(160)의 구조도이다.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150)의 및 제2 균형대(160)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110)의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제1 균형대(150)의 상단 및 제2 균형대(160)의 상단은 각각 키 캡(170)의 최저부 양단과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X형 구조를 이루고, 무빙 플레이트(140),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은 모두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의 교차 중첩 부위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균형대(150)와 무빙 플레이트(140)의 U형 홈(142) 사이에 탄성체(180)가 연결되어 있으며; 소음기 바디(141)는 연질 고무이고, 탄성체(180)는 텐션 스프링이다.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모두 U형을 이루고, 제1 균형대(150)는 제1 크로스 바(151) 및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152)를 포함하며, 제1 크로스 바(151)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1 피봇 연결축(153)이 연장되어 있고, 제1 피봇 연결축(153)과 키 캡(170)은 피봇 연결되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152)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1 크로스 바(151)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 연결되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152)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2 피봇 연결축(154)이 연장되어 있고, 제2 피봇 연결축(154)과 베이스 바디(110)는 피봇 연결되며; 제2 균형대(160)는 제2 크로스 바(161) 및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162)를 포함하고, 제2 크로스 바(161)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3 피봇 연결축(163)이 연장되어 있으며, 제3 피봇 연결축(163)과 키 캡(170)은 피봇 연결되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162)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2 크로스 바(161)의 양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162)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4 피봇 연결축(164)이 연장되어 있고, 제4 피봇 연결축(164)과 베이스 바디(110)는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162)의 중부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152)의 내측에 대응되고,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162)의 중부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152)의 중부에 대응되게 피봇 연결되며; 제1 크로스 바(151)가 제2 크로스 바(161)에 마주하는 일측에 제2 훅크 슬롯(155)이 설치되어 있고, 제2 크로스 바(161)가 제1 크로스 바(151)에 마주하는 일측에 돌기(1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훅크 슬롯(155)과 돌기(165)는 마주하여 설치되고, 탄성체(180)의 양단은 무빙 플레이트(140)의 제1 훅크 슬롯(143)과 제1 균형대(150)의 제2 훅크 슬롯(155)에 각각 걸려, 무빙 플레이트(140)를 함께 동작시켜 이동한다.
제2 연결 로드(162)의 말단 표면에 제1 상감 설치홈(166)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연결 로드(162)의 전단 내측에 제2 상감 설치홈(167)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첩된 상태하에서, 제1 연결 로드(152)의 전반 부분은 제1 상감 설치홈(166)에 상감되고, 제1 연결 로드(152)의 후반 부분은 제2 상감 설치홈(167)에 상감된다.
제1 연결 로드(152)의 중부 외측에 제5 피봇 연결축(156)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대응되게 제2 연결 로드(162)에 피봇 연결홀(168)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5 피봇 연결축(156)은 피봇 연결홀(168)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이스 바디(110)의 구조도이다. 베이스 바디(110)에 제1 피봇 연결홈(111)과 제2 피봇 연결홈(112)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피봇 연결축(154)과 제4 피봇 연결축(164)은 각각 대응되게 제1 피봇 연결홈(111)과 제2 피봇 연결홈(112)에 클립 삽입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 캡(170)의 구조도이다. 키 캡(170)에 버클홀(171)이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바디(110)가 상기 버클홀(171)에 대응되는 곳에 버클(113)이 설치되어 있으며, 버클홀(171)과 버클(113)은 매칭되어 키 캡(170)이 탈착 가능하게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첫째로, 무빙 플레이트(140)헤드부에 소음기 바디(141)가 장착되어 있고, 무빙 플레이트(140)가 상, 하로 이동할 경우, 소음기 바디(141)를 통해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에 충돌하여, 완충 작용을 일으키며, 스위치를 누를 경우 발생되는 소리를 경감시키고, 구조가 간단하고 교묘하다. 두번째 방면으로, 손가락이 키 캡(170)의 임의의 위치에 작용할 지라도,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모두 연동을 실현하여 무빙 플레이트(140)와 함께 동작시켜 이동할 수 있기에, 안정적인 프레싱을 실현하여, 정적 접촉편(120)과 동적 접촉편(130)의 도통 연결이 더욱 민감하도록 하며, 접촉하는 순간에 소리가 발생하지 않기에, 키 스위치(100)의 작동 시의 소리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세번째 방면으로,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는 것을 이용하고,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X형 구조를 이루는 것에 결부하여, 탄성체(180)로써 무빙 플레이트(140)를 함께 동작시켜 이동하도록 하며, 기존의 가이드 필라를 사용하는 형식을 대체하였고, 제품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하게 하여, 제품의 소형화를 유리하게 실현한다. 네번째 방면으로, 소음기 바디(141)는 연질 고무이고, 충격에 대해 훌륭한 완화 작용을 일으키며, 소음 효과가 좋고, 키 스위치(100)의 작동 시의 소리를 더욱 경감시켜, 타인의 근무 생활을 간섭하지 않기에, 정숙해야 하는 장소에서 본 고안을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정적 접촉편(120)과 동적 접촉편(130)을 각각 상부로부터 하부로 베이스 바디(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하고, 이어서, 무빙 플레이트(140)를 동적 접촉편(130)과 정적 접촉편(120)이 결합한 후의 좌측에 설치하며, 무빙 플레이트(140)의 소음기 바디(141)는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과 접촉한다. 다음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서로 교차되고 피봇 연결되며, 제2 피봇 연결축(154)과 제4 피봇 연결축(164)이 각각 대응되게 제1 피봇 연결홈(111)과 제2 피봇 연결홈(112)에 클립 삽입하고, 무빙 플레이트(140), 동적 접촉편(130) 및 정적 접촉편(120)이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가 피봇 연결되어 형성된 공극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 훅크 슬롯(155)과 돌기(165) 사이에 위치하고, 탄성체(180)의 양단은 각각 무빙 플레이트(140)의 제1 훅크 슬롯(143) 및 제1 균형대(150)의 제2 훅크 슬롯(155)에 결려, 최종적으로, 키 캡(170)을 조립하여, 버클(113)이 버클홀(171)에 클리핑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작업 원리는 하기와 같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본 고안 연결 상태의 사시도, 구조도 및 단면도이다.
키 캡(170)을 누를 경우,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힘을 받아 하측으로 이동하여 함께 중첩되며, 동시에, 탄성체(180)는 잡아 당겨지고, 무빙 플레이트(14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동적 터치 포인트(132)가 가볍게 정적 터치 포인트(122)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키 스위치(100)와 연결되는 바, 이 과정에서, 무빙 플레이트(140)의 연질 고무 소음기 바디(141)는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의 하부 암에 충돌하여, 충격력을 완화시켜, 충격으로 인해 산생되는 소리를 경감시켜, 소음의 목적에 달성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본 고안 차단 상태의 사시도, 구조도 및 단면도이다.
키 캡(170)을 놓으면, 탄성체(180)는 다시 회복되고, 탄성체(180)의 작용하에,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는 상측으로 오픈되어, 키 캡(170)은 상측으로 복귀하며, 동시에, 무빙 플레이트(140)도 좌측으로 복귀하여, 동적 터치 포인트(132)가 정적 터치 포인트(122)를 이탈하도록 하고, 키 스위치(100)는 차단되며, 이 과정에서, 무빙 플레이트(140)의 연질 고무 소음기 바디(141)는 제1 균형대(150)와 제2 균형대(160)의 상부 암에 충돌하여, 충격력을 완화시켜, 충격으로 인해 산생되는 소리를 경감시켜, 소음의 목적에 달성한다.
상기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몇가지 실시방식을 표현하였고, 그 서술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 인해 본 고안의 특허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반드시 지적하는 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약간의 변형과 개선을 더 진행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특허의 보호범위는 반드시 첨부된 청구항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7)

  1. 무음 키 스위치에 있어서,
    이는 베이스 바디, 정적 접촉편, 동적 접촉편, 무빙 플레이트, 제1 균형대, 제2 균형대 및 키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정적 접촉편과 동적 접촉편은 서로 분리되어 베이스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정적 접촉편은 제1 용접 핀 및 정적 터치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동적 접촉편은 제2 용접 핀 및 동적 터치 포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용접 핀과 제1 용접 핀은 모두 베이스 바디 외부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는 헤드부에 설치되는 소음기 바디, 테일부에 설치되는 U형 홈, 소음기 바디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훅크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소음기 바디 단은 동적 접촉편 및 정적 접촉편과 서로 당접하고;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서로 교차되고 함께 중첩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의 하단 및 제2 균형대의 하단은 각각 베이스 바디의 양단과 피봇 연결되고, 제1 균형대의 단 및 제2 균형대의 상단은 각각 키 캡의 최저부 양단과 피봇 연결되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X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무빙 플레이트, 동적 접촉편 및 정적 접촉편은 모두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의 교차 중첩 부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균형대와 무빙 플레이트의 U형 홈 사이에 탄성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소음기 바디는 연질 고무이고, 상기 탄성체는 텐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모두 U형을 이루고, 상기 제1 균형대는 제1 크로스 바 및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1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1 피봇 연결축과 키 캡은 피봇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1 크로스 바의 양단과 일체로 성형 연결되며,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2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2 피봇 연결축과 베이스 바디는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2 균형대는 제2 크로스 바 및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크로스 바의 양단은 모두 외부로 제3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으며, 제3 피봇 연결축과 키 캡은 피봇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되고 각각 제2 크로스 바의 양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의 말단 내측은 모두 제4 피봇 연결축이 연장되어 있고, 제4 피봇 연결축과 베이스 바디는 피봇 연결되며, 또한,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내측에 대응되고, 두 개의 제2 연결 로드의 중부는 각각 두 개의 제1 연결 로드의 중부에 대응되게 피봇 연결되며; 상기 제1 크로스 바가 제2 크로스 바에 마주하는 일측에 제2 훅크 슬롯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크로스 바가 제1 크로스 바에 마주하는 일측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훅크 슬롯과 돌기는 마주하여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의 양단은 무빙 플레이트의 제1 훅크 슬롯과 제1 균형대의 제2 훅크 슬롯에 각각 걸려, 무빙 플레이트를 함께 동작시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말단 표면에 제1 상감 설치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전단 내측에 제2 상감 설치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중첩된 상태하에서,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전반 부분은 상기 제1 상감 설치홈에 상감되고,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후반 부분은 상기 제2 상감 설치홈에 상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로드의 중부 외측에 제5 피봇 연결축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대응되게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피봇 연결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 피봇 연결축은 상기 피봇 연결홀에 삽입되어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제1 피봇 연결홈 및 제2 피봇 연결홈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피봇 연결축과 제4 피봇 연결축은 각각 대응되게 제1 피봇 연결홈과 제2 피봇 연결홈에 클립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에 버클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바디가 상기 버클홀에 대응되는 곳에 버클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클홀과 버클은 매칭되어 키 캡이 탈착 가능하게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대와 제2 균형대는 베이스 바디의 주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키 스위치.
KR2020187000039U 2015-10-23 2016-10-09 무음 키 스위치 KR2018000181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824347.8 2015-10-23
CN201520824347 2015-10-23
PCT/CN2016/101534 WO2017067386A1 (zh) 2015-10-23 2016-10-09 无声按键开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1U true KR20180001811U (ko) 2018-06-18

Family

ID=5673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7000039U KR20180001811U (ko) 2015-10-23 2016-10-09 무음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0803B2 (ko)
JP (1) JP2018533179A (ko)
KR (1) KR20180001811U (ko)
CN (1) CN205508686U (ko)
DE (1) DE212016000198U1 (ko)
WO (1) WO2017067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508686U (zh) * 2015-10-23 2016-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无声按键开关
CN108281318A (zh) * 2017-01-06 2018-07-1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键盘
CN108198722B (zh) * 2018-01-17 2024-02-02 东莞市长资实业有限公司 一种产生静音按压段落感的键盘输入开关结构
DE102018102609A1 (de) * 2018-02-06 2019-08-08 Cherry Gmbh Tastenmodul für eine Tastatur und Tastatur
CN108428574B (zh) * 2018-05-17 2019-11-26 精元电脑股份有限公司 双跷板型支撑机构及薄型化字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69226Y (zh) * 2002-08-22 2003-08-27 旭丽股份有限公司 笔记本电脑键盘的按键机械结构
JP2006190552A (ja) * 2005-01-05 2006-07-20 Alps Electric Co Ltd キースイッチ
JP2011060601A (ja) * 2009-09-10 2011-03-24 Fujitsu Component Ltd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CN104299828B (zh) * 2014-07-08 2017-10-03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可平稳下压的超薄键盘开关
CN104299829B (zh) * 2014-09-28 2016-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无声键盘开关
CN104409259B (zh) * 2014-11-05 2017-06-20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键盘装置及其按键
US9362062B1 (en) * 2014-11-27 2016-06-07 Dongguan Kaihua Electronics Co., Ltd. Ultra-thin keyboard switch
CN105023789B (zh) * 2015-07-28 2019-03-05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键盘开关
CN205050718U (zh) * 2015-08-27 2016-02-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带x架结构的键盘开关
CN205508686U (zh) * 2015-10-23 2016-08-24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无声按键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3179A (ja) 2018-11-08
US20180240618A1 (en) 2018-08-23
US10410803B2 (en) 2019-09-10
DE212016000198U1 (de) 2018-06-11
WO2017067386A1 (zh) 2017-04-27
CN205508686U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811U (ko) 무음 키 스위치
KR101870587B1 (ko) 초박형 키보드 스위치
TWI607476B (zh) 按鍵結構
KR200491649Y1 (ko) 박형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CN108091514B (zh) 可调整按压手感的按键开关
WO2016138803A1 (zh) 薄型手提电脑机械键盘
US20100307902A1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TW201508792A (zh) 按鍵結構
WO2017121298A1 (zh) 键盘开关
TW201423811A (zh) 按鍵
JP2018521482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TWM419145U (en) Mute structure of multiple length keystroke
TW201740413A (zh) 按鍵結構
TWI669730B (zh) 鍵盤
WO2017032219A1 (zh) 带x架结构的键盘开关
CN104299829A (zh) 无声键盘开关
JP3213988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TWI550668B (zh) 按鍵及其鍵盤
CN103489687A (zh) 一种按键结构及应用其的机械键盘和组装方法
JP3212436U (ja) キースイッチ、キー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ーキーボード
JP2014199771A (ja) キー構造体及び電子機器
CN209929167U (zh) 一种开关
JP2013075716A (ja) スライド式開閉装置及びこのスライド式開閉装置を用いた小型携帯機器
CN210516544U (zh) 一种单刀双掷型按键开关
CN108878201B (zh) 按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