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97U -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97U
KR20180001797U KR2020160007149U KR20160007149U KR20180001797U KR 20180001797 U KR20180001797 U KR 20180001797U KR 2020160007149 U KR2020160007149 U KR 2020160007149U KR 20160007149 U KR20160007149 U KR 20160007149U KR 20180001797 U KR20180001797 U KR 20180001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ylinder
filling
air
ink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2020160007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97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으로서, 잉크 충진통과 연속 공급통의 기능이 1개의 구성에 포함되어, 잉크를 충진한 후에,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에 공급하도록 형성된 구성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일측부에는 공기공급통과, 타측부에는 잉크충진통으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시키고, 이를 수평으로 위치하여, 잉크충진통에 잉크를 충진시킨 후에, 수직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잉크수두의 위치를 수직설치 기준으로 최저면에 형성시켜서,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에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잉크젯 프린터용 외부 잉크공급통의 내부를 상단부에는 공기공급통과 하단부에는 잉크충진통을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격벽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공기공급통의 일측면 끝단부에 공기유입부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의 끝단부에는 중간공기통로를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통의 일측면 끝단부에 잉크충진부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의 내부에는 잉크통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간격벽의 끝단면에는 공기공급통으로부터 잉크충진통으로의 공기통로를 위하여, 최종공기통로를 형성시키고;상기 잉크충진부의 형성을 위하여, 잉크충진통의 수평면적은 공기공급통보다 넓게 형성시키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막고, 잉크충진부는 열어서, 잉크를 상기 잉크충진통으로 충진시키도록 ;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Ink supply tank for ink jet printer}
본 고안은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으로서, 잉크 충진통과 연속 공급통의 기능이 1개의 구성에 포함되어, 잉크를 충진한 후에,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에 공급하도록 형성된 구성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일측부에는 공기공급통과, 타측부에는 잉크충진통으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시키고, 이를 수평으로 위치하여, 잉크충진통에 잉크를 충진시킨 후에, 수직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잉크수두의 위치를 수직설치 기준으로 최저면에 형성시켜서,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에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내입되어 있던 잉크를 분사시켜서 용지에 문자 등을 인쇄하는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 카트리지의 경우 프린터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저장되는 잉크의 양도 소량일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프린터의 카트리지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정품 카트리지는 고가이므로 정품이 아닌 저가의 리필용 카트리지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잉크보충장치를 구비하여 프린터 내부의 카트리지와 연결하여 카트리지로 잉크를 보충 및 공급되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잉크젯프린터의 카트리지로 잉크를 공급하는 장치로는 카트리지와 잉크 관으로 연결된 리필용 잉크 팩과 단순 외부잉크통, 압력벨브를 단 잉크통들이 개발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잉크 팩은 잉크 팩 내부의 잉크를 카트리지로 공급할 시 잉크 팩 내부에 진공압이 차서 잉크가 원활하게 공급이 되지 못하고 압력벨브는 벨브 불량으로 인한 높은 압력과 낮은 압력으로 잉크 공급이 많거나 적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카트리지와 잉크공급관으로 연결된 보충탱크의 내부에 보충탱크 상부의 공기유입구 하부에 공기유입관이나 격벽에 의해서 탱크와 이격된 격실을 형성하되, 보충탱크 바닥면과의 사이에 이격되는 유동공극부를 형성하며, 상기 잉크공급관에 잉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게 유동차단삽지구를 구비한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보충탱크 내부에 진공압이 차지 않도록 하여 카트리지로 잉크의 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졌으나, 사용 시 부주의로 보충탱크가 넘어지게 되면 공기유입관이나 격벽에 의해서 탱크와 이격되게 형성된 격실에 잉크가 내입되어 있어서 공기유입공을 통해서 내부의 잉크가 유출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잉크를 소진시키게 되며, 공기 유입통내에 잉크가 증가하여 잉크압이 높게 형성되며 격실의 내측 공기부에 유입되어 있던 잉크로 인하여 보충탱크로 서서히 유입되지 못하고, 일정한 압력이상이 되었을 시 격실의 잉크가 유동공극부를 통해 유입되어 있던 격실 하부의 잉크를 밀면서 보다 높은 압력으로 급격하게 유입됨으로써, 이 때 보충탱크에서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가 과도하게 공급되어 카트리지에서의 프린팅 불량 또는 용지로의 과도한 잉크 공급으로 건조시간이 오래 걸려서 프린팅되는 양이 많을 시 전체 프린팅 시간이 더 소비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프린터내부는 헤드카트리지 진공펌프가 내장되어 있어서, 이러한 진공펌프로서 외부의 잉크공급통으로부터 일정한 잉크를 공급하고 있는데, 종래의 잉크공급통은 프린터내의 공급부보다 잉크공급통의 수두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프린터내의 공급부에 항상 과도한 수두압력을 가하여, 진공펌프에 무리한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펌프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펌프의 공급압력외에 불필요하게 잉크공급통의 외부 잉크수두압력이 부가되어, 잉크젯에 의한 종이의 인쇄시에도, 불필요하게 부가적인 압력이 발생되어, 잉크 인쇄시에도 일정한 압력이상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쇄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288639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294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397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잉크 충진통과 연속 공급통의 기능이 1개의 구성에 포함시키도록 하며, 안정적인 잉크충진을 위한 충진통과, 충진후에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시키는 연속공급통을 1개의 케이스에 형성시키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 잉크공급통으로부터 프린터내의 카트리지로 외부잉크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잉크공급통에 저장된 잉크수두가 프린터의 헤드카트리지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잉크수두압력이 헤드잉크카트리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잉크젯 프린터용 외부 잉크공급통의 내부를 상단부에는 공기공급통과 하단부에는 잉크충진통을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격벽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공기공급통의 일측면 끝단부에 공기유입부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의 끝단부에는 중간공기통로를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통의 일측면 끝단부에 잉크충진부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의 내부에는 잉크통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간격벽의 끝단면에는 공기공급통으로부터 잉크충진통으로의 공기통로를 위하여, 최종공기통로를 형성시키고;상기 잉크충진부의 형성을 위하여, 잉크충진통의 수평면적은 공기공급통보다 넓게 형성시키며; 상기 공기유입부는 막고, 잉크충진부는 열어서, 잉크를 상기 잉크충진통으로 충진시키도록 ;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잉크 충진통과 연속 공급통의 기능이 1개의 구성에 포함시키도록 하여, 잉크충진을 위한 충진통을 형성하고,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안정적으로 잉크를 충진시키며, 잉크가 충진된 후에는 수직으로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잉크수두를 최소로 낮추도록 형성시켜서,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로의 잉크수두압력을 제거하여, 프린터내의 진공펌프만으로 잉크를 공급함으로 인하여, 잉크공급이 점진적으로 원활하게 보충 및 공급되어 잉크의 과잉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프린터 내의 카트리지에서 용지로 잉크의 분사량이 적정하게 이루어져 프린팅 불량과 건조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잉크통이 프린터 주변에 있어 이동시 넘어지면서 잉크가 공기유입부로 새어나와 주변이 오염되거나, 수직으로 세웠을 때 공기유입부에 잉크가 높게 차있어서 높아진 압으로 출력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충진후에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시키는 연속공급통을 1개의 케이스에 형성시키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일부 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잉크 충진과정의 수평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잉크 공급과정의 수직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수개로 이루어진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잉크공급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잉크젯 프린터(200)용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내부를 상단부에는 공기공급통(10)과 하단부에는 잉크충진통(20)을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격벽(40)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공기공급통(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공기유입부(14)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11)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11)의 끝단부에는 중간공기통로(12)를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통(20)의 일측면 끝단부에 잉크충진부(24)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21)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21)의 내부에는 잉크통로(22)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간격벽(40)의 끝단면에는 공기공급통(10)으로부터 잉크충진통(20)으로의 공기통로를 위하여, 최종공기통로(13)를 형성시키고,
상기 잉크충진부(24)의 형성을 위하여, 잉크충진통(20)의 수평면적은 공기공급통(10)보다 넓게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부(24)를 열어서, 잉크를 상기 잉크충진통(20)으로 충진시키도록 ;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충진통(20)으로 잉크가 충진되면, 상기 잉크충진부(24)는 막고, 상기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위치를 최종공기통로(13)가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고, 공기유입부(14)는 열린 상태로 형성시키면,
잉크는 상기 잉크충진통(20)에만 저장되고, 공기공급통(10)으로는 역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서, 잉크수두의 기준면이 중간공기통로(13)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잉크수두를 최소로 낮추도록 형성시켜서, 잉크젯 프린터(200)의 카트리지로의 잉크수두압력을 제거하여, 잉크젯 프린터(200)내의 진공펌프만으로 잉크를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크기는 공기가 통할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크기는 1.2 mm 내지 1.7mm 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잉크 공급통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일부 확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200)용 외부 잉크공급통(10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외부링크공급통(100)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단부에는 공기공급통(10)과 하단부에는 잉크충진통(20)을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격벽(40)으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통(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공기유입부(14)를 형성시키고, 대기의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11)을 형성시키되, 도 2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11)의 끝단부에는 중간공기통로(12)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충진통(20)의 일측면 끝단부에 잉크충진부(24)를 형성시켜서, 필요한 잉크를 공급하여, 충진시키는 것이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21)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21)의 내부에는 잉크통로(22)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간격벽(40)의 끝단면에는 공기공급통(10)으로부터 잉크충진통(20)으로의 공기통로를 위하여, 최종공기통로(13)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공기통로(13)는 중간공기통로(12)를 통한 외부공기가 공기공급통 (10)으로부터 잉크충진통(20)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이는 잉크를 잉크 충진통 (20)으로부터 잉크젯 프린터(200)로 공급시키면, 공급되는 잉크량 만큼 공기량이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를 통하여, 잉크충진통(2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잉크충진부(24)의 형성을 위하여, 잉크충진통(20)의 수평면적은 공기공급통(10)보다 넓게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부(24)를 열어서, 잉크를 상기 잉크충진통(20)으로 충진시키도록 ;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잉크 공급과정의 수직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위치로 설치된 잉크충진통(20)으로 잉크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잉크충진부(24)는 당연히 열려 있으며, 공기 유입부(14)도 함께 열려 있는 것이다.
설정된 잉크 충진량에 도달되면, 상기 잉크충진부(24)는 막고, 상기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위치를 최종공기통로(13)가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고, 공기유입부(14)는 열린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수평으로 위치한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위치를 수직으로 변경시키더라도, 잉크는 상기 잉크충진통(20)에만 저장되고, 공기공급통(10)으로는 역류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잉크수두의 기준면이 최종공기통로(13)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므로, 잉크 충진통(20)에 충진된 잉크의 수두위치는 자연스럽게 수직 바닥면에 위치한 최종공기통로(13)로 변경되므로, 잉크수두는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수직 최저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잉크수두를 최소로 낮추도록 형성시켜서, 잉크젯 프린터(200)의 카트리지로의 잉크수두압력을 제거하여, 잉크젯 프린터(200)내의 진공펌프만으로 잉크를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200)의 내의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 잉크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잉크량 만큼 공기량이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를 통하여, 잉크 충진통(20)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잉크통이 프린터 주변에 있어 이동시 넘어지는 경우에라도,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크기는 최소한의 공기가 통하는 정도의 크기로도 충분하므로, 공기에 비하여 밀도가 대략 1000배이상이며, 점성도 상대적으로 매우 큰 잉크인 경우에는, 중간공기통로 및 최종공기통로로 새는 경우가 힘들기 때문에, 잉크가 공기유입부(14)로 새어나와 주변이 오염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세웠을 때 공기유입부에 잉크가 높게 차있어서 높아진 압력으로 출력불량이 생기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바람직한 크기는 1.2 mm 내지 1.7mm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무마개(11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유입부(14) 및 잉크충진부(24)를 열거나,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수개로 이루어진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의 잉크공급과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200)로 공급시키는 것이다.
도 5는 잉크공급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하여, 외부 잉크공급통을 수평위치로 표현되고 있으나, 잉크 공급시에는 외부 잉크공급통가 수직위치로 형성되며, 호스지지대(120)가 바닥으로 위치되며, 중간공기통로(13)도 자연스럽게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호스지지대(12)의 내측으로 다양한 다수개의 색상의 공급호스가 삽입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공기공급통 11: 수직 격벽
12: 중간공기통로 13: 최종공기통로
14: 공기유입부
20: 잉크충진통 24: 잉크충진부
40: 중간격벽
100: 외부 잉크공급통
110: 고무 마개 120: 호스 지지대
200: 잉크젯 프린터

Claims (4)

  1. 잉크젯 프린터(200)용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내부를 상단부에는 공기공급통(10)과 하단부에는 잉크충진통(20)을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격벽(40)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공기공급통(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공기유입부(14)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11)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11)의 끝단부에는 중간공기통로(12)를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통(20)의 일측면 끝단부에 잉크충진부(24)를 형성시키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직 격벽(21)을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수직 격벽(21)의 내부에는 잉크통로(22)를 형성시키고,
    상기 중간격벽(40)의 끝단면에는 공기공급통(10)으로부터 잉크충진통(20)으로의 공기통로를 위하여, 최종공기통로(13)를 형성시키고,
    상기 잉크충진부(24)의 형성을 위하여, 잉크충진통(20)의 수평면적은 공기공급통(10)보다 넓게 형성시키며,
    상기, 잉크충진부(24)를 열어서, 잉크를 상기 잉크충진통(20)으로 충진시키도록 ;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충진통(20)으로 잉크가 충진되면, 상기 잉크충진부(24)는 막고, 상기 외부 잉크공급통(100)의 위치를 최종공기통로(13)가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고, 공기유입부(14)는 열린 상태로 형성시키면,
    잉크는 상기 잉크충진통(20)에만 저장되고, 공기공급통(10)으로는 역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서, 잉크수두의 기준면이 최종공기통로(13)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잉크수두를 최소로 낮추도록 형성시켜서, 잉크젯 프린터(200)의 카트리지로의 잉크수두압력을 제거하여, 잉크젯 프린터(200)내의 진공펌프만으로 잉크를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크기는 공기가 통할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공기통로(12) 및 최종공기통로(13)의 크기는 1.2 mm 내지 1.7mm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KR2020160007149U 2016-12-08 2016-12-08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KR201800017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49U KR20180001797U (ko) 2016-12-08 2016-12-08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149U KR20180001797U (ko) 2016-12-08 2016-12-08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97U true KR20180001797U (ko) 2018-06-18

Family

ID=6274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49U KR20180001797U (ko) 2016-12-08 2016-12-08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9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971A (ko) 2002-07-05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및 잉크 충진방법
KR20090029416A (ko) 2007-09-18 2009-03-23 (주)인하테크론 잉크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971A (ko) 2002-07-05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및 잉크 충진방법
KR20090029416A (ko) 2007-09-18 2009-03-23 (주)인하테크론 잉크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1307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644279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101307546B1 (ko) 잉크젯프린터용 잉크공급탱크
JP569130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2020495A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0516185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544991B2 (en) Consumable supply item, fluid reservoir and recirculation system for micro-fluid applications
JP5862812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US10220625B2 (en) Liquid container
JP2009066781A (ja) プリントヘッド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1442631B1 (ko) 프린터의 무한 잉크공급기
KR20180001797U (ko)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충진 및 연속 공급통
KR20050051614A (ko) 리필카트리지용 보충탱크
JP2022140584A (ja) タンク
JP2020032707A (ja) システム
US8376530B2 (en) Ink filling device for office machine
KR200475484Y1 (ko) 잉크공급이 제어되는 잉크통
JP631177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KR101881314B1 (ko) 잉크수두를 낮추며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외부 연속공급통
KR101948577B1 (ko) 잉크젯 프린터용 연속 외부잉크공급통의 잉크수두를 낮추며 잉크를 연속 공급하는 방법
JP6048518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7487517B2 (ja) 液体補給システム
JP7218528B2 (ja) 液体消費装置
KR100784849B1 (ko) 대용량 잉크 공급장치
JP2019038153A (ja) 液体消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