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98U - 분유통 - Google Patents

분유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98U
KR20180001598U KR2020160006770U KR20160006770U KR20180001598U KR 20180001598 U KR20180001598 U KR 20180001598U KR 2020160006770 U KR2020160006770 U KR 2020160006770U KR 20160006770 U KR20160006770 U KR 20160006770U KR 20180001598 U KR20180001598 U KR 20180001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lid
container body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483Y1 (ko
Inventor
이용상
유관호
Original Assignee
롯데푸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푸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푸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8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푼을 캔 용기 내부에 넣지 않고 별도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관만으로 봉인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분유통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유가 넣어져서 보관되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어서 용기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 및 용기본체에 넣어진 분유를 떠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용기본체 상단부에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는 링 부재; 링 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링 부재 상측에서 링 부재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링 부재 상측 부분과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부면을 덮도록 링 부재와 결합되거나,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분리되는 덮개; 스푼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덮개에 구비된 탈부착부; 및 링 부재에 형성된 요입부에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고, 요입부에 결합된 상태일 때 덮개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제1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연결부가 절단되면서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요입부로부터 분리되는 봉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유통{Powdered milk container}
본 고안은 분유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푼을 캔 용기 내부에 넣지 않고 별도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위생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외관만으로 봉인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분유통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분유는 우유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분말로 만든 건조 유제품으로,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유아들에게 먹이도록 되어 있다.
분유는 공장에서 제조 후 분유통에 담아서 유통되는데, 통상 분유통은 금속 재질의 캔 용기와, 캔 용기 상단의 개구부를 덮어 캔 용기 내부를 밀폐하도록 캔 용기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장 출고 시에는 분유통에 분유가 채워진 뒤 캔 용기 상단의 개구부가 별도의 캔 호일(foil)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출고되고, 사용자가 캔 용기에 결합된 용기뚜껑을 연 뒤 캔 호일을 제거하여 개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분유통의 예에서 사용 중 보관할 때에는 처음 구입 시 캔 호일은 이미 제거한 상태이므로 용기뚜껑만 닫아 캔 용기 내부를 밀폐한 뒤 보관하게 된다.
또한, 분유통에서 분유를 정량씩 취출할 수 있도록 스푼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푼은 통상적으로 분유통 내부에 넣어져 분말과 함께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유통 내부에 들어 있는 스푼을 꺼낸 뒤 분유를 정량만큼 덜어서 젖병에 투입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푼은 통상 분유통 내에 보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시마다 스푼 손잡이에 묻어 있는 분유를 털어내고 사용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사용한 스푼을 다시 분유통 속에 넣어서 보관해야 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관 시마다 분유 속에 파묻히게 되는 스푼을 사용자가 직접 분유통 내부로 손을 넣어서 찾아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관된 분유가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번 분유를 떠내기 위해서 분유통 내부로 손을 삽입할 때마다 손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접촉되어 분유가 오염될 수 있고, 분유를 젖병에 투입한 뒤 사용자가 스푼을 바닥에 그대로 내려놓아 스푼 자체가 오염될 수 있다.
이 경우 오염된 스푼을 분유가 들어있는 분유통에 다시 넣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상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사용 중 스푼을 쉽게 분실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용기뚜껑 역시 캔 용기에서 완전히 떨어져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분실의 위험이 있고, 용기뚜껑을 캔 용기에서 분리하여 연 후 그냥 주변의 바닥에 내려놓을 경우 용기뚜껑 역시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분유통은 용기뚜껑을 닫아 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뚜껑을 열기 전에는 캔 호일의 개봉상태, 즉 최초 구입 후 분유통의 개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스푼을 분유가 채워진 캔 용기 내부에 넣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분유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폐가 용이하고 용기뚜껑의 사용이 편리한 분유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보관 중 용기뚜껑을 일일이 열어보지 않아도 외관만으로 개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분유통(최초 개봉 후 사용 중인 분유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유가 넣어져서 보관되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어서 용기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 및 용기본체에 넣어진 분유를 떠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용기본체 상단부에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는 링 부재; 링 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링 부재 상측에서 링 부재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링 부재 상측 부분과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부면을 덮도록 링 부재와 결합되거나,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분리되는 덮개; 스푼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덮개에 구비된 탈부착부; 및 링 부재에 형성된 요입부에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고, 요입부에 결합된 상태일 때 덮개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제1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연결부가 절단되면서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요입부로부터 분리되는 봉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봉인부재는, 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제1 요입홈; 및 상단에 형성된 제2 요입홈을 가지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제2 요입홈에 넣어진 상태에서 제2 요입홈 상측을 지나 봉인부재 및 링 부재의 요입부에 비해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부재의 요입부는 링 부재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 부재의 요입부 내측단에 봉인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에서 링 부재의 요입부 및 봉인부재 대응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인부재는 덮개의 홈부 저면보다 높게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부는, 덮개 내측면에 스푼의 손잡이 부분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상기 측면부 외측면에는 덮개 닫힘 상태에서 링 부재 상단에 안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의 측면부 외측면과 링 부재 내측면에는 록킹홈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덮개를 록 시키는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닫힘 시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이 링 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에 압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측면부는 하부가 원주방향 전 둘레에 걸쳐 상부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링 부재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하부 외경이 측면부의 상부 외경에 비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계부는 두께가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는 테이퍼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부재의 내측면에 원주방향 전 둘레를 따라서 연속된 형상으로 상방 돌출된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과 링 부재의 내측면 사이가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넣어져 삽입되는 끼움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벽에는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끼움홈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일 때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분유통에 의하면, 용기뚜껑에 스푼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탈부착부가 구비됨으로써 스푼을 분유가 채워진 캔 용기 내부에 넣지 않고 보관할 수 있고, 스푼의 사용상 불편함이나 분실, 위생상의 문제가 모두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뚜껑의 덮개가 힌지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간단한 방식으로 제거하여 덮개의 봉인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봉인부재가 적용됨으로써, 용기뚜껑의 사용상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구입 후 최초 개봉 시에 봉인 해제의 용이함이 있고, 구입 후 개봉 전의 새 제품과 봉인을 해제한 사용 중의 분유통을 용기뚜껑(덮개)을 열지 않고 외관상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구입 후 최초 개봉 전의 봉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봉인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봉인부재에 의해 봉인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에서 체결돌기가 형성된 부분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구입 후 개봉 전 봉인 상태의 새 제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구입 후 사용자가 봉인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용기뚜껑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봉인부재에 의해 봉인이 이루어진 상태, 즉 공장 출고 시의 상태 및 구입 후 최초 개봉 전의 봉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100)은 분유가 넣어져서 보관되는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덮어서 용기본체(11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110)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 소정 용적의 캔 용기가 될 수 있고, 원통의 용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면에는 내부에 넣어진 분유를 떠서 꺼낼 수 있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100) 내부에 분유가 채워진 뒤 공장에서 출고될 때에는 분유가 채워진 상태로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1)가 별도의 호일(112)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출고된다.
상기 호일(112)은 가장자리 부분이 개구부(111) 주변의 용기본체(110) 상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11)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고, 밀봉 시 상기 호일(112)의 가장자리 부분이 개구부(111) 주변의 용기본체(110) 상부면에 접착 내지 열융착(열압착) 등의 접합 방법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110)가 금속 재질의 캔 용기이고 호일(112)이 금속 재질의 캔 호일(112)인 경우, 개구부(111) 주변의 캔 용기 상부면에 캔 호일(112)의 가장자리 부분을 열융착의 방법으로 접합 및 고정하여 개구부(111)를 완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의 내부에는 공장 출고 전 제품의 포장 단계에서 분유와 함께 스푼(140)이 넣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품 구입 후 캔 호일(112)의 손잡이 부분(113)을 손으로 잡고 당겨서 개구부(111)로부터 캔 호일(112)을 완전히 떼어 분리함으로써 개구부(111)를 개봉하고, 이후 용기본체(110) 내부에 넣어진 스푼(140)을 꺼내게 된다.
한편, 용기뚜껑(120)은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용기뚜껑(120)은, 용기본체(110) 상단부 외측에 끼워져 용기본체(110) 상단부에 그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길게 일체로 고정되는 링 부재(121)와, 링 부재(121) 후면부에 힌지 결합되고 링 부재(121) 상측에서 링 부재(121) 후면부와의 힌지 결합부(12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링 부재(121) 상측 부분과 개구부(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10) 상부면을 덮도록 링 부재(121)와 결합되거나(덮개 닫힘), 링 부재(121)로부터 상방으로 회동되어 분리되면서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1)를 개방하도록 된 힌지 개폐 방식의 덮개(123)를 포함한다.
상기 링 부재(121)는 용기본체(110) 상단부가 내측으로 끼워져 압입되는 방식으로 용기본체(110) 상단부에 고정 및 결합되어 용기본체(110)와 일체화되는 고정 부재이다.
또한, 상기 링 부재(121)에서 덮개(123)와의 힌지 결합부(122)가 위치한 후면부의 반대쪽 부분, 즉 링 부재(121)의 전면부에는 요입부(125)가 형성되고, 요입부(125)에는 외력에 의해 떨어져 분리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봉인부재(126)가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요입부(125)는 링 부재(121)의 전면부에서 상측 부분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 즉 전면부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르는 일정 길이 구간만큼 요입된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21)에서 요입부(125) 내측으로 봉인부재(126)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봉인부재(126)의 가장자리 부분과 요입부(125)의 내측단 사이가 복수 개의 연결부(12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127)는 봉인부재(126) 및 요입부(125)를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연결부(127)는 봉인부재(126)에 요입부(125)의 외측 방향, 특히 링 부재(121)의 바깥쪽으로 작용하는 외력, 예를 들면 사용자가 봉인부재(126)를 손가락으로 요입부(125)에서 바깥쪽으로 밀거나 당길 경우(예를 들면, 후술하는 누름단(129)을 밀거나 당기게 됨)의 손가락 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강도 및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봉인부재(126)에는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르는 소정 길이의 제1 요입홈(128a)이 형성되고, 상단에도 길이방향을 따르는 소정 길이의 제2 요입홈(128b)이 형성된다.
상기 봉인부재(126)에서 제2 요입홈(128b)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좌, 우측 부분에는 누름단(129)이 형성되며, 좌, 우 양측의 각 누름단(129)은 후술하는 덮개(123)의 홈부(131) 저면보다 높은 그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가 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덮개(123)는 상기 링 부재(121)의 상측 부분을 덮을 수 있는 판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가장자리 부분의 원주방향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132)를 가진다.
상기 덮개(123)의 측면부(132)는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덮개(123)가 링 부재(121)의 상측 부분 및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1)를 닫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덮개(123)의 측면부(132)에는 그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133)가 형성되는데,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123)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측면부(132)의 돌기(133)는 링 부재(121) 상단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덮개(123)의 측면부(132) 외측면에는 록킹홈(134)이 형성되고, 링 부재(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덮개(123)의 록킹홈(134)에 삽입되어 록킹홈(134)에서의 걸림 작용을 통해 덮개(123)가 열리지 않도록 덮개(123)를 록 시켜주는 록킹돌기(135)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홈(134)과 록킹돌기(135)는 덮개(123)의 측면부(132)와 링 부재(121)에서 각각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123)의 측면부(132)에서 전면부 외측면, 보다 상세히는 상기 측면부(132)의 전면부 외측면에서 상기 링 부재(121)의 전면부에 형성된 요입부(125), 및 이 요입부(125)에 결합되어 있는 봉인부재(126)의 대응 위치에는 홈부(131)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측면부(132) 외측면에서 상기 홈부(131) 하측 위치에는 링 부재(121)의 요입부(125)에 결합되어 있는 봉인부재(126)의 제1 요입홈(128a)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돌기(1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123)의 측면부(132)에 형성된 홈부(131)의 내측면에는 봉인부재(126)의 제2 요입홈(128b)을 그 상측에서 지나 봉인부재(126) 및 링 부재(121)의 요입부(125)에 비해 그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는 형상의 손잡이(137)가 형성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에서 체결돌기(121c)가 형성된 부분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덮개(123)가 링 부재(121)에 결합되어 닫히게 될 때,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덮개(123)가 용기본체(110)를 밀폐하도록 닫히게 되는데, 이때 덮개(123)의 측면부(132) 외주면이 링 부재(12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압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덮개(123)의 측면부(132) 외주면이 링 부재(12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와의 사이에 어떠한 간극도 발생시키지 않고 링 부재(121)의 내측에 꽉 끼어져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측면부(132)의 하부(132c)는 그 전 둘레를 따라서 링 부재(121)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상부(132a)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고, 상기 측면부(132)의 상부(132a)와 하부(132c) 사이의 경계부(132b)는 두께가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는 테이퍼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면부(132)의 하부(132c) 두께를 얇게 함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32)의 하부(132c) 외경을 측면부(132)의 상부(132a)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두께를 얇게 한다.
이러한 형상에서는 측면부(132)의 외주면이 링 부재(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꽉 낀 상태로 상기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에 삽입되더라도, 측면부(132)의 하부(132c) 외경이 상부(132a)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측면부(132)의 하부(132c)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측면부(132)를 쉽게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덮개(123)를 닫아줄 수 있는 것이며, 동시에 측면부(132)의 상부(132a) 외주면이 링 부재(12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꽉 끼워질 수 있는바, 닫힘 상태로 있는 덮개(123)의 측면부(132)와 링 부재(121) 간의 체결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123)가 닫히게 될 때, 내측으로 끼워지는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를 밀면서 체결될 수 있는바,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형태, 특히 측면부(132)의 상부(132a) 외주면과 링 부재(121)의 내주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면서 양측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덮개(123)의 닫힘 상태에서 양측 간에는 상시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덮개(123)의 밀폐력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덮개(123)에 의한 용기본체(110)의 완전한 밀봉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용기본체(110) 내부로의 습기 침투 및 분유의 흡습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32)의 하부(132c)는 링 부재(121)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1b)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링 부재(121)의 내측면에 원주방향 전 둘레를 따라 연속된 형상으로 상방 돌출된 내벽(121a)을 형성하고, 이 내벽(121a)과 링 부재(121)의 내측면 사이가 상기 측면부(132)의 하부(132c)가 넣어져 삽입되는 끼움홈(121b)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벽(121a)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체결돌기(121c)를 상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며, 이에 측면부(132)의 하부(132c)가 상기 끼움홈(121b)에 끼워진 상태일 때, 상기 측면부(132)의 상부(132a) 외주면이 링 부재(121)의 내측면에 의해, 하부(132b) 내주면이 상기 체결돌기(121c)에 의해 각각 안팎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면과 체결돌기(121c)에 의해 안팎에서 밀착 및 견고히 지지되면서, 덮개(123)의 측면부(132)와 링 부재(121) 사이가 더욱 견고히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에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 중 헐거워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측면부(132)가 체결돌기(121c)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덮개(123)가 반복하여 개폐되더라도 링 부재(121)와의 견고한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측면부(132)와 링 부재(121) 사이의 어떠한 틈 발생 없이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용기본체(110)의 확실한 밀봉 상태 유지 및 흡습 방지가 가능해진다.
본 고안에서 효과적인 흡습 방지를 위해 덮개(123) 및 측면부(132)를 포함하여 용기뚜껑(120) 전체를 장시간 반복 사용하더라도 견고하게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123)의 내측면에는 스푼(140)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된 탈부착부(138)가 설치되는데, 상기 탈부착부(138)는 스푼(140)의 손잡이 부분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돌기(138a)를 형성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유통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각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장 출고 시에는 용기본체(110) 내측으로 분유가 채워진 상태에서 호일(112)에 의해 용기본체(110)의 개구부(111)가 밀봉되고, 용기뚜껑(120)의 덮개(123)가 링 부재(121) 상측 부분과 개구부(111)가 형성된 용기본체(110) 상부면을 덮도록 링 부재(121)에 결합되어 닫혀 있게 된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부재(121)의 요입부(125)에 결합되어 있는 봉인부재(126)가 뜯기기 전 상태이고, 닫혀 있는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123)의 걸림돌기(136)가 봉인부재(126)와 링 부재(121)의 요입부(125) 사이의 공간인 제1 요입홈(128a)에 삽입되어 걸려 있게 된다.
이에 봉인부재(126)가 뜯겨져 제거되기 전까지는 덮개(123)의 걸림돌기(136)가 제1 요입홈(128a)에 삽입된 상태로 봉인부재(126)에 걸려 있게 되어 덮개(123)가 열리지 않는 닫힘 상태, 보다 명확히는 덮개(123)가 봉인부재(126)에 의해 링 부재(121)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봉인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봉인부재(126)의 누름단(129)을 바깥쪽으로 누르거나 당기면서 봉인부재(126)와 링 부재(121) 사이의 연결부(127)가 절단되도록 손가락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136)가 걸려 있던 봉인부재(126)를 링 부재(121)의 요입부(125)로부터 뜯어내게 되면, 걸림돌기(136)가 더 이상 봉인부재(126)에 의해 걸리지 않게 되어 봉인 해제 상태가 되고, 이후에는 덮개(123)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이후 손잡이(137)를 통해 덮개(123)를 열고 난 뒤 호일(112)을 개구부(111)로부터 떼어 제거하고, 개구부(111)를 통해 용기본체(110)에 넣어져 있는 스푼(140)을 꺼낸 다음, 스푼(140)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0) 내 분유를 개구부(111)를 통해 취출한다.
또한, 개봉 후 보관 시에는 스푼(140)을 탈부착부(138)의 돌기(138a) 사이에 끼운 뒤 덮개(123)를 닫아 보관하는데, 덮개(123)의 측면부(132)가 링 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닫아준다.
덮개(123)가 닫히게 되면, 덮개(123)의 측면부(132)에 형성된 록킹홈(134)에 링 부재(121)의 내측면에 형성된 록킹돌기(135)가 삽입되므로 덮개(123)가 링 부재(121)에서 록 상태가 되어 쉽게 열리지 않게 고정된다.
물론, 덮개(123)를 다시 열 때에는 손가락으로 간단히 손잡이(137)를 밀거나 당겨주어 록킹돌기(135)가 록킹홈(134)에서 빠져나오도록 하면 덮개(123)를 열 수 있다.
상기 덮개(123)는 링 부재(121)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링 부재(121)와의 힌지 결합부(122)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어 개폐되는 힌지 개폐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며, 덮개(123)가 용기본체(110)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힌지 결합부(12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은 물론 덮개(123)를 잃어버리는 일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푼(140)을 덮개(123)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스푼(140)을 분유가 채워진 용기본체(110) 내에 넣어 보관할 경우의 여러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분유통 110 : 용기본체
111 : 개구부 112 : 호일
113 : 손잡이 부분 120 : 용기뚜껑
121 : 링 부재 122 : 힌지 결합부
123 : 덮개 125 : 요입부
126 : 봉인부재 127 : 연결부
128a : 제1 요입홈 128b : 제2 요입홈
129 : 누름단 131 : 홈부
132 : 측면부 133 : 돌기
134 : 록킹홈 135 : 록킹돌기
136 : 걸림돌기 137 : 손잡이
138 : 탈부착부 138a : 돌기
140 : 스푼

Claims (12)

  1. 분유가 넣어져서 보관되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어서 용기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본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 및
    용기본체에 넣어진 분유를 떠낼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뚜껑은,
    용기본체 상단부에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는 링 부재;
    링 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링 부재 상측에서 링 부재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링 부재 상측 부분과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부면을 덮도록 링 부재와 결합되거나,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분리되는 덮개;
    스푼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덮개에 구비된 탈부착부; 및
    링 부재에 형성된 요입부에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고, 요입부에 결합된 상태일 때 덮개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되는 제1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연결부가 절단되면서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요입부로부터 분리되는 봉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인부재는,
    링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제1 요입홈; 및
    상단에 형성된 제2 요입홈을 가지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제2 요입홈에 넣어진 상태에서 제2 요입홈 상측을 지나 봉인부재 및 링 부재의 요입부에 비해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요입부는 링 부재의 상단에서 아래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 부재의 요입부 내측단에 봉인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서 링 부재의 요입부 및 봉인부재 대응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봉인부재는 덮개의 홈부 저면보다 높게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덮개 내측면에 스푼의 손잡이 부분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상기 측면부 외측면에는 덮개 닫힘 상태에서 링 부재 상단에 안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의 측면부 외측면과 링 부재 내측면에는 록킹홈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덮개를 록 시키는 록킹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으로 삽입되어 닫힘 상태가 되고,
    닫힘 시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이 링 부재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측면부가 링 부재 내측에 압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측면부는 하부가 원주방향 전 둘레에 걸쳐 상부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링 부재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의 하부 외경이 측면부의 상부 외경에 비해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경계부는 두께가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지는 테이퍼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내측면에 원주방향 전 둘레를 따라서 연속된 형상으로 상방 돌출된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과 링 부재의 내측면 사이가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넣어져 삽입되는 끼움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는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끼움홈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일 때 측면부의 하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통.
KR2020160006770U 2016-11-21 2016-11-21 분유통 KR200487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0U KR200487483Y1 (ko) 2016-11-21 2016-11-21 분유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70U KR200487483Y1 (ko) 2016-11-21 2016-11-21 분유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98U true KR20180001598U (ko) 2018-05-30
KR200487483Y1 KR200487483Y1 (ko) 2018-09-27

Family

ID=6229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70U KR200487483Y1 (ko) 2016-11-21 2016-11-21 분유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5398A (zh) * 2018-10-26 2019-03-12 深圳市麦士德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容器盖及粉状冲剂容器
KR200493173Y1 (ko) * 2020-09-21 2021-02-10 최종하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353B1 (ko) * 2018-11-12 2019-06-14 김숙자 분유캡
KR200492678Y1 (ko) * 2019-09-04 2020-11-24 주식회사청우식품 플라스틱 밀폐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32Y1 (ko) * 2001-10-11 2002-01-26 도남호 분유통뚜껑의 스푼착탈구조
KR200479362Y1 (ko) * 2015-12-10 2016-02-02 (주)중앙플라텍 스푼이 장착된 분유통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32Y1 (ko) * 2001-10-11 2002-01-26 도남호 분유통뚜껑의 스푼착탈구조
KR200479362Y1 (ko) * 2015-12-10 2016-02-02 (주)중앙플라텍 스푼이 장착된 분유통 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5398A (zh) * 2018-10-26 2019-03-12 深圳市麦士德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容器盖及粉状冲剂容器
KR200493173Y1 (ko) * 2020-09-21 2021-02-10 최종하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83Y1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483Y1 (ko) 분유통
JP3738096B2 (ja) 容器のヒンジ付きふた装置
ES2396033T3 (es) Envase alimentario con tapa y sistema de cierre para un envase
KR101791410B1 (ko) 스푼이 설치된 안전 밀폐형 분유통 뚜껑
JP2838518B2 (ja) 外し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EP0072294B1 (fr) Couvercle inviolable à emboîtement pour récipient de section polygonale
US20100200608A1 (en) Container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JP5125338B2 (ja) 容器
CZ20001863A3 (cs) Obal
JP3763927B2 (ja) 使い捨て箱形容器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JP5841829B2 (ja) 蓋付きのコーヒーカップ
JPH0723768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コンテナ
WO2011124946A1 (fr) Conteneur compartimente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102127914B1 (ko) 착탈식 토출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용 팩
KR101945163B1 (ko)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JP7490192B2 (ja) 液体充填容器用口栓および同口栓を備えた液体充填容器
KR101989353B1 (ko) 분유캡
JPH0140830Y2 (ko)
BE1007962A6 (fr)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recipients, notamment pour boites poudreuses.
JPH0542069Y2 (ko)
KR200483378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JP2535950Y2 (ja) ヒンジキャップ付き注出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