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33A -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33A
KR20180001233A KR1020160080109A KR20160080109A KR20180001233A KR 20180001233 A KR20180001233 A KR 20180001233A KR 1020160080109 A KR1020160080109 A KR 1020160080109A KR 20160080109 A KR20160080109 A KR 20160080109A KR 20180001233 A KR20180001233 A KR 20180001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ysiologically active
mixture
fungu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검
강성두
Original Assignee
허검
강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검, 강성두 filed Critical 허검
Priority to KR102016008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233A/ko
Publication of KR2018000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칭량하여 준비하고, 그 칭량된 상기 각각의 약용부위를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85℃의 온도조건하에 4~24시간 동안 함수율 1%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그 건조물을 마쇄한 다음 그 마쇄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10~20배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가하여 100℃의 열수에서 8~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저장조에 넣고 상기 추출액 총량 대비 10~20배의 중량비로 투입 후, 80℃의 온도조건하에 4~5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한 후,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natural extract including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from natural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으로부터 채취한 약용부위를 열수 및 에탄올 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시대로 들어가면서 노인 복지 관련 산업이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Johnson & Johnson 레미게이트의 바이오시밀러 램시마(Remsima)파동이 보여 주듯이 특정 효능(Age-related Bone Loss)과 연관된 바이오 유래 물질 등이 관심이 되고 있다.
뼈는 미네랄의 저장고이면서 몸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뼈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로는 조골세포(Osteoblast), 파골세포(Osteoclast), 골표면세포(Lining Cell) 및 골세포(Osteocyte)등이 있다. 뼈의 항상성은 뼈를 구성하는 단백질을 생성하고 미네랄 축적을 유도하는 조골세포와 뼈의 표면에 단백질 분해 효소 분비 및 산성화에 의한 뼈 구성성분을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작용을 매개로 형성(Formation)과 흡수(Resorption)를 끊임없이 반복하며 골 재형성(Bone remodeling)과정을 진행해 나간다(Parfin AM 1994). 그러나 조골세포의 활성도가 약화되어 골 형성이 감소하거나 파골세포의 활성도 강화로 골 흡수가 증가되는 경우 또는 두 가지 요소가 동시에 작용되는 경우에 골 대사질환이 발생하게 된다(Park JS 2000).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대표적 골대사 질환으로 에스트로겐요법을 장기간 적용 시 불규칙한 자궁출혈 자궁내막염 및 유방암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하여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Rogers J 1967, Genent et al 1989, Murphy & Ghahary 1990). 조율되지 않은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부작용 외에도 일반 소염진통제를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소화기계의 소화불량, 위식도 역류, 위염 등이 유발되거나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부종 등 부작용의 우려가 있는 이부루펜 인도메타신 아스피린과 같은 종래의 소염진통제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반면 장기 복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천연물유래 활성성분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nderson et al 1999, Anderson & Garner 1998, Adlercreutz & Mazur 1997)
본 발명에서는 관절염이나 염증성 통증으로부터 유발된 지속적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을 줄이거나 또는 조골세포증식에 도움을 주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로부터 추출된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칭량하여 준비하고, 그 칭량된 상기 각각의 약용부위를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85℃의 온도조건하에 4~24시간 동안 함수율 1%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그 건조물을 마쇄한 다음 그 마쇄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10~20배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가하여 100℃의 열수에서 8~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저장조에 넣고 상기 추출액 총량 대비 10~20배의 중량비로 유기용매를 투입 후, 80℃의 온도조건하에 4~5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한 후,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각각의 건조물은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액의 농축 후, 그 농축물을 건조기에서 함수율 1%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미분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로부터 추출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혼합비는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열수추출한 후, 그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물은 감압하에 저온 농축하여 된 점질의 농축물 또는 상기 농축물을 건조한 후, 입도 100~200 메쉬로 미분쇄한 미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기타 첨가제와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환제, 캡슐, 타블렛 또는 과립형태로 가공하여 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되는 각각의 기원식물의 약용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관절염, 신경병증성 통증 또는 조골세포의 증식에 도움을 주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관절염(Arthritis),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등으로 인한 염증이나 지속적인 만성 통증의 완화에 도움을 주거나, 또는 조골세포의 증식에 도움을 줄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성물을 비타민, 무기물 등 기타 식용첨가제와 혼합하여 가공된 환제, 캡슐, 타블렛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된 약리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으로부터 채취한 약용부위를 열수 및 에탄올 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근 문제가 되었던 백수오(白首烏) 사건의 경우처럼 성분상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있는 현호색과 연호색, 천우슬과 우슬같은 기원식물이 전혀 다른 원재료가 왜곡 오용되고 있는 현실을 바로 잡아 새로운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으로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고 소비자를 보호하려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칭량하여 준비하고, 그 칭량된 상기 각각의 약용부위를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85℃의 온도조건하에 4~24시간 동안 함수율 1%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그 건조물을 마쇄한 다음 그 마쇄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10~20배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가하여 100℃의 열수에서 8~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저장조에 넣고 상기 추출액 총량 대비 10~20배의 중량비로 유기용매를 투입 후, 80℃의 온도조건하에 4~5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한 후,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함수율이 1%를 초과할 경우에는 마쇄시 최종마쇄물이 덩어리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이후에 추출과정에서 각각의 기원식물의 약용부위에 함유된 천연의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수추출시 그 추출시간이 8시간 미만일 경우에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추출효율의 증대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어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55% 에탄올(Ethanol)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각각의 기원식물의 약용부위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효율적인 추출을 꾀하기 위하여, 상기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각각의 건조물은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혼합비의 임계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각각의 구성물질들이 가지고 있는 약리학적 효능을 얻기 어렵거나, 또는 제조원가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천연물은 1:1:1:0.6: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각의 천연물들을 원재 상태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도 있으나, 보다 높은 생리활성 성분의 함유를 위하여 각각의 천연물을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을 농축하여 얻어지는 각각의 농축물을 준비하고, 그 농축물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과액의 농축 후, 그 농축물을 건조기에서 함수율 1%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미분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로부터 추출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혼합비는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천연물은 1:1:1:0.6: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열수추출한 후, 그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로 되는 조성물은 감압하에 저온농축하여 된 점질의 농축물 또는 상기 농축물을 건조한 후, 입도 100~200 메쉬로 미분쇄한 미분인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이 포함된 복합 천연물 조성물을 식품의 가공에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와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환제, 캡슐, 타블렛 또는 과립형태로 가공하여 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는 통상의 식품의 가공에 사용되는 영양제, 비타민제, 녹말, 꿀 등 이들을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각의 기원식물에 대한 학술적 자료를 살펴보면,
1. 紅花子(Carthami Semen) : 국화과(Compositae)의 잇꽃(Cartha mus tinctorius Linne)의 씨로 이집트가 원산지이며 중국 하남성과 인도등지에서 재배한다. 주성분은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70~80%에 이르며(Kim et al 1998 et al 2000), Phytoestrogen 성분으로 Polyphenol화합물인 Lignan류 Flavonoid류와 Serotonin 유도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Jang JH 2006). Linoleic acid 에 의한 골밀도와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 되었으며(Kelly O 2003), 난소적출을 통해 골다공증을 유발한 흰쥐에서 홍화자 추출물이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재생을 촉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Park et al 2001).
뼈의 소실이나 재흡수를 억제한다.
2. 刺五加皮(Acanthopanacis Cortex) : 오가피과(Araliaceae)의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의 생약명인 자오가의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 주요성분으로는 Lignan 배당체(Syringin eleutheroside E Isofraxidin)가 있다.
eleutherosideB(Syringin) : 혈관확장 피로회복 항스트레스, Acetylcholine releasing Insulin secretion increasing
eleutheroside E(Acanthoside D) : antistress anti-fatigue, 기억력 집중력 성기능저하방지 항암 항알레르기 항균
eleutheroside B1(Isofraxidin) :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ctivity forgetfulness Insomnia 혈관확장 혈압
3. 延胡索塊莖 (Corydalis Tuber) : 양귀비과(Papaveraceae)의 연호색(Corydalis yanhusuo)의 덩이줄기를 말린 것, 초여름 줄기와 잎이 말랐을 때 채굴하여 잔뿌리를 제거하고 백심이 적당히 없어질 때 까지 삶고 꺼내어 양건한다(=元胡)
연호색에 함유된 Dehydrocorybulbine(DHCB) 등의 성분을 이용 관절염이나 요통으로 인한 만성적인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다.
4. 牛膝根 (Achyranthis Radix) :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인 우슬(Achyranthes bidentata)의 뿌리, 주요 성분으로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고 활혈행하(活血行下)의 작용이 있어 여자의 생리를 정상으로 유도하고 대하 산후복통을 치료하며 緩和止痛의 작용을 해 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타박으로 인한 염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한국시장에서는 우슬을 川牛膝로 오칭되는 경우가 있다. 川牛膝은 Cyathula officinalis를 기원식물로 하는 별개의 생약으로 주성분도 틀리고 중국약전에 따로 수재되어있다.
5. 杜沖樹皮(Eucommiae Cortex) : 두충나무과(Eucommiaceae)의 두충(Eucommia ulmoides)의 수피. 주요 신농본초경에 상품으로 기재되어 있고 간과 신을 보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며 요통을 멈추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Chung & Park 1975 , Ko & Sung), 골다공증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두충 조성물이 골다공증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Lee & Byun 2001) 강장 진통 혈압강하.
6. 辣木葉(Moringa folium)(필립핀에서는 Malunggay): 辣木科(Moringaceae)의 辣木(Moringa oleifera)의 잎.
인도 서북부 히말리아 남쪽 산기슭이 원산지 이며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 아라비아반도 동남아시아(인도 필립핀 인도네시아) 남미등 열대 아열대지역에서 재배된다. 辣木잎을 건조 분쇄후 염증 및 관절염 통증완화 항산화작용 습진과 여드름제거 작은 상처나 부위에 항균 지혈작용이 있다.
VA6780mcg(당근의3.5배), VC220mg(오랜지7배), Calcium440mg(우유4배), Potassium 259mg(바나나3배), Protein 6.7g(우유2배), per Moringa Leaves 100g from Nutritive Value of Indian Foods.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천연물들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약리학적 효능인 통증완화, 항산화작용, 항균 지혈작용 등이 매우 우수한 성질의 가지고 있어, 관절염이나 염증성 통증으로부터 유발된 지속적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을 줄이거나 또는 조골세포증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칭량하여 준비하고, 그 칭량된 상기 각각의 약용부위를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85℃의 온도조건하에 4~24시간 동안 함수율 1%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그 건조물을 마쇄한 다음 그 마쇄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중량기준으로 10~20배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가하여 100℃의 열수에서 8~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저장조에 넣고 상기 추출액 총량 대비 10~20배의 중량비로 투입 후, 80℃의 온도조건하에 4~5시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한 후,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각각의 건조물은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액의 농축 후, 그 농축물을 건조기에서 함수율 1%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미분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기원식물인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로부터 추출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혼합비는 각각 1:1:1:0.6:1 내지 3:3:3:2: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홍화(紅花), 자오가(刺五加), 연호삭(延胡索), 우슬(牛膝), 두충(杜沖) 및 랄목(辣木)의 약용부위를 열수추출한 후, 그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2차 추출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압하에 저온농축하여 된 점질의 농축물 또는 상기 농축물을 건조한 후, 입도 100~200 메쉬로 미분쇄한 미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8. 청구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조성물을 기타 첨가제와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환제, 캡슐, 타블렛 또는 과립형태로 가공하여 되는 기능성 식품.
KR1020160080109A 2016-06-27 2016-06-27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09A KR20180001233A (ko) 2016-06-27 2016-06-27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09A KR20180001233A (ko) 2016-06-27 2016-06-27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33A true KR20180001233A (ko) 2018-01-04

Family

ID=6099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09A KR20180001233A (ko) 2016-06-27 2016-06-27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3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243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녹용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50117882A (ko) * 2014-04-11 2015-10-21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243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녹용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50117882A (ko) * 2014-04-11 2015-10-21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3123B (zh) 一种从玛咖中提取有效成分的方法
CN101066076B (zh) 七叶胆保健食用油
JPH04316448A (ja) 人参微粉末の製造方法
CN106518316A (zh) 一种葡萄种植前使用的肥料
CN105296275A (zh) 一种火麻保健白酒及其酿造方法
KR100734942B1 (ko)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유효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080019675A (ko)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 방법
CN105558191A (zh) 一种罗汉果青钱柳提取物复合茶及其制备方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20110062214A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CN107744569A (zh) 一种具有养发、生发功效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Kapile et al. Ficus religiosa: A beneficial medicinal plant
CN105166195A (zh) 一种火麻凉茶
KR20180001233A (ko)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473001A (zh) 一种降血脂玉米粉及其制备方法
Garmashov et al. Technological parameters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deriv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aw materials
CN107903999A (zh) 山茶油及其制备方法
Bhopi et al. A Review on Zizyphus jujuba: A Tiny Plum having Eminent Potential of Copious Health Benefits
CN102754828A (zh) 一种保健口服液
CN103211149B (zh) 一种紫苏复合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196426B1 (ko) 동백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01690533A (zh) 一种红枣茶饮料的制作方法
CN110801469A (zh) 一种调节血糖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