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24A -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124A
KR20180001124A KR1020160079859A KR20160079859A KR20180001124A KR 20180001124 A KR20180001124 A KR 20180001124A KR 1020160079859 A KR1020160079859 A KR 1020160079859A KR 20160079859 A KR20160079859 A KR 20160079859A KR 20180001124 A KR20180001124 A KR 2018000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tone
grass
construction
galvaniz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애경
Original Assignee
이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애경 filed Critical 이애경
Priority to KR102016007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124A/ko
Publication of KR2018000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격자 구조를 갖는 아연도금철망(11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천공(121)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4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자연석(12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랫면에 배치하되, 잔디부분이 윗쪽 방향을 향하고 뿌리부분이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호그링(15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롤잔디(130);를 포함하는 일체 구성의 스톤네트를 제공하며, 이러한 스톤네트를 이용하여 법면 보호용으로 시공함으로써 시공 즉시 녹화를 완성되게 하는 스톤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잔디를 접목한 구성을 통해 시공 즉시 녹화를 완성할 수 있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보다 간단하게 시공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오랜시간 녹화 진행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며, 폭우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등 법면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STONE NET AND CONSTRU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하천제방공사 등에 많이 활용되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호안이나 하천 제방공사시 시공 즉시 녹화를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폭우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등 법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4대강 사업 등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하천 정비작업이 실시되고 있고, 하천의 지속적인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가뭄 방지 및 수해 관리차원에서 지속적으로 하천정비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대도시 근처에 하천을 생태공원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를 통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산책이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있으며, 많은 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하천 공사나 정비시 빠지지않는 작업이 호안 정비 및 하천 법면 유실방지공사인데, 스톤네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스톤네트가 하천법면 사면에 설치하는 경우 폭우시에도 제방이 유실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 스톤네트는 시공 후 녹화가 완성되기까지 그 기간이 최소 2년이상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부연하여, 종래 스톤네트는 식생 기능을 위해 개량한 식생 스톤네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 스톤네트는 철망 위에 씨앗을 부착시킨 식생매트를 깔고 그 위에 300~500mm의 자연석을 고착시켜 완성한 제품으로서, 하천 법면 등에 설치한 후에 마무리 작업으로 복토를 실시하게 되는데, 복토에 의해 형성되는 토사층에서 300~500mm 밑에 배치된 철망에 붙어있는 식생매트에서 식물의 씨앗이 발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식생매트에 부착된 씨앗이 발아가 안되므로 복토 후에 토사층에 직접 씨를 뿌리는 작업을 별도로 추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완전한 녹화를 이루기까지 2년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덧붙여, 녹화가 완성되지 않은 하천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태하천을 조성한다고 하여도 상술한 문제점 등으로 이를 기대하는 시민에게 실망감을 안기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폭우시에 토사가 유실되는 등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4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 호안이나 하천 제방공사시 시공 즉시 녹화를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폭우가 많이 내리는 우기에 시공부위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등 법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롤잔디의 접목을 통해 기존에 실시하던 식생을 위한 씨앗 부착이나 복토 작업 등을 없앨 수 있어 간단하게 시공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는, 격자 구조를 갖는 아연도금철망(11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천공(121)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4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자연석(12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랫면에 배치하되, 잔디부분이 윗쪽 방향을 향하고 뿌리부분이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호그링(15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롤잔디(130);를 포함하는 일체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자연석(120)에 형성된 천공(121)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41);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래쪽에서 자연석(120)의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41)에 삽입되어 풀림을 방지 및 아연도금철망(110) 측 지지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방형 와셔(142) 및 원형 와셔(143); 상기 앵커볼트(141)에 체결되어 고정 결합력을 제공하는 너트(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130)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로 구성하며; 상기 한지형 양잔디는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 종류 중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가능한 스톤네트 시공방법은, (A) 자연석을 구비하되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천공을 갖는 자연석을 지면에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자연석 위에 아연도금철망을 얹어서 덮고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자연석과 아연도금철망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아연도금철망 위에 롤잔디를 배치하되 뿌리부분이 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 호그링을 체결하여 롤잔디를 아연도금철망에 결합함으로써 자연석과 아연도금철망 및 롤잔디가 일체로 된 스톤네트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통해 완성된 스톤네트를 뒤집어 시공할 부위의 토양면에 안착 배치함으로써 롤잔디의 뿌리부분이 시공부위의 토양면에 접촉되게 배치하는 단계; (F) U형 볼트를 이용하여 아연도금철망과 아연도금철망의 연결부분을 결속 및 일체화하는 단계; (G) 헤드에 걸림고리를 갖는 고정핀을 아연도금철망의 상측 방향에서 토양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아연도금철망과 롤잔디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를 사용하며; 상기 한지형 양잔디는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 종류 중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즉시 녹화를 완성할 수 있는 스톤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폭우가 많이 내리는 우기 등에 있어 시공부위에 대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등 법면을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많이 실시하던 식생을 위한 씨앗 부착이나 마지막 단계의 복토 작업 등을 없앨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보다 간단하게 시공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오랜시간 녹화 진행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낸 개략적 분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를 나타낸 일체 결합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를 이용한 법면 시공상태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연도금철망(110)을 기준으로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자연석(120) 및 롤잔디(130)가 일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은 격자 구조를 갖는 철망으로서 일반 철망의 사용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스톤네트(100)가 주로 하천이나 하천제방공사 등 법면 보호용으로 사용되고 야외에 설치되는 건설용 자재이므로 부식방지를 통한 철망 보호와 내구성 등의 기능을 발휘토록 한 것이며, 경제성까지 고려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은 철선에 아연도금을 하여 격자 구조의 망을 이루게 한 것으로서, 종선과 횡선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제직한 방식으로 제작된 것이다.
상기 자연석(120)은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아연도금철망(110) 측에 일체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천공(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연석(120)은 체결수단(14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체결하여 일체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자연석(120)에 형성된 천공(121)에 삽입되어 관통 배치되며 헤드가 걸림 배치되는 앵커볼트(141)와,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래쪽에서 자연석(120)의 천공에 관통 삽입 배치되는 앵커볼트(141)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풀림을 방지 및 아연도금철망(110) 측 지지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방형 와셔(142) 및 원형 와셔(143)와, 상기 앵커볼트(141)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고정 결합력을 제공하는 너트(144)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141) 내지 너트(144)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40)을 통해 자연석(120)을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위치시킨 상태로 결합하여 일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잔디(130)는 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인 잔디를 갖는 판형 잔디구조체로서, 시공 즉시 녹화를 이루게 하는 구성요소가 되며,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랫면에 배치하되 잔디부분이 윗쪽 방향을 향하고 뿌리부분이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롤잔디(130)는 "C"형 구조의 호그링(15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하여 일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130)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지형 양잔디에 있어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Fescue) 종류 중 잔디가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로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130)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디부분이 자라나 형성된 상태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을 통해 아연도금철망(110)을 기준으로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자연석(120) 및 롤잔디(130)가 배치되고 이들이 일체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스톤네트(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롤잔디(130)가 갖는 잔디를 이용하여 바로 녹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공 즉시 녹화가 가능한 스톤네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연석(120)을 구비하되 함바드릴 등을 통해 일부분에 천공을 형성한다(S1).
상기 천공을 갖는 자연석(120)을 지면에 배치한다(S2).
이때, 상기 자연석(120)은 시공 부위에 적합하도록 다수를 원하는 형태로 간격 배열한다.
여기에서, 상기 자연석(120)은 함께 사용할 아연도금철망(110)이 일정 규격의 사각 철구조물로 구비되므로 그 규격에 맞게 지면 배치한다 할 것이다.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자연석(120) 위에 격자 구조를 갖는 아연도금철망(110)을 얹어서 덮고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자연석(120)과 아연도금철망을 결합한다(S3).
이때, 아연도금철망(110)은 격자 구조를 갖는 철망 구조물이되, 가로 2m와 세로 2m의 사각 철구조물로 규격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은 시공 부위에 따라 형성 규격에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앵커볼트, 사각와셔 및 원형와셔, 너트를 사용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상기 자연석(120)이 결합된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롤잔디(130)를 안착 배치하되 뿌리부분이 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C"형 구조의 호그링을 이용하여 체결함에 의해 롤잔디(130)를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 고정한다(S4).
이때, "C"형 구조의 호그링을 롤잔디(130)와 아연도금철망(120)의 양쪽에 걸어 체결하되 벌어진 개방부를 압축하여 폐쇄 처리함으로써 롤잔디(130)를 아연도금철망(110) 측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연석(120)과 아연도금철망(110) 및 롤잔디(130)가 일체로 된 스톤네트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130)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한지형 양잔디에 대해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 종류 중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롤잔디(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디부분이 자라나 형성된 상태의 것을 적용한다.
이어, 상기 S4단계를 통해 완성된 스톤네트를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거꾸로 뒤집어 배치하면 되며, 아연도금철망(110)을 기준으로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자연석(120)과 롤잔디(130)가 배치된 상태로 일체 결합되고, 아연도금철망(110)의 윗쪽으로 잔디가 돌출 배치됨에 의해 녹화가 구현되어 있는 스톤네트(100)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완성된 상기 스톤네트(100)를 하천 법면 등 시공할 부위의 토양면에 안착 배치함으로써 롤잔디(130)의 뿌리부분이 시공부위의 토양면에 접촉되게 배치한다(S5).
시공할 부위의 토양면을 커버하도록 스톤네트(100)를 연속 배치하되, U형 볼트의 결속구 등을 이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스톤네트(100) 간 아연도금철망(110)과 아연도금철망(110)의 연결부분을 결속 처리하여 연결 및 일체화한다(S6).
마지막으로, 헤드에 절곡형 걸림고리를 갖는 고정핀(20)을 스톤네트(100)가 갖는 아연도금철망(110)의 상측 방향에서 토양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아연도금철망(110)과 롤잔디(130)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한다(S7).
이때, 상기 고정핀(20)은 철근 구조물로서, 견고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두께 18mm 및 길이 60cm의 철근 고정핀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계의 유기적 결합구성을 통해 스톤네트(100)를 이용하여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폭우가 많이 내리는 우기 등에 있어 시공부위에 대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는 등 법면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실시하던 식생을 위한 씨앗 부착이나 복토 작업 등을 없앨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존에 비해 간단하게 시공 및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스톤네트 110: 아연도금철망
120: 자연석 121: 천공
130: 롤잔디 140: 체결수단
141: 앵커볼트 142: 사각와셔
143: 원형와셔 143: 너트
150: 호그링

Claims (4)

  1. 격자 구조를 갖는 아연도금철망(11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윗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천공(121)이 형성되고, 체결수단(14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자연석(120);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랫면에 배치하되, 잔디부분이 윗쪽 방향을 향하고 뿌리부분이 아래쪽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호그링(150)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에 결합되는 롤잔디(130); 를 포함하는 일체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140)은,
    상기 자연석(120)에 형성된 천공(121)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41);
    상기 아연도금철망(110)의 아래쪽에서 자연석(120)의 천공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41)에 삽입되어 풀림을 방지 및 아연도금철망(110) 측 지지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방형 와셔(142) 및 원형 와셔(143);
    상기 앵커볼트(141)에 체결되어 고정 결합력을 제공하는 너트(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잔디(130)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로 구성하며;
    상기 한지형 양잔디는,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 종류 중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3. (A) 자연석을 구비하되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천공을 갖는 자연석을 지면에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지면에 배치된 자연석 위에 아연도금철망을 얹어서 덮고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자연석과 아연도금철망을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아연도금철망 위에 롤잔디를 배치하되 뿌리부분이 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 호그링을 체결하여 롤잔디를 아연도금철망에 결합함으로써 자연석과 아연도금철망 및 롤잔디가 일체로 된 스톤네트를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통해 완성된 스톤네트를 뒤집어 시공할 부위의 토양면에 안착 배치함으로써 롤잔디의 뿌리부분이 시공부위의 토양면에 접촉되게 배치하는 단계;
    (F) U형 볼트를 이용하여 아연도금철망과 아연도금철망의 연결부분을 결속 및 일체화하는 단계;
    (G) 헤드에 걸림고리를 갖는 고정핀을 아연도금철망의 상측 방향에서 토양면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아연도금철망과 롤잔디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잔디는,
    사계절 푸르고 녹화기간이 길며 추위에 강한 한지형 양잔디를 사용하며;
    상기 한지형 양잔디는,
    더위에 잘 견디고 키가 커서 녹화율을 높일 수 있도록 훼스큐 종류 중 광엽으로 분류되는 톨훼스큐(Tall Fescue) 또는 터프타입 톨훼스큐(Turf type Tall Fescu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 시공방법.
KR1020160079859A 2016-06-27 2016-06-27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KR20180001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59A KR20180001124A (ko) 2016-06-27 2016-06-27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59A KR20180001124A (ko) 2016-06-27 2016-06-27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24A true KR20180001124A (ko) 2018-01-04

Family

ID=609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59A KR20180001124A (ko) 2016-06-27 2016-06-27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1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570A (zh) * 2021-08-06 2021-10-01 广东中都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环保型河道护坡的锚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622519A (zh) * 2022-03-23 2022-06-14 湖北三峡职业技术学院 一种河道边坡混凝土生态护坡抗滑系统及铺设设备及方法
CN117328905A (zh) * 2023-12-01 2024-01-02 北京科技大学 一种矿用柔性全支护装置与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570A (zh) * 2021-08-06 2021-10-01 广东中都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环保型河道护坡的锚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463570B (zh) * 2021-08-06 2022-05-13 广东中都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生态环保型河道护坡的锚定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622519A (zh) * 2022-03-23 2022-06-14 湖北三峡职业技术学院 一种河道边坡混凝土生态护坡抗滑系统及铺设设备及方法
CN117328905A (zh) * 2023-12-01 2024-01-02 北京科技大学 一种矿用柔性全支护装置与使用方法
CN117328905B (zh) * 2023-12-01 2024-02-13 北京科技大学 一种矿用柔性全支护装置与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898B2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JPH11158840A (ja) 強化複合マツト
KR20180001124A (ko) 시공 즉시 녹화가 완성되는 스톤네트의 시공방법
JP2013044222A (ja) 法枠底面の地盤斜面浸食防止工法。
EP2385183A1 (en) Assembly for the provision of a water retention system
KR101271269B1 (ko) 인조잔디용 배수판
KR101709849B1 (ko) 천연잔디 식재용 조립식 패널
KR100980818B1 (ko) 시공성과 생태공간 확보를 위해 개선된 조립식 지주형 보강토 생태옹벽 및 그 구축공법
KR20120036006A (ko)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07291724A (ja) 法面等の修景方法
RU118644U1 (ru) Дорожное покрытие на газоне,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стоянок автомобилей с весом менее 2000 кг (варианты)
KR100593196B1 (ko) 도로 경사면의 잔디 식생 블록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KR20090078315A (ko) 절취사면 생태복원을 위한 녹화토 붕괴방지용 망체 및 녹화토 옹벽의 시공방법
KR20090112357A (ko) 반쪽통나무와 코이어 넷 매트를 이용한 토사쓸림방지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0935929B1 (ko) 목재패널이 착탈되는 계단식 법면 블록
JPH1129935A (ja) 法面保護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金網
KR20160024568A (ko)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CN2915945Y (zh) 陡坡柔性绿篱埂的施工结构
KR102533827B1 (ko) 하천 호안용 천연잔디 뗏장 식생포대와 식생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망태 호안공법
JPH10280360A (ja) 塊体を連設したマット
KR200418659Y1 (ko) 하천 제방의 식생낭 매트 설치구조
JP2001226973A (ja) 法面保護工法
CN109853471B (zh) 适于河道岸坡生态环境修复方法
JPS6047121A (ja) パレットを使用した芝生の植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1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9

Effective date: 201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