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111U - 마스크 팩용 포장재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용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111U
KR20180001111U KR2020160005897U KR20160005897U KR20180001111U KR 20180001111 U KR20180001111 U KR 20180001111U KR 2020160005897 U KR2020160005897 U KR 2020160005897U KR 20160005897 U KR20160005897 U KR 20160005897U KR 20180001111 U KR20180001111 U KR 20180001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rner
remaining amount
region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28Y1 (ko
Inventor
배은혜
최재호
이정욱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2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수 잔여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본체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마스크 시트를 꺼낼 수 있는 제1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에 위치한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본체 절개부;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화장수의 잔여량을 토출시킬 수 있는 제2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에 형성된 잔여량 토출부;를 구비하여, 수납 공간에 충진된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사용자들이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내장된 마스크 팩용 시트를 꺼낸 후, 잔여량 토출부를 통해 내부에 남아 있는 화장수의 잔여량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용 포장재{Wrapper for a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이로운 조성물들로 이루어진 화장수에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포장하되 본체에 충진된 화장수의 잔여량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팩(mask pack)은 마스크 팩용 시트를 화장수 등에 함침시킨 후 얼굴에 도포함으로써, 화장수의 유효한 성분들이 피부에 직접 스며들도록 하는 화장품의 일종이다. 마스크 팩에 사용되는 화장수는 피부에 유효한 성분들로서 구성되며, 특히 짧은 시간내에 우수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영양 성분, 수분 등이 고밀도로 내포된 화장수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마스크 팩은 마스크 팩용 시트와 화장수가 함께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내장된 후 밀봉되어 판매되거나 유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통되는 마스크 팩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는 화장수가 충진된 마스크 팩용 시트를 꺼내어 얼굴 등에 도포하고, 포장재의 내부에 남아 있는 화장수 잔여량을 팔이나 다리 등의 피부에 바르거나 얼굴에 추가로 도포하기도 한다. 하지만, 포장재의 내부에 남아 있는 화장수의 잔여량은 사용시 쉽게 흘러내려 옷 등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버려지는 경우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내장된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9643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55171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충진된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완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 특징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본체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마스크 시트를 꺼낼 수 있는 제1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에 위치한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본체 절개부;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화장수의 잔여량을 토출시킬 수 있는 제2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에 형성된 잔여량 토출부;를 구비하여, 수납 공간에 충진된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절개부는 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본체를 찢어 분리시켜 제1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찢어 분리시켜 제2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가 모따기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따기된 모퉁이에 형성된 절개부 및 상기 모따기된 모퉁이에 연결된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개부를 이용하여 모따기된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찢어 분리시켜 제2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의 내부에 장착된 소정 길이를 갖는 토출관; 본체의 모퉁이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의 제1 단부가 상기 본체의 모퉁이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 및 상기 토출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와 상기 절개부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토출관의 양측에 위치한 영역의 본체를 봉합시키는 밀봉부;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를 이용하여 본체의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제2 개구부로 동작되는 토출관의 제1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사용자들이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내장된 마스크 팩용 시트를 꺼낸 후, 잔여량 토출부를 통해 내부에 남아 있는 화장수의 잔여량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인 소비자들은 효능이 우수한 화장수들을 얼굴에 추가 도포하거나 팔이나 목 등에 도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며, 화장품 제조 회사들은 소비자들이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하고 싶은 내용물을 만들어야 함에 있어 책임감을 갖게 되며, 아울러 화장수 잔여량을 버리지 않고 모두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 개선 효과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잔여량 토출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남아 있는 화장수 잔여량을 손쉽게 흘러나오게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내부에 수용된 마스크 팩 시트를 꺼낸 후 화장수 잔여량을 편리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남아 있는 화장수 잔여량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1)는 본체(100)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로서, 본체 절개부(110) 및 잔여량 토출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 절개부(110)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마스크 시트를 꺼낼 수 있는 제1 개구부(112)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에 위치한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서리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110)으로 구성되거나 절취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은 모서리의 측면으로부터 삼각형상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지거나 일자형상 등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취선은 본체 절개부가 일정 방향으로 쉽게 찢어질 수 있도록 레이저 커팅 기법 등으로 절취선 부위를 얇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시에 본체 절개부의 절개홈 또는 절개선을 이용하여 본체의 상단부를 찢어 분리시키고 내부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화장수에 함침된 마스크 시트를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120)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화장수의 잔여량을 토출시킬 수 있는 제2 개구부(122)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모퉁이에 형성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모서리의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찢어 분리시켜 제2 개구부(122)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120)가 형성되는 제2 영역은 상기 본체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화장수 잔여량이 보다 원할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시에 제1 개구부(112)를 통해 마스크 시트를 꺼낸 후, 제2 개구부(122)를 통해 수납 공간에 남아있는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쉽게 흘러 나오게 하여 화장수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제2 실시예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2)는 본체(200)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로서, 본체 절개부(210) 및 잔여량 토출부(2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 절개부(210)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은 제1 실시예의 본체 절개부(11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220)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를 모따기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따기된 부분에 형성된 절개부(224) 및 상기 모따기된 부분에 연결된 고리부(226)을 구비한다.
상기 절개부(224)는 절개홈 또는 절취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모따기된 모퉁이를 찢어 버림으로써, 모서리의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제2 개구부(222)를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잔여량 토출부(220)는 상기 모따기되어 형성된 절개부(224)에 연결된 고리 형상의 걸이부(226)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226)는 중앙에 관통구가 형성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부는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유통 과정에서의 손잡이 역할을 하거나 잔여량 토출부의 절개부를 찢을 때 손가락을 관통구내에 넣어 보다 쉽게 절개부를 찢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220)가 형성되는 제2 영역은 상기 본체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화장수 잔여량이 보다 원할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시에 제1 개구부(212)를 통해 마스크 시트를 꺼낸 후, 제2 개구부(222)를 통해 수납 공간에 남아있는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쉽게 흘러 나오게 하여 화장수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제3 실시예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마스크 팩용 포장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3)는 본체(300)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로서, 본체 절개부(310) 및 잔여량 토출부(3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 절개부(310)의 구성 및 사용 방법은 제1 실시예의 본체 절개부(11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320)는 토출관(326), 절개부(324) 및 밀봉부(328)를 구비한다.
상기 토출관(326)은 내부가 중공 상태로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절개부(324)는 절취선 또는 절개홈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모퉁이를 찢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찢어 버림으로써 상기 토출관(326)의 제1 단부가 상기 본체의 모퉁이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328)는 상기 토출관(326)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와 상기 절개부(324)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토출관의 양측에 위치한 영역의 본체를 봉합시킴으로써, 토출관(326)의 제1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3)는 상기 절개부(324)를 이용하여 본체의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토출관(326)의 제1 단부를 노출시켜 제2 개구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잔여량 토출부(320)가 형성되는 제2 영역은 상기 본체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화장수 잔여량이 보다 원할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시에 제1 개구부(312)를 통해 마스크 시트를 꺼낸 후, 노출된 토출관(326)의 제1 단부를 통해 수납 공간에 남아있는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쉽게 흘러 나오게 하여 화장수의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용 포장재는 표면에 "잔여량 토출구를 통해 본체 내의 화장수 잔여량을 모두 사용하라"는 내용의 문구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 마스크 팩용 포장재
100, 200, 300 : 본체
110, 210, 310 : 본체 절개부
112, 212, 312 : 제1 개구부
120, 220, 320 : 잔여량 토출부
122, 222 : 제2 개구부
224, 324 : 절개부
226 : 걸이부
326 : 토출관
328 : 밀봉부

Claims (6)

  1. 본체에 마스크 시트와 화장수가 수납될 수납 공간이 형성된 마스크 팩용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마스크 시트를 꺼낼 수 있는 제1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1 영역에 위치한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본체 절개부; 및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화장수의 잔여량을 토출시킬 수 있는 제2 개구부를 만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에 형성된 잔여량 토출부;
    를 구비하여, 수납 공간에 충진된 화장수의 잔여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절개부는
    본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절취선을 구비하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본체를 찢어 분리시켜 제1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에 형성된 절개홈 또는 절취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홈 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찢어 분리시켜 제2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를 모따기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따기된 모퉁이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이용하여 모따기된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찢어 분리시켜 제2 개구부를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모따기된 모퉁이에 연결된 고리 형상의 걸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량 토출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영역에 위치한 모서리의 일측 모퉁이의 내부에 장착된 소정 길이를 갖는 토출관,
    본체의 모퉁이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관의 제1 단부가 상기 본체의 모퉁이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절개부;
    상기 토출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제2 단부와 상기 절개부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토출관의 양측에 위치한 영역의 본체를 봉합시키는 밀봉부;
    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를 이용하여 본체의 모퉁이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제2 개구부로 동작되는 토출관의 제1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영역은 본체의 제1 영역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용 포장재.
KR2020160005897U 2016-10-13 2016-10-13 마스크 팩용 포장재 KR200486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97U KR200486828Y1 (ko) 2016-10-13 2016-10-13 마스크 팩용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97U KR200486828Y1 (ko) 2016-10-13 2016-10-13 마스크 팩용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11U true KR20180001111U (ko) 2018-04-23
KR200486828Y1 KR200486828Y1 (ko) 2018-07-04

Family

ID=6207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897U KR200486828Y1 (ko) 2016-10-13 2016-10-13 마스크 팩용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915B1 (ko) * 2019-01-29 2020-06-29 서광열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71A (ko) 2002-12-20 2004-06-26 (주)이에스티 위성신호 자동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9643A (ko) 2003-03-08 2004-09-16 주식회사유한양행 씨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치료용 엔에스3 프로테아제 억제제
JP3696575B2 (ja) * 2002-06-10 2005-09-21 ピジョン株式会社 母乳保存用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10065479A (ko) * 2008-09-03 2011-06-15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포장주머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575B2 (ja) * 2002-06-10 2005-09-21 ピジョン株式会社 母乳保存用バッグ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40055171A (ko) 2002-12-20 2004-06-26 (주)이에스티 위성신호 자동추적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9643A (ko) 2003-03-08 2004-09-16 주식회사유한양행 씨형 간염바이러스 감염 치료용 엔에스3 프로테아제 억제제
KR20110065479A (ko) * 2008-09-03 2011-06-15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포장주머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28Y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5731B2 (ja) マスクパック包装部材
US3897005A (en) Convenience spray dispensing packet
US2965224A (en) Cellulosic product
US8109387B2 (en) Device for applying flowable substances
US9440779B1 (en) Compartment pouch for wipes and liquid
US3146912A (en) Package opening means
CA2559383A1 (en) Dispensing device
GB2038757A (en) Package for spraying small amounts of liquid
KR101962785B1 (ko) 다기능 미용팩 세트
KR200486828Y1 (ko) 마스크 팩용 포장재
KR20190033314A (ko) 일회용 이종 혼합 파우치
KR200475204Y1 (ko) 이종 내용물 혼합이 용이한 파우치
JP2002012273A (ja) フェイスパックマスクの携帯用包装袋
CA2996569C (en) Blister package with detachable knife
US10214339B2 (en) Apparatus,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skin care ingredients
CA3120064A1 (en) Condiment dispensers
JP5876643B2 (ja) 注出口付き詰替え用包装パウチ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JP2010075572A (ja) 粉状化粧料容器
JP2004091032A (ja) 毛髪化粧料パッケージ
US10426939B2 (en) Disposable liquid applicator sachet
US20210261317A1 (en) Product dispensers
JP2003137318A (ja) 詰め替え用包装袋
KR102552250B1 (ko) 마스크 포장용 용기
KR101355452B1 (ko) 패스트푸드 포장용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