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34A -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34A
KR20180000934A KR1020160079257A KR20160079257A KR20180000934A KR 20180000934 A KR20180000934 A KR 20180000934A KR 1020160079257 A KR1020160079257 A KR 1020160079257A KR 20160079257 A KR20160079257 A KR 20160079257A KR 20180000934 A KR20180000934 A KR 2018000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motor
pump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785B1 (ko
Inventor
박병섭
Original Assignee
하이젠모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젠모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젠모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7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의 동력을 통해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모터가 발생시킨 열을 냉각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COOLING DEVICE OF MOTOR FOR PUMP}
아래의 설명은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서는 펌프가 사용된다. 펌프가 구동되기 위해서는 전기에너지를 통해 동력을 생산하는 펌프용 모터가 필요하다. 펌프용 모터가 작동하는 경우, 일반 모터와 마찬가지로 열이 발생하여 과열되게 된다.
이 때, 펌프용 모터가 과열되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모터의 효율이 감소하게 되고, 모터에 사용되는 코일이 손상되어, 장비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모터는 요구되는 출력 또는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냉각을 필요로 한다.
모터를 냉각방법으로는 공기를 통한 대류현상을 이용하는 공냉식과, 유체(물)을 통한 열 전달을 이용하는 수냉식이 있다. 이 때, 공기보다 밀도가 높은 유체를 이용하는 수냉식이 더 효율적으로 열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수냉방식은 별도의 냉각유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냉각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여, 공랭방식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대형설비가 아닌 중소형 설비에는 수냉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워 공냉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중소형 설비에서도 장비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소요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공보 20-0371577은 스테인레스 파이프가 내장되어 순환 유체로 모터의 발열을 제거하는 수냉식 모터냉각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모터냉각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펌프가 펌핑하는 유체를 직접 냉각매체로 사용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압력조절유닛을 통해 유체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동하며 장비를 냉각시키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의 동력을 통해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모터가 발생시킨 열을 냉각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유체를 유입하여 모터하우징에 유동시키는 제1냉각부와 상기 모터하우징에서 상기 펌프하우징으로 유체를 유출시키는 제2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은 상기 펌프가 유체를 흡입하는 지점에 마련되는 흡입부와, 상기 펌프가 유체를 토출하는 지점에 마련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냉각부는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냉각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모터하우징에 마련되어, 유체가 상기 모터하우징을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의 일측은 상기 제1냉각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타측은 상기 제2냉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상기 모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1냉각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제2냉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냉각유로 및 제2냉각유로 중 어느 하나의 냉각유로는 상기 제1냉각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냉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제1냉각부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및 상기 압력측정부가 측정한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아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을 순환하는 형태로 상기 모터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유체를 유동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냉각유닛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유닛의 손상을 방지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각배관으로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체 흡입지점과 유체 토출지점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가 작동할 때, 상기 유체의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펌프가 펌핑하는 유체를 통해 모터를 냉각하여,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유체를 통해 모터를 냉각함으로써, 모터를 냉각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압력조절수단을 통해 유체의 유동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냉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냉각장치의 냉각유닛이 모터하우징에 마련되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냉각장치의 냉각유닛이 모터하우징에 마련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냉각장치의 압력조절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냉각유닛(130)이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냉각유닛(130)의 다른 냉각방식으로써, 모터하우징(110)에 유로형태로 마련되는 냉각유닛(13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0), 모터(100)를 내부에 구비하는 모터 하우징, 모터가 발생시킨 동력을 통해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를 내부에 구비하는 펌프하우징(120), 펌프가 펌핑한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모터(100)가 발생시킨 열을 냉각하는 냉각유닛(130), 냉각유닛(130)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0)는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받아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모터(100)는 펌프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일반적인 펌프용 모터(10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며, 고정자에는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권선되고, 회전자는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회전자의 전자기유도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모터(100)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하우징(110)은 중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모터(1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하우징(110)은 내부에 모터(10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펌프에 동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모터(100)가 작동하게 되면 열이 발생하게 되고, 모터하우징(110)에 발생한 열이 전달되어, 모터하우징(110) 및 모터하우징(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펌프하우징(120)은 모터하우징(110)과 연결되고, 내부에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하우징(120)과 모터하우징(110)이 연결된 지점에는 홀이 형성되어, 모터(100)의 회전축이 펌프하우징(120)에 마련된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는 모터(1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유체가 펌프하우징(120)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는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100)의 회전축이 임펠러에 연결됨으로써,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펌프하우징(120)은 펌프의 작동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와 유체를 배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여, 유체가 유동되도록 압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모터(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임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펌프하우징(120) 내부에서 압력차이를 만들어내고, 흡입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냉각유닛(130)은 펌프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유동시킴으로써, 모터(100)가 발생시키는 열을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유닛(130)은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어, 온도차이에 따른 열전달을 통해,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 모터(100) 및 부속장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열이 상대적으로 냉각유닛(130)을 유동하는 유체에 전달됨으로써, 모터하우징(110) 및 내부에 구비된 모터(100)를 냉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유닛(130)은 펌프하우징(120)과 모터하우징(110)을 연결하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하우징(120)에서 유체를 유입하여 모터하우징(110)으로 유동시키는 제1냉각부(131)와, 냉각이 끝난 유체를 모터하우징(110)에서 펌프하우징(120)으로 유출시키는 제2냉각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냉각부(131)는 펌프하우징(120)에서 유체가 흡입되는 지점에 연결되고, 제2냉각부(133)는 펌프하우징(120)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하우징(120)에는 펌프가 유체를 흡입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흡입부와, 펌프가 유체를 토출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토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냉각부(131)가 흡입부와 연결되고, 제2냉각부(133)가 토출부와 연결됨으로써, 유체의 유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흡입부가 형성된 지점의 유체는 높은 압력을 가지고, 토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유체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가지므로, 제1냉각부(131)와 제2냉각부(133)에는 상대적인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압력차이로 인해, 냉각유닛(130)을 이동하는 유체가 일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유체가 일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열을 전달받으며 순환하므로, 저온의 유체가 유입되고, 고온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연속적인 유체의 유동이 이루어져서, 모터(100)로 인해 발생한 열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유닛(13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모터(100)가 발생시킨 열을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유닛(130)은 유체가 모터하우징(110)을 순환하는 형태로 모터하우징(11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냉각유닛(130)이 모터하우징(110) 주변을 순환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모터하우징(110) 주변을 순환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보다 효율적인 냉각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유닛(130)의 일측은 제1냉각부(131)와 연결되어 저온의 유체를 유입하고, 타측은 제2냉각부(133)와 연결되어, 저온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냉각유닛(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터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냉각유닛(130)이 배관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모터하우징(110) 내부에서 모터(100)를 코일형태로 감싸서 열을 냉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배관(132)은 직경이 가늘고 열전달 특성이 좋은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관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에 따른 냉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형태로 형성된 냉각배관(132)은 모터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은 물론, 모터하우징(110)에 직접 매립하여 모터하우징(110)을 순환하는 형태로 배관될 수 있다.
반면, 냉각유닛(130)은 도3과 같이 모터하우징(110)에 마련되는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를 유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냉각유닛(130)은 모터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132a)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제2냉각유로(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131a)는 모터하우징(110)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2냉각유로(132b)가 모터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132a)를 연통시킴으로써 냉각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모터하우징(110) 전체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냉각유로(132a) 및 제2냉각유로(132b) 중 어느 하나의 냉각유로가 제1냉각부(131)와 연결되고, 다른 냉각유로 중 어느 하나가 제2냉각부(133)와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펌프하우징(120)으로부터 냉각유로로 유동하여 모터(100)를 냉각하고, 냉각된 유체가 펌프하우징(120)으로 배출되는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모터(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펌프하우징(120)을 유동하는 유체를 직접 냉각매체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유체 및 유체공급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크기를 작게 만들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대형설비가 아닌 중소형 설비에서도 수냉방식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기보다 밀도가 높은 물을 사용하므로 공냉방식에 비해 높은 냉각효율을 가지며, 공냉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압력조절유닛(140)은 냉각유닛(130)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냉각유닛(130)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은 펌프의 압력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조절유닛(140)은 냉각유닛(130)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장비의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유닛(140)이 마련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압력조절유닛(140)은 제1냉각부(131)에 마련되어, 펌프하우징(120)에서 모터하우징(110)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압력조절유닛(140)이 제2냉각부(133)에 마련되어, 모터하우징(110)으로부터 펌프하우징(120)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압력조절유닛(1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압력조절유닛(140)은 냉각유닛(130)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141)와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143), 압력측정부(141)가 측정한 유체 압력에 따라, 압력조절부(143)의 압력조절정도를 조절하는 압력제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측정부(141)는 냉각유닛(130)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측정부(141)는 압력트랜스미터나, 압력센서, 압력게이지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압력측정수단일 수 있다.
압력조절부(143)는 냉각유닛(130)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유닛(130)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유닛(130)이 배관인 경우에는, 밸브와 같은 형태로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적절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밸브의 조절을 통해 배관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압력측정부(141)가 측정한 유체의 압력을 기반으로, 압력조절부(14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유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압력조절부(143)를 통해 유체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모터하우징(110)이나 냉각유닛(130)등의 장비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측정된 유체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적절한 수준으로 유체 압력을 높이도록 압력조절부(143)를 제어함으로써,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고, 유체가 일방향으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조절유닛(140)은 압력측정부(141)가 측정한 유체의 압력이나, 조절되는 유체의 압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압력조절유닛(140)의 구성을 통해,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장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정한 압력으로 유체가 유동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는, 펌프가 자체적으로 유동시키는 유체를 압력차이로 인해 냉각유닛(130)에 유동시키고, 냉각유닛(130)이 모터하우징(110)에 연결되어 순환함으로써, 모터가 발생시키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자체적으로 유동시키는 유체를 통한 수냉방식이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냉각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설비가 요구되지 않아, 장비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장비의 크기를 감소시켜 협소한 공간에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열을 전달받은 고온의 유체가 펌프하우징(120)으로 재배출되고, 저온의 유체를 모터하우징(110)으로 유입하므로, 유체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펌프용 모터가 보일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터(100)의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유체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하여 열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공기냉각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모터가 생산하는 동력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므로, 별도의 전력이 소모하지 않는다.
또한, 압력조절유닛(140)을 통한 유동 유체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에서 제어함으로써, 높은 압력의 유체로 인한 장비손상이나,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모터: 100
모터하우징: 110
펌프하우징: 120
냉각유닛: 130
압력조절유닛: 140

Claims (10)

  1.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의 동력을 통해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모터가 발생시킨 열을 냉각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유체를 유입하여 모터하우징에 유동시키는 제1냉각부와
    상기 모터하우징에서 상기 펌프하우징으로 유체를 유출시키는 제2냉각부를 포함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은,
    상기 펌프가 유체를 흡입하는 지점에 마련되는 흡입부와,
    상기 펌프가 유체를 토출하는 지점에 마련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냉각부는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냉각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모터하우징에 마련되어, 유체가 상기 모터하우징을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의 일측은 상기 제1냉각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타측은 상기 제2냉각부와 연결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모터하우징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냉각유로;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상기 모터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1냉각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제2냉각유로를 포함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냉각유로 및 제2냉각유로 중 어느 하나의 냉각유로는 상기 제1냉각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냉각부와 연결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제1냉각부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
    상기 냉각유닛을 유동하는 유체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및
    상기 압력측정부가 측정한 유체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9.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의 동력을 받아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을 순환하는 형태로 상기 모터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유체를 유동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냉각유닛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냉각유닛의 손상을 방지하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배관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체 흡입지점과 유체 토출지점에 연결되며,
    상기 펌프가 작동할 때, 상기 유체의 압력차이로 인해, 상기 유체를 유동시켜,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KR1020160079257A 2016-06-24 2016-06-24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KR10187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57A KR101876785B1 (ko) 2016-06-24 2016-06-24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57A KR101876785B1 (ko) 2016-06-24 2016-06-24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34A true KR20180000934A (ko) 2018-01-04
KR101876785B1 KR101876785B1 (ko) 2018-07-11

Family

ID=6099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257A KR101876785B1 (ko) 2016-06-24 2016-06-24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782A1 (en) * 2019-02-12 2020-08-20 Terzo Power Systems, LLC Valveless hydraulic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12B1 (ko) * 2019-08-16 2019-11-05 민현규 고전압 모터용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라인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316B2 (ja) * 1993-04-07 2003-08-04 株式会社佐山製作所 揚水装置
JPH07119678A (ja) * 1993-10-18 1995-05-09 Hitachi Ltd キャンドモータ型ポンプ装置
KR100316609B1 (ko) * 1999-04-02 2001-12-12 장병우 펌프용 모터의 냉각장치
KR200442578Y1 (ko) * 2008-07-04 2008-11-24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782A1 (en) * 2019-02-12 2020-08-20 Terzo Power Systems, LLC Valveless hydraulic system
US11703051B2 (en) 2019-02-12 2023-07-18 Terzo Power Systems, LLC Valveless hydraulic system
AU2020221195B2 (en) * 2019-02-12 2023-10-05 Terzo Power Systems, LLC Valveless hydraul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785B1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1982B2 (ja) 冷却システムを有する直接駆動型風車および直接駆動型風車を制御する方法
KR101928791B1 (ko) 열 조절 시스템을 갖는 직접 구동 풍력 터빈
US7258083B2 (en) Integrated cooling system
US6239518B1 (en) AC generator for vehicle
US9267746B2 (en) Liquid-air cooling system
KR101876785B1 (ko)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JP644225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一体型ポンプ
JP2008312343A (ja) モータ装置
US202400726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rect spray cooling in an electric motor
US2188398A (en) Absorption dynamometer
US10177624B2 (en) Electric machine having a first circuit and a second circuit, method for cooling an electric machine and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ic machine
JP6268750B2 (ja) 回転電機
KR101784909B1 (ko) 수중모터펌프의 냉각장치
CN103765732A (zh) 电动机
JP2016052221A (ja) ブラシレス回転電機
ES2720129T3 (es) Refrigeración de una máquina eléctrica de imanes permanentes
US20200173339A1 (en) Axial Flux Motor Water Pump
CN104167872A (zh) 包括可适应的冷却系统的电机
RU2520301C2 (ru) Пресс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101179004B1 (ko) 전동기 및 이의 냉각유닛
JP6336503B2 (ja) ブラシレス回転電機
CN115459523B (zh) 一种自驱动散热的永磁电机
KR101151779B1 (ko) 전기자동차의 모터 냉각 장치
KR101040988B1 (ko) 수중함용 전기모터의 독립된 두 개의 냉각시스템
WO2023246048A1 (zh) 一种外转子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