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78Y1 -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 Google Patents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578Y1
KR200442578Y1 KR2020080008983U KR20080008983U KR200442578Y1 KR 200442578 Y1 KR200442578 Y1 KR 200442578Y1 KR 2020080008983 U KR2020080008983 U KR 2020080008983U KR 20080008983 U KR20080008983 U KR 20080008983U KR 200442578 Y1 KR200442578 Y1 KR 200442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pump
pressure
cooling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2020080008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04D15/0011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58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cooling or heating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는 인버터 제어에 의한 압력검출기에 의해 설정된 토출압력으로 운전하는 방식으로 펌프케이스의 흡입과 토출에 부착된 배관내에 설정된 압력이상의 고압이 발생하여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압장치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자냉식 펌프와 정압장치에 설정압력을 보정(보상)하여 자냉식 펌프의 효율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A waterproof-type pump for self-cooling mounted the static pressure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 토출배관에서 설정된 압력보다 그 이상의 고압이 발생하여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와 모터, 펌프부 씰링(Sealing)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압장치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써 자냉식 펌프에 설정압력으로 보정(보상)하여 자냉식 펌프의 효율적인 운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는 냉각수가 정압장치의 바이패스밸브로 유입되어 워터자킷과 모터프레임의 중앙 분리벽을 통과하여 제1실에 유입되고 동시에 제2실에 유입되어 모터프레임의 과열을 신속하게 냉각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펌프는 토출배관에서의 이상고압이 발생시 압력을 보정하는 장치를 구비 하고 있지 않으므로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와 모터, 펌프의 씰링(Sealing)의 파손으로 교체비용이 많은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펌프는 육상에 사용되는 급수펌프, 가압펌프, 배수펌프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펌프는 모터의 구동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해 별도의 냉각팬을 구비하여 모터펌프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냉각팬에 의한 동력손실 및 소음발생과, 또한 부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입되는 물에 의해 침수된 상태에서는 작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침수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모터펌프는 모터가 침수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수중모터 펌프가 사용되고 있지만, 수중모터펌프는 지상에서 냉각수단을 구비 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특히, 자냉식 펌프의 토출배관에서 설정된 압력보다 그 이상의 고압이 발생하면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와 모터, 펌프부 씰링(Sealing)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압장치가 자동으로 개폐하여 설정압력을 보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는 냉각수가 정압장치의 바이패스밸브로 유입되어 워터자킷과 모터프레임의 중앙 분리벽을 통과하여 제1실에 유입되고 동시에 제2실에 유입되어 모터프레임의 과열을 신속하게 냉각하여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모터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인입배관과, 상기 펌프케이스의 타측에 연결된 토출배관과, 상기 인입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의 타측이 결합되는 워터자킷과, 상기 워터자킷의 내부에 형성되고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프레임과, 상기 워터자킷의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밴드를 포함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킷의 내주양측과 상기 모터프레임의 외주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자켓의 내주와 상기 모터프레임의 외주 사이의 공간을 제1실 및 제2실로 분리하는 분리벽과,
상기 펌프케이스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입배관의 양단에 연결되고, 일측에 바이패스밸브가 형성되고, 상부에 자냉식 펌프의 설정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정압조정핸들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정압조절핸들의 하부에 연결된 압축조절관과 상기 압축조절관의 일단에 연결된 정압스프링과 상기 정압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된 시트를 포함하는 정압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배관에서 상기 자냉식 펌프에 설정된 이상의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정압장치의 인입배관측의 고압에 의해 시트가 상부로 상승되고, 정압장치의 out방향으로 인입배관의 이상고압과 냉각수가 함께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의 인입배관 및 토출배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되어 상기 펌프케이스의 좌, 우측에 결합된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의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배관의 냉각수가 펌프케이스, 정압장치, 인입배관을 거쳐 상기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1실로 유입되고, 상기 제1실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모터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워터자킷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2실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배관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의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 토출배관에서 설정된 압력보다 그 이상의 고압이 발생하여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와 모터, 펌프부 씰링(Sealing)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압장치가 자동으로 개폐 하여 설정압력을 보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배관에서 상기 자냉식 펌프에 설정압력 그 이상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정압장치의 시트가 상부로 상승되어 상기 자냉식펌프의 인입배관 및 토출배관의 설정압력으로 보정 및 유지함으로써 냉각수가 펌프케이스, 정압장치, 인입배관을 거쳐 상기 워터자킷의 내주와 상기 모터프레임의 외주 사이의 공간을 제1실 및 제2실로 분리하도록 형성된 상기 분리벽의 상기 제1실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실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상기 토출배관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될 수 있어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신속하게 감소되어 모터의 고장이 방지되고, 자냉식펌프를 장시간 안전하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펌프케이스(2)와, 상기 펌프케이스(2)에 일측에 인입배관(3)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케이스(2)의 타측에 토출배관(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입배관(3) 및 상기 토출배관(4)의 타측은 워터자킷(5)에 나사결합 등으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워터자킷(5)의 내부에는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프레임(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워터자킷(5)의 상부에는 워터자킷(5)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밴트(7)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1)는 상기 워터자킷(5)의 내주 양측과 상기 모터프레임(6)의 외주 양측에 용접 등으로 분리벽(8)이 형성되어있다.
이 분리벽(8)은 상기 워터자킷(5)의 내주와 상기 모터프레임(6)의 외주 사이의 공간을 제1실(9) 및 제2실(10)로 분리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펌프케이스(2)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입배관(3)의 양단에는 정압장치(1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정압장치(11)의 일측에는 바이패스밸브(12)가 형성되고, 정압장치(11)의상부에는 자냉식 펌프(1)의 설정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정압조정핸들(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압장치(11)의 내부에는 상기 정압조절핸들(13)의 하부에 연결된 압축조절관(14)과 상기 압축조절관(14)의 일단에 연결된 정압스프링(15)과 상기 정압스프링(15)의 일측에 연결된 시트(16)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1)는 자냉식 펌프(1)의 토출배관(3)에서 설정압력 이상의 고압 발생시에 상기 정압장치(11)의 인입배관(3)의 고압에 의해 시트(16)가 상부로 상승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압장치(11)의 out방향으로 인입배관(3)의 고압이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1)의 인입배관(3) 및 토출배관(4)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시켜 상기 펌프케이스(2)의 좌, 우측에 결합된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배관의 냉각수가 펌프케이스(2), 정압장치(11), 인입배관(3)을 거쳐 상기 분리 벽(8)에 의해 분리된 제1실(9)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실(10)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배관(4)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1)의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압장치(11)에 내장된 상기 시트(16)가 상부로 상승할 때 상기 시트(16)의 일측이 바이패스밸브(12)의 일측에 접촉하여 바이패스밸브(12)가 막히고, 시트(16)와 연결된 정압스프링(15)이 압축조절관(14)으로 압축되고, 동시에 시트(16)를 통해 설정압력이상의 고압이 정압장치(11)의 out방향으로 냉각수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자냉식펌프(1)의 인입배관, 토출배관 및 펌프케이스(2)와 연결된 배관 등에 연결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에 걸리는 설정압력 이상의 고압이 소거될 수 있다.
또한, 정압장치(11)의 설정압력은 정압조절핸들(13)을 돌려 수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압장치(11)의 일측에 형성된 바이패스밸브(12)는 향상 개방되여 있어 정상압력 운전시에 모터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모터의 냉각을 원할 하게 하고, 토출배관(4)의 설정압력 이상의 고압이 발생할 때 동작하는 정압장치의 시트 상부로 상승에 의해 자동으로 막힌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정압장치(11)가 부착된 자냉식펌프(1)는 자냉식 펌프(1)의 토출배관(3)에서 설정압력 이상의 고압 발생시에 자냉식 펌프(1)의 펌프케이스(2)에결합된 배관에 부착된 각종 쎈서 및 기계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토출배관(4)에서 상기 자냉식 펌프(1)에 설정된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작용 하는 경우 상기 정압장치(11)의 시트(16)가 상승하여 상기 자냉식펌프(1)의 인입배관(3) 및 토출배관(4)의 압력을 설정압력으로 보상함과 동시에 설정압력을 유지하여 냉각수가 펌프케이스(2) 정압장치(11), 인입배관(3)을 거쳐 상기 워터자킷(5)의 내주와 상기 모터프레임(6)의 외주 사이의 공간을 제1실(9) 및 제2실(10)로 분리하도록 형성된 상기 분리벽(8)의 제1실(9)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실(10)로 냉각수가 유입되고, 상기 토출배관(4)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1)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신속하게 감소되어 모터의 고장을 방지하고, 자냉식펌프(1)의 운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바이패스밸브(12)는 상기 토출배관(4)에서 상기 자냉식 펌프(1)에 향상 개방되여 냉각수가 정압장치(11), 인입배관(3) 거쳐 상기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제1실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실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배관(4)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1)의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정압장치(11)가 부착된 자냉식펌프(1)운전시에 냉각수는 상기 분리벽(8)의 제1실(9)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실(10)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배관(4)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고, 이때 토출배관(4)으로 토출되는 냉각수가 펌프케이스(2)로 토출되고, 이 펌프케이스(2)로 토출된 냉각수는 다시 인입배관(3)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압장치(11)가 부착된 자냉식펌프의 실시예로서, 펌프케이스(22)의 일측에 인입배관(30)이 형성되고, 펌프케이 스(22)의 타측에 토출배관(40)이 나사결합 또는 볼트너트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압장치(11)가 부착된 자냉식펌프는 인입배관(30) 및 토출배관(4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자냉식펌프(1)는 자냉식펌프(1)가 설치되는 각 현장에 높이에 따라서 인입배관(30) 및 토출배관(40)의 길이를 자유롭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숙련기술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의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정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냉식펌프 2, 22: 펌프케이스
3, 30: 인입배관 4, 40: 토출배관
5: 워터자킷 6: 모터프레임
7: 에이밴트 8: 분리벽
9: 제1실 10: 제2실
11: 정압장치 12: 바이패스밸브
13: 정압조절핸들 14: 압축조절관
15: 정압스프링 16: 시트

Claims (1)

  1. 펌프케이스와, 상기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인입배관과, 상기 펌프케이스의 타측에 연결된 토출배관과, 상기 인입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의 타측이 결합되는 워터자킷과, 상기 워터자킷의 내부에 형성되고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프레임과, 상기 워터자킷의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밴드를 포함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에 있어서,
    상기 워터자킷의 내주양측과 상기 모터프레임의 외주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자켓의 내주와 상기 모터프레임의 외주 사이의 공간을 제1실 및 제2실로 분리하는 분리벽과,
    상기 펌프케이스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인입배관의 양단에 연결되고, 일측에 바이패스밸브가 형성되고, 상부에 자냉식 펌프의 설정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정압조정핸들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정압조절핸들의 하부에 연결된 압축조절관과 상기 압축조절관의 일단에 연결된 정압스프링과 상기 정압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된 시트를 포함하는 정압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토출배관에서 상기 자냉식 펌프에 설정된 이상의 고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정압장치의 인입배관측의 고압에 의해 시트가 상부로 상승되고, 정압장치의 out방향으로 인입배관의 고압이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의 인입배관 및 토출배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으로 보정되어 상기 펌프케이스의 좌, 우측에 결합된 배관에 부착된 각종 센서 및 기계장치의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배관의 냉각수가 펌프케이스, 정압장치, 인입배관을 거쳐 상기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1실로 유입되고, 상기 제1실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모터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워터자킷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2실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배관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어 상기 자냉식펌프의 모터프레임에 전도되는 열이 감소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펌프.
KR2020080008983U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KR200442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83U KR200442578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83U KR200442578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578Y1 true KR200442578Y1 (ko) 2008-11-24

Family

ID=4164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83U KR200442578Y1 (ko) 2008-07-04 2008-07-04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57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041B1 (ko) 2012-01-26 2014-02-04 정기영 합류식 펌프의 토출구쪽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펌프시스템
CN105889049A (zh) * 2014-10-24 2016-08-24 北京中和天万泵业有限责任公司 自冷却泵的自适应控制方法
KR101876785B1 (ko) * 2016-06-24 2018-07-11 하이젠모터 주식회사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KR102255837B1 (ko) * 2020-08-21 2021-05-25 주식회사 세고산업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냉각성을 향상시킨 수중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041B1 (ko) 2012-01-26 2014-02-04 정기영 합류식 펌프의 토출구쪽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펌프시스템
CN105889049A (zh) * 2014-10-24 2016-08-24 北京中和天万泵业有限责任公司 自冷却泵的自适应控制方法
KR101876785B1 (ko) * 2016-06-24 2018-07-11 하이젠모터 주식회사 펌프용 모터 냉각장치
KR102255837B1 (ko) * 2020-08-21 2021-05-25 주식회사 세고산업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냉각성을 향상시킨 수중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201600094897A1 (it) Gruppo di compressione per compressore privo di lubrificazione
KR200442578Y1 (ko) 정압장치가 부착된 자냉식 펌프
AU2013357653B2 (en) Cooling arrangement of a pump intended for pumping a liquid
EP3218606B1 (en) Electric pump with closed loop cooling system
JP5293995B2 (ja) 空気圧縮機
JP3234523B2 (ja) 恒温冷媒液循環装置
TWI578672B (zh) Water - cooled motor devices
KR200433323Y1 (ko) 자냉식 방수형 모터펌프
KR20190045944A (ko) 상용차용 스크루 압축기
WO2013176269A1 (ja) 温水生成装置
KR200184299Y1 (ko) 수충격 방지장치
CN101270765A (zh) 一种用于传递大量补充液体的真空系统
JP5427319B1 (ja) 温水生成装置
JP6389148B2 (ja) ポンプ
WO2000003142A1 (fr) Ensemble convertisseur de frequence
KR101613145B1 (ko) 펌프용 웨어링 간극조절장치
JP5417388B2 (ja) 水中ポンプ
EP2813779B1 (en) Hot water generator
JP6805065B2 (ja) 水中ポ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中ポンプシステム
CN110578674A (zh) 电动隔膜泵
KR20120097558A (ko)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물흐름관이 구비된 수중펌프
JP2005248898A (ja) ポンプ装置
CN215861104U (zh) 一种水刀控制用高压发生液压站
KR102454453B1 (ko) 우물용 싱글제트 어댑터
CN219262781U (zh) 一种蒸发风机及散热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