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855U - 하향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하향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855U
KR20180000855U KR2020160005447U KR20160005447U KR20180000855U KR 20180000855 U KR20180000855 U KR 20180000855U KR 2020160005447 U KR2020160005447 U KR 2020160005447U KR 20160005447 U KR20160005447 U KR 20160005447U KR 20180000855 U KR20180000855 U KR 20180000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charge port
wind
uni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교탁
Original Assignee
최교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교탁 filed Critical 최교탁
Priority to KR2020160005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85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8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를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의 외주에 조절부를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에 방열구 및 흡입구를 각각 형성하여 모터부의 열이 방출되도록 하고,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면서도 본체부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부 및 송풍팬에 의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360°전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청결상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먼지나 오염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본체부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하향식 선풍기{Downward type fan}
본 고안은 하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360°전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먼지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송풍팬을 회전시켜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로서, 주로 가정, 사무실, 고깃집과 같은 음식점 등에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선풍기의 종류는 선풍기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탁상용, 좌석용, 벽걸이용, 천장용 등이 있다.
그러나 불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앞으로 많은 열과 연기가 집중되는데 선풍기 작동 시에는 오히려 공기순환에 방해가 되어 열과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므로 눈과 목을 아프게 하고, 더불어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며, 토출되는 바람이 고기를 굽기 위해 켜놓은 버너 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322268호 (실) 망 형태의 안전커버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하단이 실내 바닥에 지지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지지부, 바람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지지부 중앙부분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본체 상부에 이동용 손잡이 및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하측에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장착되는 구동무터, 상기 구동모터 하부에 구동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회전날개, 상기 제어부 일정부분에 구동무터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방열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송풍식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구동모터 및 회전날개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망 형태의 본체 하부를 통해 바닥쪽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본체 하부를 통해 바닥쪽으로 송풍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을 수밖에 없어 지면의 청결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지면의 먼지가 사방으로 흩날릴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망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본체 내부의 구동모터 및 회전날개에 먼지가 쌓이거나, 구동모터 및 회전날개가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토출구가 하부에 형성된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를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의 외주에 조절부를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주에 방열구 및 흡입구를 각각 형성하여 모터부의 열이 방출되도록 하고,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면서도 본체부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본체부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식 선풍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하부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구(110)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과,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500)로 구성되는 하향식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안내하는 안내부(60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600)의 외주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어 안내부(600)를 따라 이동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61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흡입구(130)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선풍기에 의하면, 모터부 및 송풍팬에 의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360°전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청결상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먼지나 오염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본체부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 A ㅡ A' )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하향식 선풍기의 구성 중 안내부에 조절부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하향식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360°전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먼지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향식 선풍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하부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구(110)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과,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500)로 구성되는 하향식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안내하는 안내부(600)가 구성된다.
먼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하향식 선풍기에 대해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향식 선풍기는 본체부(100), 모터부(200), 송풍팬(300), 제어부(400) 및 지지대(50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고안의 핵심구성요소와 함께 설명하겠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부(200) 및 송풍팬(300)이 구성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하면에는 바람이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구(100)가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부(200) 및 송풍팬(300)에 의해 발생되어 송풍되는 바람이 하부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부(200)는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데, 이는 하기될 송풍팬(300)이 상기 모터부(20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바람을 발생시키되, 발생되는 바람이 하부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200)가 하향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부(200)는 상기 송풍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일반적인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300)은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며 바람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바람을 상기 토출구(110)로 송풍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부(20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00)의 형상은 상기 모터부(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바람이 하부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날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모터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송풍팬(300)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의 세기 및 모터부(20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외측에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500)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대(500)가 본체부(100)의 하부 하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핵심구성요소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600)가 구성된다.
즉, 도 1, 2, 3, 4,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600)는 토출구(110)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토출되는 바람이 전, 후, 좌, 우 360°전방향으로 꺾임 되며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내부(600)가 판 형상을 하고,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곡진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다시 말해, 상기 안내부(600)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도 안내부(600)를 따라 전, 후, 좌, 우 360°전방향으로 꺾임 되며 토출됨으로서, 지면의 먼지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면의 청결상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으며, 고깃집과 같은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본 고안인 하향식 선풍기를 지면 또는 테이블에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600)를 따라 토출되는 바람이 고기를 굽기 위해 켜놓은 버너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위 사람들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600)의 외주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어 안내부(600)를 따라 이동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61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조절부(610)는 상기 안내부(600)의 외주에 상기 토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부(6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사이로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610)는 상기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제어부(400)로 상기 조절부(6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상기 조절부(6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6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신체부위로 바람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 좌, 우 360°전방향 중 일 측 방향을 상기 조절부(610)로 차단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본 고안인 하향식 선풍기의 둘레를 따라 앉은 경우, 각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절부(610)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조절부(610)가 네 개가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조절부(610)의 개수는 상기 안내부(60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에는 상기 모터부(200)가 구성된 내측방향으로 관통된 방열구(120)와, 상기 송풍팬(300)이 구성된 내측방향으로 관통된 흡입구(13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방열구(120)는 상기 모터부(2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배출될 수 있도록 모터부(200)가 구성된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다수개가 모터부(200)가 구성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30)는 상기 송풍팬(300)이 작동될 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송풍팬(300)이 원활하게 바람을 하부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300)이 구성된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다수개가 송풍팬(300)이 구성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방열구(120) 및 흡입구(130)가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먼지나 오염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성된 모터부(200)와 송풍팬(300)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상기 모터부(200)와 송풍팬(3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향식 선풍기에 의하면, 모터부 및 송풍팬에 의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360°전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지면의 청결상태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본체부의 내부로 먼지나 오염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본체부의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토출구
120 : 방열구 130 : 흡입구
200 : 모터부
300 : 송풍팬
400 : 제어부
500 : 지지대
600 : 안내부 610 : 조절부

Claims (3)

  1. 하부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하향 설치되는 모터부(200)와,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토출구(110)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과, 상기 모터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500)로 구성되는 하향식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안내하는 안내부(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선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600)의 외주에는 상기 토출구(110)로부터 토출되어 안내부(600)를 따라 이동하는 바람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6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선풍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주에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흡입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선풍기.
KR2020160005447U 2016-09-20 2016-09-20 하향식 선풍기 KR201800008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47U KR20180000855U (ko) 2016-09-20 2016-09-20 하향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47U KR20180000855U (ko) 2016-09-20 2016-09-20 하향식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855U true KR20180000855U (ko) 2018-03-28

Family

ID=6180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47U KR20180000855U (ko) 2016-09-20 2016-09-20 하향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8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72Y1 (ko) * 2018-08-13 2019-08-05 곽철환 하향식 선풍기
KR102062105B1 (ko) 2018-07-31 2020-01-03 노지용 선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105B1 (ko) 2018-07-31 2020-01-03 노지용 선풍기
KR200489772Y1 (ko) * 2018-08-13 2019-08-05 곽철환 하향식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034B2 (en) Pivotable heater
US6852025B2 (en) Vertical ventilator for outdoors and/or indoors
US20050238478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KR1018334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130315727A1 (en) Stackable fan
US20150044040A1 (en) Air blower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13140739A1 (ja) 送風装置
JP2017160787A (ja) 送風装置
KR20180000855U (ko) 하향식 선풍기
KR20170031461A (ko) 전방향 공기순환 송풍기
JP5773229B1 (ja) 扇風機
JP2015183945A (ja) 空調システム
KR1022858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39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00117418A (ko)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JP5768220B2 (ja) 送風装置
KR20100009912U (ko) 선풍기
KR101454327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JP2018048598A (ja) 吸引装置
KR1026434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322268Y1 (ko) 하향 송풍식 선풍기
JP6613447B2 (ja) 送風装置
KR10227898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901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