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18U -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618U
KR20180000618U KR2020160004908U KR20160004908U KR20180000618U KR 20180000618 U KR20180000618 U KR 20180000618U KR 2020160004908 U KR2020160004908 U KR 2020160004908U KR 20160004908 U KR20160004908 U KR 20160004908U KR 20180000618 U KR20180000618 U KR 201800006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nd
elastic plate
connection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975Y1 (ko
Inventor
전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카팩
Priority to KR2020160004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7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연결판의 일측에 케이스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및 연결판에 이격배치되어 연결판과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연결판의 타측에 스탠드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탄성판의 타측은 연결판과 탄성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판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스탠드의 종단과 맞닿아 스탠드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켜 젖혀지지 않도록 탄성판의 판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 가이드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탠드와 탄성판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동하여 바닥면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와 탄성판에 손가락을 끼우는 홀이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스마트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가방 끈 또는 벨트 등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레포츠와 같은 활동적인 활동에서도 스마트폰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Stand clip for smart-phone case}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되어 스마트폰의 파지와 거치를 용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다양한 용도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동영상 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이용을 많이 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를 보다 쉽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바닥면에 거치되거나 파지가 용이해야 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5-0003045호에서는 카드형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한 바 있다. 개시되어 있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5-0003045호는 지갑속에 거치대를 보관하여 필요시에 바닥면에 접어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거치대의 일 부분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가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중교통에서는 바닥면에 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자는 동영상 시청을 위해서 불안전하게 스마트폰을 파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손에서 쉽게 미끄러져 스마트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5-0003045호 개시된 카드형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가방과 같은 외부의 물건에 고정할 수 없다. 이로 인해서 레포츠와 같이 활동적인 활동을 할 때에 스마트폰을 가방에 넣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시 스마트폰을 가방에서 꺼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방지하고,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하여 스마트폰의 거치와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가방 끈 또는 벨트 등과 같은 외부물건에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고정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은 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연결판의 일측에 케이스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및 연결판에 이격배치되어 연결판과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연결판의 타측에 스탠드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탄성판의 타측은 연결판과 탄성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판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스탠드의 종단과 맞닿아 스탠드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켜 젖혀지지 않도록 탄성판의 판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 가이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판은 탄성판과 결합되는 일 영역의 상측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면서 돌출되어 탄성판을 이격 배치시켜 고정하는 고정부; 내부공간에 탄성판이 삽입되도록 고정부에 형성되는 절개홀; 내부공간 상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연결부; 제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내부공간을 폐쇄시키는 캡; 및 스탠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홈;을 구비하며, 탄성판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드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 홀이 형성되며, 판홈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탄성판과 연결된 타측에 판 홈의 폭보다 넓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탄성판은 손가락 홀과 연통되도록 판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 방지 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탄성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 결합되는 제1 이탈 방지 가이드와 제2 이탈 방지 가이드를 구비하며, 제1 이탈 방지 가이드는 탄성판과 연결판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이탈 방지 가이드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은 양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의 연결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은 스탠드와 탄성판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동하여 바닥면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와 탄성판에 손가락을 끼우는 홀이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어 스마트폰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가방 끈 또는 벨트 등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여 레포츠와 같은 활동적인 활동에서도 스마트폰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이 스마트 폰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가로 거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세로 거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이 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이 가방 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10)은 연결판(100), 스탠드(200) 및 탄성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판(100)은 스마트폰 케이스(1)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2)에 결합된다(도 5 참조). 스탠드(200)는 연결판(100)의 일측에 케이스(1)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판(300)은 연결판(100)에 이격배치되어 연결판(100)과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연결판(100)의 타측에 스탠드(200)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의 작동 상태도이다.
연결판(100)은 스마트폰 케이스(1)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2)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부(110), 절개홀(111), 제1 연결부(112), 캡(120), 제2 연결부(121), 판홈(130) 및 슬라이딩 홈(140)을 구비한다.
고정부(110)는 탄성판(300)과 결합되는 일 영역의 상측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탄성판(300)을 이격 배치시켜 탄성판(3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폰 기준으로 상단에 형성된다.
절개홀(111)은 고정부(11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탄성판(300)의 삽입방향을 따라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탄성판(300)이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12)는 고정부(110)의 내부공간 상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연결부(1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캡(120)은 고정부(1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면서, 내부공간을 폐쇄시키면서 고정부(110)와 결합된다. 이때, 캡(120)은 하면에서 상측을 향하여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121)를 구비하여 제1 연결부(112)와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부(112) 또는 제2 연결부(121) 중 하나는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축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120)은 절개홀(111)의 일 영역을 패쇄시킬 수 있도록 측벽(122) 및 격벽(123)이 형성된다. 탄성판(300)은 측벽(122) 및 격벽(123)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1 연결부(112) 및 제2 연결부(121) 사이에서 결합됨으로써 측벽(122) 및 격벽(123)의 높이만큼 연결판(100)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이격거리 만큼 공간을 형성시켜 탄성판(300)이 이격되도록 배치시켜 이격공간(S)에 가방 끈 또는 벨트 등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홈(130)은 스탠드(200)의 일 영역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판홈(130)의 일측에는 스탠드(2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핀홈(131)이 형성된다. 한편, 판홈(130)의 타측에는 손가락이 삽입되어 스탠드(20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140)은 연결판(10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1)의 연결부(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딩 홈(140)은 연결부(2)를 따라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걸림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탠드(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판(100)에 연결되며, 회동 구동을 통하여 탄성판(300)과 함께 스마트폰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울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도 6 및 도 7 참조)으로서, 회동핀(210), 손가락 홀(220) 및 돌출부(230)를 구비한다.
회동핀(210)은 스탠드(200)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핀홈(131)에 결합되어 스탠드(200)를 스마트폰 케이스(1)의 배면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동핀(210)은 판홈(130)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연결되어 걸림영역을 형성하여 스탠드(200)의 회동각도를 설정된 범위(θ) 이상으로 젖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200)는 설정된 범위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어,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에게 이상적인 보기각도(Viewer angle)을 제공하게 된다.
손가락 홀(220)은 스탠드(200)의 판면에 홀이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손가락 홀(220)은 스탠드(200)와 탄성판(300)이 각각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탄성판(300)에 형성된 판홀(320)과 함께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여 사용함으로써 바닥면 등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도 8 참조).
돌출부(230)는 판홈(130)의 폭보다 넓게 스탠드(200)의 양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탠드(200)를 판홈(13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부(230)는 스마트폰 케이스(1)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돌출영역(C)을 형성하고 판홈(130)에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스탠드(200)의 파지가 용이하여 스탠드를 쉽게 회동시킬 수 있다.
탄성판(300)은 연결판(100)에 이격 배치되어 연결판(100)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고, 일측이 연결판(100)의 캡(120)에 결합되어 스탠드(200)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연결홀(310), 판홀(320) 및 이탈 방지가이드(330)를 구비한다.
연결홀(310)은 원형의 홀로 형성되어 결합된 제1 연결부(112)와 제2 연결부(121)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측벽(122) 및 격벽(123)의 상단에 배치되어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연결홀(310)은 탄성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연결홀(310)은 제1 연결부(112)와 제2 연결부(121) 사이에서 탄성판(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탄성판(300)의 회동을 원활하게 유도시킬 수 있다.
판홀(320)은 손가락 홀(2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판홀(320)은 탄성판(300)이 스탠드(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보다 쉽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파지할 때에 손가락 홀(220)과 함께 끼워지도록 하면서 보다 견고한 파지를 제공하여 손에서 스마트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탈 방지가이드(330)는 탄성판(300)을 중심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돌출 결합되는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와 제2 이탈 방지가이드(332)를 구비한다.
이때,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는 제2 이탈 방지가이드(33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가 제2 이탈 방지가이드(332) 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스탠드 클립(10)의 연결판(100)과 탄성판(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가방 끈 또는 벨트 등에 삽입되면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따라서 스마트폰을 가방 끈 또는 벨트 등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킬 수 있어 레포츠와 같은 활동적인 활동에서도 스마트폰의 분실 우려없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클립(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200) 및 탄성판(300)이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을 향하여 회동구동하여 가로 거치(도 6 참조) 및 세로 거치(도 7 참조)로 스마트폰이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탠드(20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스탠드(200)의 종단면을 따라 탄성판(3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스탠드(200)의 종단은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와 맞닿게 되면서 스탠드(200)와 탄성판(300)의 회동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판(300)은 스탠드(20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후에,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와 스탠드(200)의 종단이 맞닿게 되면, 시계방향으로 탄성복원력(EF)이 작용하게 된다. 탄성복원력(EF)은 스탠드(20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힘이 작용하며, 연결판(100)에 형성된 판홈(130)의 걸림영역(B)에 의해서 스탠드(200)의 회동이 제한되어 설정된 각도 이상(θ)으로 젖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300)과 제1 이탈 방지가이드(331)이 맞닿아 형성된 공간에 스탠드(200)의 종단이 고정됨으로써, 스탠드(200)와 탄성판(3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고정을 해제시키기 전까지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200)와 탄성판(300)은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동상태를 유지하여 바닥면에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회동한 스탠드(200)와 탄성판(300)은 공간을 형성시켜 탄성판(300)과 스탠드(200)에 각각 형성된 판홀(320) 및 손가락 홀(2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판(300)은 표면에 크롬 도금이 형성되어 방식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탄성복원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스탠드 클립 100 : 상판
110 : 고정부 120 : 캡
130 : 판홈 140 : 슬라이딩 홈
200 : 스탠드 210 : 회동핀
220 : 손가락 홈 230 : 돌출부
300 : 탄성판 310 : 연결홀
320 : 판홀 330 : 이탈 방지가이드

Claims (5)

  1. 스마트폰 케이스 후면에 형성된 연결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의 배면 방향을 향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및
    상기 연결판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연결판과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연결판의 타측에 상기 스탠드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판의 타측은,
    상기 연결판과 상기 탄성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판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상기 스탠드의 종단과 맞닿아 상기 스탠드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켜 젖혀지지 않도록 상기 탄성판의 판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 방지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탄성판과 결합되는 일 영역의 상측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면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판을 이격 배치시켜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탄성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절개홀;
    상기 내부공간 상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폐쇄시키는 캡; 및
    상기 스탠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판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판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판홈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판과 연결된 타측에 상기 판 홈의 폭보다 넓게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판은,
    상기 손가락 홀과 연통되도록 판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 결합되는 제1 이탈 방지가이드와 제2 이탈 방지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탈 방지가이드는,
    상기 탄성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탈 방지가이드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양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연결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KR2020160004908U 2016-08-24 2016-08-24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KR200486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08U KR200486975Y1 (ko) 2016-08-24 2016-08-24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08U KR200486975Y1 (ko) 2016-08-24 2016-08-24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18U true KR20180000618U (ko) 2018-03-06
KR200486975Y1 KR200486975Y1 (ko) 2018-07-19

Family

ID=6164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908U KR200486975Y1 (ko) 2016-08-24 2016-08-24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450A (ko) * 2021-05-11 2022-11-18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592A (ko) 2019-05-17 2020-11-25 전윤호 클립 내장형 방송용 폰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9179565B2 (en) * 2011-01-11 2015-11-03 Sung-mok Cho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JP2016036693A (ja) * 2014-08-12 2016-03-22 紀仁 吉田 スマートフォン収納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9565B2 (en) * 2011-01-11 2015-11-03 Sung-mok Cho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0470116Y1 (ko) * 2012-08-20 2013-11-28 백종덕 거치수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JP2016036693A (ja) * 2014-08-12 2016-03-22 紀仁 吉田 スマートフォン収納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450A (ko) * 2021-05-11 2022-11-18 이화순 탄성클립이 구비된 휴대폰용 카드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75Y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20220061509A1 (en) Phone grip attachment
US11388970B2 (en) Portable computer case with integrated storage features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TWI633823B (zh) 保護殼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US8055005B2 (en) Bluetooth earphone and lanyard structure thereof
US2013000138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2196015B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TW201607457A (zh) 手腕帶
US8205776B2 (en)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TW201206367A (en) Accommodation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US8029302B1 (en)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187753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92Y1 (ko)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US9706027B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20120003972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