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34A -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 Google Patents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34A
KR20180000434A KR1020160078391A KR20160078391A KR20180000434A KR 20180000434 A KR20180000434 A KR 20180000434A KR 1020160078391 A KR1020160078391 A KR 1020160078391A KR 20160078391 A KR20160078391 A KR 20160078391A KR 20180000434 A KR20180000434 A KR 2018000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at
mat
ground
heating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786B1 (ko
Inventor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현 filed Critical 최승현
Priority to KR102016007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7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매트나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매트뿐만 아니라 그 난방매트 위에 구비된 어싱패드에 접촉한 사용자의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는,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와,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와,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및 일단은 상기 조절기나 난방매트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매트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접지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Heating mat for possible ground verification}
본 발명은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매트나 온수매트와 같은 난방매트뿐만 아니라 그 난방매트 위에 구비된 어싱패드에 접촉한 사용자의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만물에는 필연적으로 전기가 존재하며, 전기는 보통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균형(balance)을 유지하고 있으나, 어떤 원인에 의해 균형이 깨어졌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인체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에 3시간 동안 정전기가 체류하면 체내 칼슘량이 10% 소모되고, 혈당가가 3%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정전기에 의한 칼슘 파괴로 인해 산성화 체질로 바뀌게 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며,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된다.
정전기는 밤에 자고 있는 동안에도 몸에 축적되는데, 인체는 이러한 정전기의 영향으로 숙면을 취할 수 없고,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ㆍ전자제품들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전계(電界) 및 자계(磁界)가 발생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세력의 차이는 있지만 유해전자파가 각각 방출되면서 주변의 사물이나 생명체에 각종 해악을 끼치고 있다.
특히, 전기에너지의 열원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매트는 사용자가 그 위에 눕거나 앉아서 사용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전열선을 누르는 구조이므로 상기 전열선과 인체가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전계 및 다량의 유해전자파가 인체로 직접 유도되어 매우 해로운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매트의 전열선 상부에 도전체로 된 연질의 차폐판, 이를테면 알루미늄 박(箔)이나 금속호일 또는 금속가루를 고정화시킨 시트류 또는 금속선을 촘촘히 엮은 차폐판 등을 설치한 다음 전원콘센트 및 전원플러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접지선(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뉴트랄선과 핫선 이외에 별도의 접지선이 제공됨)과 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전계 및 유해전자파의 차폐(Shield)를 달성하고 있다.
한편, 온수매트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와, 상기 온수매트로 온수를 순환공급하는 온수매트용 조절기로 구성되며, 이러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 자체에 전열선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정성이 높다.
종래의 이와 같은 전기매트나 온수매트 같은 난방매트가 실제 접지되었는지 확인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나, 난방매트에 올라간 사용자의 몸이 현재 난방매트를 통해 접지되었는지 - 사용자의 몸 자체가 접지되었는지 -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968683호(등록일자 2010년06월3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난방매트 상부에 어싱패드를 구비하고 난방매트 조절기에 루프테스트 기능을 부가하여 난방매트의 접지 상태뿐만 아니라 그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는,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및
일단은 상기 조절기나 난방매트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매트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접지확인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는,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및
일단은 상기 조절기나 어싱패드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어싱패드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접지확인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타단에 난방매트나 어싱패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타단에는 난방매트나 어싱패드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이 형성되되, 절연몸체에 의해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버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접지단자공에 삽입되는 것으로 다극 전극이 형성된 다극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단자의 절연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위치되되, 그 절연몸체의 중앙에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이 관통공을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의 단자가 제1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는,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를 포함하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및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케이블에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이 더 구비되어 그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의 일단은 조절기나 난방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매트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방매트나 어싱패드에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단자가 구비되되, 상기 어싱패드에 접지확인단자가 구비되는 경우 접지확인단자가 난방매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기의 본체에는 난방매트와,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를 확인하고 그 접지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접지확인회로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확인회로는 조절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제2표시부와,
상기 난방매트의 접지 유무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점등하고, 난방매트의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접지체크부와,
상기 접지확인수단이나 접지확인선의 단자에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몸이 접촉되는 경우 루프 테스트를 통해 접지 유무를 확인하여, 접지이면 제2표시부에 점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체크부는 난방매트가 접지인 경우 점등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 뒷단에 연결되어 난방매트가 접지인 경우 발광과 수광에 의해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난방매트 상부에 어싱패드를 구비하고 난방매트 조절기에 루프테스트 기능을 부가하여 난방매트의 접지 상태뿐만 아니라 그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절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버튼단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난방매트 조절기에 구비된 접지 확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매트와 어싱패드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여기서 난방매트는 전기매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매트(100), 조절기(200), 어싱패드(300), 접지확인수단(400) 및 어싱연결선(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매트(100)는 난방을 위한 전열선(미도시)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110)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매트(100) 상부에는 인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는 어싱패드(300)가 구비된다.
상기 어싱패드(300)는 전도성구조물(미도시) 또는 전도성원단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에 전도층(미도시)을 구비하고 전도성원사(302)로 퀼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구조물은 예를 들어 상기 어싱패드(300) 위에 종횡으로 배열된 숯이나 세라믹 성형체의 타일과, 상기 타일을 어싱패드에 고정하는 전도성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은 금속사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은사 또는 동사나 카본 소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지의 전기전도체로서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원사를 이용해 제조되는 전도성원단 또는 카본 등의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부직포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퀼팅(quilting)이란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 모사 등을 넣고 무늬를 두드러지게 수놓은 서양자수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원사(302)로 어싱패드(300)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누비는 박음질 기법을 의미한다.
상기 전도성원사(302)로 퀼팅되면 전도성원사가 어싱패드(3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노출된 채로 전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어싱패드(300)에 눕게 되면 전도성원사(302)에 신체의 일부가 닿게 되어 정전기가 흘러나간다.
이때 상기 어싱패드(300)의 전도층은 전기매트(100)에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어싱패드(300)가 전도성원단으로 이루어지면 전도성원단이 어싱패드(300) 상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어싱패드(300)에 눕게 되면 전도성원단에 신체의 일부가 닿게 되어 정전기가 흘러나간다.
이때 상기 어싱패드(300)는 전기매트(100)에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조절기(200)는 연결커넥터(110)에 결합되어 전기매트(100)에 직류(DC)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기매트(1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전기매트(100)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절기(200)는 접지확인수단(400)을 통해 상기 전기매트(100)를 접지하고 내부에 루프테스트 회로를 구비하여 전기매트(100)와, 그 전기매트(100) 위에 구비된 어싱패드(300)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 유무를 확인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절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200) 본체의 일측은 전원콘센트에 꽂는 AC 플러그(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조절케이블(210)을 통해 커넥터(230)에 연결되어 전기매트(100)의 연결커넥터(110)에 결합함으로써 전기매트(100)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AC 플러그(220)를 통해 조절기(200) 본체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뉴트랄선(Neutral-Line)과 핫선(Hot-Line) 이외에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선(Ground-Line)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기(200)의 본체에는 상부에 접지단자공(202)이 형성되고 접지확인을 위한 2개의 발광다이오드(204a,204b)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확인수단(400)의 일단에 구비된 버튼단자(430)는 전기매트(100)에 연결되고, 타단의 다극잭(420)은 조절기 본체의 접지단자공(202)에 삽입되며 버튼단자(430)와 다극잭(420)은 접지확인케이블(410)을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접지와 접지 확인을 위한 다극잭(420)은 전기매트(100)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전극과,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전극 및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확인케이블(410)은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선과 접지를 위한 접지선으로 이루어진다.
버튼단자(430)는 2접점으로 이루어져 전기매트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된다.
도면에서는 전기매트(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공(202)을 조절기(200) 본체에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전기매트(1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버튼단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단자(430)는 전기매트(100)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433)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432)이 구비되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몸체(431)에 의해 제1접점단자(433)와 제2접점버튼(422)이 전기적으로 절연 분리된다.
상기 절연몸체(431)는 제1접점단자(433)와 제2접점버튼(43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제1접점단자(433)와 제2접점버튼(432)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몸체(43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430b,430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433)와 제2접점버튼(432)이 제1,2공간부(430b,430a)에 위치되되, 그 중앙의 절연몸체(431)에 제1,2공간부(430b,430a)가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432)이 관통공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432)의 단부(434)가 제1공간부(430b) 내에 위치한다.
이때 관통공을 형성하는 절연몸체(431)가 제1공간부(430b)로 연장 형성된 후 수평 절곡되고, 제2접점버튼(432)의 단부(434)도 절곡된 절연몸체의 외측을 따라 수평 절곡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여기서 절연몸체(431)의 절곡된 수평 길이가 제2접점버튼(432)의 단부(434)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공간부(430b)에 위치한 제1접점단자(433)와는 확실히 절연된다.
또한, 제1공간부(430b)에 위치된 제1접점단자(433)의 단부는 상기 절곡된 절연몸체(431)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공간부(430b)가 형성된 절연몸체(431)의 바닥면과 내주면을 따라 위치되고, 절연몸체(431) 외부로 제1접점단자(433)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접점단자(433)와 제2접점버튼(432)은 접지확인케이블(410)에 매입된 전선을 따라 다극잭(420)의 전극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전기매트(100)에는 상기 제1접점단자(433)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1접점단자(433)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접점(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홀접점은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어싱패드의 전도성원사(302)나 전도성원단에 연결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난방매트 조절기에 구비된 접지 확인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확인 회로도에는 전원부(206), 제어부(201), 접지체크부(203), 발광다이오드(204b) 및 버저(BZ)를 포함하고, 다극잭(420)이 삽입되는 삽입부(202)는 전원부(206)와 연결되며, AC 플러그(220)에 연결되는 2 단자(L1,L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접지체크부(203)는 바리스터(varistor, (VR)), 발광다이오드(204a) 및 포토커플러(PC)를 구비한다.
전원부(206)는 조절기(200) 본체의 내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 상용전원을 DC로 변환하는 컨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리스터(VR)는 2 단자(L2,L2)와 접지 단자(G)를 통한 인가전압에 따라 저항이 변하여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로,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과 병렬 연결되어 과도전압이 증가하면 낮은 저항회로를 형성하여 과도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204a)나 포토커플러(PC)를 보호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4a)는 2 단자(L1,L2)에 연결된 AC 플러그(220)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접지 단자(G)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원콘센트(전기매트)가 접지되는 경우 점등되고, 정상적으로 전기매트(100)가 접지되지 않는 경우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 포토커플러(PC)는 발광다이오드(204a) 뒷단에 연결되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가 2 단자(L1,L2)에 연결된 AC 플러그(220)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전기매트(100)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광하고 이를 수광소자에서 수광하여 제어부(201)에 전기매트(100)의 접지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접점버튼(432)에 접속하고 제어부(201)의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접지가 확인되면 발광다이오드(204b)가 점등되고 및 버저(BZ)가 소리를 출력한다.
한편, 전기매트(100)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아 제어부(201)에 전기매트(100)의 접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부(201)의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접지가 확인되면 발광다이오드(204b)는 점등되나 버저(BZ)에서 소리를 출력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표시부인 발광다이오드(204a,204b)나 버저(BZ)를 통해 전기매트(100)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접지 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서 전기매트(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절기(200)의 AC 플러그(220)를 미도시된 전원콘센트에 꽂고 조절기(200)를 조절하여 전기매트(100)에 DC 전원을 공급하면 전기매트(100)가 발열하여 따듯하게 된다.
다음 접지확인수단(400)의 다극잭(420)을 조절기 본체의 접지단자공(202)에 삽입하고, 버튼단자(430)의 제1접점단자(433)를 어싱패드(300)의 전도성원사(302)나 전도성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매트(100)의 홀접점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조절기(200) 본체의 내부 회로에서 전기매트(100)의 접지 여부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발광다이오드(204a)가 점등되고, 전기매트의 접지신호가 내부 회로의 포토커플러(PC)를 통해 제어부(201)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204a)가 점등된 것을 보고 전기매트(100)가 접지되어 있음을 눈으로 확인한다.
다음, 사용자가 어싱패드(30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이때 사용자 몸은 어싱패드의 전도성원사나 전도성원단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임) 버튼단자(430)의 제2접점버튼(432)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면, 조절기 본체의 제어부(201)는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몸의 접지 여부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다른 발광다이오드(204b)가 점등되고 버저(BZ)가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몸이 접지되어 있음을 눈과 귀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접지확인수단(400)을 별도로 구성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지확인케이블(410) 대신에 기존 조절케이블(210)에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을 더 구비하되, 그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의 타단을 조절기(200)에 연결하고, 그 일단에 연결된 커넥터(230)를 버튼단자의 구성을 구비한 연결커넥터(110)에 결합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지확인수단(400)의 일단에 구비된 버튼단자(430)를 어싱패드(300)에 연결하고, 타단의 다극잭(420)을 조절기 본체의 접지단자공(202)에 삽입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여기서 난방매트는 온수매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매트(600), 조절기(700), 어싱패드(300), 접지확인수단(400) 및 어싱연결선(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수매트(6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장판 형태로 제작되며 내부에 굴곡진 형태의 온수배관(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배관은 온수매트(600) 일측의 연결커넥터에 커넥터(730)를 통해 외부의 온수호스(710)와 연결되며, 온수호스(710)를 통해 입수되는 온수가 온수매트(600) 전체 영역에 걸쳐 설치된 온수배관을 통과함으로써 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온수매트(600)의 상부에는 인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는 어싱패드(300)가 구비된다.
상기 어싱패드(300)는 전도성구조물(미도시) 또는 전도성원단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에 전도층(미도시)을 구비하고 전도성원사(302)로 퀼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구조물은 예를 들어 상기 어싱패드(300) 위에 종횡으로 배열된 숯이나 세라믹 성형체의 타일과, 상기 타일을 어싱패드에 고정하는 전도성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층은 금속사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은사 또는 동사나 카본 소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지의 전기전도체로서 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층은 전도성원사를 이용해 제조되는 전도성원단 또는 카본 등의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부직포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퀼팅(quilting)이란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 모사 등을 넣고 무늬를 두드러지게 수놓은 서양자수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원사(302)로 어싱패드(300)를 상부에서 하부까지 누비는 박음질 기법을 의미한다.
상기 전도성원사(302)로 퀼팅되면 전도성원사가 어싱패드(3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노출된 채로 전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어싱패드(300)에 눕게 되면 전도성원사(302)에 신체의 일부가 닿게 되어 정전기가 흘러나간다.
이때 상기 어싱패드(300)의 전도층은 온수매트(600)에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어싱패드(300)가 전도성원단으로 이루어지면 전도성원단이 어싱패드(300) 상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어싱패드(300)에 눕게 되면 전도성원단에 신체의 일부가 닿게 되어 정전기가 흘러나간다.
이때 상기 어싱패드(300)는 온수매트(600)에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조절기(700)에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조부와, 수조부에서 배출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700)의 상부에는 전원의 온-오프 작동이나 온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부와, 조절기 내부의 수조부에 보관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70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절기(700)는 접지확인수단(400)을 통해 상기 온수매트(600)를 접지하고 내부에 루프테스트 회로를 구비하여 온수매트(600)와, 그 온수매트(600) 위에 구비된 어싱패드(300)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 유무를 확인한다.
상기 조절기(700)의 일측은 전원콘센트에 꽂는 AC 플러그(720)에 연결되고 타측은 온수호스(710)를 통해 커넥터(730)에 연결되어 난방매트(600)의 연결커넥터에 결합함으로써 난방매트(600)에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에 사용된 온수를 유입한다.
상기 AC 플러그(720)를 통해 조절기(700)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뉴트랄선(Neutral-Line)과 핫선(Hot-Line) 이외에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선(Ground-Line)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기(700)의 본체에는 상부에 접지단자공(702)이 형성되고 접지확인을 위한 2개의 발광다이오드(704a,704b)가 구비된다.
상기 접지확인수단(400)의 일단에 구비된 버튼단자(430)는 온수매트(600)에 연결되고 타단의 다극잭(420)은 조절기(700) 본체의 접지단자공(702)에 삽입되며 버튼단자(430)와 다극잭(420)은 접지확인케이블(410)을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접지와 접지확인을 위한 다극잭(420)은 온수매트(600)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전극과,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전극 및 접지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단자(430)는 2접점으로 이루어져 온수매트(600)에 접촉되거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된다.
도면에서는 온수매트(6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공(702)을 조절기(700) 본체에 형성하였으나, 온수매트(600)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도 6에서는 접지확인수단(400)을 별도로 구성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지확인케이블(410) 대신에 온수호스(710)에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을 더 구비하되, 그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의 타단을 조절기(700)에 연결하고, 그 일단에 연결된 커넥터(730)를 버튼단자의 구성을 구비한 연결커넥터에 결합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지확인수단(400)의 일단에 구비된 버튼단자(430)를 어싱패드(300)에 연결하고, 타단의 다극잭(420)을 조절기 본체의 접지단자공(702)에 삽입하여 접지하고 그 접지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매트와 어싱패드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난방매트가 전기매트(100)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접지확인케이블(410) 대신에 조절케이블(210)에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이 더 구비되어 조절기(200)와 전기매트(1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은 상기 어싱패드(300)가 전기매트(100)의 어싱연졀단자(502)에 어싱연결선(500)을 통해 연결되고, 전기매트(100)에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단자(450)가 구비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상기 전기매트(100)에 다극잭(420)이 연결되고 상기 다극잭(420)에서 어싱연결선(500)과 접지확인선(452)이 분기되게 연결되어, 상기 어싱연결선(500)과 접지확인선(452)이 어싱패드(300)의 어싱연결단자(502)와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단자(45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전기매트(100)에 각각 어싱연결선(500)과 접지확인선(452)이 연결되어 어싱패드(300)의 어싱연결단자(502)와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단자(45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외 다양한 방법으로 어싱연결선(500)과 접지확인선(452)을 연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전기매트 200,700: 조절기
300: 어싱패드 400: 접지확인수단
500: 어싱연결선 600: 온수매트

Claims (9)

  1.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및
    일단은 상기 조절기나 난방매트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매트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접지확인수단; 을
    포함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2.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및
    일단은 상기 조절기나 어싱패드에 형성되는 접지단자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어싱패드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접지확인수단; 을
    포함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타단에 난방매트나 어싱패드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타단에는 난방매트나 어싱패드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이 형성되되, 절연몸체에 의해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버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인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접지단자공에 삽입되는 것으로 다극 전극이 형성된 다극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단자의 절연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위치되되, 그 절연몸체의 중앙에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이 관통공을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의 단자가 제1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5.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이나 온수배관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는 난방매트;
    상기 난방매트 위에 위치되고 전도성구조물 또는 전도성원단이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도록 퀼팅된 전도성원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방매트와 어싱연결선을 통해 연결되는 어싱패드; 및
    조절케이블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결합되어 난방매트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고 난방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케이블에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이 더 구비되어 그 접지확인선과 접지선의 일단은 조절기나 난방매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난방매트나 조절기에 연결되어 난방매트를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매트나 어싱패드에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접지확인단자가 구비되되, 상기 어싱패드에 접지확인단자가 구비되는 경우 접지확인단자가 난방매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의 본체에는 난방매트와,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접지를 확인하고 그 접지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접지확인회로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확인회로는 조절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제2표시부와,
    상기 난방매트의 접지 유무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점등하고, 난방매트의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접지체크부와,
    상기 접지확인수단이나 접지확인선의 단자에 어싱패드 위에 있는 사용자의 몸이 접촉되는 경우 루프 테스트를 통해 접지 유무를 확인하여, 접지이면 제2표시부에 점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크부는 난방매트가 접지인 경우 점등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 뒷단에 연결되어 난방매트가 접지인 경우 발광과 수광에 의해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KR1020160078391A 2016-06-23 2016-06-23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KR10188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91A KR101882786B1 (ko) 2016-06-23 2016-06-23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91A KR101882786B1 (ko) 2016-06-23 2016-06-23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34A true KR20180000434A (ko) 2018-01-03
KR101882786B1 KR101882786B1 (ko) 2018-07-27

Family

ID=6100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91A KR101882786B1 (ko) 2016-06-23 2016-06-23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7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085B1 (ko) * 2018-05-08 2019-07-19 이다혜 한지를 이용한 어싱 매트
KR102074123B1 (ko) * 2019-03-18 2020-03-02 주식회사 스팀보이 전기매트 전기장 발생 방지용 2핀 플러그의 접지확인 회로
WO2020052203A1 (zh) * 2018-09-11 2020-03-19 张东海 一种电热除螨装置及具有电热除螨功能的垫子
KR102381739B1 (ko) * 2021-10-20 2022-04-04 이우종 접지전위 차폐용 어싱조절기를 구비한 전기매트와 이 전기매트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어싱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83Y1 (ko) * 2019-01-29 2020-09-28 김미나 어싱매트
KR102307669B1 (ko) * 2019-07-10 2021-10-01 (주)월드홈닥터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898Y1 (ko) * 2002-10-16 2003-03-19 송양미 금속사(絲)로 직조한 전자파차단용 매트의 접지선을제공하는 전기장판
KR100968683B1 (ko) 2008-05-23 2010-07-06 이중섭 온수매트에서의 자동접지회로
KR20120133946A (ko) * 2011-06-01 2012-12-11 다온 주식회사 어스링 감지 장치 및 어스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5567B1 (ko) * 2014-10-07 2015-02-25 이광현 전도성 직물원단 및 이 전도성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인체접지용 시트 및 이 인체접지용 시트를 이용한 침구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898Y1 (ko) * 2002-10-16 2003-03-19 송양미 금속사(絲)로 직조한 전자파차단용 매트의 접지선을제공하는 전기장판
KR100968683B1 (ko) 2008-05-23 2010-07-06 이중섭 온수매트에서의 자동접지회로
KR20120133946A (ko) * 2011-06-01 2012-12-11 다온 주식회사 어스링 감지 장치 및 어스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5567B1 (ko) * 2014-10-07 2015-02-25 이광현 전도성 직물원단 및 이 전도성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인체접지용 시트 및 이 인체접지용 시트를 이용한 침구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085B1 (ko) * 2018-05-08 2019-07-19 이다혜 한지를 이용한 어싱 매트
WO2020052203A1 (zh) * 2018-09-11 2020-03-19 张东海 一种电热除螨装置及具有电热除螨功能的垫子
KR102074123B1 (ko) * 2019-03-18 2020-03-02 주식회사 스팀보이 전기매트 전기장 발생 방지용 2핀 플러그의 접지확인 회로
KR102381739B1 (ko) * 2021-10-20 2022-04-04 이우종 접지전위 차폐용 어싱조절기를 구비한 전기매트와 이 전기매트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어싱패드
CN115226387A (zh) * 2021-10-20 2022-10-21 李禹宗 具有接地调节器的电垫和可拆卸地附着在该电垫的接地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786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786B1 (ko)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US10887948B2 (en) Sauna heating panel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82304B1 (ko)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KR100750011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심플형 유해 전자파 차단 조절기
KR101834437B1 (ko) 접지 확인 유닛
US4094322A (en) Therapeutical apparatus using electric field
US5465013A (en) Electric field shielding system for AC electrically powered device with a two-blade plug
CA2899422C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KR100709096B1 (ko) 전자파 차단 발열선
KR20120059071A (ko)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20150022157A (ko)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된 매트 컨트롤러를 갖는 전기매트
KR101208110B1 (ko) 전자파차단 발열선 연결장치
US10278892B2 (en) Printed shield with grounded matrix and pass through solder point systems and methods
CN112587163A (zh) 乳腺托板及乳腺检测成像机
KR200307898Y1 (ko) 금속사(絲)로 직조한 전자파차단용 매트의 접지선을제공하는 전기장판
KR102507751B1 (ko) 저주파 뜸기 세트
KR102628340B1 (ko) 어싱 발열 매트
CN219557636U (zh) 动物实验用电极片、动物实验组件及动物实验装置
JP5282125B2 (ja) 電位・温熱組合せ家庭用電気治療器
US10149975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vice
CN214856829U (zh) 乳腺托板及乳腺检测成像机
CN217691784U (zh) 空调器
KR200293296Y1 (ko) 매트리스 형태의 온열 음전위 자극기용 적층 구조체
JP6405552B2 (ja) ヒータ線及び温熱治療器
US20030106884A1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with low electromagnetic wave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