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340B1 - 어싱 발열 매트 - Google Patents

어싱 발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340B1
KR102628340B1 KR1020210166973A KR20210166973A KR102628340B1 KR 102628340 B1 KR102628340 B1 KR 102628340B1 KR 1020210166973 A KR1020210166973 A KR 1020210166973A KR 20210166973 A KR20210166973 A KR 20210166973A KR 102628340 B1 KR102628340 B1 KR 10262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eating
mat
wire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820A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디엔에이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엔에이, 이동원 filed Critical (주)디엔에이
Priority to KR102021016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3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는, 발열선을 내장하여 발열하는 발열매트층과 상기 발열매트층의 상면 상에 위치되고, 전도성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된 접지커버층을 포함하는 매트부, 상기 발열선의 온도 및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발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조절부와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을 내부에 일체로 포함하는 일체형 케이블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절부와 상기 일체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선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싱 발열 매트{EARTHING HEAT MA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싱 발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전기적인 균형이 깨어지는 경우에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된 정전기는 인체 내에 축적되어 인체의 생체 전기 신경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쳐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부종, 대사 이상, 동맥 경화, 및 활성산소의 생성 등의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어싱(Earthing, 접지)'는 전도성의 인체를 지구의 표면 전하에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싱을 통해 지구 표면에 풍부한 음전하인 자유전하가 인체와 지구 사이를 흐르게 되어 인체 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학제간 연구에 의하면, 인체와 지구 표면의 전기 전도성 접촉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어싱의 효과는 염증, 면역 반응, 상처 치유, 만성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예를 들어, 맨발 걷기 등의 방법으로 흙, 모래와 같은 자연 전도성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방법이 있으나, 도심에서는 이와 같은 활동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맨발 걷기의 대안으로 일상 생활에서 접지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열 매트는 주위에 전계 및 자계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어싱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기파의 폐해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8940호(2020.5.4. 등록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지부재를 사용한 어싱 발열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접속부를 통해서 발열선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접지부재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어싱 발열 매트의 주변 부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는, 발열선을 내장하여 발열하는 발열매트층과 상기 발열매트층의 상면 상에 위치되고, 전도성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된 접지 커버층을 포함하는 매트부, 상기 발열선의 온도 및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발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조절부와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을 내부에 일체로 포함하는 일체형 케이블,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절부와 상기 일체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선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매트부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의 일측이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되도록 고정시키는 접속판, 상기 접속판의 상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는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접속모듈, 상기 일체형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 및 상기 접속판과 결합되어 상기 접속모듈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접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발열선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에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는 5V 내지 30V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DC 전원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판은,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일측이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상기 접지부재의 타측이 결합되어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접속부를 통해서 발열선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접지부재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어싱 발열 매트의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매트부와 접지부재와의 연결 및 접지를 통해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제거하고, 전계 및 자계의 영향 감소, 체내 염증 완화, 수면의 질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DC 전원을 이용하여 감전, 화재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켜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접속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속모듈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접속판에 접지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는, 매트부(100), 접속부(200), 접지부재(300), 조절부(500), DC 전원부(600), 및 일체형 케이블(400)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부(100)는 사용자가 보온을 위해서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발열매트층(110) 및 접지커버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매트층(110)은 발열선(130)을 내장하여 발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선(130)의 내부는 니켈, 크롬 등의 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열선(130)의 외부는 실리콘, 테프론 등의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선(130)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전도성 물질에 의하여 발열이 이루어진다.
접지커버층(120)은 발열매트층(11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전도성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로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박음질로 접지커버층(120)을 발열매트층(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벨크로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접지커버층(120)을 발열매트층(110)에 탈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지평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접지커버층(120)이 발열매트층(110)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지커버층(120)을 접촉시키고, 접지커버층(120)은 후술할 접지부재(300)를 통해 접지선(950)과 연결되어, 접지형 콘센트(미도시)의 접지 단자를 통하여 지구 표면과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접지커버층(12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카본 소재 또는 은(Ag), 구리(Cu) 등의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원사로 제조한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지커버층(120)은 그물망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촘촘하게 밀도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부재(300)는 동판(銅板)과 같은 전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접지커버층(120)과 접촉하여 접지선(950)과 연결될 수 있다. 접지부재(300)는 후술할 접속판(2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조절부(500)는 발열선(130)의 온도 및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500)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발열선(13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발열선(1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 버튼(510)을 통하여 조절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500)의 일측은 DC 전원부(600)에 연결되고, 조절부(500)의 타측은 일체형 케이블(400)과 연결되어, 매트부(100)의 발열선(130)에 직류(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조절부(500)의 일측에는 DC 전원부(600)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전선(900)을 포함하는 전선 케이블(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500)의 다른 일측에 접지선(950)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접지선(950)을 포함하는 접지선 케이블(8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선 케이블(800)과 접지선 케이블(85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의 부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DC 전원부(600)는 조절부(500) 및 발열선(130)에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C 전원부(600)는 예를 들어, 상용 교류 전원을 DC로 변환하는 AC/DC 어댑터이거나, DC 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열선(13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5V ~ 30V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한편, DC 전원부(600)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발열선(130)은 DC 발열선을 사용할 수 있다. DC 발열선은 DC 전원 사용에 적합하도록 미세 형태로 구성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교류 전원 사용시보다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발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에 저전압의 DC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인체에 작용하는 전자기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C 전원부(600)가 AC/DC 어댑터인 경우에 AC/DC 어댑터의 일측과 접지형 플러그(700)와 연결된 연결 케이블(750)로 연결하여, 접지형 플러그(700)를 접지형 콘센트(미도시)와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 케이블(750)은 전선(900)과 접지선(950)이 일체로 포함된 일체형일 수 있다.
한편, 조절부(500)와 DC 전원부(600)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의 부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체형 케이블(400)은 조절부(500)와 발열선(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900) 및 조절부(500)와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된 접지부재(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950)을 내부에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케이블(400)은 전선(900)과 접지선(950)을 내부에 일체로 포함하게 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의 주변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 간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접속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속모듈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접속판에 접지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속부(200)는 매트부(1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조절부(500)와 일체형 케이블(400)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200)의 내부에서는 발열선(130)과 전선(900)의 전기적 연결 및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된 접지부재(300)와 접지선(95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부(200)는 접속판(210), 접속모듈(220), 제1접속부(230) 및 제2접속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속판(210)은 매트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매트부(100)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속판(210)은 매트부(100)의 상부를 감싸고 있는 제1접속판(211)과 매트부(100)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제2접속판(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판(211)은 매트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된 접지부재(300)와 직접 맞닿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접속판(213)은 발열매트층(110)을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판(210)이 접지부재(300)와 매트부(100)를 감싸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판(210)은 접지부재(300)의 일측이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접속판(210)은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속모듈(220)은 접속판(2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속 단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접속 단자(2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221)는 발열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열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접속 단자(2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221)는 접지부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모듈(22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모듈(220)의 복수의 접속 단자(221) 중 일부의 접속 단자(221)는 조절부(500) 및 DC 전원부(600)와 전선(900)을 통하여 발열선(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선(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접지부재(300)와 연결된 일부의 접속 단자(221)와 접지선(9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 내의 정전기나 전자기파 등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제1접속부(230)는, 일체형 케이블(400)과 연결되고 접속모듈(220)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속부(240)는, 제1접속부(230) 및 접속판(210)과 결합되어 접속모듈(22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접속부(230)는 제2접속부(2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접속부(230) 및 제2접속부(240)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속판(21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측이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된 접지부재(300)의 타측이 결합부(215)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와 같이 접속판(210)의 결합부(215)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형태의 결합부(215)는 제1접속판(2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부재(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결합부(215)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접지부재(300)의 일측은 접지커버층(120)과 접촉이 되고, 접지부재(300)의 타측에 형성된 홈이 결합부(215)에 삽입되어 접지부재(300)와 접속판(21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모듈(2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여, 접속모듈(220)의 홈을 결합부(215)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 형태의 결합부(215)를 통해서 접속판(210)에 접지부재(300) 및 접속모듈(220)을 같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돌기 형태의 결합부(215)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은 나사, 볼트 등의 체결부재와 결합하여, 접속모듈(220)과 접지부재(300)를 접속판(210)의 결합부(215)를 통하여 매트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지커버층(120)과 접촉된 접지부재(300)의 상측에 접속판(210)의 제1접속판(211)이 위치되고, 제1접속판(211)의 상측에 접지부재(300)와 접속모듈(220)이 차례로 아래로부터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접속판(210)과 결합부(215)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싱 발열 매트(10)는 하나의 접속부(200) 내부에서 발열선(130)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접지부재(300)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매트부(100)의 주변 부품을 간소화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C 전원을 이용하여 감전, 화재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켜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지부재와의 연결 및 접지를 통해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를 제거하고, 체내 염증 완화, 수면의 질 향상 등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절기 이외의 다른 계절에도 어싱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기파의 폐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어싱 발열 매트
100: 매트부
110: 발열매트층
120: 접지커버층
130: 발열선
200: 접속부
300: 접지부재
400: 일체형 케이블
500: 조절부
600: DC 전원부
700: 접지형 플러그

Claims (6)

  1. 발열선을 내장하여 발열하는 발열매트층과 상기 발열매트층의 상면 상에 위치되고, 전도성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된 접지커버층을 포함하는 매트부;
    상기 발열선의 온도 및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발열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조절부와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을 내부에 일체로 포함하는 일체형 케이블; 및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조절부와 상기 일체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선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및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된 접지부재와 접지선의 전기적 연결이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매트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매트부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의 일측이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되도록 고정시키는 접속판 및
    상기 접속판의 상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는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접속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은,
    상기 매트부의 상부를 감싸고 있는 제1접속판, 상기 매트부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제2접속판, 상기 제1접속판의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형태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의 일측이 상기 접지커버층과 접촉되고,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제1접속판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접지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어싱 발열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일체형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접속부 및 상기 접속판과 결합되어 상기 접속모듈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어싱 발열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발열선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DC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어싱 발열 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에 인가되는 DC 전압의 크기는 5V 내지 30V 범위 내인, 어싱 발열 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DC 전원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어싱 발열 매트.
  6. 삭제
KR1020210166973A 2021-11-29 2021-11-29 어싱 발열 매트 KR10262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73A KR102628340B1 (ko) 2021-11-29 2021-11-29 어싱 발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973A KR102628340B1 (ko) 2021-11-29 2021-11-29 어싱 발열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820A KR20230079820A (ko) 2023-06-07
KR102628340B1 true KR102628340B1 (ko) 2024-01-23

Family

ID=8676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973A KR102628340B1 (ko) 2021-11-29 2021-11-29 어싱 발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3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12B1 (ko) * 2010-03-19 2012-03-16 김경현 직류 전원을 이용한 참숯 발열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34B1 (ko) * 2010-06-22 2012-12-06 주식회사 뉴지로 전기매트용 웨이퍼 핀형 커넥터
KR102108940B1 (ko) 2017-09-01 2020-05-12 (주)이맥이노베이션 전자파 하베스팅 4계절 어싱매트
KR20190115920A (ko) * 2018-04-04 2019-10-14 김민승 전기매트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312B1 (ko) * 2010-03-19 2012-03-16 김경현 직류 전원을 이용한 참숯 발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820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04B1 (ko)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KR200484977Y1 (ko) 어싱용 매트
CN111569261B (zh) 颈椎按摩仪
KR102628340B1 (ko) 어싱 발열 매트
CN100542630C (zh) 无线能量理疗鞋
KR200459521Y1 (ko) 핫팩
KR20180091338A (ko) 어스매트
KR101854305B1 (ko) 전기 자극용 기능성 의복
KR200439942Y1 (ko) 온열조끼용 면상발열체 및 그것을 구비한 온열조끼
KR101253611B1 (ko) 마사지 및 피부미용 겸용 피부미용장치용 핸들
CN218041808U (zh) 发热膜的电热组件、发热膜以及电子热灸仪
KR20100124118A (ko) 부항컵을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KR200409147Y1 (ko) 저주파 슈트
EP2945695B1 (en) Hand-held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ed skin treatment
CN211461121U (zh) 颈椎按摩仪
CN202844360U (zh) 人体除静电装置
KR20030088838A (ko) 전위치료장치
CN211326661U (zh) 用于颈椎按摩仪的按摩组件和颈椎按摩仪
CN205586211U (zh) 便携式按摩靴
CN208893473U (zh) 多穴位可并联补泻治疗电极片
KR102002085B1 (ko) 한지를 이용한 어싱 매트
CN219539254U (zh) 脉冲脚部按摩仪
CN216571200U (zh) 可穿戴式电场治疗设备
CN215994829U (zh) 一种充电座以及艾灸仪
CN220174533U (zh) 用于防治下肢肌萎缩的穴位电刺激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