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669B1 -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 Google Patents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69B1
KR102307669B1 KR1020190083417A KR20190083417A KR102307669B1 KR 102307669 B1 KR102307669 B1 KR 102307669B1 KR 1020190083417 A KR1020190083417 A KR 1020190083417A KR 20190083417 A KR20190083417 A KR 20190083417A KR 102307669 B1 KR102307669 B1 KR 102307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pper
pad
dispos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268A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월드홈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홈닥터 filed Critical (주)월드홈닥터
Priority to KR102019008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4Leading-off electric charges, e.g. by eart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6Screening or neutralising undesirable influences from or using, atmospheric or terrestrial radiation or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Abstract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Earthing)을 통해, 패드의 사용 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정전기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자유전자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패드는 원단; 상기 원단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선천; 상기 동선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단의 외부로 인출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싱 부재는 상기 동선천에 상기 복수의 동선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과, 상기 인출선의 말단에 배치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원단의 윗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ALTERNATIVE MEDICAL FUNCTIONAL PAD THAT CAN IMPROVE USER'S HEALTH BY INJECTING HARMFUL ELEMENTS TO THE HUMAN BODY AND INTRODUCING BENEFICIAL ELEMENTS TO THE HUMAN BODY THROUGH EARTHING THAT CONNECTS USERS WITH NATURE}
본 발명은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에 관한 것이다.
패드는 가정, 헬스장(트레이닝짐), 병원 등의 침대의 시트나 매트 등에 적층되어 배치되거나, 직접 바닥에 깔려 사용자에게 취침, 여가 및 운동 시 편안한 촉감을 제공하며, 부상 등을 방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패드는 시트나 매트 등보다 얇은 형태를 가져, 평상 시 접어서 이불장 등에 보관하기 편리하며, 사용 시에 사용자가 쉽게 운반하여 펼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수요자는 웰빙 라이프와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가지며, 기능성 패드(대체 의학)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한, 기능성 패드로서 세라믹을 이용하여 신체에 이로운 음이온,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패드, 발열 패드 등에 의한 보온성 패드 등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패드에서 수면이나 휴식 등을 취하는 경우, 원단과 인체의 접촉에 의해 인체에 정전기가 축적되며, 인체에 축적된 정전기는 칼슘 등을 파괴하여 인체를 차차 산성화 체질로 변경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 결과, 현대인은 피로감과 무기력감을 쉽게 느끼며, 저항력(면역력)이 떨어져 다양한 질병에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패드를 이용하여 숙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체내의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다면, 현대인의 웰빙 라이프와 삶의 질 향상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0177호, 2015년 4월 14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Earthing)을 통해, 패드의 사용 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정전기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자유전자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패드는 원단; 상기 원단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선천; 상기 동선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단의 외부로 인출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어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싱 부재는 상기 동선천에 상기 복수의 동선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과, 상기 인출선의 말단에 배치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원단의 윗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폭이 높이보다 큰 플레이트 형태이며, 상기 인출선은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외부의 콘센트에 삽입 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버튼과, 접속 완료 시 발광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동선천과 상기 어싱 부재에 의해 인체를 지구에 접지시켜, 체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배출시키고 체내로 자유전자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선천은 복수의 동선과 복수의 실이 상호 교차하도록 짜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선천은 직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선천에서 상기 복수의 동선과 상기 복수의 실의 중량비는 5.5:4.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상기 원단의 내측에 솜과 견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선천을 접지시켜 사용자와 자연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싱(Earthing)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정전기(수면 시, 원단과 사용자의 마찰에 의해 발생)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자유전자를 유입함으로써, 활성 산소를 중화시키고 산성화된 체질을 개선시켜 사용자의 웰빙 라이프를 실현시키는 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싱 부재의 커넥터가 폭이 높이보다 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인출선과 넓은 접촉 면적을 통해 전기적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어싱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가 원단의 윗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인출선이 커넥터의 측면에서 인출됨으로써 컴팩트한 구성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깔끔한 외관을 가지는 패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동선(Copper wire)과 복수의 실을 상호 교차시키는 방직 공정을 통해 직물 형태의 동선천을 마련하여, 동선천이 패드의 형태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거동하기 때문에, 패드를 접어 보관하는 경우 복수의 동선이 손상되지 않으며, 패드의 사용 시 패드의 형태를 불문하고 복수의 동선이 균등하게 분포되는 것을 유지함으로써 어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패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드의 펼쳐지고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드에 의한 어싱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패드를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드의 동선천이 직물 형태로 짜인 사진과 본 발명의 패드의 어싱 부재가 컴팩트한 구성으로 깔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드(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드의 펼쳐지고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패드에 의한 어싱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패드를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패드의 동선천이 직물 형태로 짜인 사진과 본 발명의 패드의 어싱 부재가 컴팩트한 구성으로 깔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패드(100)는 인체를 지구에 접지시켜 어싱 효과(Earthing effect)를 나타낼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패드(100)는 사용자를 자연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즉, 마치 사용자가 자연의 토양 위에서 휴식이나 취침을 취하는 듯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원단(10)과 인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체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배출시키고 체내로 자유전자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몸에서 활성 산소 등을 제거하며 산성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대체 의학, 면역력 증강, 무기력 및 피로감 해소).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패드(100)는 원단(10), 동선천(20) 및 어싱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10)은 커버 부재로서, 면 80%와 폴리(다양한 복합 합성섬유물) 20%로 이뤄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패드(100)의 원단(10)의 원료와 물성과 중량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원단(10)의 내부 공간(원단의 내측)에 동선천(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어싱 부재(30)는 동선천(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단(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동선천(20)은 전도성층으로서, 인체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어싱 효과(Earthing effect)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선천(20)은 동선(Copper wire; 전도성 재질) 55%와 실(일반 섬유실; 비전도성 재질) 45%로 이뤄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패드(100)의 동선천(20)의 원료와 물성과 중량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동선천(20)은 복수의 동선과 복수의 실이 상호 위아래로 교번하여 교차하도록 짜여 형성되며, 따라서 직물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동선천(20)은 경사와 위사 중 하나가 동선이며 나머지 하나가 실로서, 설계적 요청에 따라 다양한 조직구조를 가지는 직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동선천(20)은 동선이 균등하게 배열(일 예로, 복수의 동선이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실은 복수의 동선과 교차하도록 짜인 동시에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 형태를 가질 수 있음)된 하나의 얇은 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동선천(20)이 패드의 형태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거동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100)를 접어 보관하는 경우 복수의 동선이 손상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패드(100)의 사용 시 본 발명의 패드(100)의 형태를 불문하고 복수의 동선이 균등하게 분포되는 것을 유지함으로써 어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어싱 부재(30)는 동선천(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원단(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즉, 동선천(20)은 어싱 부재(30)에 의해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결과, 동선천(20)은 접지되어 사용자가 안착하는 경우, 인체가 지구에 접지되어 체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배출시키고 체내로 자유전자를 유입시키는 어싱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어싱 부재(30)는 커넥터(31), 인출선(32) 및 플러그(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1)는 동선천(20)의 복수의 동선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선천(20) 상에 배치되며 원단(10)의 윗면을 통해 원단(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넥터(31)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동선천(20)의 윗면의 모서리(가장자리) 또는 그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커넥터(31)는 폭이 높이보다 큰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동선천(20)의 복수의 동선과의 접촉 면적(전기적 연결 부분)을 넓혀 어싱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동시에, 컴팩트한 구성을 가져 사용 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인출선(32)은 커넥터(31)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 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출선(32)은 커넥터(31)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패드(100)에서는 어싱 부재(30)의 도전 라인이 깔끔하게 형성될 수 있다(또한, 인출선에 의해 미관을 해치는 것도 방지).
플러그(33)는 인출선(32)의 말단에 배치되어 외부의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33)에는 외부의 콘센트에 삽입 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버튼(33-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러그(33)를 항시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신이 취침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자 버튼(33-1)을 On시켜 어싱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유지 관리 및 사용자 편의성 증대).
또한, 플러그(33)에는 접속 완료 시 발광하는 램프(3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램프(33-2)는 사용자 버튼(33-1)이 On되는 경우에만 발광할 수도 있고, 사용자 버튼(33-1)이 On되고 실제로 어싱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발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본 발명의 패드(100)가 작동하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매트(100)에서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푹신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원단(100)의 내측에 동선천(20)과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동선천(20)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솜(미도시)과 견면(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로, 솜은 “양모 패딩솜”으로서, 양모 100%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견면은 “양모견면”으로서 바이오 섬유 40%(일 예로, 토르마린 섬유; 원적외선 발산 가능)와 양모 30%와 저융점 섬유 30%로 이뤄짐으로써, 생체 적합성, 완충성, 안정성이 고루 분포된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패드(100)에서 견면(40-1)에 토르마린 성분이 함유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의 체온을 36.5℃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환경호르몬 예방 및 간을 회복시켜주며, 세포활성화를 통해 굳은 혈관과 굳은 근육이 풀어져 에너지 전달을 원활하게 해주며, 나아가 음이온 전위작용의 음에너지와 양에너지의 밸런스를 맞추는 효과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패드(100)의 솜과 견면의 원료와 물성과 중량비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패드(1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플러그(33)에 콘센트 주변에 누전된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패드(100)를 누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자 버튼(33-1)을 On시켜 사용함으로써, 누전된 전류가 급작스럽게 동선천(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안전성 향상).
또한, 본 발명의 패드(100)의 다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동선천(20)이 원단(10)의 윗면에 박음질되어 면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원단(10)과 동선천(20)의 접촉 면적 증대로 어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원단;
    상기 원단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단에 의해 감싸지는 동선천; 및
    상기 동선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원단의 외부로 인출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어싱 부재;
    상기 동선천 및 원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선천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솜;
    상기 동선천 및 원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선천의 상측 또는 하측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동선천은 복수의 동선과 복수의 실이 상호 교차하도록 짜여 형성되며,
    상기 동선천은 상기 복수의 동선과 복수의 실이 상호 위아래로 교번하여 교차하도록 짜여 형성된 직물 형태이고,
    상기 동선천은 경사와 위사 중 하나가 동선이고, 나머지 하나가 실이며,
    상기 동선천은 복수의 동선과 복수의 실의 중량비가 5.5:4.5이고,
    상기 동선천은 상기 복수의 동선이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 형태이고, 상기 복수의 실은 상기 복수의 동선과 교차하도록 짜인 동시에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 형태이며,
    상기 어싱 부재는, 상기 원단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동선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과, 상기 인출선의 말단에 배치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선은 상기 커넥터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되며,
    상기 플러그는, 외부의 상기 콘센트에 삽입 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버튼과, 접속 완료 시 발광하는 램프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플러그를 항시 상기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신이 취침을 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버튼을 온(On)시켜 어싱 효과를 발생시키고,
    상기 램프는 상기 사용자 버튼이 온(On)되는 경우에만 발광하고, 사용자 버튼이 온(On)되고 실제로 어싱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발광되며, 사용자는 패드가 작동하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는 폭이 높이보다 큰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복수의 동선과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동선천의 윗면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동선천의 복수의 동선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어싱 효과를 증가시키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원단의 윗면을 통해 상기 원단(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인출선은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서 인출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원단의 윗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원단은 면 80%와 합성섬유 20%로 구성되고,
    상기 솜은 양모 100%로 구성되고,
    상기 견면은 토르마린 성분이 포함된 바이오 섬유 40%, 양모 30% 및 저융점 섬유 30%로 구성되며,
    상기 동선천(20)은 동선 55%와 실 45%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에 배치되고, 상기 콘센트 주변에 누전된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버튼을 온(On)시켜 사용하고, 상기 누전된 전류가 상기 동선천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동선천이 상기 원단의 윗면에 박음질되어 면접촉하여 상기 원단과 동선천의 접촉 면적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동선천과 상기 어싱 부재에 의해 인체를 지구에 접지시켜, 체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배출시키고 체내로 자유전자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83417A 2019-07-10 2019-07-10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KR102307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417A KR102307669B1 (ko) 2019-07-10 2019-07-10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417A KR102307669B1 (ko) 2019-07-10 2019-07-10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268A KR20210007268A (ko) 2021-01-20
KR102307669B1 true KR102307669B1 (ko) 2021-10-01

Family

ID=7430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417A KR102307669B1 (ko) 2019-07-10 2019-07-10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67B1 (ko) * 2014-10-07 2015-02-25 이광현 전도성 직물원단 및 이 전도성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인체접지용 시트 및 이 인체접지용 시트를 이용한 침구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101816885B1 (ko) 2017-04-28 2018-01-09 (주)월드홈닥터 어싱 패드
KR101882786B1 (ko) * 2016-06-23 2018-07-27 최승현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KR101955641B1 (ko) * 2016-07-11 2019-03-07 (주)텍스젠바이오텍 인체접지 카본 온열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177A (ko) 2013-10-04 2015-04-14 황진상 전기 온열 패드 및 제작 방법
KR20180086835A (ko) * 2017-01-24 2018-08-01 김경현 유해한 전자파와 교류 전압 및 전류를 제거하는 어스 패드
KR102069564B1 (ko) * 2017-02-06 2020-01-23 이원진 어스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567B1 (ko) * 2014-10-07 2015-02-25 이광현 전도성 직물원단 및 이 전도성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인체접지용 시트 및 이 인체접지용 시트를 이용한 침구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101882786B1 (ko) * 2016-06-23 2018-07-27 최승현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KR101955641B1 (ko) * 2016-07-11 2019-03-07 (주)텍스젠바이오텍 인체접지 카본 온열 매트
KR101816885B1 (ko) 2017-04-28 2018-01-09 (주)월드홈닥터 어싱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268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76B1 (ko) 어싱 매트
KR101341959B1 (ko) 금속사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및 정전기 방지용 직물
EP3380190B1 (en) Pain relieving fabric
KR102307669B1 (ko)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패드
KR20150106373A (ko) 접지패드
KR102229675B1 (ko) 사용자를 자연과 연결하는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체 의학 기능성 매트
CN101238958A (zh) 多功能毛巾
CN208841979U (zh) 一种医用型床单面料
KR102258764B1 (ko) 토르마린 성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고 세포 활성화를 통해 인체의 에너지 전달을 개선하는 기능성 매트
KR102234871B1 (ko) 어싱패드 어셈블리
CN213113679U (zh) 一种抗菌型石墨烯混纺纱线
CN210144351U (zh) 养生发热体及养生被子
KR102334165B1 (ko) 고속 전철 탑승객이 목적지까지 편안한 휴식을 취하며 개운한 컨디션을 유지하도록 어싱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요소를 배출하고 인체에 유익한 요소를 유입시키는 목베개
CN210617483U (zh) 一种易清洁复合纤维面料
KR102334335B1 (ko) 대체 의학 기능성 매트
CN214354650U (zh) 一种耐磨提花面料
CN209813293U (zh) 一种抗静电羊毛针织面料
CN213128833U (zh) 一种四合一功能针织空气层面料织物
CN210248447U (zh) 一种披风及制作该披风的毛棉双层布
CN211892254U (zh) 一种手感好且舒适柔软的面料
CN216993462U (zh) 无缝印花面料
CN212737328U (zh) 一种嫩肤抗菌针织罗纹面料
CN213972967U (zh) 一种透气防紫外线的泳衣面料
CN216993364U (zh) 一种高稳定性能的增强阻燃尼龙
CN217729888U (zh) 一种抗菌负离子功能性蛋白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