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83Y1 - 어싱매트 - Google Patents

어싱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83Y1
KR200492383Y1 KR2020190000432U KR20190000432U KR200492383Y1 KR 200492383 Y1 KR200492383 Y1 KR 200492383Y1 KR 2020190000432 U KR2020190000432 U KR 2020190000432U KR 20190000432 U KR20190000432 U KR 20190000432U KR 200492383 Y1 KR200492383 Y1 KR 200492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at
earthing
static electricity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756U (ko
Inventor
김미나
Original Assignee
김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나 filed Critical 김미나
Priority to KR2020190000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8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H05F3/025Floors or floor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static charges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싱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매트 내부에 망사형 어싱부재가 설치된 어싱매트의 외주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한 제 1, 2 전도체와 어싱로드선이 구비되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변경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시켜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어싱매트는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룬 어싱부재와 상기 매트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설치된 제 1 전도체와 상기 매트의 원단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체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와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로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가 구비된 어싱로드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어싱매트 {The earthing mat}
본 고안은 어싱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매트 내부에 망사형 어싱부재가 설치된 어싱매트의 외주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한 제 1, 2 전도체와 어싱로드선이 구비되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변경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시켜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어싱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오늘날 각종 전자기기의 발달로 더 많은 전자파의 노출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전자파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통신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파 뿐만 아니라 주로 겨울철에 많이 생기는 정전기도 인체 뿐만 아니라 주유소나 공장 등에서 여러가지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자파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어싱(earthing) 즉, 접지가 알려져 있다. 접지는 전기예방의 목적으로 전기기기와 대지를 연결하여 기기의 전위를 0(제로)으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전자파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는 한 방법인 어싱을 적용하여 사용되는 매트 또는 이불 등의 침구류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원단(12)과 상기 패드 원단(12)의 일측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된 어스용 전도선(14)과 상기 어스용 전도선(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시 인체의 고유저항값에 따른 미소 전위차 발생에 따른 전류 흐름을 제한하는 접지저항(R)과 상기 접지저항(R)에 직열로 연결되어 접지 사용중에 외부요인으로 역기전력에 따른 과도한 전압을 제한하는 서지차단용 다이오드(D) 및 상기 저항(R)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201)를 갖는 접지용 플러그(20)가 포함되어 구성된 어스 패드,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주는 박음질되어 이룬 원단(10)과 상기 박음질되어 이룬 원단(10) 내부 하부에는 표면이 딱딱한 형태로 이루어진 제1견면(20)과 상기 제1견면(20)의 상층부에는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30)와 상기 어싱부재(30)의 상층부에는 어싱부재(30)를 보호함과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줄 수 있도록 표면이 부드러운 형태로 이루어진 제2견면(40)과 상기 어싱부재(30)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제2견면(40)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55 중량%와 토르마린 4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섬유 65 중량%와 양모35 중량%로 이루어진 견면형태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어싱 매트.
이와 같이 종래의 어싱 패드 및 어싱 매트는 내부에 전선과 연결되는 접지용 플러그가 일체로 연결고정되어 있어 콘센트의 위치에 따라 매트의 설치방향이 결정되므로 다양한 위치로 매트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2017-0010779 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633476 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매트 내부에 망사형 어싱부재가 설치된 어싱매트의 외주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한 제 1, 2 전도체와 어싱로드선이 구비되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변경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시켜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어싱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룬 어싱부재와 상기 매트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설치된 제 1 전도체와 상기 매트의 원단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체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와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로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가 구비된 어싱로드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매트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에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전도체가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쿠션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와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의 외주면에 삽입홈과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어싱매트는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매트 내부에 망사형 어싱부재가 설치된 매트의 외주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석이 구비된 제 1,2 전도체와 어싱로드선이 설치되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변경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시켜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도체의 상부에 쿠션부재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취침시 다리를 올리거나, 베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유아가 매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어싱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고안의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실시예.
도 8a는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b는 도 8a에 대한 실시예.
도 9a, 9b는 본 고안의 어싱매트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내지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어싱매트(1)는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110)가 구비된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200)와 상기 매트(100)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310)가 설치된 제 1 전도체(300)와 상기 매트(100)의 원단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410)가 구비되고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430)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400)와 상기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200)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400)로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510)가 구비된 어싱로드선(5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매트(100)의 원단은 다양한 디자인의 화체된 섬유원단 또는 누비원단 등의 섬유층으로 명이나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 레이온이나 아세테이트와 같은 재생섬유,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솜, 깃털, 에어쿠션 등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100) 내부에 설치되는 어싱부재(200)는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유용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100) 내부 상단과 중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싱부재(200)는 금속사로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은사 또는 동사나 카본 소재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만들어지되 전기 전도체로서 판상 형태보다는 매트를 접거나 권취형태로 감겨 보관 및 적재할 수 있도록 망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쿠션재(110)와 어싱부재(200)가 구비된 매트(100)에는 통상적으로 어싱부재의 일측끝단에 외부로 정전기를 배출하기 위해 어싱로드선이 연결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어싱로드선(500)의 위치에 따라 매트(100)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매트(100)의 이동범위가 한계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0)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310)가 설치된 제 1 전도체(300)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 상기 매트(100)의 원단 하단에 제 1 전도체(300)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410)가 구비되며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430)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4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200)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400)로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510)가 구비된 어싱로드선(500)으로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0)의 상부에 위치한 제 1 전도체(300)의 자석부재(310)와 상기 매트(100)의 하부에 위치한 제 2 전도체(400)의 자석부재(410)가 서로 대칭하여 상기 매트(100)를 압입에 의해 부착결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어싱부재(200)에 흡수된 정전기를 상기 제 2 전도체(400)에 연결결합된 어싱로드선(500)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도체(300)과 제 2 전도체(400)가 자석에 의해 부착결합되는 구조로써 누가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콘센트의 위치에 따라 매트(100)를 이동 및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만을 이동하여 콘센트에 어싱로드선(500)의 플러그(510)를 꽂을 수 있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매트(100)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매트(100)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0)에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매트(100)에 양측 끝단에 둘 이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활동 및 취침시 상기 매트(100)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매트(100)에 제 2 전도체(400)가 둘 이상으로 설치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10)와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를 연결하는 연결선(60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트(100)에 제 2 전도체(400)가 둘 이상으로 설치시 각각에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에 어싱로드선(500)을 설치하는 것보다는 제 2 전도체(400)를 연결소켓부(430)에 연결선(600)으로 연결토록하여 하나의 어싱로드선(500)에 의해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매트(100)에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증대할 수 있도록 도 7a,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의 외주면에 삽입홈(360,460)과 돌출된 결합부(370,4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보관시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가 이탈되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서로 결착되어 보관 및 서로 결착되는 구조로써 다양한 모형을 형성할 수 있어 미적감을 더욱더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전도체(300)가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쿠션부재(3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트(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전도체(300)의 상부에 쿠션부재(38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도체(300)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취침시 다리를 올리거나, 베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유아가 매트(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매트(10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어싱부재(200)에 흡수된 정전기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제 2 전도체(400)는 한쌍의 전도체 금, 은, 구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매트(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전도체(300)의 외부가 전도성이 없는 고무, 나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어싱매트(1)는 도 9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110)가 구비된 매트(100)와 상기 매트(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200)와 상기 매트(100)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310)가 설치된 제 1 전도체(300)와 상기 매트(100)의 원단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체(300)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410)가 구비되고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430)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400)와 상기 제 2 전도체(400)의 연결소켓부(430)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200)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400)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510)가 구비된 어싱로드선(5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도록 매트 내부에 망사형 어싱부재(200)가 설치된 매트(100)의 외주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석이 구비된 제 1,2 전도체(300,400)와 어싱로드선(500)이 설치되어 콘센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변경하여 상기 콘센트에 연결시켜 정전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전도체가 자석에 의해 결착되므로써 콘센트에 상기 어싱로드선(500)의 플러그(510)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어싱매트
100 : 매트 110 : 쿠션재
200 : 어싱부재
300 : 제 1 전도체 310 : 자석부재
360 : 삽입홈 370 : 결합부
380 : 쿠션부재
400 : 제 2 전도체 410 : 자석부재
430 : 연결소켓부 460 : 삽입홈
470 : 결합부
500 : 어싱로드선 510 : 플러그
600 : 연결선

Claims (5)

  1. 섬유원단이나 누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와;
    상기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체와 원단이 접촉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룬 어싱부재와;
    상기 매트의 원단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설치된 제 1 전도체와;
    상기 매트의 원단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도체와 결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외주 일측단에는 연결소켓부가 구비되는 제 2 전도체와;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에 결착되어 상기 어싱부재로 흡수된 정전기가 상기 제 2 전도체로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일측단에 플러그가 구비된 어싱로드선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매트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에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 1 전도체와 제 2 전도체의 외주면에 삽입홈과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 전도체가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쿠션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가 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와 제 2 전도체의 연결소켓부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매트.
  5. 삭제
KR2020190000432U 2019-01-29 2019-01-29 어싱매트 KR200492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32U KR200492383Y1 (ko) 2019-01-29 2019-01-29 어싱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32U KR200492383Y1 (ko) 2019-01-29 2019-01-29 어싱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6U KR20200001756U (ko) 2020-08-06
KR200492383Y1 true KR200492383Y1 (ko) 2020-09-28

Family

ID=7203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32U KR200492383Y1 (ko) 2019-01-29 2019-01-29 어싱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50U (ko) 2023-09-04 2023-09-21 이상무 접지극 직접 접속 신체 접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172A (ko) 2022-10-28 2024-05-08 이상수 카본어싱 온수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0Y1 (ko) * 2004-12-16 2005-03-14 이정기 야외용 매트 세트
KR101633476B1 (ko) * 2016-03-08 2016-06-24 (주)월드홈닥터 어싱 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101882786B1 (ko) * 2016-06-23 2018-07-27 최승현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6178A1 (de) 2014-05-02 2015-11-05 Ask Chemicals Gmbh Verfahren zum schichtweisen Aufbau von Körpern umfassend feuerfesten Formgrundstoff und Resole und Formen oder Kerne hergestellt nach diesem Verfahren
KR102069564B1 (ko) * 2017-02-06 2020-01-23 이원진 어스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90Y1 (ko) * 2004-12-16 2005-03-14 이정기 야외용 매트 세트
KR101633476B1 (ko) * 2016-03-08 2016-06-24 (주)월드홈닥터 어싱 매트
KR200484977Y1 (ko) * 2016-05-13 2017-11-15 문석금 어싱용 매트
KR101882786B1 (ko) * 2016-06-23 2018-07-27 최승현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850U (ko) 2023-09-04 2023-09-21 이상무 접지극 직접 접속 신체 접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6U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383Y1 (ko) 어싱매트
KR101882304B1 (ko) 인체 접지 및 전자파 배출 전기매트
KR101495567B1 (ko) 전도성 직물원단 및 이 전도성 직물원단을 포함하는 인체접지용 시트 및 이 인체접지용 시트를 이용한 침구매트
KR101633476B1 (ko) 어싱 매트
WO2015143457A1 (en) Mattress
CN106079456A (zh) 一种多重减震的3d打印机
KR102069564B1 (ko) 어스매트
ES2296494A1 (es) "aparato para compactar circunvoluciones terminales libres de un conjunto de muelles utilizado en colchones".
KR101901889B1 (ko) 방염 및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102220224B1 (ko) 인체 접지매트
US3165761A (en) Spring and molded cushion
CN211431895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坐垫
CN101950891A (zh) 一种弹性插针滤波连接器插座
WO2023133387A1 (en) Grounded mattress
KR20190119256A (ko) 기능성 어싱매트
KR101762855B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CN206819937U (zh) 一种电磁式控制继电器底座
JP2012514306A (ja) 接地ディスクを有する静電放電椅子カバー
KR200455081Y1 (ko) 아기용 놀이 매트
KR20190001621U (ko) 정전기 방지용 매트
CN209675609U (zh) 一种防静电连接器
KR100520332B1 (ko)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200488030Y1 (ko) 한국용 구형 콘센트
EP3300634B1 (en) Anti-radiation anti-smog medical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