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14A -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14A
KR20180000114A KR1020160077863A KR20160077863A KR20180000114A KR 20180000114 A KR20180000114 A KR 20180000114A KR 1020160077863 A KR1020160077863 A KR 1020160077863A KR 20160077863 A KR20160077863 A KR 20160077863A KR 20180000114 A KR20180000114 A KR 20180000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heave
wire
fixed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198B1 (ko
Inventor
유재성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6007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6/00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21B7/028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the drilling apparatus being detachable from the vehicle, e.g. hand portable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제1피드와, 드리프터가 장착되는 제2피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피드를 상기 제1피드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고, 승강 가능한 다단의 피드로 인해 전체적인 피드의 길이를 줄여 컴팩트하게 굴삭기에 거치한 채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A multistage feed frame type drilling apparatus attachable to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고, 승강 가능한 다단의 피드로 인해 전체적인 피드의 길이를 줄여 컴팩트하게 굴삭기에 거치한 채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는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장치는 말뚝기초시공, 토질검사, 지하수개발, 시추,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토류벽 가설 또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압밀촉진공법 등의 목적으로 지반 등과 같은 작업면에 수직 또는 수직에 근사한 방향의 굴착공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공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159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천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공급장치(220)가 마련된 본체(200)와, 본체(200)에 의해 지지되는 리더(300)와, 리더(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호스(221)에 의해 유압공급장치(220)에 연결되고, 유압공급장치(220)로부터 상기 유압호스(221)를 통해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사면을 천공하는 천공유닛(400)과, 유압호스(221)에 설치되어 유압호스(221)를 가열하는 호스가열부(500)를 구비한다. 또한, 천공유닛(400)은 리더(3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헤드부(410)와, 헤드부(410)를 슬라이딩시키는 헤드 구동부(미도시)와, 헤드부(410)에 결합되어 헤드부(410)에 의해 이동하며 지면을 천공하는 로드(420)를 구비하며, 로드(420)의 하단부에는 지면 굴착을 위한 비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천공장치는 단일로 구성된 리더의 전체적인 길이로 인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 등에서 리더 및 천공유닛이 거치된 상태로 본체가 이동하는 것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천공장치는 단일로 구성된 리더의 전체적인 길이로 인해 컴팩트하게 운반 및 보관하는 것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천공장치는 천공장치로만 사용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굴삭기의 암에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거치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5-0140159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고, 승강 가능한 다단의 피드로 인해 전체적인 피드의 길이를 줄여 컴팩트하게 굴삭기에 거치한 채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는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제1피드와, 드리프터가 장착되는 제2피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피드를 상기 제1피드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피드와 상기 제2피드 사이에는 상기 제2피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피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피드의 일측에는 제1시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피드의 타측에는 제2시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에는 제1와이어가 걸리되, 상기 제1와이어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1피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에는 상기 드리프터가 고정되고, 상기 드리프터는 상기 제2피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2피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피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시브와, 상기 제1피드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4시브와, 상기 제3시브와 상기 제4시브에 걸리고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2피드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3시브와 상기 제4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2피드의 일면에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피드에 설치된 제1와이어브라켓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일반적인 굴삭기의 암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천공작업 외에 버켓작업이나 브레이커작업이 필요한 경우 굴삭기의 암에서 천공장치를 분리하고 버켓작업이나 브레이커작업 관련 어태치먼트로 교체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대의 굴삭기로 버켓작업이나 브레이커작업 또는 천공작업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므로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승강 가능한 다단의 피드로 인해 전체적인 피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컴팩트하게 굴삭기에 장착하여 거치한 채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 등에서도 굴삭기에 장착한 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종래와 같이 길이가 긴 단일의 피드가 아닌 길이가 짧은 다단의 피드로 구성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장소에 운반 및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1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굴삭기(10)의 암(11)에 장착되는 제1피드(100)와, 드리프터(300)가 장착되는 제2피드(200)를 구비하되, 제2피드(200)를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피드(1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피드(100)는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진다. 제1피드(100)의 후면 중앙 부근에는 장착부(110)가 고정설치된다. 제1피드(100)는 장착부(110)가 굴삭기(10)의 암(11)에 체결됨에 따라 굴삭기(10)에 장착되고, 장착부(110)가 굴삭기(10)의 암(11)에서 이탈됨에 따라 굴삭기(10)에서 분리된다. 즉, 제1피드(100)는 장착부(110)를 통해 굴삭기(10)의 암(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가 굴삭기(10)에 착탈 가능한 것이다. 제1피드(100)의 하단부는 굴삭기(10) 암(11)의 조정을 통해 천공작업을 실시할 작업면(G)에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제1피드(100)는 굴삭기(10) 암(11)의 조정을 통해 작업면(G)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피드(100)의 상단 전방측에는 제1와이어브라켓(120)이 고정설치된다. 제1와이어브라켓(120)은 제1피드(100)의 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와이어브라켓(120)은 후술할 제1와이어(23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1피드(100)의 전방에는 제2피드(200)가 설치된다. 제2피드(2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피드(200)는 제1피드(10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진다. 제2피드(200)는 후술할 승강수단(400)에 의해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피드(200)의 일측에는 제1시브(210)가 설치되고, 제2피드(200)의 타측에는 제2시브(22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시브(210)는 제2피드(200)의 우측면 상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시브(220)는 제2피드(200)의 우측면 하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후술할 제1와이어(230)와 함께 제1와이어(230)에 고정된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는 제1와이어(230)가 걸린다. 제1와이어(230)는 전체적으로 평행걸이의 형태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와이어(230)는 적어도 일측이 제1피드(100)에 고정된다. 제1와이어(230)는 별도의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로 이루어진다.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는 각각 양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는 줄의 형태를 가진다. 제1상부와이어(231)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1하부와이어(232)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와이어(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로 구성되어 있지만, 폐루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 걸린 채 일측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드리프터(3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피드(200)에는 드리프터(30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리프터(300)는 제1와이어(230)에 고정되어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를 통해 제2피드(200)에 장착된다. 드리프터(300)는 회전력과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후술할 승강수단(400)에 의해 승강되는 제2피드(200)의 승강에 따라 제2피드(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된다.
드리프터(300)의 구동축(31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320)가 장착된다. 로드(320)는 드리프터(300)의 구동축(31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로드(320)는 구동축(310)의 회전력 및 타격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비트(3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로드(320)는 제1피드(100)의 하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로드가이드(1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확하게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로드(320)의 하단부에는 비트(330)가 장착된다. 비트(330)는 로드(320)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비트(330)는 로드(320)를 통해 전달받은 드리프터(300)의 회전력 및 타격력을 천공작업이 필요한 작업면(G)에 가하여 작업면(G)에 구멍을 뚫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트(330)가 작업면(G)에 구멍을 뚫으면서 생기는 분진 등은 제1피드(100)의 하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로드가이드(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후드(140)를 통해 집진된다.
제1피드(100)와 제2피드(200)에는 제2피드(200)를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400)은 제1피드(100)와 제2피드(200)에 연결된다. 승강수단(400)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써 실린더(410)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를 포함한다. 실린더(410)는 제1피드(100)에 구비된다. 실린더(410)는 제1피드(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나 제1피드(10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실린더(410)의 내부에는 피스톤(미도시)이 설치된다. 피스톤(미도시)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피스톤(미도시)에는 피스톤로드(420)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피스톤로드(420)는 일측이 피스톤(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피드(20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로드(420)는 하단측이 피스톤(미도시)에 고정되고, 상단측이 제2피드(200)의 상단 후면에 고정설치된 연결부(240)에 고정된다. 피스톤로드(420)는 피스톤(미도시)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피스톤로드(420)에 고정된 제2피드(20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수단(400)이 구동하여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로드(420)가 하강하게 되면 연결부(240)를 통해 피스톤로드(420)의 상단에 고정된 제2피드(200)는 피스톤로드(420)의 하강에 따라 함께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제2시브(210)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제1하부와이어(232)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하측으로 끌려 내려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가 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비트(330)는 하강하는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로 인해 작업면(G)에 압력을 가하면서 구멍을 뚫게 된다.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로드(320)를 분리하고,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가 하강한 상태로 컴팩트하게 장치를 굴삭기(10)에 거치 및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제2피드(200)를 하강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높이)가 줄어들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에서도 굴삭기(10)에 장치를 거치한 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수단(400)이 구동하여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로드(420)가 상승하게 되면 연결부(240)를 통해 피스톤로드(420)의 상단에 고정된 제2피드(200)는 피스톤로드(420)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시브(210)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제1상부와이어(231)를 누르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의 상승함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 제2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제1피드(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시브(150)와, 제1피드(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4시브(160)와, 제3시브(150)와 제4시브(160)에 걸리고 적어도 일측이 제2피드(200)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170) 및, 제3시브(150)와 제4시브(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제2피드(200)를 승강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400')은 제3시브(150), 제4시브(160), 제2와이어(170)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3시브(150)는 제1피드(100)의 우측면 상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4시브(160)는 제1피드(100)의 우측면 하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3시브(150)와 제4시브(160)에는 제2와이어(170)가 걸린다. 제2와이어(170)는 전체적으로 평행걸이의 형태로 제3시브(150)와 제4시브(16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와이어(170)는 하나의 줄의 형태를 가지며, 양단부가 만나지 않는다. 제2와이어(170)는 적어도 일측이 제2피드(200)에 고정된다. 제2와이어(170)는 상부가 제3시브(150)의 상부에 걸리고, 하부가 제4시브(160)의 하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2피드(200)의 하단부에서 후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와이어브라켓(25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제2와이어브라켓(25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2와이어(170)는 하나의 줄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폐루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3시브(150)와 제4시브(160)에 걸린 채 일측이 제2와이어브라켓(25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3시브(150)에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모터(미도시)는 제3시브(150)에 결합되어 제3시브(1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3시브(1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피드(200)는 승강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미도시)는 제3시브(150)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4시브(160)에 설치되거나 제3시브(150) 및 제4시브(16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피드(100)에는 가이드부(510)가 설치되고, 가이드부(5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바(520)가 삽입설치된다. 가이드바(520)의 상단부는 제2피드(200)의 상단 후방측에 고정된 연결부(24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510)와 가이드바(520)는 제1피드(100)에 대한 제2피드(200)의 승강을 정확히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제2피드(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제3시브(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4시브(160) 및 제2와이어(17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피드(200)의 제2와이어브라켓(250) 하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170)의 단부가 제2피드(200)를 끌어내리므로 제2피드(200)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제2시브(220)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제1하부와이어(232)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하측으로 끌려 내려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은 모터(미도시)가 제3시브(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비트(330)는 하강하는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로 인해 작업면(G)에 압력을 가하면서 구멍을 뚫게 된다.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로드(320)를 분리하고,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가 하강한 상태로 컴팩트하게 장치를 굴삭기(10)에 거치 및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제2피드(200)를 하강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높이)가 줄어들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에서도 굴삭기(10)에 장치를 거치한 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제3시브(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4시브(160) 및 제2와이어(17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피드(200)의 제2와이어브라켓(250) 상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170)의 단부가 제2피드(200)를 끌어올리므로 제2피드(200)는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시브(210)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제1상부와이어(231)를 누르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은 모터(미도시)가 제3시브(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 제3실시예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제1피드(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부(180)와, 제2피드(200)의 일면에 길게 설치되어 제1기어부(180)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260) 및, 제1기어부(180)를 구동시켜 제2피드(200)를 승강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400")은 제1기어부(180), 제2기어부(260) 및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180)는 제1피드(100)의 우측면 상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기어부(180)는 피니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롤러체인일 수도 있다.
제2기어부(260)는 제2피드(200)의 후면에 길게 설치되어 제1기어부(180)와 치합된다. 제2기어부(260)는 제1기어부(18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제2기어부(260)는 제1기어부(180)가 피니언일 경우에 랙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기어부(180)가 롤러체인일 경우에 스프로킷일 수도 있다.
제1기어부(180)에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모터(미도시)는 제1기어부(180)에 결합되어 제1기어부(18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1기어부(18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기어부(180)와 치합된 제2기어부(260)에 의해 제2피드(200)는 승강된다. 이때, 제1피드(100)는 제1기어부(180)의 회전과 제2기어부(260)의 직선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면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드(100)에는 가이드부(510)가 설치되고, 가이드부(51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바(520)가 삽입설치된다. 가이드바(520)의 상단부는 제2피드(200)의 상단 후방측에 고정된 연결부(24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510)와 가이드바(520)는 제1피드(100)에 대한 제2피드(200)의 승강을 정확히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제2피드(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제1기어부(1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기어부(180)와 치합된 제2기어부(260)가 제1기어부(180)의 회전운동을 하측으로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제2피드(200)를 하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제2피드(200)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제2시브(220)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제1하부와이어(232)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하측으로 끌려 내려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은 모터(미도시)가 제1기어부(1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비트(330)는 하강하는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로 인해 작업면(G)에 압력을 가하면서 구멍을 뚫게 된다.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로드(320)를 분리하고,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가 하강한 상태로 컴팩트하게 장치를 굴삭기(10)에 거치 및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제2피드(200)를 하강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높이)가 줄어들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에서도 굴삭기(10)에 장치를 거치한 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및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가 구동하여 제1기어부(1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기어부(180)와 치합된 제2기어부(260)가 제1기어부(180)의 회전운동을 상측으로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제2피드(200)를 상측으로 안내함으로써 제2피드(200)는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시브(210)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제1상부와이어(231)를 누르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은 모터(미도시)가 제1기어부(1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 제4실시예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의 천공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는, 제1피드(100)와 제2피드(200) 사이에 제2피드(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피드(600)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1피드(1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피드(100)는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진다. 제1피드(100)의 후면 중앙 부근에는 장착부(110)가 고정설치된다. 제1피드(100)는 장착부(110)가 굴삭기(10)의 암(11)에 체결됨에 따라 굴삭기(10)에 장착되고, 장착부(110)가 굴삭기(10)의 암(11)에서 이탈됨에 따라 굴삭기(10)에서 분리된다. 즉, 제1피드(100)는 장착부(110)를 통해 굴삭기(10)의 암(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가 굴삭기(10)에 착탈 가능한 것이다. 제1피드(100)의 하단부는 굴삭기(10) 암(11)의 조정을 통해 천공작업을 실시할 작업면(G)에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제1피드(100)는 굴삭기(10) 암(11)의 조정을 통해 작업면(G)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피드(100)의 상단 전방측에는 제1와이어브라켓(120)이 고정설치된다. 제1와이어브라켓(120)은 제1피드(100)의 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1와이어브라켓(120)은 후술할 제3와이어(64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1피드(100)의 전방에는 중간피드(600)가 설치된다. 중간피드(6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중간피드(600)는 제1피드(10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진다. 중간피드(600)는 후술할 승강수단(400)에 의해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중간피드(600)의 일측에는 제5시브(610)가 설치되고, 중간피드(600)의 타측에는 제6시브(62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5시브(610)는 중간피드(600)의 우측면 상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6시브(620)는 중간피드(600)의 우측면 하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는 후술할 제3와이어(640)와 함께 제3와이어(640)에 고정된 후술할 제2피드(2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학을 한다.
중간피드(600)의 상단 전방측에는 제3와이어브라켓(630)이 고정설치된다. 제3와이어브라켓(630)은 중간피드(600)의 상단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3와이어브라켓(630)은 후술할 제1와이어(23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에는 제3와이어(640)가 걸린다. 제3와이어(640)는 전체적으로 평행걸이의 형태로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와이어(640)는 적어도 일측이 제1피드(100)에 고정된다. 제3와이어(640)는 별도의 제2상부와이어(641)와 제2하부와이어(642)로 이루어진다. 제2상부와이어(641)와 제2하부와이어(642)는 각각 양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는 줄의 형태를 가진다. 제2상부와이어(641)는 제5시브(610)의 상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2피드(200)의 제2와이어브라켓(250)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2하부와이어(642)는 제6시브(620)의 하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제2피드(200)의 제2와이어브라켓(250)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3와이어(6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제2상부와이어(641)와 제2하부와이어(642)로 구성되어 있지만, 폐루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에 걸린 채 일측이 제1와이어브라켓(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피드(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중간피드(600)의 전방에는 제2피드(200)가 설치된다. 제2피드(2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피드(200)는 제1피드(100) 및 중간피드(60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바의 형상을 가진다. 제2피드(200)는 후술할 승강수단(400) 및 중간피드(600)에 의해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피드(200)의 하단 후방측에는 제2와이어브라켓(250)이 고정설치된다. 제2와이어브라켓(250)은 제2피드(200)의 하단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와이어브라켓(250)은 제3와이어(64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제2피드(200)의 일측에는 제1시브(210)가 설치되고, 제2피드(200)의 타측에는 제2시브(220)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시브(210)는 제2피드(220)의 우측면 상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시브(220)는 제2피드(200)의 우측면 하단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후술할 제1와이어(230)와 함께 제1와이어(230)에 고정된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는 제1와이어(230)가 걸린다. 제1와이어(230)는 전체적으로 평행걸이의 형태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와이어(230)는 적어도 일측이 중간피드(600)에 고정된다. 제1와이어(230)는 별도의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로 이루어진다.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는 각각 양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는 줄의 형태를 가진다. 제1상부와이어(231)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3와이어브라켓(63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상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1하부와이어(232)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채, 일단이 제3와이어브라켓(63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드리프터(300)의 하측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와이어(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제1상부와이어(231)와 제1하부와이어(232)로 구성되어 있지만, 폐루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에 걸린 채 일측이 제3와이어브라켓(630)에 고정되고, 타측이 드리프터(3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피드(200)와 중간피드(600) 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부(510) 및 가이드바(520)가 설치되어 제2피드(200)의 승강을 정확히 하고, 제2피드(200)를 중간피드(60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피드(200)에는 드리프터(30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리프터(300)는 제1와이어(230)에 고정되어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를 통해 제2피드(200)에 장착된다. 드리프터(300)는 회전력과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후술할 승강수단(400)에 의해 승강되는 중간피드(600) 및 제2피드(200)의 승강에 따라 중간피드(600) 및 제2피드(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된다.
드리프터(300)의 구동축(310)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드(320)가 장착된다. 로드(320)는 드리프터(300)의 구동축(31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로드(320)는 구동축(310)의 회전력 및 타격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비트(3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로드(320)는 제1피드(100)의 하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로드가이드(13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확하게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로드(320)의 하단부에는 비트(330)가 장착된다. 비트(330)는 로드(320)의 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다. 비트(330)는 로드(320)를 통해 전달받은 드리프터(300)의 회전력 및 타격력을 천공작업이 필요한 작업면(G)에 가하여 작업면(G)에 구멍을 뚫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트(330)가 작업면(G)에 구멍을 뚫으면서 생기는 분진 등은 제1피드(100)의 하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고, 로드가이드(130)의 하부에 설치되는 후드(140)를 통해 집진된다.
제1피드(100)와 중간피드(600)에는 제2피드(200), 중간피드(600) 및 드리프터(300)를 제1피드(10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400)은 제1피드(100)와 중간피드(600)에 연결된다. 승강수단(400)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써 실린더(410)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를 포함한다. 실린더(410)는 제1피드(100)에 구비된다. 실린더(410)는 제1피드(1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나 제1피드(100)의 외측에 고정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실린더(410)의 내부에는 피스톤(미도시)이 설치된다. 피스톤(미도시)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피스톤(미도시)에는 피스톤로드(420)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피스톤로드(420)는 일측이 피스톤(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이 중간피드(60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로드(420)는 하단측이 피스톤(미도시)에 고정되고, 상단측이 중간피드(600)의 상단 후면에 고정설치된 연결부(240)에 고정된다. 피스톤로드(420)는 피스톤(미도시)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피스톤로드(420)에 고정된 중간피드(600), 중간피드(600)에 연결된 제2피드(200) 및 제2피드(200)에 연결된 드리프터(30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피드(100)와 제2피드(200) 사이에 중간피드(600)가 하나 설치되어 있으나 중간피드(600)의 설치개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중간피드(600) 및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수단(400)이 구동하여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로드(420)가 하강하게 되면 연결부(240)를 통해 피스톤로드(420)의 상단에 고정된 중간피드(600)는 피스톤로드(420)의 하강에 따라 함께 하강하게 된다.
또한, 중간피드(600)에 설치된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도 중간피드(60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제6시브(610)는 제6시브(610)의 하부에 걸린 제2하부와이어(642)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2상부와이어(641)의 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2상부와이어(641)의 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전방측 단부가 하측으로 끌려 내려오게 됨으로써 제2상부와이어(641)의 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제2피드(200)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제2시브(220)는 제2시브(220)의 하부에 걸린 제1하부와이어(232)를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중간피드(6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가 하측으로 끌려 내려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중간피드(600)와 드리프터(300)의 하강작동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가 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비트(330)는 하강하는 제2피드(200), 중간피드(600) 및 드리프터(300)로 인해 작업면(G)에 압력을 가하면서 구멍을 뚫게 된다.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로드(320)를 분리하고, 제2피드(200)와 중간피드(600)와 드리프터(300)가 하강한 상태로 컴팩트하게 장치를 굴삭기(10)에 거치 및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제2피드(200) 및 중간피드(600)를 하강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높이)가 줄어들어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많은 작업현장에서도 굴삭기(10)에 장치를 거치한 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피드(200), 중간피드(600) 및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수단(400)이 구동하여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로드(420)가 상승하게 되면 연결부(240)를 통해 피스톤로드(420)의 상단에 고정된 중간피드(600)는 피스톤로드(420)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중간피드(600)에 설치된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도 중간피드(60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5시브(610)는 제5시브(610)의 상부에 걸린 제2상부와이어(641)를 누르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는 작업면(G)에 지지된 제1피드(100)에 제2상부와이어(641)의 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5시브(610)와 제6시브(6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2상부와이어(641)의 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오게 됨으로써 제2상부와이어(641)의 전방측 단부 및 제2하부와이어(64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제2피드(2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피드(200)에 설치된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도 제2피드(200)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1시브(210)는 제1시브(210)의 상부에 걸린 제1상부와이어(231)를 누르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는 중간피드(600)에 제1상부와이어(231)의 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후방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1시브(210)와 제2시브(2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32)의 전방측 단부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오게 됨으로써 제1상부와이어(231)의 전방측 단부 및 제1하부와이어(232)의 전방측 단부에 고정된 드리프터(3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제2피드(200)와 중간피드(600)와 드리프터(300)의 상승작동은 피스톤(미도시)과 피스톤로드(420)의 상승함에 따라 동시에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굴삭기 11 : 암
100 : 제1피드 110 : 장착부
120 : 제1와이어브라켓 130 : 로드가이드
140 : 후드 150 : 제3시브
160 : 제4시브 170 : 제2와이어
180 : 제1기어부 200 : 제2피드
210 : 제1시브 220 : 제2시브
230 : 제1와이어 231 : 제1상부와이어
232 : 제1하부와이어 240 : 연결부
250 : 제2와이어브라켓 260 : 제2기어부
300 : 드리프터 310 : 구동축
320 : 로드 330 : 비트
400, 400', 400" : 승강수단 410 : 실린더
420 : 피스톤로드 510 : 가이드부
520 : 가이드바 600 : 중간피드
610 : 제5시브 620 : 제6시브
630 : 제3와이어브라켓 640 : 제3와이어
641 : 제2상부와이어 642 : 제2하부와이어
G : 작업면

Claims (8)

  1.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제1피드;
    드리프터가 장착되는 제2피드;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피드를 상기 제1피드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와 상기 제2피드 사이에는 상기 제2피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피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드의 일측에는 제1시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피드의 타측에는 제2시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시브와 상기 제2시브에는 제1와이어가 걸리되,
    상기 제1와이어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1피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에는 상기 드리프터가 고정되고,
    상기 드리프터는 상기 제2피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2피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에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 및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피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시브;
    상기 제1피드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4시브;
    상기 제3시브와 상기 제4시브에 걸리고 적어도 일측이 상기 제2피드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3시브와 상기 제4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켜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1피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피드의 일면에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2피드를 승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피드에 설치된 제1와이어브라켓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KR1020160077863A 2016-06-22 2016-06-22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KR10188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63A KR101885198B1 (ko) 2016-06-22 2016-06-22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863A KR101885198B1 (ko) 2016-06-22 2016-06-22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14A true KR20180000114A (ko) 2018-01-02
KR101885198B1 KR101885198B1 (ko) 2018-08-03

Family

ID=6100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863A KR101885198B1 (ko) 2016-06-22 2016-06-22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99Y1 (ko) * 2021-12-07 2023-05-30 박준범 코아 텐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931B1 (ko) 2021-01-08 2021-07-02 조정연 굴삭기 장착용 천공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68A (ja) * 1996-06-20 1998-01-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JPH10306675A (ja) * 1997-05-08 1998-11-1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KR20050012471A (ko) * 2003-07-25 2005-02-02 이광섭 지하수 개발용 시추기의 시추로드 인양장치
KR100927850B1 (ko) * 2007-12-28 2009-11-24 황영인 굴착기용 오거
KR20150140159A (ko) 2014-06-05 2015-12-15 인석신 천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68A (ja) * 1996-06-20 1998-01-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JPH10306675A (ja) * 1997-05-08 1998-11-17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土木・建設機械のリーダアタッチメント
KR20050012471A (ko) * 2003-07-25 2005-02-02 이광섭 지하수 개발용 시추기의 시추로드 인양장치
KR100927850B1 (ko) * 2007-12-28 2009-11-24 황영인 굴착기용 오거
KR20150140159A (ko) 2014-06-05 2015-12-15 인석신 천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899Y1 (ko) * 2021-12-07 2023-05-30 박준범 코아 텐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198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234Y1 (ko) 굴삭기 장착용 코어 드릴 장치
KR101885198B1 (ko) 굴삭기에 장착 가능한 다단 피드 프레임형 천공장치
CN110671049B (zh) 用于岩土层钻进与灌注的钻挖桩机及其使用方法
KR200483435Y1 (ko) 굴삭기용 천공작업기
CN201306118Y (zh) 液压竖井钻机
CN207673278U (zh) 一种四臂岩石打孔装置及设有该装置的四臂岩石打孔机
CN107905729B (zh) 一种四臂岩石打孔装置及设有该装置的四臂岩石打孔机
CN202325266U (zh) 矿用大倾角穿层抽放钻机
JP5290463B1 (ja) ハンマーグラブ及び低空頭型掘削装置
CN211144391U (zh) 一种取样钻机
CN104631536B (zh) 一种角度可调的斜向挖孔机
KR100927850B1 (ko) 굴착기용 오거
JP5851774B2 (ja) フィードストロークを変更可能な低空頭用掘削装置
JP3582005B2 (ja) 杭打機
CN202954363U (zh) 引孔式静压桩机
CN214194709U (zh) 挖坑机
CN205711681U9 (zh) 液压顶管注浆机
CN108755684A (zh) 打桩机的拔桩系统
CN201794531U (zh) 钻机动力头的升降装置
CN108755686A (zh) 打桩机的沉桩系统
JP2015098736A (ja) ハンマーグラブ
KR101669636B1 (ko) 파일드라이브 전용크레인 리더의 안전장치
CN218912532U (zh) 一种双侧起塔式坑道钻机
JP7236756B2 (ja) 建設機械
CN117627529B (zh) 一种带有送料通道的隧道爆破钻孔设备及钻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