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344A -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344A
KR20170143344A KR1020160077468A KR20160077468A KR20170143344A KR 20170143344 A KR20170143344 A KR 20170143344A KR 1020160077468 A KR1020160077468 A KR 1020160077468A KR 20160077468 A KR20160077468 A KR 20160077468A KR 20170143344 A KR20170143344 A KR 2017014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erminal
package
por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394B1 (ko
Inventor
정준희
이혁
Original Assignee
(주)플렉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렉스컴 filed Critical (주)플렉스컴
Priority to KR102016007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는, 포터블 스마트 기기, 상기 스마트 기기를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유연 케이스, 상기 유연 케이스에 인서트 되는 유연 패키지, 및 상기 유연 케이스에서 노출 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유연 패키지를 데이터 연결하고, 필요 시 외부 충전 단자와도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통신 중에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detachable multi connector}
본 발명은, 유연 케이스에 탑재되어 스마트 기기와 외장 메모리를 데이터 연결하고 외부 충전 케이블/데이터 케이블과도 연결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보호하는 하드 케이스는 물론이고 유연 케이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외장 메모리를 유연하게 설계하고, 스마트 기기가 외장 메모리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중에도 외부 전원으로부터 배터리 충전 혹은 외부 기기와 비디오 기타 데이터 통신(이하, 충전 기능이라고 약한다.)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기기와 외장 메모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충전 기능의 멀티로 구성하는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체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고급화되는 추세에 부응하여 휴대폰의 외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폰 케이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폰 케이스는 휴대폰에 흠집을 예방하거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바닥에 떨어뜨렸을 때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휴대용 외장 메모리는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시로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로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 등에 마련되는 USB 포트에 삽입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외장 메모리는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스마트 기기의 USB 포트에 간단하게 삽입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고,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10-1257297에서는 이러한 USB를 휴대용 폰 케이스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위 기술은 외장 메모리 크기가 작아 분실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용 폰 케이스에 탈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 폰 케이스의 여유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외장 메모리를 배치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본체와 연결하여 그 저장 기능을 확장하는데 사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외장 메모리를 휴대용 폰 케이스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폰 케이스가 하드(hard)한 경우에는 외장 메모리를 내장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프트(soft)한 경우에는 외장 메모리를 탑재하면 케이스를 휴대폰에 장착할 때 폰 케이스가 굽어지지만 외장 메모리는 굽어지지 않아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탈부착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10-125729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질 케이스에 외장 메모리를 탑재할 때 연질 케이스가 휘어지더라도 메모리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질 케이스 내부에 외장 메모리를 탑재하고, 스마트 기기의 단자와 외장 메모리의 단자를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하는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외장 메모리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와중에도 메모리 동작을 하면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거나 비디오 데이터 통신 등 스마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는, 포터블 스마트 기기, 상기 스마트 기기를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유연 케이스, 상기 유연 케이스에 인서트 되는 유연 패키지, 및 상기 유연 케이스에서 노출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유연 패키지를 데이터 연결하고, 필요 시 외부 충전 단자와도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유연 케이스에 유연 패키지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를 구부린 상태로 기기에 반복적으로 탈 부착하더라도 패키지 기능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케이스 전체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연질의 유연 패키지를 스마트 기기의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려면, 단말기 단자와 체결되는 커넥터 구조를 제공해야 하는데, 유연 PCB 보드와 커넥터를 일체로 제공하여, 여기에 충전 단자와 단말기 단자를 탈 부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제품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 상품성이 높아진다.
셋째, 외장 메모리와 데이터 송수신 중에도 외부 전원과 배터리 충전/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등을 위하여 커넥터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이를 동시에 서비스 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기기와 이를 보호하는 유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연 외장 메모리가 탑재되는 유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2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 메모리의 구성을 다양한 실시예로 각각 나타내는 측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러 가지 유연 PCB 보드의 구성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연 PCB 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연 PCB 보드를 형성하는 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커넥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와 유연 외장 메모리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는, 포터블 스마트 기기(10), 이를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유연 케이스(20), 및 유연 케이스(20)에 인서트 되는 유연 외장 메모리(10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기기(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유연 케이스(20)에 탑재되는 유연 외장 메모리(100)는, 유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유연 패키지(110), 및 유연 패키지(110)를 스마트 기기(10) 그리고 외부 충전 전원(30)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10)는, 디스플레이 혹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로서, 통상의 스마트 폰(smart phone) 이외에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기타 이와 유사한 기능의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 케이스(20)는, 스마트 기기(10)의 배면 및 측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10)의 배면 및 측면을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일면 연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스마트 기기(10)의 배면에 장착되고, 힌지를 이용하여 전면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양면 연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유연 케이스(20)는 연질로서 소정 두께를 가지는 가죽 커버, 고무 커버, 혹은 연질 플라스틱 커버 등으로 구성되는데, 유연 케이스(20)에는 유연 패키지(110)가 탑재된다. 여기서 유연 케이스(20)는 굽어지거나 휘어질 수 있어 별도의 탈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에 결합 및 해제되지 않으며, 케이스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0)의 에지(edge)에 쉽게 결합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연 패키지(110)는, 전술한 배면 혹은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유연 케이스(20) 자체가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라도, 굽어지거나 위아래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탑재되는 유연 패키지(110)는 플렉서블(flexible)하게 휘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때, 반도체 패키지가 휘어지면 PCB 보드 및 메모리 반도체 다이에 국부적으로 인장 응력이나 압축 응력이 작용하여 PCB 보드에 포함된 배선 패턴이 손상되거나 메모리 반도체 다이가 박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유연 패키지(110)는, 유연 PCB 보드(112), 유연 PCB 보드(112) 상에 접착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적층되고 유연 PCB 보드(112)에 와이어 본딩(도면부호 없음), 플립칩 본딩, 혹은 관통 전극에 의하여 연결 되는 하나 이상의 유연 반도체 다이(114), 및 유연 반도체 다이(114)를 보호하는 유연 몰드(116)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연 패키지(110)는, 유연 케이스(20)에 일체로 몰딩되거나 혹은 접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유연 PCB 보드(112) 상에는 경질 수동 소자(1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경질 수동 소자(118)는 유연 패키지(110)의 전반적인 유연성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질 수동 소자(118)가 배치되는 유연 PCB 보드(112) 주변을 일부 리세스 하여 버퍼(B)를 더 형성할 수 있다.
가령, 경질의 수동 소자(118)가 유연 PCB 보드(112) 상에 배치되면서, 유연 PCB 보드(112)가 휘어지는 경우 딱딱한 부품 전체가 기판에 붙어있으면 해당 부품의 끝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해당 부품 회로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휘어지는 방향으로 해당 부품의 주위를 빈 공간으로 처리하여 휘어지는 경우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빈 공간의 형태는 기판의 가공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면 되지만, 버퍼(B)는 적어도 경질 수동 소자(118)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양측은 휘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세스는 양측 버퍼(B)에서 더 연장되어 경질 수동 소자(118)의 상하 일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연 패키지(110)는, 연질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유연 PCB 보드(112),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유연 PCB 보드(112) 상에 적층되고 유연 PCB 보드(112)에 도전 부재(와이어 본딩 혹은 플립칩 본딩)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연 반도체 다이(114), 및 유연 반도체 다이(114)와 도전 부재를 커버하는 유연 몰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질 수동 소자(118)는 유연 반도체 다이(114)와 함께 유연 몰드(116)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유연 몰드(116)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유연 패키지(110)를 유연 케이스(20)에 탑재하기 위하여 접착제와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고자 할 때, 경질 수동 소자(118)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접착제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유연 패키지(110)가 휘거나 굽어질 때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혹은 경질 수동 소자(118)와 대응되는 유연 케이스(20)에는 일부 혹은 전부에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공간은 마찬가지로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일체로 몰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유연 PCB 보드(112)는 휘어지거나 구부려질 수 있다. 심지어 접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연 PCB 보드(112)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유연 PCB 보드(112)는 대표적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테플론(Tefl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기타 중합체(polymeric)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 PCB 보드(112) 상에는 도전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질 배선 패턴이 형성되는데, 유연 배선 패턴으로서 구리(Cu), 티타늄(Ti), 알루미늄(Al)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 배선 패턴은, 리소그래피 공법 혹은 인쇄 공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연 반도체 다이(114)는, 메모리 소자 혹은 로직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자들은 실리콘 기판 상에 집적되되, 휘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 기판의 두께는 수십 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유연 반도체 다이(114)는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칩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접착력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연 PCB 보드(112)가 휘거나 구부러지더라도, 유연 PCB 보드(112)와 유연 반도체 다이(114) 사이에 박리 혹은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통상 경질 PCB 보드를 접합하는 접착 부재와 비교하여 접착력이 강한 물질이 요구된다.
유연 몰드(116)는 휘어지거나 구부려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유연 몰드(116)는, 응력(stress)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polymer)나 고무(rubber) 또는 탄성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폴리이미드(poly 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연 패키지(110)는 임의로 휘거나 구부리더라도 신축 가능하고, 신축에 따른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응력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유연 패키지(110)를 구부리거나 잡아 늘렸을 때, 유연 PCB 보드(112) 상에 형성되는 유연 배선 패턴이 절단되거나 유연 PCB 보드(112)로부터 박리되면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더 이상 반도체 소자로서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연 외장 메모리를 패키징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나, 유연 패키지는 스마트 폰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스마트 폰과 협력하여 폰의 기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면, 유연 패키지는 전술한 메모리 소자는 물론이고 비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battery), 스피커(speaker), 혹은 센서(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연 PCB 보드(112)는, 적어도 유연 반도체 다이(114), 및 유연 몰드(116)가 탑재되는 패키지 영역(112a)과, 패키지 영역(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단자 영역(112b)을 포함한다. 단자 영역(112b)은 패키지 영역(112a)의 일측에 형성되고, 패키지 단자(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영역(112b)은 패키지 영역(112a)과 비교하여 해당 면적이 작기 때문에, 원 재료인 유연 PCB 필름으로부터 커팅 될 때 손실(loss)을 발생시킨다. 이에, 패키지 영역(112a)으로부터 단자 영역(112b)을 절단(cutting)하여 벤딩(bending) 함으로써, 전체 유연 PCB 보드(112)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9를 참조하면, 단자 영역(112b)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연 PCB 보드(112)를 『l』자로 절개하여 2개로 구획하고, 그 중 작은 폭 부분을 큰 폭 부분에 대하여 벤딩하여 패키지 단자(112c)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사례로, 도 10을 참조하면, 유연 PCB 보드(112)의 중앙 일면을 『ㄷ』자로 절개하고, 상기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기준으로 벤딩하여 패키지 단자(112c)로 사용할 수 있다.
멀티 커넥터(120)는, 유연 패키지(110)의 패키지 단자(112c)와 연결되되, 일측에는 스마트 기기(10)의 단말기 단자(12)와 대응되는 단말기 포트(122)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외부 충전 단자(30)와 대응되는 충전 포트(124)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파워 전송을 통한 배터리 충전/외부 데이터 통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멀티 커넥터(120)와 패키지 단자(112c)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단말기 단자(12)는 단말기 포트(122)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외부 충전 단자(30)는 충전 포트(12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포트(122)와 충전 포트(124)는 동축으로 설치되되 반대 반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포트(122)가 단말기 단자(12)와 원만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자 영역(112b)은 휘어질 수 있는 여유 길이를 가지고 있게 된다.
단말기 포트(122)는 통상의 단말기 단자(12)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는 핀 가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충전 포트(124)는 핀을 구비하는 통상 단말기 단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패키지 단자(112c)는 단말기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콘택되고, 단말기 단자(12)와 외부 충전 단자(30)는 내부 배선(도면부호 없음)에 의하여 연결 될 수 있다.
한편, 멀티 커넥터(120)는 단말기 단자(12)와 체결된 상태로 휴대되기 마련인데, 스마트 기기(10)의 단말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길이는 짧을수록 좋다. 전술한 핀과 핀 가이드 형태로 포트를 설계하면, 핀과 강제 압입되는 핀 가이드가 길어지게 마련이다. 그리고 강제 압입 방식에 의하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포트나 단자가 쉽게 데미지를 입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멀티 커넥터를 강제 압입 방식이 아닌 자석 착탈 방식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가령, 자석(M)이 멀티 커넥터(120)의 충전 포트(124) 일측에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자석(M)이 외부 충전 단자(30)와 인접한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복수로 설치 가능하고, 극성을 달리하면 거꾸로 착탈되는 경우 반발력에 의하여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 포트(122)는 통상의 단말기 단자(12)의 핀과 체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한 핀과 대응되는 핀 가이드 형태로 제공되기로 한다. 다만, 충전 포트(124)는 핀과 핀 가이드를 생략함으로써, 그 결합 길이나 경로가 매우 짧아지게 된다.
한편, 단말기에 멀티 커넥터(120)를 체결하면 유연 PCB 보드(112)가 완전하게 접철되기 때문에, 단선의 염려가 있고, 제품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유연 패키지(11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연 패키지(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멀티 커넥터(120)를 스마트 기기(10)의 단말기 단자(12)에 체결하고, 필요시 외부 충전 단자(30)를 멀티 커넥터(120)의 충전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중에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 PCB 보드(112)에서 단자 영역(112b)이 패키지 영역(112a)으로부터 길게 연장되기 때문에, 유연 패키지(110)가 유연 케이스(20)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쉽게 스마트 기기(10)와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질 케이스가 휘어지더라도 여기에 탑재되는 외장 메모리가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로 설계하되, 외장 메모리를 유연하게 가공하여 케이스에 부착하며, 외장 메모리는 스마트 기기의 단말기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패키지 단자를 구비하며, 멀티 커넥터에는 충전 포트를 구비하여 외장 메모리가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외부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유연 외장 메모리 110: 유연 패키지
112: 유연 PCB 보드 114: 유연 반도체 다이
116: 유연 몰드 118: 경질 수동 소자
120: 멀티 커넥터 122: 단말기 포트
124: 충전 포트

Claims (10)

  1. 포터블 스마트 기기를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유연 케이스;
    상기 유연 케이스에 인서트 되는 유연 패키지; 및
    상기 유연 케이스에서 노출 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와 상기 유연 패키지를 데이터 연결하며, 필요 시 외부 충전 단자와도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패키지는,
    유연 PCB 보드,
    상기 유연 PCB 보드 상에 탑재되는 유연 반도체 다이, 및
    상기 유연 반도체 다이를 보호하는 유연 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PCB 보드는,
    적어도 상기 유연 반도체 다이, 및 상기 유연 몰드가 탑재되는 패키지 영역; 및
    상기 패키지 영역 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멀티 커넥터와 연결되도록 패키지 단자가 구비되는 단자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커넥터는,
    상기 패키지 단자와 연결되되,
    일측에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단말기 단자와 대응되는 단말기 포트를 구비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을 상시적으로 수행하고,
    타측에 상기 외부 충전 단자(혹은 외부 데이터 통신 단자)와 대응되는 충전 포트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포트와 상기 충전 포트는 상기 멀터 커넥터의 반대 방향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포트는 핀 타입의 상기 단말기 단자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는 핀 가이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충전 포트는 핀 가이드 타입의 충전 케이블과 체결될 수 있도록 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포트는 핀 타입의 상기 단말기 단자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핀과 대응되는 핀 가이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충전 포트는 자석에 의하여 탈부착 됨으로써 면 접촉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단자는 상기 단말기 포트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포트와 상기 충전 포트는 내부 배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패키지는, 상기 유연 케이스에 일체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패키지는, 상기 유연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KR1020160077468A 2016-06-21 2016-06-21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KR10190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68A KR101903394B1 (ko) 2016-06-21 2016-06-21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68A KR101903394B1 (ko) 2016-06-21 2016-06-21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44A true KR20170143344A (ko) 2017-12-29
KR101903394B1 KR101903394B1 (ko) 2018-10-02

Family

ID=6093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68A KR101903394B1 (ko) 2016-06-21 2016-06-21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009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ニデック 携帯端末用給電装置
KR101536888B1 (ko) * 2015-01-28 2015-07-22 최이레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928A (ko) * 2018-01-30 2019-08-07 이종석 휴대 전자기기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94B1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10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EP3683650A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US84465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S2951395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legable que incluye un miembro protector
JP2006108431A (ja) 半導体装置
KR20170143341A (ko) 유연 케이스에 탑재되는 유연 외장 메모리
US20150264806A1 (en) Printed wiring board
US11138403B2 (en) Fingerprint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3508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tray unit thereof
ES2758099T3 (es) Funda protectora y un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la tiene
KR101903394B1 (ko)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KR101851685B1 (ko) 스마트 폰 케이스에 탑재 되는 usb
US20050213307A1 (en) Pivoting apparatus with a shielding function
US7581960B2 (en) Camera module and assembling process thereof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US20060082673A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80083277A (ko) 유연 케이스에 탑재되는 유연 외장 메모리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WO2013132815A1 (ja) 電子部品内蔵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電子部品内蔵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40065851A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Applicato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732671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4225876B2 (ja) 通信装置
KR102669521B1 (ko) 방열기능이 부가된 폴더블형 휴대폰 케이스
JP2005123743A (ja) 通信装置
KR20230148003A (ko) 방열기능이 부가된 폴더블형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