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888B1 -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888B1
KR101536888B1 KR1020150013310A KR20150013310A KR101536888B1 KR 101536888 B1 KR101536888 B1 KR 101536888B1 KR 1020150013310 A KR1020150013310 A KR 1020150013310A KR 20150013310 A KR20150013310 A KR 20150013310A KR 101536888 B1 KR101536888 B1 KR 10153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ender
fixed
cab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레
류근영
Original Assignee
최이레
류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레, 류근영 filed Critical 최이레
Priority to KR102015001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이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단자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자성을 갖도록 제2 단자가 형성되는, 젠더(gender)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를 장착하기 위한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젠더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터의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노출된다.

Description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PORTAB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TTACHED BY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는 젠더와, 이 젠더에 자기력에 의해 고정되는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나날이 발전하고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장치도 또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나 아답터(10) 등의 USB 포트(17)에 연결할 수 있도록, 아답터 측 USB 단자(21)와, 이 USB 단자(21)의 반대편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단말기 측 USB 단자(22)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실제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차량 내에서 이러한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을 위해 단말기 측 USB 단자(22)를 휴대용 단말기(30)의 USB 포트(32)에 삽입하여야 하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이로부터 휴대용 단말기(30)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30)의 USB 포트(32) 내 일부 단자가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USB 포트 내에 충전 장치 측 USB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뜻하지 않게(예를 들어, 손이나 발에 걸리는 경우) 충전 장치 측의 케이블에 측 방향의 힘이 가해져도, USB 포트(32)에서 USB 단자(22)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USB 단자(22)와 케이블 간의 연결 부위(예컨대, 납땜 부위)가 손상되거나, USB 단자(22)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휴대용 단말기(30)의 USB 포트(32) 내 단자가 손상되는 문제도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USB 단자와 케이블 간의 연결 부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2247(2005년 04월 11일자 등록)은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 연결되는 이동식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충전 단자 측이 완전히 다른 새로운 단말기로 제조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따른다.
따라서, 기존의 단말기 구조나 단말기 내의 충전 포트의 연결 구조를 바꾸지 않고 적응시킬 수 있는 커넥터의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2247(2005년 04월 11일자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포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잦은 사용으로 인해 단말기의 USB 단자나 충전기 측의 단말기 측 연결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USB 포트 내에 충전 장치 측 USB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충전 장치 측의 케이블에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USB 포트에서 USB 단자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USB 단자의 손상이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USB 단자와 케이블 간의 연결 부위(예컨대, 납땜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단자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자성을 갖도록 제2 단자가 형성된, 젠더(gender)와,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단자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자성을 갖도록 제2 단자가 형성되는, 젠더(gender)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를 장착하기 위한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젠더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트의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노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수단자(male terminal)와, 상기 수단자의 반대편에 위치한 암단자(female terminal)를 갖는, 젠더(gender)와,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 상기 젠더의 암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측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수단자(male terminal)와, 상기 수단자의 반대편에 위치한 암단자(female terminal)를 갖는, 젠더(gender)와,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 상기 젠더의 암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측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를 장착하기 위한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젠더의 암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트의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젠더와 상기 커넥트 간의 자기력에 의한 고정을 위해, 상기 젠더의 암단자 및 상기 커넥트의 고정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젠더의 암단자가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커넥트의 고정단자가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젠더의 암단자와 상기 커넥트의 고정단자 둘 다가 서로 인력을 갖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측 단자는 유에스비(USB) 단자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단자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자성을 갖도록 제2 단자가 형성된, 젠더(gender)와,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와,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젠더의 제2 단자와 상기 고정 단자 각각은 서로 대응하는 각각의 전기 접속 영역과, 상기 각각의 전기 접속 영역의 주연부로서 상기 젠더에 대해 상기 커넥트를 연결할 경우 자기력에 의해 서로 면 접촉하는 각각의 면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어부(core unit)(2102)와, 상기 젠더 측과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코어부의 측면을 감싸는 감싸는 제1 부분(2101a)과,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부를 감싸는 제2 부분(2101b)을 갖는 아웃터부(outer unit)(2101)와, 상기 코어부의 하부와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230)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의 하부면과는 이격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부면과는 접촉되는 보호부(protection unit)(21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선된 충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포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잦은 사용으로 인해 단말기의 USB 단자나 충전기 측의 단말기 측 연결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선된 충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USB 포트 내에 충전 장치 측 USB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뜻하지 않게 충전 장치 측의 케이블에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USB 포트에서 USB 단자가 분리되지 않고 USB 단자의 손상이나 모양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선된 충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USB 단자와 케이블 간의 납땜 부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충전 장치의 젠더 측 제2 단자의 단면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고정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젠더와 고정 단자의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서, 고정 단자(210) 측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들 및 관련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충전 장치의 젠더 측 제2 단자의 단면과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의 고정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젠더와 고정 단자의 결합시 맞닿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크게 젠더(gender)(100)와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젠더(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 즉 USB 포트에 삽입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제1 단자(110)와, 자성을 갖도록 제1 단자(110)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단자(120)를 포함한다. 커넥터(200)는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 젠더(100)의 제2 단자(120)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210)와, 이 고정 단자(210)에 케이블(2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USB 단자(220)를 포함한다. USB 단자(220)는 전원측에 연결되는 단자, 즉 전원 측 단자이다.
젠더(100)의 제1 단자(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USB 포트에 대응되는 규격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젠더(100)의 제1 단자(110)는 돌출된 형태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수단자(male terminal)로 명명되기도 한다.
젠더(100)의 제2 단자(120)와 커넥터(200)의 고정 단자(210)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젠더(100)의 제2 단자(120)는 제1 단자(110)는 설명 내에서 암단자(female terminal)로 명명되기도 하는데, 전기 접속 영역(135)을 갖는다. 또한, 커넥터(200)의 고정 단자(210) 측도 전기 접속 영역(135)에 대응되게 전기 접속 영역(215)을 가져, 젠더(100)와 커넥터(200) 간의 연결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접속 영역(135, 215) 내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핀들(137, 217)이 존재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5개의 핀들로 그려져 있으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젠더(100)의 제2 단자(120)와 고정 단자(210) 각각의 전기 접속 영역(135, 215)의 주연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경우 자기력에 의해 면 접촉하는 각각의 면 접촉 영역(125, 225)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충전을 위한 연결시 사용자가 젠더(100)와 고정 단자(210)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이드부(139, 219)가 전기 접속 영역(135, 215)과 면 접촉 영역(125, 225)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100)의 제2 단자(120) 측의 가이드부(139)는 함몰된 구조이고 고정 단자(210) 측의 가이드부(219)는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젠더(100)와 고정 단자(210) 간의 자기력에 의한 결합시 각각의 핀들(137, 217)이 정확한 위치에서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젠더(100)와 상기 커넥트(200) 간의 자기력에 의한 고정을 위해, 상기 젠더(100)의 암단자(120) 및 상기 커넥트의 고정 단자(21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을 갖는다. 즉, 상기 젠더(100)의 암단자(120)가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커넥트(200)의 고정 단자(210)가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젠더(100)의 암단자(120)와 상기 커넥트(200)의 고정단자(210) 둘 다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젠더(100)를 휴대용 단말기(30)의 USB 포트에 고정시킨 상태로 두고,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커넥터(200) 측 고정 단자(210)를 자기력을 이용하여 젠더(100)의 제2 단자(120) 측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도 2a 및 도 2b와 함께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케이스(35),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제1 단자(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성을 갖는 제2 단자(120)가 형성되는 젠더(100)와, 자기력에 의해 젠더(100)의 제2 단자(120)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210)와, 케이블(230)을 통해 고정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USB 단자(220)를 갖는 커넥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35)에는 젠더(100)를 장착하기 위한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젠더(100)가 케이스(35) 내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함으로써, 도 5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젠더(100)를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포트(USB 포트)에 고정시킨 상태로 휴대하기에 더욱 편리해진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젠더(100) 간의 분리 횟수를 줄일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포트의 단자들의 손상도 도 5의 실시예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100)가 케이스(35)에서 노출된 상태로 젠더 장착 영역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도 6의 a와 같이), 젠더(100)의 제1 단자(110)와, 커넥터(200)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매립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도 6의 b). 도 6의 b에서 빗금친 부분(참조부호 350)은 케이스(35) 내에 젠더(100)가 매립될 수 있도록 하는 매립부이다. 이와 같이 매립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젠더(100)의 제2 단자(120)의 적어도 일부, 즉, 커넥터(200)와 맞닿는 부분은 노출되어 핀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서, 고정 단자(210) 측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단자(210)는 상기 케이블(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어부(core unit)(2102)와, 젠더(100) 측과 자기력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코어부(2102)의 측면을 감싸는 제1 부분(2101a)과, 상기 제1 부분(2101a)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230)의 일부를 감싸는 제2 부분(2101b)을 갖는 아웃터부(outer unit)(2101), 그리고 상기 코어부(2102)의 하부와 상기 제2 부분(2101b)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230)에 고정되며, 상기 코어부(2102)의 하부면과는 분리되고 상기 제2 부분(2101b)의 상부면과는 접촉되는 보호부(protection unit)(2104)를 포함한다.
즉, 고정 단자(210)는 크게, 내부에서 젠더(100) 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코어부(2102)와 이 코어부(2102)의 외곽을 감싸면서 자기력을 통해 젠더(100) 측과 결합가능한 부분인 아웃터부(2101), 그리고, 이 코어부(2102)와 아웃터부(2101) 사이에서, 코어부(2102) 내부의 납땜 부분 연결에 직접적으로 강한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부(2104)를 포함한다. 코어부(2102)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납땜 등이 존재한다. 아웃터부(2101)와 코어부(2102)는 구분되는 파트이고, 참조부호 2103은 아웃터부(2101)의 일부를 감싸는 피복이며, 이하에서 최외곽 피복으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아웃터부(2101)와 젠더(100) 측의 자기력을 통한 고정 방식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블(230)을 잡아서 강하게 당길 경우, 케이블(230)의 외부면에서 상기 케이블(230)에 고정된 보호부(protection unit)(2104)와 아웃터부(2101)의 제2 부분(2101b) 사이에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웃터부(2101)와 젠더(100)가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2104)는 케이블(230)의 피복 외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기력에 의한 결합인 젠더(100)와 아웃터부(2101) 간의 결합을 분리할 정도의 고정력을 가지면 충분하다. 더 나아가, 보호부(2104)와 케이블(230) 간의 고정력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해, 보호부(2104)가 케이블(230)의 피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코어부(2102) 내부의 납땜 등의 연결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코어부(2102)의 하부면과 보호부(2104) 사이에는 소정을 공간(2105)을 갖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고정부(210)를 구성함으로써, 커넥터(200)의 납땜 부분 고장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들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형적인 예인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자력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더 나아가 젠더를 케이스 내에 삽입시켜서 휴대성이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포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잦은 사용으로 인해 단말기의 USB 단자나 충전기 측의 단말기 측 연결 단자가 파손되는 문제, 단말기의 USB 포트 내에 충전 장치 측 USB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뜻하지 않게 충전 장치 측의 케이블에 측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 USB 포트에서 USB 단자가 분리되지 않고 USB 단자의 손상이나 모양의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0 : 휴대용 단말기 100 : 젠더(gender)
110 : 수단자(male terminal) 120 : 암단자(female terminal)
130 : 전기 접속부 200 : 커넥터
210 : 고정단자 220 : 유에스비(USB) 단자
230 : 케이블
35 : 케이스
2101 : 아웃터부 2102 : 코어부
2104 : 보호부재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35);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기 위한 제1 단자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자성을 갖는 제2 단자가 형성되는, 젠더(gender)(100); 및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가능한 고정 단자(210)와, 케이블(230)을 통해 상기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갖는, 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젠더를 장착하기 위한 젠더 장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젠더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넥터의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노출되며,
    상기 고정 단자(210)는,
    일측은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에 고정시 상기 젠더의 제2 단자와 맞닿아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어부(core unit)(2102)와,
    상기 코어부(2102)의 측면을 감싸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젠더의 제2 단자 측과 결합되는 제1 부분(2101a)과, 상기 제1 부분(2101a)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측면을 감싸는 제2 부분(2101b)을 갖는, 아웃터부(outer unit)(2101)와,
    상기 코어부(2102)의 하부와 상기 제2 부분(2101b) 사이에 전체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230)의 피복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부(2102)의 하부로부터는 이격되고 상기 제1 부분(2101a)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부분(2101b)의 상부면과는 맞닿는, 보호부(protection unit)(2104)와,
    상기 아웃터부(2101)의 외곽의 일부 - 상기 아웃터부(2101)의 외곽의 일부는, 상기 케이블(230)의 피복의 일부, 상기 제1 부분(2101a)의 측면 일부, 상기 제1 부분(2101a)의 하면 전체, 및 상기 제2 부분(2101b)의 하면 전체임 - 를 감싸는, 최외곽 피복(2103)을 포함하며,
    상기 젠더(100)의 제2 단자와 상기 제1 부분(2101a)과의 자기력에 의한 결합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에 작용하는 외력이 상기 아웃터부(2101) 측에 직접 작용하여 상기 코어부(2102)와 상기 케이블(23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상기 코어부 내부의 납땜 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3310A 2015-01-28 2015-01-28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53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10A KR101536888B1 (ko) 2015-01-28 2015-01-28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310A KR101536888B1 (ko) 2015-01-28 2015-01-28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495 Division 2014-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888B1 true KR101536888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310A KR101536888B1 (ko) 2015-01-28 2015-01-28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88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950U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스마트원 충전 보관함
KR101903394B1 (ko) * 2016-06-21 2018-10-02 (주)플렉스컴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KR20190141295A (ko) 2018-06-14 2019-12-24 (주)주파집 자성 충전 커넥터
KR20200023738A (ko) 2018-08-27 2020-03-06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00027931A (ko) 2018-06-14 2020-03-13 (주)주파집 자성 충전 커넥터
KR20200096445A (ko) 2020-07-27 2020-08-12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00122827A (ko)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레드빈 착탈식 마그네틱 연결장치
KR20210038494A (ko) 2020-07-27 2021-04-07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20074333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레드빈 착탈식 케이블
KR20220001919U (ko)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레드빈 케이블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493A (ja) * 1989-12-20 1991-08-20 Fujitsu Ltd 中継線から局線への迂回方式
JP2000353571A (ja) * 1999-06-09 2000-12-19 Sony Corp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3005571A (ja) * 2011-06-16 2013-01-07 Braveridge Co Ltd 充電用接続部品および充電器
KR20130080714A (ko)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젠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493A (ja) * 1989-12-20 1991-08-20 Fujitsu Ltd 中継線から局線への迂回方式
JP2000353571A (ja) * 1999-06-09 2000-12-19 Sony Corp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3005571A (ja) * 2011-06-16 2013-01-07 Braveridge Co Ltd 充電用接続部品および充電器
KR20130080714A (ko)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젠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394B1 (ko) * 2016-06-21 2018-10-02 (주)플렉스컴 멀티 커넥터 체결 구조
KR20180001950U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스마트원 충전 보관함
KR20190141295A (ko) 2018-06-14 2019-12-24 (주)주파집 자성 충전 커넥터
KR20200027931A (ko) 2018-06-14 2020-03-13 (주)주파집 자성 충전 커넥터
KR102353541B1 (ko) * 2018-06-14 2022-01-20 (주)주파집 자성 충전 커넥터
KR20200023738A (ko) 2018-08-27 2020-03-06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00122827A (ko)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레드빈 착탈식 마그네틱 연결장치
KR20200096445A (ko) 2020-07-27 2020-08-12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10038494A (ko) 2020-07-27 2021-04-07 (주)주파집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KR20220074333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레드빈 착탈식 케이블
KR20220001919U (ko)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레드빈 케이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888B1 (ko) 자기력으로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20120315779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US10027052B2 (en) Waterproof connec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8206181B2 (en) Connector arrangement
JP2009524913A (ja) 取り外し可能なプラグコネクタシステム
US20150333458A1 (en) Releasable plug connector system
JP2016031931A (ja) 電気コネクタ
CN214411661U (zh) 连接器组件及其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
US7824211B1 (en) Power adapter cable
KR101265584B1 (ko) 플러그형 콘센트 커버 세트 및 그 세팅 방법
CN201608357U (zh) 磁性接口和导磁接头
EP3067992B1 (en) Electrical connector kit,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TW201725813A (zh) 轉接器
WO2019000844A1 (zh) 一种转接器、转接装置及充电设备
US20190036363A1 (en) Apparatus and Method
KR10123921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CN112290287A (zh) 充电接触接头、配对接触接头、充电接触系统和电子设备
CN105186192A (zh) 一种自动对位连接器组合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20170069041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16146342A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7069285B (zh) 公头连接器及数据线
CN102347534B (zh) 智能电连接器
US20120134525A1 (en) Audio interface
KR20200023738A (ko) 자석 결합 구조의 충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