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95A -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95A
KR20170143295A KR1020160077352A KR20160077352A KR20170143295A KR 20170143295 A KR20170143295 A KR 20170143295A KR 1020160077352 A KR1020160077352 A KR 1020160077352A KR 20160077352 A KR20160077352 A KR 20160077352A KR 20170143295 A KR20170143295 A KR 2017014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all
inner shaft
diamete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달수
서종욱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3295A/ko
Publication of KR2017014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9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 B60B35/127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 B60B35/128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of the homokinetic or constant velocit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0Ball cages for multiple row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41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03Details of ball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드라이브 샤프트는, 인보드(in-board) 조인트, 아웃보드(out-board) 조인트, 일측 단부는 상기 인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의 보어(bore)를 구비하는 아웃터 하우징, 일측 단부는 상기 보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인너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Driveshaf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 계통에 사용되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구동 라인에 사용되는 드라이브 샤프트는 중간 샤프트(intermediate shaft)와 그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등속 조인트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샤프트의 중간 샤프트는 플런징(plunging) 기능을 갖는 샤프트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플런징 기능을 갖는 중간 샤프트는 일반적으로 볼 스플라인(ball spline) 구조를 이용한다.
플런징 기능을 갖는 중간 샤프트는 아웃터 하우징(outer housing), 인너 샤프트(inner shaft),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한다. 볼 스플라인 구조는 아웃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아웃터 볼 그루브, 인너 샤프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인너 볼 그루브, 이들 볼 그루브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그리고 복수의 볼을 수용하는 볼 케이지로 구성된다. 이때, 인너 샤프트는 인보드(in-board) 조인트의 내부 조인트 부재에 연결되고 아웃터 하우징은 아웃보드(out-board) 조인트의 내부 조인트 부재에 연결된다.
이러한 중간 샤프트 구조에서, 아웃보드 조인트에 연결되는 부재, 즉 아웃터 하우징의 직경이 작은 것이 유리한데, 아웃보드 조인트에 연결되는 아웃터 하우징이 두께가 얇은 중공 실린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의 확보 등의 필요성에 의해 직경 축소에 한계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US6,585,602 (등록일: 2003년 07월 0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 스플라인 구조의 플런징 기능을 갖는 중간 샤프트에서 아웃보드 조인트에 연결되는 부재의 직경을 감소가 용이한 드라이브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는, 인보드(in-board) 조인트, 아웃보드(out-board) 조인트, 일측 단부는 상기 인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의 보어(bore)를 구비하는 아웃터 하우징, 일측 단부는 상기 보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인너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볼 스플라인 구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어에 구비되는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와 짝을 이루어 복수의 볼 트랙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너 볼 그루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볼 트랙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볼을 수용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슬리브 형태의 볼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상기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상기 인너 볼 그루브가 형성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간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보드 조인트와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는 각각 제파(Rzeppa) 조인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보드 조인트와 아웃보드 조인트를 구비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중간 샤프트는, 일측 단부는 상기 인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의 보어(bore)를 구비하는 아웃터 하우징, 일측 단부는 상기 보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너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 스플라인 구조를 이용한 플런징 기능을 갖는 드라이브 샤프트에서 아웃터 하우징을 인보드 조인트에 연결하고 인너 샤프트를 아웃보드 조인트에 연결함으로써, 아웃보드 조인트의 내측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인너 샤프트의 단부의 직경의 감소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의 인너 샤프트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샤프트(1)는 인보드(in-board) 조인트(2)와 아웃보드(out-board) 조인트(3)를 구비한다. 인보드 조인트(2)와 아웃보드 조인트(3)는 회전 동력 전달 및 절각이 가능한 등속 조인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파(Rzeppa) 조인트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보드 조인트(2)는 아웃터 조인트 멤버(21)와 인너 조인트 멤버(22)를 포함한다. 아웃터 조인트 멤버(21)는 인너 조인트 멤버(22)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아웃터 조인트 멤버(21)의 내면에는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211)가 형성되고, 인너 조인트 멤버(22)의 외면에는 아웃터 볼 그루브(211)에 대응하는 인너 볼 그루브(221)가 형성된다. 아웃터 볼 그루브(211)와 인너 볼 그루브(221)의 조합에 의해 볼 트랙(ball track)이 형성되며, 볼 트랙에 토크 전달 기능을 하는 볼(24)이 배치된다. 볼 케이지(ball cage)(23)가 볼(24)을 수용하는 상태로 아웃터 조인트 멤버(21)와 인너 조인트 멤버(22)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볼 트랙의 개수는 여섯 개, 여덟 개 등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웃보드 조인트(3)도 아웃터 볼 그루브(311)를 가지는 아웃터 조인트 멤버(31), 인너 볼 그루브(321)를 가지는 인너 조인트 멤버(33), 볼(34), 그리고 볼 케이지(33)를 포함한다.
인보드 조인트(2)와 아웃보드 조인트(3)는 중간 샤프트(intermediate shaft)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중간 샤프트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이용하여 플런징(plunging)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며, 아웃터 하우징(6), 인너 하우징(7), 그리고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한다. 이때, 인보드 조인트(2) 및 아웃보드 조인트(3)의 개방 측을 각각 둘러싸는 부트(4, 5)가 구비될 수 있다.
아웃터 하우징(6)의 한 쪽 단부(61)는 인보드 조인트(2)의 인너 조인트 멤버(22)에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62) 길이 방향의 보어(bore)(63)를 구비한다. 아웃터 하우징(6)의 단부(61)는 인보드 조인트(2)의 인너 조인트 멤버(22)와 함께 회전하도록 인보드 조인트 멤버(22)에 체결되며, 예를 들어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인보드 조인트 멤버(22)의 관통홀(222)에 체결될 수 있다.
인너 샤프트(7)의 한 쪽 단부(71)는 아웃터 하우징(6)의 단부(62)에 구비되는 보어(63)에 삽입되고, 다른 쪽 단부(73)는 아웃보드 조인트(3)의 인너 조인트 멤버(32)와 함께 회전하도록 인너 조인트 멤버(32)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터 하우징(6)에 삽입되는 인너 샤프트(7)의 단부(71)와 아웃보드 조인트(3)의 인너 조인트 멤버(32)에 체결되는 단부(73)는 중간부(7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볼 스플라인 구조(8)가 인너 샤프트(7)와 아웃터 하우징(6)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너 샤프트(7)와 아웃터 하우징(6)을 연결한다. 볼 스플라인 구조(8)는 아웃터 하우징(6)의 보어(63)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outer ball groove)(81), 인너 샤프트(7)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인너 볼 그루브(inner ball groove)(82), 복수의 볼(83), 그리고 볼 케이지(84)를 포함한다.
아웃터 볼 그루브(81)는 아웃터 하우징(6)의 보어(63)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아웃터 볼 그루브(81)는 보어(63)를 형성하는 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웃터 볼 그루브(81)는 아웃터 하우징(6)의 개방 측의 끝단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81)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여섯 개의 아웃터 볼 그루브(8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너 볼 그루브(82)는 아웃터 하우징(6)의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81)와 각각 짝을 이루어 복수의 볼 트랙(ball track)을 형성한다. 인너 볼 그루브(82)는 인너 샤프트(7)의 표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너 볼 그루브(82)는 관 형태의 볼 트랙을 형성하도록 아웃터 볼 그루브(8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너 볼 그루브(82)은 아웃터 하우징(6)의 보어(63)에 삽입되는 인너 샤프트(7)의 선단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볼(83)이 아웃터 볼 그루브(81)와 인너 볼 그루브(82)에 의해 형성되는 볼 트랙에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볼(83)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볼 케이지(84)는 슬리브(sleeve) 형태를 가지며 아웃터 하우징(6)과 인너 샤프트(7) 사이에 개재된다. 볼 케이지(84)는 복수의 볼(83)을 수용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인너 샤프트(7)의 양측 단부(71, 73) 중 아웃보드 조인트(3)의 인너 조인트 멤버(32)에 연결되는 단부(73)의 직경(D1)이 인너 볼 그루브(82)가 형성되는 단부(71)의 직경(D2)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71, 73)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간부(72)의 직경은 아웃보드 조인트(3)의 인너 조인트 멤버(32)에 연결되는 단부(73)의 직경(D1)보다 크고 인너 볼 그루브(82)가 형성되는 단부(71)의 직경(D2)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너 샤프트(7)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드라이브 샤프트에서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부재의 직경의 감소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드라이브 샤프트와는 반대로 아웃터 하우징을 인보드 조인트 측에 배치하고 인너 샤프트를 아웃보드 조인트 측에 배치함으로써, 하우징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는 인너 샤프트가 아웃보드 조인트에 연결되어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부재에 연결되는 인너 샤프트의 단부를 원하는 직경까지 감소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드라이브 샤프트
2: 인보드 조인트
3: 아웃보드 조인트
4, 5: 부트
21, 31: 아웃터 조인트 멤버
22, 32: 인너 조인트 멤버
211, 311: 아웃터 볼 그루브
221, 321: 인너 볼 그루브
23, 33: 볼 케이지
24, 34: 볼
6: 아웃터 하우징
63: 보어
7: 인너 샤프트
8: 볼 스플라인 구조
81: 아웃터 볼 그루브
82: 인너 볼 그루브
83: 볼
84: 볼 케이

Claims (10)

  1. 인보드(in-board) 조인트,
    아웃보드(out-board) 조인트,
    일측 단부는 상기 인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의 보어(bore)를 구비하는 아웃터 하우징,
    일측 단부는 상기 보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인너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2. 제1항에서,
    상기 볼 스플라인 구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어에 구비되는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와 짝을 이루어 복수의 볼 트랙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너 볼 그루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볼 트랙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볼을 수용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슬리브 형태의 볼 케이지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3. 제1항에서,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상기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상기 인너 볼 그루브가 형성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4. 제3항에서,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5. 제1항에서,
    상기 인보드 조인트와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는 각각 제파(Rzeppa) 조인트인 드라이브 샤프트.
  6. 인보드 조인트와 아웃보드 조인트를 구비하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중간 샤프트로서,
    일측 단부는 상기 인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 단부는 길이 방향의 보어(bore)를 구비하는 아웃터 하우징,
    일측 단부는 상기 보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너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볼 스플라인 구조를 포함하는 중간 샤프트.
  7. 제6항에서,
    상기 볼 스플라인 구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어에 구비되는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아웃터 볼 그루브와 짝을 이루어 복수의 볼 트랙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너 샤프트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너 볼 그루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볼 트랙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볼을 수용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인너 샤프트와 상기 아웃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슬리브 형태의 볼 케이지를 포함하는 중간 샤프트.
  8. 제6항에서,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의 상기 인너 조인트 멤버에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상기 인너 볼 그루브가 형성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의 직경이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중간 샤프트.
  9. 제8항에서,
    상기 인너 샤프트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직경은 상기 제1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단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드라이브 샤프트.
  10. 제6항에서,
    상기 인보드 조인트와 상기 아웃보드 조인트는 각각 제파(Rzeppa) 조인트인 드라이브 샤프트.
KR1020160077352A 2016-06-21 2016-06-21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Ceased KR20170143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52A KR20170143295A (ko) 2016-06-21 2016-06-21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52A KR20170143295A (ko) 2016-06-21 2016-06-21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95A true KR20170143295A (ko) 2017-12-29

Family

ID=6093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352A Ceased KR20170143295A (ko) 2016-06-21 2016-06-21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3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203B1 (ko) 차량용 등속조인트
JP2007106402A (ja) 操向装置のスリップジョイント
KR101872493B1 (ko) 드라이브 샤프트의 플런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US9267549B2 (en) Inner race and boot sleeve
US20170305454A1 (en) Telescopic shaft
KR102155835B1 (ko) 플런징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샤프트 어셈블리
DE602004030359D1 (de) Homokinetisches universalfestgelenk
KR20170143295A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EP3026275B1 (en) Split ball sleeve
JP2017172765A5 (ko)
KR101964394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KR101891134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WO2019050054A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JP5740857B2 (ja) ボール型等速ジョイント
JP2005299779A5 (ko)
JP5967185B2 (ja) ボール型等速ジョイント
JP2006017143A (ja) 等速ジョイント
JP2009127637A (ja) 等速自在継手
JP6899663B2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40847A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
JP6025084B2 (ja) 内レースとブーツスリーブとの結合体
JP6113465B2 (ja) 固定式等速自在継手
JP2007139095A (ja) 固定式等速自在継手
JP2009156402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JP2010159775A (ja) 摺動式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