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803A -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803A
KR20170142803A KR1020160076934A KR20160076934A KR20170142803A KR 20170142803 A KR20170142803 A KR 20170142803A KR 1020160076934 A KR1020160076934 A KR 1020160076934A KR 20160076934 A KR20160076934 A KR 20160076934A KR 20170142803 A KR20170142803 A KR 2017014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spacing member
column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아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터 filed Critical (주)아리터
Priority to KR102016007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803A/ko
Publication of KR2017014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보강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 설치에 있어서, 사각형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후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분리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evice for Reforcing the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주택 수요의 급증, 노후화된 재고건물의 질적 수준 및 활용도 개선에 대한 요구수준의 향상, 환경 친화적 건물에 대한 필요성 및 무분별한 건물 신축에 따른 국토 난개발의 방지 등과 같은 견지에서 리모델링이 권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철거 및 신축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모델링(remodeling)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오래된 건축물과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은 건축법에 따른 설계 반영이 건축시점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게 되는데, 신축건물과 다르게 구건축물의 경우 내진설계가 전혀 반영되지 못하여 작은 진도에도 건축물이 파괴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정부 차원에서 환경 폐기물을 줄이고 기존의 아파트의 골조를 가능한 한 재활 정책 기조를 가짐에 따라 신축이나 재건축 이외에 리모델링을 택하는 아파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미 건물의 리모델링은 관계기관의 허가를 다시 받을 필요가 없고 간단한 절차만으로 리모델링 건축이 가능함으로 신축건물에 비하여 선택의 폭이 자유로우며 현대식 건물로 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있으나 오래된 구건물은 기둥과 보가 취약한 것이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노후된 구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법으로서는 기존 기둥 주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보강하는 공법이 있으나 공기가 많이 요구되고 인건비 증가하며, 공사 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하여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30888호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외부에는 망상구조의 EMP(Expanded Metal Plate)가 배치되고, 상기 EMP(Expanded Metal Plate)가 상기 기둥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EMP(Expanded Metal Plate)에는 모르타르층이 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EMP(Expanded Metal Plate) 보강 구조를 갖는 기둥은 기존의 기둥에 철판망을 앵커로 기둥에 고정하고 이의 외면에 거푸집을 대고 모르타르를 타설시켜 보강하는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은 현장에서 기둥 외면에 모르타르 층을 형성하고 이를 양생해야 함으로써 공기가 장기화되고 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서 보강되는 기둥의 강도가 상이하게 되며, 공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속도가 너무 느리고, 시공 인건비가 많이 들어 경제성 및 품질확보가 잘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
적은 하중을 지탱하는 기둥 또는 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에서 양단이 연결되는 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에 배치하여 예비인장력을 콘크리트구조물에 인가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변형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 상세하게는 시공속도와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콘크리트구조물 내진성능 향상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각형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후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를 분리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각형 및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보강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시공될수 있도록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를 수평계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가 충분한 구속력으로 체결이 완료된 후에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를 제거하여 반복 사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한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의해서 상기 사각형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각형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후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분리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각형 및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보강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시공될수 있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를 수평계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를 확인하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연결된 보강장치가 충분한 구속력으로 체결이 완료된 후에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제거하여 반복 사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한 보강장치 시공방법에 의해서 상기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고,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d 는 콘크리트 구조물 사각형기둥부 또는 원형기둥부의 상하부의 보강위치에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a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b는 원형 기둥의 반원형이 되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는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고, 수평계를 이용하여 보강장치의 수평상태를 확인후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반복사용하여 보강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장치 시공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장치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보강장치 시공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장치 시공방법은 도 1a 내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에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설치하는 단계(S1), 보강재와 정착재 1차 결합 단계(S2), 1차결합된 보강장치를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 1차 결합된 보강장치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S4), 체결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확인하는 단계 (S5),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S6), 체결완료후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제거 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 받침간격재(160) 또는 걸림간격재(170)를 설치하는 단계(S1)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장치가 정확한 시공위치에 시공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의 보강위치에 따라 하부보강은 받침간격재(160)을 설치하고 상부보강은 걸림간격재(170)을 설치하는 일예이다.
상기 받침간격재(160)의 형상은 ㅡ형, ㄱ 형으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간격재(170)는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 상부보강시에 이용 되어지며 걸림간격재(170)를 설치하기 위하여 보강장치가 1열이 먼저 선시공 된 후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간격재(170)의 설치위치는 정착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재에 설치하여 시공을 할 수도 있다.
상기 1차 결합 단계(S2)는 도 2a 내지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기둥의 경우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보강재(120)와 정착재(110)를 결합하고, 원형 기둥의 반원형이 되도록 원형보강재(130)와 원형정착재(140) 보조정착재(150)를 결합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1차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장치를 받침간격재(160) 또는 걸림간격재(170)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는 도 3a 내지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결합된 보강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에 설치된 받침간격재(160) 또는 걸림간격재(170)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장치에 보강재(120)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S4)는 도 4a 내지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결합된 보강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에 체결하기 위해 보강재(120) 및 원형보강재(140)을 이용하여 2차 연결작업을 수행 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확인하는 단계 (S5)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재(110)상부에 수평계(180)를 위치시켜 2차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이 맞이 않을 경우 수평상태가 되도록 보강장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2차결합된 보강장치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S6)는 도 4a 내지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결합된 보강장치의 보강재(120) ,원형보강재(140)에 도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에 충분한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작업을 수행 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장치 체결완료후 받침간격재(160) 또는 걸림간격재(170) 제거 단계(S7)는 도 5a 내지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C)에 1열 보강이 완료된 후 다음 열 보강을 위하여 설치된 받침간격재(160) 또는 걸림간격재(170) 제거하여 반복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간격재(160)의 설치는 보강장치 보강열수와 같은 횟수로 반복설치하고, 걸림간격재(170)의 설치는 보강장치 보강열수보다 한열 적게 반복설치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공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보강장치 시공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에 있어서,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신속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정착재 또는 보강재에 접촉하여 설치되며, 반복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는 보강재 체결시 체결진동에 의해 분리이탈되지 않게 정착재 또는 보강재에 접촉되는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에 부착장치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이다. 여기서 부착장치가 내장된 것이라고 함은 정착재 또는 보강재가 강재이기때문에, 강재에 부착되어 잘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자석기능을 가진 부착장치가 내장됨을 의미한다.
110 : 정착재
120 : 보강재
130 : 원형정착재
140 : 원형보강재
150 : 보조정착재
160 : 받침간격재
170 : 걸림간격재
180 : 수평계
C :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

Claims (12)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 설치에 있어서,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는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거나,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보강재와 정착재를 1차 결합하는 단계 ;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및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단계 ; 상기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단계 ;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후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분리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격재는 1차 결합된 정착재와 보강재가 콘크리트 구조물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하부의 정확한 보강위치에 시공되어지도록 받침간격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간격재는 1차 결합된 정착재와 보강재가 콘크리트 구조물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상부의 정확한 보강위치에 시공되어 지도록 걸림간격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정착재와 보강재가 사각형 기둥의 경우는 ㅡ형, ㄱ형, ㄷ형 등의 모양이 되도록 하거나, 원형 기둥의 경우는 반원형으로 하여 단면이 폐합되지 않도록 결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결합된 보강재와 정착재를 체결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삽입하여 2차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결합된 보강장치의 수평을 수평계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상기 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에 구속력을 가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장치의 체결이 완료된 후 설치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분리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격재의 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 하부에 설치되며, 보강장치 보강열수와 받침간격재 설치열수가 같은 횟수로 반복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간격재의 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부 상부에 설치되며, 보강장치 보강열수보다 걸림간격재 설치열수가 적은 횟수로 반복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장치 시공방법.
  11.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에 있어서, 사각형 기둥부 또는 원형 기둥부 보강위치에 신속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정착재 또는 보강재에 접촉하여 설치되며, 반복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는 보강재 체결시 체결진동에 의해 분리이탈되지 않게 정착재 또는 보강재에 접촉되는 받침간격재 또는 걸림간격재에 부착장치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60076934A 2016-06-20 2016-06-20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42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34A KR20170142803A (ko) 2016-06-20 2016-06-20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934A KR20170142803A (ko) 2016-06-20 2016-06-20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97A Division KR102064733B1 (ko) 2019-05-07 2019-05-07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803A true KR20170142803A (ko) 2017-12-28

Family

ID=6094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934A KR20170142803A (ko) 2016-06-20 2016-06-20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800B1 (ko) 단면증설 및 지중보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JP5961778B1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架台
KR20180072968A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JP5496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JP2018115489A (ja) アンカーフレームとこれを用いた鉄骨造構造物の建築方法
KR101522821B1 (ko)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시공 방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JP6368584B2 (ja) 基礎の施工方法
KR101859573B1 (ko) 공동주택의 증축 시공 방법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97886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보강장치
KR20130101803A (ko) 공간확장을 위한 pc보유닛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42803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33632B1 (ko) 콘크리트 브라켓 일체형 철골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역타공법
KR101345672B1 (ko) 무지보 분리형 브라켓
KR20190051925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시공방법
JP5912194B1 (ja) 木造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基礎部材
KR101636407B1 (ko)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JP5181279B2 (ja) 免震部材の下部基礎構造
KR101917811B1 (ko) 부분 pc 벽패널을 사용하여 창문이 설치된 조적 벽을 보강하는 방법
JP6300228B2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JP333375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外壁の構築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外壁構築方法
KR100962001B1 (ko) 마감일체형 철근콘크리트벽체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JPH0782753A (ja) 布基礎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