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367A - 전지 충방전 그립퍼 - Google Patents

전지 충방전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367A
KR20170142367A KR1020160075698A KR20160075698A KR20170142367A KR 20170142367 A KR20170142367 A KR 20170142367A KR 1020160075698 A KR1020160075698 A KR 1020160075698A KR 20160075698 A KR20160075698 A KR 20160075698A KR 20170142367 A KR20170142367 A KR 2017014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urrent
voltage
gri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416B1 (ko
Inventor
황진연
박민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티
Priority to KR102016007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4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충방전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하우징 바디(10); 상기 하우징 바디(10)의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10)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메인 바디(20);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30JW)를 구비한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40JW)를 구비하여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상기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상기 메인 바디(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 충방전 그립퍼{Battery formation gripper}
본 발명은 전지 충방전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 전류 단자가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 수명의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 향상이 이루어진 새로운 전지 충방전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학적인 전지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나누어진다. 망간전지, 알칼리전지 및 수은전지 등과 같이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를 1차 전지라 하며, 충전지나 납축전지처럼 전기를 다 쓰고 난 뒤 다시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2차 전지라 하는데, 최근 핸드폰, PDA, 스마트폰 및 노트북컴퓨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1회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긴 2차 전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에는 니켈-카드뮴(Ni-Cd), 니켈-수소(Ni-MH), 납축전지(SLA), 리튬-이온(lithium-Ion) 및 리튬-폴리머(lithium-polymer) 등이 있다. 이러한 2차 전지는 충방전 효율이나 전류용량 등을 고려하여 내부에 여러 개의 셀 즉, 단위전지들을 연결한 전지팩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재는 높은 에너지 밀도, 경량, 고전압, 무공해, 고출력, 고속충전, 우수한 수명 등의 장점을 지닌 리튬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리튬전지는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및 리튬금속폴리머전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전지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베어셀(bare cell)에 회로나 단자 또는 연결부품을 결합시킨 후 케이스 조립되는 하드팩(hard pack) 공정과 이 하드 팩에 충방전(formation)을 진행하는 충방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드팩 공정시 제품의 용도 및 요구되는 특성에 맞게 전지의 형태 및 모양이 결정되며, 충방전 공정시 전지의 성능이 결정되고 제품의 양부가 판정된다. 이차 전지의 충방전 과정은 그립퍼 어셈블리의 전류 전극탭(4)단자 및 전압 전극탭(4)단자와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전극탭(4)편을 압지하여 충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전지셀을 충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채널이 나란하게 정렬된 전지 충방전용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의 각 채널에 그립퍼를 장착하여 다수의 전지셀을 충방전하고자 하는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전지 충반전 그립퍼에서는 전압 전류 단자가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 수명의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허용 전류 설계 용량에 맞게 설계될 필요가 있고, 그립퍼의 치형의 마모 수명을 높이고 배터리 탭 접촉부의 불균형 및 이물질에 의한 콘택트 블량이 없으며 장비 사용의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09204호(2015.03.31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32380호(2011.04.25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629774호(2016.06.07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45622호(2015.04.2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 전류 단자가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 수명의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허용 전류 설계 용량에 맞게 설계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요구 사항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새로운 전지 충방전 그립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메인 바디;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를 구비한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를 구비하여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와 상기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를 상기 메인 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지 충방전 그립퍼에서는 전압 전류 단자가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 수명의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를 메인 바디에 고정한 볼트를 풀어주면 되므로,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의 교체가 용이하다. 즉, 단자 분리형 구조와 체결 볼트가 분리되어 고객의 교체시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그립단자의 하부에 전압 그립단자를 배치하여 전류 용량의 상승에 따른 케이블 굵기 및 케이블 배선 처리의 배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후면 전류단자 및 케이블(전류 코드) 연결 구조의 후면 고정볼트 체결 구조로 인하여 허용 전류 설계 용량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전압 그립단자는 전류 단자와 분리하여 성능에 문제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충방전 그립퍼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와 푸시 블록 및 그립퍼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지 충방전 그립퍼에서 전류선과 전압선을 배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메인 바디의 외표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내표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지 충방전 그립퍼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의 죠오 부분의 맞물림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충방전 그립퍼는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하우징 바디(10)와, 이 하우징 바디(10)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하우징 바디(10)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30JW)를 선단부에 구비한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40JW)를 선단부에 구비한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와,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메인 바디(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메인 바디(20)의 외표면에는 단자 안착홈(21)이 구비된다.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롤러 결합 지지편(20RS)이 구비된다. 두 개의 롤러 결합 지지편(20RS) 사이에 형성된 롤러(RO) 수용홈에 롤러(RO)가 들어와서 롤러(RO)의 롤러(RO)축이 두 개의 롤러 결합 지지편(20RS)에 결합되므로, 상기 롤러(RO)가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의 롤러 결합 지지편(20RS)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단부의 안쪽면에는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SF)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SF)이 있는 부분은 메인 바디(2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 쪽으로 갈수록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의 두께가 점점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20)의 단자 안착홈(21)에는 포지션핀(21P)이 구비된다. 포지션핀(21P)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된다. 전류 그립단자용 단자 안착홈(21)과 전압 그립단자용 단자 안착홈(21)에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포지션핀(21P)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20)의 내표면에는 축보스(20SB)가 구비되고, 축보스(20SB)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힌지축홀(H)이 구비된다. 축보스(20SB)는 메인 바디(20)의 좌우 측단부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20)는 후단부에 전압 그립단자 리어 단자편 결합을 위한 리어 결합 지지부(20RS)를 구비한다. 리어 결합 지지부(20RS)는 롤러 결합 지지편(20RS)을 벗어난 위치에 구비된다.
한 쌍의 메인 바디(20)가 내표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결합된다. 한쪽의 메인 바디(20)를 제1메인 바디(20)라 하고, 다른 쪽의 메인 바디(20)를 제2메인 바디(20)라 하면, 제1메인 바디(20)와 제2메인 바디(20)가 내표면끼기 마주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제1메인 바디(20) 내표면의 힌지 보스(20BOS)와 제2메인 바디(20)의 힌지 보스(20BOS)는 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 힌지 보스의 힌지축홀(H)이 일자로 나란하게 정렬되며, 제1메인 바디(20)와 제2메인 바디(20) 내표면의 각 힌지보스(20HB)에 형성된 힌지축홀(H)에 힌지축(HS)을 끼워줌으로써 한 쌍의 메인 바디(20)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힌지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힌지축(HS)은 하우징 바디(10)의 양쪽 측벽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홀(H)과 힌지홀이 힌지부를 구성한다. 한 쌍의 메인 바디(2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좁혀졌다가 벌려졌다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벌려주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50)를 더 포함한다. 탄성체(50)는 토션 스프링으로서, 한 쌍의 메인 바디(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힌지부의 힌지축에 토션 스프링이 끼워지고,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 토션 와이어부는 각각 한 쌍의 메인 바디(20)의 안쪽면에 접촉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토션 스프링의 힘에 의해 한 쌍의 메인 바디(20) 앞쪽이 벌려져 있고,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도 앞쪽이 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바디(20)의 후방에서 한 쌍의 메인 바디(20) 사이로 진입하여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좁혀주는 푸시 블록(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푸시 블록(60)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쐐기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푸시 블록(60)의 후방은 사각판 형상의 리어 블록으로 구성되며, 리어 블록에는 푸시 가이드핀이 연결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메인 바디(20)에 형성된 볼트홀과,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홀에 결합되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를 상기 메인 바디(20)에 밀착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와 전류 코드 볼트(30BO)를 풀어서 전류 그립단자(30)를 메인 바디(20)에서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볼트와 전압 코드 볼트(40BO)를 풀어서 전압 그립단자(40)를 메인 바디(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20)의 외표면에는 단자 안착홈(21)이 구비되고, 상기 단자 안착홈(21)은 세퍼레이션 바아부(SB)에 의해 전류 그립단자(30) 안착홈과 전압 그립단자(40) 안착홈으로 구획되어, 상기 전류 그립단자(30) 안착홈과 전압 그립단자(40) 안착홈에 각각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가 안착되고, 상기 세퍼레이션 바아부가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 사이에 개재된다. 세퍼레이션 바아부에 의해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가 물리적으로 비통전 상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를 전류 코드와 전압 코드에 각각 연결하는 전류 코드 볼트(30BO)와 전압 코드 볼트(40BO)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류 코드 볼트(30BO)는 전류 그립단자(30)의 외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 코드 볼트(40BO)는 전압 그립단자(40)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전류 그립단자(30)의 후단부에는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 밀착되는 리어 절곡부가 구비되어, 리어 절곡부에 전류 코드 볼트가 결합되어 메인 바디(20)의 리어 결합 지지부에 조여지고, 전류 코드 볼트에 의해 전류 그립단자(30) 후단부의 리어 절곡부가 메인 바디(20)의 리어 결합 지지부에 가압 밀착된다.
상기 전류 코드 볼트(30BO)와 전압 코드 볼트(40BO)에 각각 전류 코드와 전압 코드가 연결된다.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상기 전압 그립단자(40)의 각각의 죠오(30JW,40JW)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전류용 프론트 절곡편과 전압용 프론트 절곡편을 구비하고, 상기 전류용 프론트 절곡편과 전압용 프론트 절곡편에 상기 복수개의 죠오(30JW,40JW)가 구비되며, 상기 전류용 프론트 절곡편에 비하여 전압용 프론트 절곡편의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가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에 비하여 먼저 배터리의 탭(전극탭)에 접촉된다.
상기 복수개의 죠오(30JW,40JW)들은 전류 그립단자(30)의 전류용 프론트 절곡편과 전압 그립단자(40)의 전압용 프론트 절곡편에 각가 구비되고,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의 각 죠오(30JW,40JW)들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 진입하여 들어오는 푸시 블록(60)과, 상기 푸시 블록(60)을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하는 푸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10)는 그립퍼 베이스 플레이트(7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 및 탄성체(50)를 포함하는 개별 그립퍼가 복수개로 나란하게 그립퍼 베이스 플레이트(7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그립퍼 베이스 플레이트(70)의 뒤쪽에 배치된다. 푸시 플레이터의 전후면으로 관통된 푸시핀홀에는 상기 푸시 블록(60) 후단부에 연결된 푸시핀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푸시핀의 후단부는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는 것과 같이 푸시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푸시장치의 작동에 따라 푸시핀이 전후진되며, 푸시핀의 전단부에 연결된 푸시 블록(60)도 전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 블록(60)은 양쪽 측면 중에서 적어도 한쪽 측면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코드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그립퍼들과 복수개의 푸시 블록(60)과 푸시 플레이트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상기 그립퍼 베이스 플레이트(70)도 전지 충방전 그립퍼 어셈블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푸시 블록(60)이 두 개의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서 메인 바디(20) 사이로 들어와 있지 않은 푸시 블록(60) 후진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50), 다시 말해, 토션 스프링의 힘에 의해 두 개의 메인 바디(20)와 두 개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전압 그립단자(40)가 서로 벌려져 있다.
다음, 상기 푸시 블록(60)이 전진하여 두 개의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서 메인 바디(20) 사이로 진입하여 들어오면, 상기 푸시 블록(60)에 의해 두 개의 메인 바디(2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서로 좁혀져서 두 개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전압 그립단자(40)가 서로 좁혀져서 배터리의 탭 양면에 각각 두 개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가 접촉되므로,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배터리 충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는 한 쌍의 롤러(RO)가 구비되어, 상기 쐐기 블록 형태의 푸시 블록(60)이 보다 원활하게 두 개의 메인 바디(20) 사이로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다. 상기 롤러(RO)에 의해 푸시 블록(60)으로 두 개의 메인 바디(20)를 더 쉽게 벌릴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푸시 블록(60)은 쐐기 블록 형상이라서 푸시 블록(60)이 더욱 원활하게 두 개의 메인 바디(20)의 후단부 사이로 진입하여 두 개의 메인 바디(20)를 더욱 원활하게 좁혀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지 충반전 그립퍼에서는 전압 전류 단자가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 수명의 노후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를 메인 바디(20)에 고정한 볼트를 풀어주면 되므로,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의 교체가 용이하다. 즉, 단자 분리형 구조와 체결 볼트가 분리되어 고객의 교체시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그립단자(30)의 하부에 전압 그립단자(40)를 배치하여 전류 용량의 상승에 따른 케이블 굵기 및 케이블 배선 처리의 배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후면 전류단자 및 케이블(전류 코드) 연결 구조의 후면 고정볼트 체결 구조로 인하여 허용 전류 설계 용량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전압 그립단자(40)는 전류 단자와 분리하여 성능에 문제가 없게 된다. 상기 세퍼레이션 바아부가 전류 그립단자(30)와 전류 그립단자(30)를 분리하여 성능에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압 그립단자(40)에 전류 코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류 코드 볼트(30BO)와 전류 그립단자(30)에 전압 코드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압 코드 볼트(40BO)가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도록 구성하여 역시 성능에 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의 치형 구조, 다시 말해, 각각의 죠오(30JW,40JW)들은 서로 엇갈림을 통한 맞물림 구조로 되어서 치형의 마모 수명을 늘리고 배터리 탭 접촉부의 불균형 및 이물질에 의한 컨택 불량이 없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전압 그립단자(40)를 전류 그립단자(30)보다 약간 더 길게하여 배터리 탭에 컨택 시에 전압 단자가 먼저 컨택되도록 하여 컨택 에러를 줄이고 장비 사용을 안전성을 추구하였다. 상기 전압용 프론트 절곡편의 길이를 전류용 프론트 절곡편의 길이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배터리 탭에 컨택 시에 전압 단자가 먼저 컨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류와 전압선(즉, 전류 코드와 전압 코드)를 가운데로 묶어서 좌우 홀을 통과하여 하부 전류 전압 단자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적어도 한쪽면에 형성된 코드 가이드홀로 전류와 전압선을 통과시켜 가운데로 묶어줄 수 있고, 이러한 전류와 전압선을 외부 전류 전압 단자(외부 전원 공급부에 연결된 외부의 전류 전압 단자)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바디(20)의 전류 그립단자용 단자 안착홈(21)과 전압 그립단자용 단자 안착홈(21)에 각각 전류 그립단자(30)와 전압 그립단자(40)가 안착되어 있어서, 메인 바디(20)와 전류 그립단자 및 전압 그립단자 사이의 결합 구조가 보다 견고해진다.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가 메인 바디(20)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므로, 메인 바디(20)와 전류 그립단자 및 전압 그립단자 사이의 결합 구조가 보다 견고해지는 것이다.
또한,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포지션홀(PH)이 구비되고, 메인 바디(20)의 외표면에는 포지션핀(21P)이 구비되어, 상기 포지션홀(PH)을 포지션핀(21P)에 끼우면,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가 메인 바디(20) 외표면의 단자 안착홈(21)에 자동으로 자리 잡아서 안착되므로,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를 메인 바디(20)에 조립할 때에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그립단자는 후단부에 길이 방향과 교차된 방향으로 절곡된 리어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연결편은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 구비된 리어 결합 지지편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류 코드 볼트에 의해 리어 결합 지지편에 고정되므로, 전류 그립단자를 메인 바디(20)에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보다 견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 코드 볼트는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전압 코드 볼트는 전류 코드 볼트를 벗어나도록 전압 그립단자의 외표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전류 코드 볼트와 전압 코드 볼트가 접촉되어 에러(전지 충방전시의 에러)가 날 수 있는 여지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는 세퍼레이션 바아부에 의해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어서, 상기 전류 그립단자와 전압 그립단자가 서로 접촉됨으로 인한 에러(상기 전지 충방전시의 에러 등)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단부의 안쪽면에는 메인 바디(20)의 외표면과 내표면 사이의 두께를 점점 더 줄여주는 경사면(SF)이 구비되므로, 메인 바디(20)의 성형 재료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하우징 바디 20. 메인 바디
30. 전류 그립단자 40. 전압 그립단자
50. 탄성체

Claims (5)

  1. 내부에 전후면으로 연통된 공간부를 구비한 하우징 바디(10);
    상기 하우징 바디(10)의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10)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메인 바디(20);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30JW)를 구비한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에 결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복수개의 죠오(40JW)를 구비하여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와 상기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상기 메인 바디(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상기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벌려주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50);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의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와 상기 한 쌍의 전류 그립단자(30) 및 상기 한 쌍의 전압 그립단자(40)를 좁혀주는 푸시 블록(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상기 전압 그립단자(40)를 전류 코드와 전압 코드에 각각 연결하는 전류 코트 볼트와 전압 코드 볼트(40BO)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류 코드 볼트(30BO)는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의 외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 코드 볼트(40BO)는 상기 전압 그립단자(40)의 후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그립단자(30)와 상기 전압 그립단자(40)의 각각의 죠오(30JW,40JW)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바디(20)의 후단부에 진입하여 들어오는 푸시 블록(60);
    상기 푸시 블록(60)을 전후진 가능하게 지지하는 푸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20160075698A 2016-06-17 2016-06-17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186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98A KR101864416B1 (ko) 2016-06-17 2016-06-17 전지 충방전 그립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98A KR101864416B1 (ko) 2016-06-17 2016-06-17 전지 충방전 그립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367A true KR20170142367A (ko) 2017-12-28
KR101864416B1 KR101864416B1 (ko) 2018-06-29

Family

ID=6093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698A KR101864416B1 (ko) 2016-06-17 2016-06-17 전지 충방전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41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8714A (zh) * 2018-02-02 2018-07-24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大电流夹具装置
CN108555943A (zh) * 2018-03-19 2018-09-21 深圳市新浦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机械手开夹装置
CN109004256A (zh) * 2018-07-09 2018-12-14 惠州市德合盛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式电池化成柜
CN109728352A (zh) * 2018-12-27 2019-05-07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化成产线及方法
CN111129601A (zh) * 2019-11-29 2020-05-08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控制夹具
WO2021153840A1 (ko) * 2020-01-30 2021-08-05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용 전극 리드 그립퍼
KR20210120295A (ko) * 2020-03-26 2021-10-07 (주) 에이프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20230048844A (ko) * 2021-10-05 2023-04-12 이재혁 배터리 전극 연결용 클램핑 장치
WO2023090840A1 (ko)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충방전용 그리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80B1 (ko) 2009-07-07 2011-05-03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전극단자
KR20130070790A (ko) * 2011-12-20 2013-06-28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20150011861A (ko) * 2013-07-23 2015-02-03 (주)이티에이치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KR101509204B1 (ko) 2014-02-28 2015-04-09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경추 베개
KR20150045622A (ko)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충방전기
KR101629774B1 (ko) 2015-05-29 2016-06-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80B1 (ko) 2009-07-07 2011-05-03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전극단자
KR20130070790A (ko) * 2011-12-20 2013-06-28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20150011861A (ko) * 2013-07-23 2015-02-03 (주)이티에이치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KR20150045622A (ko)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충방전기
KR101509204B1 (ko) 2014-02-28 2015-04-09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경추 베개
KR101629774B1 (ko) 2015-05-29 2016-06-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8714A (zh) * 2018-02-02 2018-07-24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大电流夹具装置
CN108555943A (zh) * 2018-03-19 2018-09-21 深圳市新浦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机械手开夹装置
CN109004256A (zh) * 2018-07-09 2018-12-14 惠州市德合盛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式电池化成柜
CN109728352A (zh) * 2018-12-27 2019-05-07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化成产线及方法
CN109728352B (zh) * 2018-12-27 2022-12-20 天津银隆新能源有限公司 化成产线及方法
CN111129601A (zh) * 2019-11-29 2020-05-08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气动控制夹具
WO2021153840A1 (ko) * 2020-01-30 2021-08-05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용 전극 리드 그립퍼
KR20210120295A (ko) * 2020-03-26 2021-10-07 (주) 에이프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20230048844A (ko) * 2021-10-05 2023-04-12 이재혁 배터리 전극 연결용 클램핑 장치
WO2023090840A1 (ko) * 2021-11-16 2023-05-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충방전용 그리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416B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16B1 (ko)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1076412B1 (ko)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9515431B2 (en) Device for connecting battery module electrode terminal and terminal
JP7135120B2 (ja) バッテリセル連結用バスバー、バッテリパック及びこの製造方法
US20120328908A1 (en) Battery Pack
US20110181243A1 (en) Battery charger for a battery pack housing rechargeable batteries
US7183744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KR100651615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전자 기기
KR101509206B1 (ko)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6057670A (en) Smart connector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1076411B1 (ko)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어셈블리
KR101765749B1 (ko) 듀얼 전류 그립단자형 전지 충방전 그립퍼
CN101651189B (zh) 电池组
KR101509207B1 (ko)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EP2892105B1 (en) Test jig
KR20130070790A (ko) 전지 충방전 그립퍼
JP5941225B2 (ja) 電池充放電用グリッパ組立体
KR102050033B1 (ko) 충방전 단자모듈과 이를 갖춘 전지셀 고온 가압장치
US9207153B2 (en) Test jig
KR102172845B1 (ko) 배터리 팩
US20150061596A1 (en) Gripper assembly for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KR10185390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30939B1 (ko) 전극 손상을 예방하는 전극 접속 유니트
KR20210043900A (ko) 조립이 용이한 배터리 파워 팩
JP2006294418A (ja) 急速充電用のコネクタまたは端子を有する二次電池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