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207B1 -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 Google Patents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207B1
KR101509207B1 KR20130122722A KR20130122722A KR101509207B1 KR 101509207 B1 KR101509207 B1 KR 101509207B1 KR 20130122722 A KR20130122722 A KR 20130122722A KR 20130122722 A KR20130122722 A KR 20130122722A KR 101509207 B1 KR101509207 B1 KR 10150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clip
bus bar
battery
gri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736A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이티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티에이치 filed Critical (주)이티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5001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spring force increased by screw, cam, wedge, or other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지(2) 충방전 작업시 전지(2)의 전극탭(4)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있어서, 그립퍼 바디(22)와; 상기 그립퍼 바디(22)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2)에 돌출된 상기 전극탭(4)을 양면에서 물어주기 위한 한 쌍의 클립(24)과;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 구비되어 전원이 상기 클립(24)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콘택트편(26)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편(26)은 상기 한 쌍의 클립(24)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택트편(26)은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기단부에서 뒤쪽으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Secondary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gripper}
본 발명은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용 지그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지그에서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 지그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하는 수고를 감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립퍼의 양면 위치에 배치되는 클립을 숏트(부하 없이 단락)시켜주는 버스바가 더 구비되어 용량 확보, 발열에 대한 문제 발생 등에 유리하며, 볼티지 센싱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학적인 전지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나누어진다. 망간전지, 알칼리전지 및 수은전지 등과 같이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를 1차 전지라 하며, 충전지나 납축전지처럼 전기를 다 쓰고 난 뒤 다시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2차 전지라 하는데, 최근 핸드폰, PDA, 스마트폰 및 노트북컴퓨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1회 충전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긴 2차 전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에는 니켈-카드뮴(Ni-Cd), 니켈-수소(Ni-MH), 납축전지(SLA), 리튬-이온(lithium-Ion) 및 리튬-폴리머(lithium-polymer) 등이 있다. 이러한 2차 전지는 충방전 효율이나 전류용량 등을 고려하여 내부에 여러 개의 셀 즉, 단위전지들을 연결한 전지팩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재는 높은 에너지 밀도, 경량, 고전압, 무공해, 고출력, 고속충전, 우수한 수명 등의 장점을 지닌 리튬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리튬전지는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및 리튬금속폴리머전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전지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베어셀(bare cell)에 회로나 단자 또는 연결부품을 결합시킨 후 케이스 조립되는 하드팩(hard pack) 공정과 이 하드 팩에 충방전(formation)을 진행하는 충방전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드팩 공정시 제품의 용도 및 요구되는 특성에 맞게 전지의 형태 및 모양이 결정되며, 충방전 공정시 전지의 성능이 결정되고 제품의 양부가 판정된다. 이차 전지의 충방전 과정은 그립퍼 어셈블리의 전류 전극탭 및 전압 전극탭과 지지대 사이에 배치된 전극탭을 압지하여 충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전지셀을 충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다수의 채널이 나란하게 정렬된 전지 충방전용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의 각 채널에 그립퍼를 장착하여 다수의 전지셀을 충방전하고자 하는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불량이 발생한 해당 채널의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그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불합리한 점이 많다. 각 그립퍼마다 전원 인가(전류 인가)를 위한 전선과 기타 다른 여러 가지 부품이 연결되어 있어서, 지그의 각 채널에 장착된 그립퍼 중에서 어느 그립퍼의 불량이 있을 경우 해당 그립퍼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그를 구성하는 전선과 기타 대부분의 부품을 분해해야만 하고, 불량 그립퍼를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그립퍼를 다시 해당 채널에 장착한 다음 다시 분해했던 부품을 재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 소요도 많이 되고 작업상의 불편함도 초래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76411호(2011.10.18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32701호(2011.04.26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32380호(2011.04.25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용 지그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지그에서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 지그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하는 수고를 감수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절차만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새로운 구성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립퍼의 양면 위치에 배치되는 클립을 숏트시켜주기 위한 버스바가 추가로 구비되어 용량 확보, 발열에 대한 문제 등에 유리하며, 볼티지 센싱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충방전 작업시 전지의 전극탭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있어서, 그립퍼 바디와; 상기 그립퍼 바디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에 돌출된 상기 전극탭을 양면에서 물어주기 위한 한 쌍의 클립과; 상기 클립의 기단부에 구비되어 전원이 상기 클립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콘택트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가 제공된다.
상기 콘택트편은 상기 한 쌍의 클립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택트편은 상기 그립퍼 바디의 기단부에서 뒤쪽으로 더 멀어지는 방향(상기 그립퍼 바디의 선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의 상기 클립의 기단부에 구비된 상기 콘택트편과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도록 지그(지그 프레임)에 장착된 버스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그에 장착되어 상기 그립퍼의 상기 클립의 기단부 위치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전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부가 구비된 버스바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바 블록 내부의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 기단부의 상기 콘택트편과 콘택트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지그에 장착되며 내부에 나란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부에는 버스바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를 상기 그립퍼의 상기 한 쌍의 클립 기단부와 콘택트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버스바 블록과, 상기 지그에 상기 그립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를 상기 지그에 체결하여 상기 버스바 블록 내부의 상기 버스바가 상기 그립퍼의 상기 클립 기단부의 상기 콘택트편에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편은 상기 한 쌍의 클립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콘택트편은 상기 버스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를 상기 지그(지그 프레임)에 상기 볼트에 의해 체결시 상기 콘택트편이 상기 그립퍼의 전단부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버스바에 상기 콘택트편이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탄성 재질의 금속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의 기단부측 일부를 벤딩(절곡)시켜서 클립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편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클립의 전방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그립핑 피스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그립핑 피스의 선단부는 다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그립 콘택트편이 구비된다.
상기 그립퍼 바디는 선단부측 양면에 경사면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그립퍼 바디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그립퍼 바디의 길이 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퍼 바디는 선단부측에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상기 그립퍼 바디 양면 위치의 상기 클립 사이에 두 개의 푸시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푸시 롤러는 서로 맞닿아 있어서 상기 클립과 상기 푸시 롤러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푸시 롤러의 전후진시 상기 푸시 롤러의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 클립과 상기 푸시 롤러가 맞닿는 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클립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두 개의 서로 맞닿은 푸시 롤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지지력이 작용하여 외압으로 인한 클립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충방전 작업시 전지의 전극탭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있어서, 그립퍼 바디와; 상기 그립퍼 바디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에 돌출된 상기 전극탭을 양면에서 물어주기 위한 한 쌍의 클립과; 상기 그립퍼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면 위치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클립을 각각 숏트시켜주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가 제공된다.
상기 버스바에는 클립 고정용 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면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볼티지 클립과 커런트 클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볼티지 클립은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쪽 측면 위치에 하나씩 두 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쪽 측면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볼티지 클립은 서로 길이의 차이가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티지 클립과 상기 커런트 클립은 전지의 전극탭과 접촉되는 끝단이 평탄면으로 구성되거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죠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충방전용 지그에 장착되어 전지의 전극탭을 그립하여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있어서, 그립퍼 바디와;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면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클립과; 상기 클립의 기단부측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버스바 및 상기 그립퍼 바디의 양면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클립을 숏트시켜주도록 상기 그립퍼 바디에 구비된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가 제공된다.
상기 클립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그에 장착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클립의 외표면에 접촉되는 푸시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버스바에 전원 인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에는 각 그립퍼의 각 클립의 기단부에 구비된 콘택트편이 버스바에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해당 그립퍼의 푸시 롤러 고정 볼트 제거, 해당 그립퍼의 푸시 롤러 제거, 해당 그립퍼의 고정 볼트 제거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해당 그립퍼와 각 클립 및 콘택트편이 버스바와는 별도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 그립퍼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지그에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클립의 외측면 위치에는 볼트에 의해 푸시 블록에 결합된 푸시 롤러가 배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그립퍼는 지그 프레임에 고정수단(이하, 편의상 고정수단을 볼트라 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그립퍼의 각 클립이 그립되는 작동을 하는 푸시 롤러도 고정수단(푸시 롤러 고정수단도 역시 편의상 볼트라 함)에 의해 푸시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불량이 생긴 해당 그립퍼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지그에서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 지그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하는 수고를 감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립퍼를 측면 방향으로 세워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퍼와 버스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스바와 본 발명의 그립퍼의 콘택트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퍼가 버스바에 압착으로 통전되기 이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그립퍼가 버스바에 압착으로 통전된 이후의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립퍼에 의해 전지의 전극탭을 그립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립퍼를 고정한 볼트를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그립퍼를 개별적으로 버스바에서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립퍼 바디 양면에 클립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2는 일반적인 이차 전지팩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A Type 그립퍼의 클립의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 Type 그립퍼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B Type 그립퍼의 클립의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B Type 그립퍼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는 전지(2) 충방전 작업시 전지(2)의 전극탭(4)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그립퍼 바디(22)에 한 쌍의 클립(24)이 구비되고,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는 전지(2) 충방전을 위한 전원(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콘택트편(26)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불량 발생과 같은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때에 개별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는 내부에 그립퍼 장착 공간부를 구비한 지그(10)에 장착되어 한 쌍의 클립(24)이 전지(2)에 구비된 전극탭(4)을 그립핑한 상태에서 전원(전류)에 인가하여 전지(2)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그(10)는 복수개의 그립퍼가 한쪽 측면부에서 다른 쪽 측면부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지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그립퍼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클립(24)은 복수개의 푸시 롤러(34)가 눌러주어 한 쌍의 클립(24)에 의해 전지(2)의 전극탭(4)을 그립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그립퍼는 각각 고정수단에 의해 지그 프레임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푸시 롤러(34)도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푸시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그 프레임의 좌우측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어드져스트먼트 블록에는 그립퍼 얼라인 블록이 결합되어 있다. 그립퍼 얼라인 블록은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대략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상단부측 전면과 하단부측 전면에는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그립퍼 고정홀(볼트홀 구조)이 구비된다. 또한,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좌우측 전면에는 각각 브라켓 고정홀(볼트홀 구조)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양단부는 두 개의 어드져스트먼트 블록에 볼트(28)와 같은 볼트(28)를 매개로 고정됨으로써 그립퍼 얼라인 블록이 지그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셔트먼트 블록과 그립퍼 얼라인 블록도 지그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내부 공간부에는 버스바 블록(44)이 결합되어 있다. 버스바 블록(44)은 지그 프레임의 좌우 방향(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대략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버스바 블록(44)이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버스바 블록(44)의 좌우 양쪽 측단부가 볼트(28)에 의해 상기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 블록(44)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버스바 홀이 구비되어 있다. 버스바 홀은 상하 배열된 커런트 버스바 홀(Current busbar hall)과 볼티지 버스바 홀(Voltage busbar hall)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 블록(44)의 버스바 홀에 버스바(40)가 결합되어 있다. 버스바(4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전성 재질(통전성 금속 등)로 이루어지는데, 버스바 블록(44)의 커런트 버스바 홀에 결합된 커런트 버스바(40A)(Current busbar)와 버스바 블록(44)의 볼티지 버스바 홀에 결합된 볼티지 버스바(40B)(Voltage busbar)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 블록(44)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버스바 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복수개의 커런트 버스바(40A)와 볼티지 버스바(40B)가 지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그립퍼의 한 쌍의 클립(24) 기단부에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도록 지그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개의 버스바(40)가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지그 프레임의 그립퍼 장착 공간부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되어 두 개의 통전성 클립(24)이 버스바(40)에 콘택트되는 그립퍼를 포함한다. 이때, 그립퍼는 그립퍼 바디(22)와, 이 그립퍼 바디(22)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지(2)에 돌출된 전극탭(4)을 양면에서 물어주는 한 쌍의 클립(24)을 구비한다.
상기 그립퍼 바디(22)는 대략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는 볼트(B)를 조여서 결합하기 위한 볼트 결합홀이 각각 구비된다. 볼트 결합홀은 전류 클립(24A) 볼트 결합홀과 전압 클립(24B) 볼트 결합홀을 포함한다. 전압 클립(24B) 볼트 결합홀은 전류 클립(24A) 볼트 결합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경이 더 작게 구성된다. 또한,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는 한 쌍의 클립(24)을 구성하는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을 구획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를 경계로 분할된 전류 클립(24A) 결합 섹터와 전압 클립(24B) 결합 섹터에 각각 전류 클립(24A) 볼트 결합홀과 전압 클립(24B) 볼트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립퍼 바디(22)의 양쪽 측면부에는 고정 지지편(22a)이 구비되고, 고정 지지편(22a)의 내부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볼트 결합홀(22h)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 지지편(22a)의 양면 두께는 그립퍼 바디(22)의 양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다. 즉, 고정 지지편(22a)의 양면이 그립퍼 바디(22)의 양면보다 더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두 개의 고정 지지편(22a) 중에서 한쪽 고정 지지편(22a)의 내측단과 상기 스페이서의 한쪽 측단부 사이에 전류 클립(24A)의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고정 지지편(22a) 내측단과 상기 스페이서의 다른 쪽 측단부 사이에 전압 클립(24B)의 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부가 형성된다. 또한,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 양면에 경사면(24sf)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24sf)은 그립퍼 바디(22)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면 구조이다. 따라서,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두 개의 대칭된 경사면(24sf)이 그립퍼 바디(22)의 선단부측 양면에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 내부에 스페이스(24s)가 구비되어 있다. 그립퍼 바디(22)의 선단부측 양면에 대칭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경사면(24sf) 사이에 상기 스페이스(24s)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그립퍼 바디(22)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클립(24)이 결합되어 있다. 클립(24)은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 클립(24A)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픽싱 피스(24fp)와, 이 픽싱 피스(24fp)의 선단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그립핑 피스(24gp)와, 이러한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에 구비된 그립 콘택트편(24gc)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는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이 볼트(B)에 의해 고정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전류 클립(24A)을 그립퍼 바디(22)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류 클립(24A) 결합 섹터에 배치하면, 상기 그립퍼 바디(22) 양쪽 측단부 위치의 두 개의 고정 지지편(22a) 중에서 한쪽 고정 지지편(22a)의 내측단과 상기 스페이서의 한쪽 측단부에 의해 형성된 지지턱부에 의해 전류 클립(24A)의 픽싱 피스 양쪽 측단부가 지지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류 클립(24A)의 픽싱 피스에 형성된 볼트 결합홀에 볼트(28)를 끼우고,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 형성된 전류 클립(24A) 볼트 결합홀에 상기 볼트(B)를 조여주면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류 클립(24A)의 그립핑 피스(24gp)는 픽싱 피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연장되고,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된 그립 콘택트편(24gc)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이 그립퍼 바디(22)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의 각 그립핑 피스(24gp)도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그립핑 피스(24gp)가 픽싱 피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벌어지게 연장되므로, 그립퍼 바디(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전류 클립(24A)의 그립핑 피스(24gp)가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은 그립퍼 바디(22)의 상면과 저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전류 클립(24A)의 그립핑 피스(24gp)가 측면에서 볼 때에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전압 클립(24B)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픽싱 피스(24fp)와, 이 픽싱 피스(24fp)의 선단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그립핑 피스(24gp)와, 이러한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에 구비된 그립 콘택트편(24gc)을 포함한다. 전압 클립(24B)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너비는 전류 클립(24A)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게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는 한 쌍의 전압 클립(24B)이 볼트(B)에 의해 고정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전압 클립(24B)을 그립퍼 바디(22)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압 클립(24B) 결합 섹터에 배치하면 상기 그립퍼 바디(22) 양쪽 측단부 위치의 두 개의 고정 지지편(22a) 중에서 다른 쪽 고정 지지편(22a)의 내측단과 상기 스페이서의 다른 측단부 사이에 형성된 지지턱부에 의해 전압 클립(24B)의 픽싱 피스 양쪽 측단부가 지지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압 클립(24B)의 픽싱 피스에 형성된 볼트(28) 삽입홀에 볼트(B)를 끼우고,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 형성된 전압 클립(24B) 볼트 결합홀에 상기 볼트(B)를 조여주면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 한 쌍의 전압 클립(24B)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두 개의 전류 클립(24A)의 한쪽 위치에 하나씩 전압 클립(24B)이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전압 클립(24B)의 그립핑 피스(24gp)는 픽싱 피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연장되고,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된 그립 콘택트편(24gc)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전압 클립(24B)도 그립퍼 바디(22)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전압 클립(24B)의 각 그립핑 피스(24gp) 역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전압 클립(24B)의 그립핑 피스(24gp)가 픽싱 피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벌어지게 연장되므로, 그립퍼 바디(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전압 클립(24B)의 그립핑 피스(24gp)가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전류 클립(24A)은 그립퍼 바디(22)의 상면과 저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전압 클립(24B)의 그립핑 피스(24gp)가 측면에서 볼 때에 서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는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의 전방측 일부분(즉, 그립핑 피스(24gp) 부분)이 그립퍼 바디(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면서 그립퍼 바디(22)의 표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후술할 푸시 롤러(34)에 의해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의 각 그립핑 피스(24gp)가 좁혀져서 각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에 구비된 그립 콘택트편(24gc)이 전지(2)의 전극탭(4) 양면을 그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는 일체형으로 콘택트편(26)이 구비된다. 콘택트편(26)은 전류 클립(24A)의 기단부에 구비된 전류 콘택 콘택트편(26)과 전압 클립(24B)의 기단부에 구비된 전압 콘택 콘택트편(26)으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전류 콘택 콘택트편(26)과 전압 콘택 콘택트편(26)을 편의상 콘택트편(26)으로 통일하여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24)은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을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을 편의상 클립(24)으로 통일하여 칭하기로 한다.
상기 콘택트편(26)은 한 쌍의 클립(24)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클립(24)에 구비된 한 쌍의 콘택트편(26)은 버스바(40)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를 측면에서 볼 때에 그립퍼의 양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수직 방향이라 가정하면, 상기 콘택트편(26)이 그립퍼의 수직 방향에 대해 버스바(40) 방향으로 더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클립(24)은 탄성 재질의 금속제(예를 들어, 구리 등)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측 일부를 벤딩(절곡)시켜서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콘택트편(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콘택트편(26)은 버스바(40)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콘택트편(26)이 그립퍼의 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콘택트편(26)이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립퍼의 측면에서 볼 때에 콘택트편(26)이 클립(2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립퍼의 뒤쪽(기단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더 벌어진 구조를 갖는 것이며, 콘택트편(26)이 클립(24)의 기단부에서 뒤쪽으로 더 벌어진 상태가 되어 있어서 버스바(40)에 의해 눌릴 때에 콘택트편(26)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압지된 상태로 버스바(40)의 표면에 콘택트(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립퍼의 측면에서 볼 때에 콘택트편(26)이 클립(2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립퍼의 뒤쪽(기단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벌어진 구조를 이룸으로써, 버스바(40)에 의해 누를 때에 콘택트편(26)이 그립퍼의 전단부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탄성력이 작용하고, 콘택트편(26)에 탄성력이 작용하는 만큼 버스바(40) 전면에 콘택트편(26)이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클립(24) 중에서 하나의 클립(24)은 전류 클립(24A)과 전압 클립(24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메인 버스바는 커런트 메인 버스바와 볼티지 메인 버스바로 구성되고, 볼티지 메인 버스바는 회로기판에 전선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로기판은 외부 전원 공급부에 볼티지 센싱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커런트 메인 버스바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 커런트 케이블을 매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2) 충방전 시스템의 전원 공급부에 구비된 커런트 케이블에 커런트 버스바(40A)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지(2) 충방전 시스템의 볼티지 센싱 케이블에 볼티지 버스바(40B)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클립(24) 기단부의 콘택트편(26)이 볼티지 버스바(40B)와 커런트 버스바(40A)에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됨으로써, 상기 그립퍼의 한 쌍의 클립(24)이 푸시 롤러(34)에 의해 전지(2)의 전극탭(4)을 물어준 상태(그립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전지(2) 충방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그 프레임의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버스바 블록(44)이 결합되어 있고, 버스바 블록(44)에는 버스바(4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그립퍼를 고정수단으로 장착시킴에 따라 상기 클립(24) 기단부의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와의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그립퍼를 관통하여 지그 프레임(정확하게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체결되는 볼트(28)로 구성되고, 상기 지그 프레임에 푸시 작동수단을 매개로 설치된 제1푸시 블록과 제2푸시 블록 사이에는 내부에 나란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부에 버스바(40)가 결합되어 버스바(40)를 그립퍼의 한 쌍의 클립(24) 기단부와 콘택트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버스바 블록(44)이 배치되며, 상기 그립퍼를 관통하는 볼트(28)를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체결함에 따라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 구비된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와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볼트홀 구조의 그립퍼 고정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그립퍼는 좌우 양쪽 측단부에 고정 지지편(22a)이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 지지편(22a)의 내부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볼트 결합홀(22h)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편(22a)의 볼트 결합홀(22h)에 끼워진 볼트(28)를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그립퍼 고정홀에 조여주면, 상기 그립퍼가 그립퍼 얼라인 블록의 전방 위치에 고정되고 동시에 본 발명의 그립퍼가 지그 프레임의 좌우 양쪽 측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그립퍼 바디(22)를 관통(정확하게는 고정 지지편(22a)의 볼트 결합홀(22h)을 관통)한 볼트(28)를 조여서 그립퍼 바디(22)를 체결하여 주면, 그립퍼 바디(22) 기단부의 콘택트편(26)이 그립퍼 바디(22)의 전단부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버스바(40)에 상기 콘택트편(26)이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된다. 그립퍼 바디(22)를 볼트(28)에 의해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고정하기 이전에는 그립퍼 바디(22) 기단부의 콘택트편(26)이 그립퍼 바디(22)의 전단부 방향에서 더 뒤쪽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가 상기 그립퍼 바디(22)를 볼트(28)에 의해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고정되도록 체결하여 주면, 상기 볼트(28)가 그립퍼 바디(22)를 밀어서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고정하는 힘에 의해 그립퍼 바디(22)의 클립(24) 기단부에 구비된 콘택트편(26)이 눌려지면서 자체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 표면에서 떨어지는 일이 없이 기밀되게 밀착 콘택트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스바(40)와 콘택트편(26)을 통해 클립(24)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그립퍼 바디(22)에 구비된 한 쌍의 클립(24)이 전지(2)의 전극탭(4)을 그립한 상태에서 전지(2) 충방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콘택트편(26)이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편(26)은 버스바(40)의 표면에 압착으로 통전되도록 콘택트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전지(2) 충방전을 위한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수단에 의해 그립퍼 바디(22)가 지그(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필요시 그립퍼만을 따로 분리할 수 있다는 구성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 고정수단은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편(22a)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조여지는 볼트(28)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28)를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형성된 그립퍼 고정홀에 조여주면 그립퍼 바디(22)가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볼트(28)를 풀어서 제거하면 상기 그립퍼 바디(22)가 버스바(40)와는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볼트(28)를 풀어주면 본 발명의 그립퍼의 그립퍼 바디(22)와 두 개의 클립(24)과 두 개의 콘택트편(26) 자체가 버스바(40)와는 별도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며 이처럼 본 발명의 그립퍼를 버스바(40)와 별도로 분리할 수 있다는 구성도 상당히 중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클립(24)의 전방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그립핑 피스(24gp)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는 다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그립 콘택트편(24gc)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그립퍼가 장착되는 지그(10)를 구성하는 지그 프레임에는 푸시 블록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푸시 블록과 이에 구비된 푸시 롤러(34)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푸시 작동수단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그립퍼 바디(22)에 구비된 두 개의 클립(24)을 서로 좁혀지도록 작동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푸시 작동수단은 지그 프레임에 장착된 두 개의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지그 프레임의 좌우 양쪽 위치에 구비된 각각의 사이드 어드저스트먼트 플레이트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푸시 블록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신장됨에 따라 푸시 블록과 이에 구비된 푸시 롤러(34)가 전진하고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롤러(34)는 양단부가 푸시 블록에 각각 결합되며, 본 발명의 그립퍼는 양쪽의 고정 지지편(22a)을 관통한 볼트(28)가 지그 프레임(그립퍼 얼라인 블록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클립(24) 외측면 위치에 푸시 롤러(34)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푸시 블록에는 상하로 마주하는 롤러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푸시 롤러(34)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단면 원형 슬리브 구조의 콘택트 포스트와, 이러한 콘택트 포스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콘택트 포스트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 롤러(34)의 양단부가 푸시 롤러(34)에 결합된 볼트(28)에 의해 푸시 블록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푸시 블록은 상하로 마주하는 롤러 결합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배열되며, 상기 푸시 롤러(34)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콘택트 포스트에 의해 내부가 비어 있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푸시 블록과 제2푸시 블록의 롤러 결합홀에 볼트식으로 한 쌍의 볼트를 조여주고, 상기 제1푸시 블록과 제2푸시 블록의 롤러 결합홀에 체결된 상하 볼트에는 롤러의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푸시 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복수개의 푸시 롤러(34)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결합홀은 각각의 버스바(40) 양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푸시 블록의 롤러 결합홀에 상하 한 쌍씩의 볼트를 조여서 상하 한 쌍의 볼트에 의해 푸시 블록에 푸시 롤러(34)를 결합하면, 본 발명의 그립퍼가 복수개로 나란하게 지그(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각 그립퍼의 클립(24) 외표면 사이의 공간부에 두 개의 푸시 롤러(34)가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블록에 푸시 롤러(34)의 양단부가 볼트(2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그립퍼 바디(22)를 분리하기 위해 먼저 푸시 롤러(34)를 볼트(28)를 풀어서 제거하고 푸시 롤러(34)를 먼저 분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푸시 블록과 푸시 롤러(34)를 본 발명의 그립퍼의 주요부인 한 클립(24)를 좁혀서 전지(2)의 전극탭(4)를 그립하는 수단 중의 일례이며, 상기 한 쌍의 클립(24)를 좁혀주는 작동을 위한 수단은 상기 푸시 블록과 푸시 롤러(34) 이외에 다른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그립퍼가 지그(10) 등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불량 발생시에 본 발명의 그립퍼만 별도로 분리하도록 구성한 것에 본 발명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전지(2)의 전극탭(4)을 그립하여 충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그립퍼의 한 쌍의 클립(24) 사이로 전지(2)의 전극탭(4)이 투입되도록 한다. 미도시된 전지(2) 트레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지(2)를 나란하게 세워서 각각의 그립퍼의 클립(24) 사이로 전극탭(4)을 하나씩 투입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상기 지그 프레임에 장착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작동에 의해 푸시 블록과 이에 장착된 푸시 롤러(34)를 전진시킨다.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신장시켜서 푸시 블록에 복수개의 나란한 푸시 롤러(34)를 동시에 전진시킨다.
상기 푸시 블록과 복수개의 푸시 롤러(34)가 전진하면, 상기 푸시 롤러(34)에 의해 각 그립퍼의 클립(24)이 좁혀지면서 전지(2)의 전극탭(4)을 양면에서 그립한다. 푸시 롤러(34)가 각 클립(24)의 서로 벌어져 있는 그립핑 피스(24gp)를 눌러서 좁혀지도록 하며, 각 클립(24)의 그립핑 피스(24gp)가 푸시 롤러(34)에 의해 좁혀지면 그립핑 피스(24gp) 선단부의 그립 콘택트편(24gc)이 전지(2)의 전극탭(4)을 그립한 상태(물어준 상태)가 되며, 이처럼 그립퍼의 각 클립(24)에 의해 전지(2)의 전극탭(4)을 그립한 다음에 버스바(40)를 통해 클립(24)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전지(2) 충방전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각 그립퍼 바디(22) 양면에 구비된 각 클립(24)의 기단부에 콘택트편(26)이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편(26)은 버스바(40)에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어 있으므로, 전지(2) 충방전 그립퍼용 지그(10)에서 불량이 발생한 해당 채널의 그립퍼만을 따라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그립퍼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지지편(22a)의 볼트(28) 삽입홀에 볼트(28)를 끼워서 전지(2) 충방전용 지그(10) 등에 볼트(28)를 조여줌으로써 본 발명의 그립퍼를 장착할 수 있는데, 상기 볼트(28)의 조여주는 힘에 의해 각 클립(24)의 기단부측 콘택트편(26)이 압착으로 버스바(40)에 콘택트되어 있다가 상기 볼트(28)를 풀어주면 그립퍼 바디(22)와 한 쌍의 클립(24) 및 각 콘택트편(26)을 한꺼번에 전원 인가부(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스바(40) 부분)에서 별도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그(10)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해야만 하는 수고를 감수할 필요가 없어서 유지 관리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즉, 기존에는 불량이 발생한 해당 채널의 그립퍼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그(10)를 구성하는 부품 대부분을 분해하는 수고를 감수해야만 하므로, 여러모로 불합리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불량 그립퍼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기존에는 각각의 그립퍼마다 전원 인가(전류 인가)를 위한 전선과 기타 다른 여러 가지 부품이 연결되어 있어서, 지그(10)의 각 채널에 장착된 그립퍼 중에서 어느 그립퍼의 불량이 있을 경우 해당 그립퍼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그(10)를 구성하는 전선과 기타 대부분의 부품을 분해해야만 하고, 불량 그립퍼를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그립퍼를 다시 해당 채널에 장착한 다음 다시 분해했던 부품을 재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 소요도 많이 되고 작업상의 불편함도 초래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버스바(40)에 전원 인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40)에는 각 그립퍼의 각 클립(24)의 기단부에 구비된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에 압착으로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이 해당 그립퍼의 푸시 롤러(34) 고정 볼트(28) 제거, 해당 그립퍼의 푸시 롤러(34) 제거, 해당 그립퍼의 고정 볼트(28) 제거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해당 그립퍼와 각 클립(24) 및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와는 별도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 그립퍼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지그(10)에 볼트(2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클립(24)의 외측면 위치에는 볼트(28)에 의해 푸시 블록에 결합된 푸시 롤러(34)가 배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그립퍼는 지그 프레임에 고정수단(이하, 편의상 고정수단을 볼트(28)라 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그립퍼의 각 클립(24)이 그립되는 작동을 하는 푸시 롤러(34)도 고정수단(푸시 롤러(34) 고정수단도 역시 편의상 볼트(28)라 함)에 의해 푸시 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불량이 생긴 해당 그립퍼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지그 프레임에 구비된 그립퍼 얼라인 블록에 그립퍼가 볼트(28)에 의해 각각의 그립퍼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푸시 롤러(34)도 푸시 블록에 볼트(28)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28)를 풀어서 제거하고 푸시 롤러(34)를 제거한 다음 해당 불량 그립퍼만을 분리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그(10) 등에 장착되기 위한 고정용 볼트(28)를 분리하는 과정만 수행하면, 각 클립(24) 및 콘택트편(26)이 버스바(40)와는 별도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해당 그립퍼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상기 지그(10) 등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8)를 제거하면, 버스바(40)는 지그(10)에 그대로 놔두고 해당 그립퍼만을 제거할 수 있고, 해당 불량 그립퍼 제거 이후에는 상기와 같이 새로운 그립퍼를 재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불량 그립퍼의 교체에 의한 많은 작업 시간 소요와 작업상의 불편함 등을 해소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매우 바람직하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 용량의 충방전을 위해서는 그립퍼에 직접 부하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은 그립퍼 불량으로 인한 교체가 필요할 때를 고려하면 매우 불합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고유한 구조의 그립퍼를 개발한 것에서 볼 발명의 중요성 있다. 현재 이차 전지(2) 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그리퍼로의 전기 인가의 방식은 인터페이스 보드 또는 케이블 연결을 통한 방법으로 조립시에 많은 시간과 인력, 비용을 필요로 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최소로 줄이기 위한 그립퍼 전기 인가 방식으로 그립퍼를 구성하는 동 재질 클립(24)의 콘택트편(26) 힘을 이용하여 버스바(40)와 압착 방식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 인가 매체(인터페이스 보드나 케이블)가 필요 없이 직접적으로 그립퍼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솔루션의 장점은 최초 지그(10)의 조립절차가 간소해지며, 추후 그립퍼 불량으로 인한 교체 시에 그립퍼만 제거하므로, 유지 관리(Maintenance)에 상당히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 양면에 경사면(24sf)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24sf)은 그립퍼 바디(22)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에는 한 쌍의 경사면(24sf)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페이스(24s)가 구비되므로, 한 쌍의 클립(24)을 눌러서 좁히는 과정에서 각 클립(24)의 안쪽면이 그립퍼 바디(22)의 경사면(24sf)에 접촉될 때까지 클립(24)이 원활하게 벤딩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지(2) 충방전 효율 등을 보다 높이게 되며, 상기 경사면(24sf) 사이의 스페이스(24s)도 각 클립(24)의 그립 작동시에 완충 작용 공간 기능을 하므로, 각 클립(24)이 무리한 응력에 의해 벤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그립퍼 사이에 배치(정확하게는 그립퍼 바디(22) 양면의 클립(24) 사이에 배치)에 두 개의 푸시 롤러(34)가 배치되는데, 상기 두 개의 푸시 롤러(34)는 서로 맞닿아 있어서, 푸시 롤러(34)의 전후진 작동시에 클립(24)과 푸시 롤러(34)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푸시 롤러(34)의 회전이 발생하므로, 상기 클립(24)과 푸시 롤러(34)가 맞닿는 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클립(24)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두 개의 서로 맞닿은 푸시 롤러(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지지력이 작용(버티는 힘이 작용)하여 외압으로 인한 클립(24)의 휨(벤딩)을 방지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클립(24)과 푸시 롤러(34)가 맞닿는 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클립(24) 표면의 손상뿐만 아니라 푸시 롤러(34) 외주면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그립퍼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그립퍼 바디(22) 양면에 클립(24)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의하면, 상기 그립퍼(20)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립퍼(20)의 양면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클립(24)을 각각 숏트시켜주는 버스바(140)가 더 구비된다. 그립퍼 바디(22)의 양면 위치에 대칭되도록 한 쌍의 버스바(140)가 구비된다. 이때, 버스바(140)는 커런트 버스바(140A)와 볼티지 버스바(140B)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커런트 버스바(140A)와 볼티지 버스바(140B)가 그립퍼 바디(22)(그립퍼 메인 인서트)에 매입되며, 커런트 버스바(140A)와 볼티지 버스브(140B)의 양면은 그립퍼 바디(140)의 양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양면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두 개의 양면 커런트 클립(24A)과 볼티지 클립(24B)의 안쪽면이 커런트 버스바(140A)와 볼티지 버스바(140B)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콘택트)된다. 이때, 버스바(140)에는 클립 고정용 홀(140H)이 더 구비된다. 클립 고정용 홀(140H)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홀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클립(24)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끼워서 버스바(140)의 클립 고정용 홀(140H)에 볼트식으로 조여주면 버스바(140)의 양면에 클립(24)이 접촉되도록 그립퍼(20) 양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24)은 그립퍼(20)의 양면 위치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커런트 클립(24A)과 볼티지 클립(24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볼티지 클립(24B)은 그립퍼(20)의 양쪽 측면 위치에 하나씩 두 개로 배치(총 네 개로 배치)된다. 즉, 그립퍼(20)의 한쪽 측면 위치에 제1사이드 볼티지 클립(24B1)이 구비되고, 그립퍼(20)의 다른 쪽 측면 위치에 제2사이드 볼티지 클립(24B2)이 구비되며, 제1사이드 볼티지 클립(24B1)은 그립퍼(20)의 양면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가 구비되고, 제2사이드 볼티지 클립(24B2)도 그립퍼(20)의 양면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가 구비되어, 총 네 개의 볼티지 클립(24B)이 그립퍼(20)의 양면 위치와 좌우 측면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이다. 그립퍼(20)에서 양면 두 개 위치의 클립(24)이 부하(負荷) 없이 버스바(140)를 통해 직접 연결된 숏트 회로를 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의 내부에 구비된 버스바(140)는 그립퍼 바디(22)의 양면에 대칭으로 위치한 클립(140)들을 숏트(Short)시켜주켜 줌으로써 그립퍼(20)의 충분한 용량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버스바(140)의 가장 큰 역할은 그립퍼(20)의 충분한 용량 확보에 있다고 하겠다. 실제적으로 그립퍼(20)에서 용량을 담당하는 것은 커런트 버스바(40A)인데, 커런트 버스바(40A) 만으로도 충분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버스바(140)(Short bus bar)를 배치함으로써 용량 확보에 효율적이면서 부수적으로 발열에 대한 문제점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립퍼(20)(즉, 그립퍼 바디(22) 부분)의 소재 및 사출가공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버스바(140)에 클립 고정용 홀(140H)을 배치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조립을 할 수 있다. 즉, 클립(140)에 형성된 체결구홀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버스바(140)의 클립 고정용 홀(140H)에 조여줌으로써 클립(24)과 버스바(140)를 더욱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립퍼(20)의 양쪽 측면에 볼티지 클립(24B)을 2열로 배치(즉, 제1사이드 볼티지 클립(24B1)과 제2사이드 볼티지 클립(24B2)의 2열로 배치)한 이유는 통상적으로 전지셀 제조시 셀의 단자 표면의 일정하지 않은 평탄도에 의해 볼티지 센싱의 기능을 담당하는 볼티지 클립의 위치의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전지셀 단자(즉, 전극탭 부분)와의 콘택트 확률을 높여주고, 이로 인하여 센싱의 확률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립퍼 바디(22)와, 이러한 그립퍼 바디(22)의 양면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클립(24), 이러한 클립(24)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클립(24)의 외표면에 접촉되는 푸시 롤러(34),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측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버스바(40) 및 그립퍼 바디(22)의 양면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클립(24)을 숏트시켜주는 상기 버스바(140)를 포함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일반적인 이차 전지팩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단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퍼(20)의 양쪽 측면 위치에 구비된 두 개의 볼티지 클립(24B)은 서로 길이의 차이가 있도록 구성된다. 한쪽 볼티지 클립은 상대적으로 길고 다른 쪽 볼티지 클립은 상대적으로 더 짧은 구성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볼티지 클립(24B)는 그립퍼(20)의 한쪽 측면 위치에 제1사이드 볼티지 클립(24B1)과 그립퍼(20)의 다른 쪽 측면 위치에 제2사이드 볼티지 클립(24B2)으로 구성되는데, 제1사이드 볼티지 클립(24B1)의 전후 길이가 제2사이드 볼티지 클립(24B2)의 전후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구성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볼티지 클립(24B)의 양쪽 측면 배치와 길이의 차이를 두는 목적은 전지셀 단자 표면의 불확실한 평탄도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 단자, 다시 말해, 전극탭의 평면은 x축 또는 y축으로 구배(불규칙한 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y축으로 2개의 볼티지 클립(24B)을 배치하고 x축으로 2개의 볼티지 클립(24B1 및 24B2)을 길이 차이를 두어 전지셀 단자의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를 4곳으로 확보함으로써 혹여 발생할지 모르는 볼티지 센싱 불량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그립퍼(20)의 클립(24)은 베릴륨 동 소재로써, 그립퍼(20)의 양면 클립(24)이 평상시에는 열려있는 상태(Open Standby)가 된다. 이차 전지 충방전 공정을 위해서는 클립(24)의 클로즈 동작을 통해 클립(24)과 전지셀 단자와의 콘택트 단계가 필요한데, 이러한 클립(24)의 클로즈 동작을 위해서는 지그에 구비된 푸시 롤러(34)의 전진 운동으로 그립퍼(20)의 클립(24)에 기계적인 외력을 가해야 한다. 반대로 충방전 공정이 완료되면 그립퍼(20)의 클립(24)은 다시 오픈 상태(Open Standby 상태)로 되돌아 와야 하는데 이때에는 푸시 롤러(34)가 후진하여 푸시 롤러(34)에 의해 눌러주는 외력이 해제되고 클립(24)의 판 스프링 텐션의 힘으로 원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한 방향에만 클립이 형태의 그립퍼의 동작 구조인 그립퍼 클립 받침 플레이트에 그립퍼 클립이 닿게 되면 판 스프링 반발력으로 클립이 휘어지게 되면서 콘택트 동작을 하는 그립퍼의 내구성의 한계(판 스프링의 반발력이 감소하면 클립과 전지셀 단자의 접촉력 감소(Contact Force 감소) 현상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푸시 롤러(34)가 그립퍼(20)의 양면 위치의 두 개의 클립(24)을 양면에서 푸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보완 극복할 수 있다. 기계적으로 외력만 가해지면 두 개의 클립(24)이 일정한 힘(Force)으로 전지셀 단자와의 콘택트 힘(Contact Force)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볼티지 클립과 커런트 클립은 전지의 전극탭과 접촉되는 끝단이 평탄면으로 구성되거나 너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죠오가 구비될 수 있다. 전지셀 단자(편의상 전극탭이라 함)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 그립퍼(20) 클립(24)의 클로즈 상태에서 전극탭과 콘택트되는 부분의 형상은 평탄면인 구조(A Type)과 죠오가 복수개 구비된 구조(B Type)으로 대응 제작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는 A Type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과 도 18에는 B Type이 도시되어 있다.
보통의 2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의 두 개의 전극탭이 존재하는데 각각 니켈과 알루미늄의 소재로 제작하게 된다. 알루미늄 단자의 경우는 소재의 특성상 공기 중에서 화학 작용이 일어나 산화 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게 위해 코팅 피막을 도포해 산화를 방지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상기 A Type의 경우에는 코팅 피막이 없는 전극탭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로써 별도의 코팅 피막을 파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클립(24)의 전극탭과의 접촉부의 형상은 일자형의 평탄한 형상)하고, 클립(24)의 모서리 면으로 전극탭과 접촉(Contact)함으로써 충방전 공정에 있어서 최고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코팅 피막을 가진 전극탭의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클립(24)으로 코팅 피막을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B Type과 같이 클립(24)의 전극탭 접촉부를 죠오(톱니 형상)로 가공하여, 코팅 피막 제거시 발생되는 잔해물이 클립(24)의 전극탭 접촉에서 묻어나지 않도록 스윙 운동을 없앤 단순 점 접촉의 방식으로 전극탭과 접촉(Contact)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전지 4. 전극탭
10. 지그 22. 그립퍼 바디
22a. 고정 지지편 22h. 볼트 결합홀
24. 클립 24A. 전류 클립
24B. 전압 클립 24sf. 경사면
24s. 스페이스 28. 볼트
34. 푸시 롤러 40. 버스바
40A. 커런트 버스바 40B. 볼티지 버스바
44. 버스바 블록 140. 버스바
140A. 커런트 버스바 140B. 볼티지 버스바

Claims (16)

  1. 전지(2) 충방전 작업시 전지(2)의 전극탭(4)에 접촉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에 있어서,
    지그(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그립퍼 바디(22)와;
    상기 그립퍼 바디(22)에 지지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2)에 돌출된 상기 전극탭(4)을 양면에서 물어주기 위한 한 쌍의 클립(24)과;
    상기 한 쌍의 클립(24)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기단부에서 뒤쪽으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전원이 상기 클립(24)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콘택트편(26);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에 구비된 상기 콘택트편(26)과 통전 가능하게 콘택트되도록 상기 지그(10)에 장착된 버스바(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10)에 장착되어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상기 클립(24) 기단부 위치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전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버스바 수용부가 구비된 버스바 블록(4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 블록(44) 내부의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24) 기단부의 상기 콘택트편(26)과 콘택트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24)은 탄성 재질의 금속제로 구성되고, 상기 클립(24)의 기단부측 일부를 벤딩시켜서 상기 클립(24)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편(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립(24)의 전방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그립핑 피스(24gp)는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그립핑 피스(24gp)의 선단부는 다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그립 콘택트편(24gc)이 구비된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 양면에 경사면(24sf)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24sf)은 상기 그립퍼 바디(22)의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그립퍼 바디(22)의 길이 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진 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립퍼 바디(22)는 선단부측에는 상기 한 쌍의 경사면(24sf)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페이스(24s)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바디(22) 양면 위치의 상기 클립(24) 사이에 두 개의 푸시 롤러(34)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푸시 롤러(34)는 서로 맞닿아 있어서 상기 클립(24)과 상기 푸시 롤러(34)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푸시 롤러(34)의 전후진시 상기 푸시 롤러(34)의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 클립(24)과 상기 푸시 롤러(34)가 맞닿는 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클립(24)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두 개의 서로 맞닿은 푸시 롤러(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지지력이 작용하여 외압으로 인한 클립(24)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130122722A 2013-07-23 2013-10-15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KR101509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95 2013-07-23
KR20130086495 2013-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36A KR20150011736A (ko) 2015-02-02
KR101509207B1 true KR101509207B1 (ko) 2015-04-10

Family

ID=5248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722A KR101509207B1 (ko) 2013-07-23 2013-10-15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631A (zh) * 2018-11-22 2019-03-15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夹紧电池极耳的钳形夹具
KR102640956B1 (ko) * 2019-02-19 2024-02-26 (주)이티에스 클램핑 모듈을 포함하는 클램핑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셀 제조장치
CN110311182A (zh) * 2019-06-05 2019-10-08 浙江杭可科技股份有限公司 钳形夹具
KR102363196B1 (ko) * 2020-01-31 2022-02-15 (주)에이프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용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20240012949A (ko) *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이 주액된 전지셀을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71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KR20110002645A (ko) * 2009-07-02 2011-01-10 (주)에이치엔티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KR20110004005A (ko) * 2009-07-07 2011-01-13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전극단자
KR20130070790A (ko) * 2011-12-20 2013-06-28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 그립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71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KR20110002645A (ko) * 2009-07-02 2011-01-10 (주)에이치엔티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KR20110004005A (ko) * 2009-07-07 2011-01-13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전극단자
KR20130070790A (ko) * 2011-12-20 2013-06-28 (주)이티에이치 전지 충방전 그립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36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06B1 (ko)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9761856B2 (en) Battery pack
KR101509207B1 (ko)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KR101076412B1 (ko) 전지 충방전용 지그
US9515431B2 (en) Device for connecting battery module electrode terminal and terminal
CN110692149B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US20150064524A1 (en) Battery pack
KR101713182B1 (ko) 이차 전지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US20150132630A1 (en) Battery Pack
KR101076413B1 (ko) 고용량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 어셈블리
KR102341402B1 (ko) 배터리 모듈
CN111108626B (zh) 电池单元安装设备及其方法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KR102395480B1 (ko) 전지 모듈
KR20130070790A (ko)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20210097903A (ko)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용 그립퍼 및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배터리의 충방전 장치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050033B1 (ko) 충방전 단자모듈과 이를 갖춘 전지셀 고온 가압장치
EP2860815B1 (en) Gripper assembly for charging/discharging battery
KR101032380B1 (ko) 전지 충방전용 그립퍼의 전극단자
KR2017005488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765749B1 (ko) 듀얼 전류 그립단자형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1816708B1 (ko) 배터리팩
KR20130065465A (ko) 전지 충방전 그립퍼
KR101304927B1 (ko) 전지 충방전용 프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