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689A -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689A
KR20170141689A KR1020177031060A KR20177031060A KR20170141689A KR 20170141689 A KR20170141689 A KR 20170141689A KR 1020177031060 A KR1020177031060 A KR 1020177031060A KR 20177031060 A KR20177031060 A KR 20177031060A KR 20170141689 A KR20170141689 A KR 2017014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camera body
camera
us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단 헤아트
에벨리너 안나 클레인얀
용 프랑크 더
크리스토퍼 야머스 타일로르
데르 베르흐 하딘 마크비러 리알 판
위-추위안 쳉
마르틴 리디포르트
Original Assignee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filed Critical 톰톰 인터내셔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7014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04N5/2257
    • H04N5/23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amera Data Copying Or Record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되며, 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카메라 몸체,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의 벽 상에 배치된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직교인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본 발명은 향상된 기능성을 가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들에 관련된다. 그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들은 아웃도어 활동들 및 액션 스포츠, 예를 들면, 사이클링, 산악용 바이킹, 하이킹, 클라이밍, 스키 및 스노우보드 타기, 서핑, 스카이 다이빙 등 동안에 특히 사용될 수 있다. 그런 비디오 카메라들은 그러므로 사용자의 의복, 헬멧이나 다른 의류에 또는 스포츠 또는 피트니스 장비의 일부에 설치되도록 배치된 시점 (point of view (POV)) 비디오 카메라들일 수 있으며, 그래서 사용자가 액티비티 또는 스포츠를 즐기는 동안에 그 비디오 카메라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시각 또는 POV로부터의 장면을 기록하도록 한다.
액션 스포츠 동안에 사용하기 위해 시장에 내놓은 비디오 카메라들은 보통은 표준 비디오 카메라들에 비교하면 간략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위 말하는 "액션 캠들 (action cams)"은 보통은 카메라 몸체 외부 표면 상에 사용자가 on (REC) 또는 off (STOP)인 레코딩 모드 사이에서 토글할 수 있는 양-방향 슬라이더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레코딩 모드 슬라이더는 우연한 충돌이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는 락 (lock)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제어가 간단하며 직관적일 수 있지만, 카메라 몸체 표면 상의 다른 사용자 입력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더욱 진보된 카메라 기능들이 제어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웨어러블 비디오 카메라들은 액션 장면을 캡쳐하기 위해 헬멧, 자전거, 서핑보드 등에 종종 설치되며 그리고 상이한 방위들로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그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무관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액세스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카메라의 상이한 측면들로부터 쉽게 액세스 가능한 단일의 큰 슬라이더가 아닌 다른 입력들의 사용을 종종 배제한다. 또 다시, 이것은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기능성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모습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제공되며,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의 벽상에 배치된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직교인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기록을 시작하도록 작동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기록을 정지하도록 작동가능하다.
그런 사용자 입력 설비는 두 개의 상이한 사용자 입력부들 사이에서 시작 기능 및 정지 기능을 분리시킨다. 이것은 사용자가 기록하는 것을 우연히 시작 또는 정지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며, 특히 사용자 입력부들의 방위가 그 카메라가 설치된 방식에 따라서 변할 때에 특히 그렇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를 상이한 직교 평면들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카메라가 어떻게 방위가 정해졌는가를 알기 위해서 그 카메라를 볼 필요가 없이 각 입력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양방향 슬라이더는 카메라의 한 방위에서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카메라가 거꾸로 있다면 그 대신에 후방 이동이 필요할 것이다. 사용자가 슬라이더의 방위를 먼저 체크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고 그리고 정지하기 위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사이에의 혼동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 카메라가 시야 외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활동하고 있는 중에 있을 때에는 슬라이더의 방위를 먼저 체크하는 것은 때로는 가능하지 않다.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의 사용자 입력부는 작동될 때에는,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의 사용자 입력부는 작동될 때에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비디오 데이터 그리고 옵션으로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오디오와 같은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부, 예를 들면,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부는 SD (Secure Digital) 카드와 같은 탈착가능한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데이터는 AVI 컨테이너 포맷이나 MP4 컨테이너 포맷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기록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 컨테이너들은 페이로드 (또는 데이터) 부분 및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부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페이로드 (또는 데이터) 부분은 미디어 데이터를 인터리브되어 (또는 다중화되어) 있는 컨테이너 내에 데이터 유형들, 예를 들면, 비디오, 오디오 등과 함께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부분들은 그 컨테이너 및 내부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 (또는 콘텐트)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부분들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들 (또는 트랙들), 예를 들면,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개수; 각 스트림의 포맷, 예를 들면, 각 스트림을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압축이 존재한다면 그 압축의 유형; 그리고 그 미디어 데이터의 지속시간; 이것들 모두는 상기 컨테이너 내 데이터를 읽고 그리고 이어서 상기 콘텐트를 제공할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 부분들은, 제목, 아티스트 이름 등과 같은, 상기 컨테이너 내 콘텐트에 관한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기록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의 작동은 새로운 컨테이너가 열리도록 하며, 그리고 기록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파일의 페이로드 부분에 추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기록을 정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의 작동은 열린 컨테이너가 닫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록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컨테이너의 메타데이터 부분에 추가되도록 하며, 이는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을 시작하고 정지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들을 분리하는 것의 추가적인 유리함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를, 예컨대, 2초와 같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부들을 누르고 유지함으로써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은 비디오 카메라가 작동 생태들, 예를 들면, 파워 온, 파워 오프 등의 사이에서 스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추가적으로 그리고/또는 대안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 사용자 입력부의 초기 작동은 기록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지만, 그 기능이 다른 제2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에 속하기 때문에, 동일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작동시키는 것(들)이 기록하는 것을 정지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런 추가 작동(들)은, 예를 들면, 이어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편집할 때에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을 때에 그 비디오 데이터 내 관심 대상의 하나 이상의 시각들 (또는 순간들)을 식별함으로써, 그 기록하는 것을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대신 기능할 수 있다. 그런 "태깅 (tagging)" 기능은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동작하는 사용자 입력부 또는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사용자 입력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그 자신의 권리에서 신규하고 특허성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 모습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도록 작동가능한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기록하는 것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분리된 제2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을 때에 그 비디오 데이터 내 관심 대상의 하나 이상의 시각들을 식별하도록 더 작동가능하다.
태깅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들의 그런 분리된 배치는 빠르고 안전하게, 즉, 전반적인 기록 모드에 우연하게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 내 관심 대상의 하나 이삭의 시각들을 식별하는 것은 "태깅 (tagging)"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저장되고 있을 때에 그 비디오 데이터 내에 마커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관심 대상인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그 이벤트를 "태그 (ta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삽입된 마커는 그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재생할 때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빠르게 위치를 알아내도록 만든다.
그러나, 이 태깅 기능은 기록이 정지된 이후에 생성된 파일의 메타데이터 부분에 상기 관심 대상의 하나 이상의 시각들을 식별하는 데이터가 추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정되어야 할 것은, 상기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그런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블랙 (또는 실질적으로 블랙) 프레임들이 상기 파일의 비디오 스트림 내에 존재하도록 하며, 그래서 이 프레임들이 나중에 쉽게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일의 페이로드 부분에 마커가 추가되도록 하는 것에 비교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파일의 메타데이터 부분 내의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나 제2 사용자 입력부가 예를 들면, 상기 파일의 시작 부분으로부터의 타임 오프셋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태그를 생성하기 위해 작동되었던 상기 파일 내 시각에 대한 포인터로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에서, 컨테이너가 닫히며 그리고 (태깅 데이터와 함께) 완료된 메타데이터가 추가되어 상기 파일을 생성할 때까지 상기 태그, 예를 들면, 상기 파일의 시작 부분으로부터의 타임 오프셋은 카메리의 메모리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퍼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디오 데이터 내 태그, 즉, 관심 대상의 시각 또는 순간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를 작동시키는 것은, 옵션으로는 상기 파일이 닫힌 이후에, 예를 들어, 현재의 기록 세션을 정지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부를 작동시킨 이후에, 상기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의 시작 부분부터의 시간에 대한 포인터를 상기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메타데이터 부분에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를 생성하기 위해, 즉, 현재 기록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 내 관심 대상의 시각을 식별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사용자 입력부는 다수의 태그들을 생성하기 위해 기록하는 세션 동안에 여러차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이런 태그들 각각은, 사용자 입력부가 구동될 때에 각 순간을 지시하는 상기 파일의 메타데이터 부분 내 분리된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적인 태깅 기능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또는 제2 사용자 입력부를 더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만이 이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제1 사용자 입력부는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을 때에 그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태그를 생성하기 위해 더 작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고 그리고 이어서 비디오 데이터에 태그들을 생성하는 것 둘 모두를 위해 작동가능하여, 제2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것을 어느 때라도 정지하기 위해 분리하여 작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록하는 것이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잊었다고 하더라도, 그 제1 사용자 입력부를 작동시키는 것이 기록하는 것을 우연히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태그를 생성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 모습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메라는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직교인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에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두 개의 분리된 사용자 입력부들의 그런 직교 배치는 카메라 몸체의 방위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그 사용자 입력부들을 구별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바람직하게 작동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사용자 입력부는 태그를 생성하기 위해, 즉,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현재 기록되고 있는 비디오 데이터의 세그먼트를 마크하기 위해 또한 작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 상의 사용자 입력부가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 상의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태그들을 또한 생성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다.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한 말단에 있는 렌즈 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렌즈 통 뒤에 위치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렌즈 통 바로 뒤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 입력부를 가진 말단보다 상기 렌즈 통을 가진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말단에 적어도 더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카메라를 볼 필요없이 사용자 입력부를 쉽게 찾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상기 카메라의 방위가 변경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카메라 몸체의 어느 말단이 렌즈 통을 운송하는가를 (즉, 촬영 방향을) 알 것이며 그래서 사용자 입력부 위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용자 입력부를 찾는 것이 쉽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된 추가적인 태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통 뒤에 위치한 사용자 입력부는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있을 때에 그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태그를 생성하도록 더 작동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몇몇의 예들에서,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 상에 배치된 동일한 사용자 입력부가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작동가능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한 그리고 태깅을 위한 단일의 사용자 입력부가 렌즈 통 뒤에, 예를 들면, 바로 뒤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는, 그러나, 렌즈 통 뒤에 위치한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몸체 상의 말단 멱 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말단 벽상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상기 길이방향 축에 일치하여 위치한다. 이 사용자 입력부는 그러므로 카메라 몸체의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 적어도 몇몇의 예들에서, 말단 벽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것을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어느 하나는 시작 및 정지 기능들 각각 중에서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또는 제2 사용자 입력부는 단-방향 버튼, 즉, 사용자가 눌렀을 때에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기 이전에 그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개시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입력부들이 직교 평면들에 배치되는 경우에, 이것은 각 버튼들이 서로에게 직교하는 방향에서 작동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심지어 아웃도어 활동들을 위해 두꺼운 장갑을 끼고 있을 때에도, 사용자가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거나 정지하기 위해 카메라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는 확실하게 하도록 더 돕는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카메라를 더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된다. 카메라의 이 기능성은 그것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를 넘어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4-방향 버튼을 포함한다. 그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이한 모드들 및 메뉴들 사이에서 토글하기 위해 작동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게 디스플레이 기능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와 동일한 카메라 몸체 측면 벽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그 카메라의 한 측면상에서 다양한 제어들이 함께 액세스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카메라 몸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와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를 갖춘 편평한 측면 벽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른 사용자 입력부를 쉽게 구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거나 정지시키는사용자 입력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적어도 몇몇의 예들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둘 모두는 카메라 몸체의 주어진 방위에 대해 동등하게 액세스가능/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너가 정지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사용자 입력부 사이에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것 대신에 우연히 작동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벽상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카메라 몸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들이 이격하여 위치하던가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유닛을 형성하는 단일의 통합 케이징 내에 옵션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런 평면형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방위는 그 카메라를 상이한 위치들에 유지하거나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가 여러 상이한 방위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몸체에 연결된 마운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다른 물체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부분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를 둘러싸며 그리고 사용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 몸체의 상기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링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마운팅 시스템은 카메라 몸체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래서 전체 카메라의 각도상 방위가 상기 마운팅 시스템에 대해 (또는 그 반대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래서, 심지어 일단 상기 베이스 부분이 헬멧과 같은 물체에 알맞은 자리에 설치되면, 상기 카메라 몸체는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에서 수평선을 조절하기 위해 여전히 회전될 수 있다. 마운팅 시스템에 대해 카메라 몸체를 회전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마운팅 시스템의 방위에 관계없이 쉽게 액세스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링 부재(들)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90도, 180도, 270도까지 회전하도록 또는 심지어는 실질적으로 360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의 전체 범위를 최대 약 270 또는 그 미만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180도까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런 회전 범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참조하여 한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중립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그 중립 위치에서 마운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카메라 몸체의 반대편 측면에 위치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베이스 부분은 이 중립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들)는 그런 중립 위치에 대해 약 ㅁ90도까지 상기 카메라 몸체의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마운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이 상기 카메라 몸체의 반대편 측면 벽상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다른 컴포넌트들을 지나서 회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마운팅 시스템 및 상기 카메라 몸체 사이에,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카메라 몸체 사이에 여유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부분이 상기 카메라를 다른 물체에 설치하는 방식과의 간섭을 또한 피하게 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수평 이미지 평면의 자동적인 조절이 방위 센서, 예를 들면,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가 어떤 표면에 항상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래서 상기 카메라가 동일한 방위에 있도록 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그래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수평 이미지 평면의 자동적인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측면 벽상의 사용자 입력부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디스플레이 또한 수직으로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처럼, 상기 수평 이미지 평면은 상기 카메라의 특별한 방위와 정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몸체를 상기 마운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측면 벽상의 사용자 입력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디스플레이 또한 수직으로 위쪽으로 향하게 하며, 이는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 평면이 수평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링 부재(들)는 사용하는 동안에 카메라 몸체의 길이방향 축 주위에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카메라의 각도를 이룬 위치에서의 조절을 쉽게 한다. 그러나, 카메라의 무게 배분은 카메라 몸체가 사용자가 선택한 마운팅 위치에 유지되기 보다는 마운팅 시스템에 대해 회전하는 경향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카메라 몸체에 대한 링 부재(들)의 회전에 대한 저항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기 링 부재(들)과 상기 카메라 몸체 사이에 마찰 라이닝 (lining)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링 부재들 적어도 하나는 톱니형상의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그 톱니형상 내부 표면은 회전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제공하며, 그래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이 상기 카메라 몸체에 대해 강제적으로 회전해야만 하도록 한다. 이것은 카메라가 제 자리에서 쉽게 미끄러지않게 하면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톱니형상 내부 표면은 양-방향 래쳇 (ratchet) 메커니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두 개의 래쳇 스피링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래쳇 스프링은 중립 포인트에 대해 양 (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다른 래쳇 스프링은 그 중립 포인트에 대한 음 (반-시계방향) 회전을 위한 것이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카메라가 다른 물체, 예를 들면, 헬멧에 대해 제 자리에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운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은 그런 물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적합한 마운팅 인터페이스에 의해 물체에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그런 마운팅 인터페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특별한 유형의 물체에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헬멧 (또는 다른 편평한 또는 약간 굽은 표면)을 위한 표면 마운팅 인터페이스 또는 자전거의 핸들바 (또는 다른 튜브-형상의 컴포넌트)를 위한 클램핑 마운팅 인터페이스.
상기 베이스 부분은 마운팅 인터페이스가 마운팅 시스템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어퍼처들, 또는 어떤 다른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한 쌍의 레베들을 포함하며, 그 레버들은 서로의 윗부분 상에 배치되어 평면 내에서 피봇하게 하며, 그럼으로써 마운팅 인터페이스가 상기 마운팅 시스템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 피봇 레버들은 한쌍의 가위날들처럼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분을 마운팅 인터페이스 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레버들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프로파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피봇 레버들은 섀시를 대신할 수 있으며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마운팅 시스템의 제1 링 부재 및 제2 링 부재를 제공하는 상기 베이스 부분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함께 연결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들 각각은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대응 피처를 수납하기 위한 어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들은 스프링과 같은 탄력성 부재에 의해 떨어져서 피봇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어퍼처들이 정렬되지 않도록 하며, 그럼으로써 마운팅 인터페이스가 상기 마운팅 시스템에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레버들에 함께 힘을 가해야 하며, 그래서 대응 피처가 맞물리거나 풀려질 수 있기 이전에 그 레버들이 하나의 다른 것의 꼭대기 위에서 정렬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부분을 마운팅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신속 이탈 (quick-release)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메라의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마운팅 인터페이스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부분 내의 하나 이상의 대응 어퍼처들, 예를 들면, 가위-같은 피봇 레버들의 쌍 내에 형성된 어퍼처들과 짝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T-바 피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T-바 피처들은 마찰성 맞물림을 돕기 위해 홈이 파져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상기 돌출 T-바 피처들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다. 그러나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편평하거나 약간 굽은 더 낮은 표면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물체들 상에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압축성 물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부분들은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의 어떤 적합한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시스템 및/또는 카메라 몸체와 접촉하게 되는 상단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압축성 물질의 상기 부분들은 마운트 상의 카메라의 핏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스포츠 또는 물리적인 액티비티 동안에 사람이 마운팅 인터페이스를 착용할 때에, 상기 카메라가 마운트되어 있는 물체로부터 발생한 어떤 진동들을 흡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실린더형 외형을 반영하여, 마운팅 시스템이 그 몸체의 주위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카메라 몸체를 따라 확장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확장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링 부재(들)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외곽 주위에 맞물린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부분에 의해 떨어져 이격된 두 개의 링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그 두 링 부재들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과 함께 통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금속성 및/또는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어떤 적합한 물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카메라가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될 예정인 경우에, 상기 마운팅 시스템이 단단하고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베이스 부분 및/또는 상기 링 부재나 각 링 부재는 스프링 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마운팅 시스템이 강하고 탄력성있게 만드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링 부재(들)를 위한 스프링 강을 선택하는 것은 유리하게도 카메라 몸체 상으로의 스냅핏 (snap-fit)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영구적으로 또는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마운팅 인터페이스들이 교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마운팅 인터페이스가 상기 마운팅 시스템의 베이스 부분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그러므로 카메라를 특별한 물체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마운팅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헬멧이나 다른 스프츠 장비 상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마운팅 인터페이스를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다음의 것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된다: 점착성 마운트, 스트랩 마운트, 체스트 마운트, 트리포드 마운트, 트리포드 어댑터, 흡입 컵 마운트, 헬멧 마운트, 보드 마운트, 자석 마운트, 암 마운트, 관절형 마운트, 망원경 마운트, 또는 어떤 다른 유형의 마운트에 대한 개량을 위한 어탭터.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그런 마운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중간 인터페이스로서 그런 마운트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편평한 또는 굽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인터페이스는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원하는 형상 및 구성을 쉽게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의 인젝션 몰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의 컴팩트함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몇의 추가의 특징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카메라 몸체는 통합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공통 케이징 내에 수납된 데이터 저장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탈착가능 전력 팩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런 전력 팩은 카메라에 보통 연결된 배터리와는 완전히 상이한 접근 방식을 나타내며, 이는 그 전력 팩이 배터리 모듈을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 매체를 위한 슬롯과 같은 데이터 저장 모듈과 결합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배터리 및 메모리 둘 모두를 한번에 대체하기 위해 상기 통합된 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특히 외부 촬영을 할 때 아주 더 효율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케이징은 사용 동안에 상기 전력 팩과 카메라 사이에 전력과 데이터는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들을 노출시킨다. 이것은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 또는 비디오 데이터 파일들을 상기 탈착가능 전력 팩에 직접적으로 쓰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들은 상기 전력 팩과 상기 카메라 사이에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데이터 저장 모듈 내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시스템-온-칩 (So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 팩은 카메라 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그래서 일단 설치되면 상기 카메라 몸체에 의해 실질적으로 보호되도록 한다. 이것은 스포츠 액티비티들 동안에 카메라가 사용될 때에 상기 전력 팩이 부딪침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카메라 몸체는 그 내부에서 상기 탈착가능 팩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개방 캐비티 (cavity)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전력 팩에 실질적으로 정합하는 치수들을 구비하여, 전력 팩이 캐비티에 설치될 때에 상기 카메라 몸체의 연속적인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적인 애드-온 액세서리처럼 상기 전력 팩은 카메라 몸체의 돌출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며, 카메라 몸체와 통합된다. 그 결과인 카메라는 부피가 큰 것이 아니라 컴팩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 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탈착가능 전력 팩에 의해 운반된다.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는 상기 탈착가능 전력 팩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용 한 말단에서 개방부를 가질 수 잇다. 이것은 사용자가 전력 팩을 상기 개방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즉, 길이방향 축을 따라) 캐비티에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설치하는 것을 빠르고 쉽게 만들 수 있다. 전력 팩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실린더형 외형에 부합하는 모습을 가지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전력 팩은 그러므로 밀봉 인터페이스를 위한 원형의 외형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O-링들),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 팩은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의 모양이다. 상기 전력 팩이 상기 카메라 몸체 내 개방 캐비티 내에 설치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캐비티 또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런 탈착가능 전력 팩의 통합된 속성의 추가의 이점은, 예를 들면, 배터리 모듈 및 데이터 저장 모듈 둘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공통의 케이징을 사용하여 그 전력 팩이 방수, 내수 또는 튀김 내성 (splash resistant)이도록 더욱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출원인은 전력 및 데이터 둘 모두를 단일의 전력 팩 내에 결합시킴으로써 전체 카메라가 방수이도록 만드는 것이 더욱 쉬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실시예들의 특히 바람직한 세트에서, 상기 전력 팩은 상기 케이징의 주변 표면 둘레로 확장하는 밀봉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팩이 카메라 몸체 내에 또는 카메라 몸체 상에 설치될 때에, 상기 밀봉은 물이 그 밀봉을 넘어서 침투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들)에 도달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상기 밀봉은 습기가 상기 배터리 모듈 및/또는 데이터 저장 모듈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도달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신규한 접근 방식에서, 상기 전력 팩은 통상적인 카메라, 예를 들면, 배터리 구획부 및 메모리 카드 슬롯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개방부들을 밀봉하려고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밀봉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의 나머지가 방수라면, 그런 전력 팩은 외부 방수 케이징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현존하는 액션 카메라들을 능가하는 주요한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밀봉은 상기 전력 팩이 상기 방수 카메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동안에 배터리를 교체할 때에 분리된 방수 케이스를 더 이상 열고 닫을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액션 장면을 놓치는 위험성을 더 빠르게 더 작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5 m, 10 m, 20 m, 30 m, 40 m, 또는 50 m의 깊이까지 방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IPX7의 내수 (water resistant) 등급을 가진다. IEC 표준 60529에 따른 이 국제 보호 마킹은 기계적인 케이징들 및 전기적인 봉입들에 의한 액체 침투에 대항하여 제공되는 보호의 정도에 대해 등급을 정한다. IPX7의 등급은 카메라가 1m까지의 물 깊이에 대해 30분까지 침수를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메라는 IPX8의 내수 등급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그 카메라가 1m를 넘는 깊이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50m까지의 깊이에서 방수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 하면, 그런 방수 카메라는 5 atm의 물의 압력까지 견딜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센서들은 다음의 것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오디오 수신기,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오디오 전송기, 예를 들면, 버저 (buzzer); 압력 센서, 예를 들면, 기압 고도계; 가속도계; 또는 나침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카메라는 무선 트랜시버,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라디오 주파수 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단거리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카메라가 심박 모니터, 심박 센서, 전력계, GPS-기능 시계, 모바일 원거리통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센서들이나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런 외부 센서들이나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데이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데이터와 통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나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습들이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모습들이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어떤 특징들이 상호 불일치하지 않는 정도까지는 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의 이점들이 지금부터 제시되며, 그리고 이 실시예들 각각의 추가의 상세내용들 및 특징들은 동반하는 종속 청구항들 및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의 다른 곳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시들의 다양한 모습들 그리고 그 교시들을 구체화하는 설비들이 동반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예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위 모습, 측면 모습, 전면 모습 및 후면 모습을 각각 보여준다.
마운팅 시스템 (4)에 연결된 카메라 (2)가 도 1a 내지 도 1d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 (2)는 길이방향 축 L을 한정하는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 (6)를 구비한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 (4)은 카메라 몸체 (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래서 상기 카메라 (2)가 상기 마운팅 시스템 (4)에 대해 길이방향 축 L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운팅 시스템 (4)은 상기 카메라 몸체 (6) 주위의 두 개의 링 부재들 (10a, 10b) 그리고 그 사이로 확장하는 길이방향 베이스 부분 (8)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분 (8)은 카메라 (2)가 마운팅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헬멧이나 다른 스포츠 장비 상에 고정된 마운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렌즈 통 (18)이 상기 카메라 몸체 (6)의 전면 말단 벽 상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부 (30)가 상기 카메라 몸체 (6)의 제일 위 측면 벽 상에, 상기 렌즈 통 (18) 바로 뒤에 배치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30)는 기록하는 것을 시작 (또는 정지)하기 위해 눌려질 수 있는 단-방향 버튼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30)를 더 누르는 것은, 예를 들면, 비디오 장면 내에 관심대상의 이벤트를 마킹하기 위해 비디오 기록을 "태그"하도록 기능한다. 추가로, 상기 카메라 몸체 (6)의 제일 위 측면 벽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20)가 배치된다.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20)는 4-방향 수동 입력 버튼 (24)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22)를 포함하는 대체적으로 평면형 유닛이다
도 1d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카메라 몸체 (6)의 후면 말단 멱 상에 제2 사용자 입력부 (26)가 노출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26)는 기록하는 것을 정지 (또는 시작)하기 위해 눌려질 수 있는 단-방향 버튼이다. 이 사용자 입력부 (26)는 카메라 몸체 (6) 내로 삽입되는 탈착가능 전력 팩의 말단 표면 상에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26)는 상기 카메라 몸체의 후면 말단 벽 내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마운팅 시스템 (4)에 대한 상기 카메라 (2)의 회전에 불구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 L 상에서 중심에 유지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26) 아래에서 보조 입력 포트 (28)가 보이며, 보조의 전력 공급 케이블이 카메라 (2)에, 특히, 카메라 몸체 (6) 내에 설치된 전력 팩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카메라 (2)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버튼들 (26, 30)의 그런 배치를 이용하여,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고 정지하는 기능들이 분리된 버튼들에 의해 작동된다는 것이 인정될 수 있다. 더욱이, 기록하는 것을 시작하고 정지하기 위한 작동 방향들은 직교하며, 이는 사용자가 카메라의 방위를 볼 수 없을 때의 혼동을 피하게 한다. 기록하는 것을 시작시키고, 그리고 이어서 비디오 스트림을 태그하는 사용자 입력 버튼 (30)은, 렌즈 통 (18)의 바로 뒤의 그 버튼의 위치로 인해서 쉽고 빠르게 배치된다.

Claims (12)

  1.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서,
    길이방향 축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인 카메라 몸체;
    비디오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도록 작동가능한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정지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분리된 제2 사용자 입력부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것은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체적으로 직교인 평면 내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에 배치된,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비디오 카메라가 여러 상이한 방위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마운팅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디지털 미디어 파일의 페이로드 부분에 저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는 기록하는 동안에 더 작동가능하여 상기 디지털 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 부분에 태그가 추가되도록 하며, 상기 태그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 내 시간에 대한 포인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시스템은,
    헬멧과 같은 물체에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 부분,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몸체를 둘러싸며 그리고 사용 동안에 상기 카메라 몸체의 상기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한 말단에 있는 렌즈 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렌즈 통 바로 뒤에 위치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몸체의 말단 벽상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말단 벽상에 실질적으로 중심에 위치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는 단-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더 제어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실린더형 카메라 몸체의 측면 벽상에 배치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상기 하나와 동일한 카메라 몸체 측면 벽상에 배치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 및 제2 사용자 입력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평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떨어져서 이격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KR1020177031060A 2015-04-29 2016-04-29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KR20170141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07348.9 2015-04-29
GBGB1507348.9A GB201507348D0 (en) 2015-04-29 2015-04-29 Digital video camera
PCT/EP2016/059611 WO2016174201A1 (en) 2015-04-29 2016-04-29 Digital video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89A true KR20170141689A (ko) 2017-12-26

Family

ID=534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060A KR20170141689A (ko) 2015-04-29 2016-04-29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57466B2 (ko)
EP (1) EP3289756A1 (ko)
JP (1) JP2018518099A (ko)
KR (1) KR20170141689A (ko)
CN (1) CN107534719B (ko)
GB (1) GB201507348D0 (ko)
WO (1) WO2016174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7347D0 (en) * 2015-04-29 2015-06-10 Tomtom Int Bv Camera mounting system
US10348907B1 (en) * 2016-05-12 2019-07-09 Antony P. Ng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US10694082B2 (en) * 2017-05-02 2020-06-23 John Immel Fin shaped underwater camera housing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WO2018223224A1 (en) * 2017-06-05 2018-12-13 Avigilon Corporation Electronics device that dissipates internal device heat via heat sink having exposed surface
KR102576959B1 (ko) * 2021-09-23 2023-09-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자를 위한 블랙박스 겸용 액션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479A (ja) 1993-10-1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JPH08140026A (ja) 1994-11-04 1996-05-31 Canon Inc 複合カメラ
US6934461B1 (en) 1999-01-05 2005-08-23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Low attention recording,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social recording
JP4481673B2 (ja) 2004-02-10 2010-06-16 Hoya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5303943A (ja) * 2004-04-16 2005-10-27 Sony Corp 映像記録装置
JP5031595B2 (ja) * 2008-01-22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90251311A1 (en) 2008-04-06 2009-10-08 Smith Patrick W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Stimulus Control
JP2009300558A (ja) 2008-06-11 2009-12-24 Canon Inc 撮像装置
JP5377054B2 (ja) * 2009-04-20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8244118B2 (en) * 2009-10-29 2012-08-14 Stansbury Gregg M Underwater camera housing controls
JP2011142369A (ja) * 2009-12-07 2011-07-21 Sanyo Electric Co Ltd 録画機能を具えた携帯型電子機器
JP2011239003A (ja) 2010-05-06 2011-11-24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CN117294934A (zh) * 2010-09-13 2023-12-26 康道尔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配置用于远程图像采集控制和观看的便携式数字视频摄像机
US20130124999A1 (en) * 2011-11-14 2013-05-16 Giovanni Agnoli Reference clips in a media-editing application
US20130235234A1 (en) * 2012-03-12 2013-09-12 Megan Lyn Cucci Digital camera having multiple image capture systems
US20140267743A1 (en) * 2013-03-15 2014-09-18 William F. Tapia Surfboard-mounted camera
JP6355234B2 (ja) * 2013-04-09 2018-07-11 株式会社ユピテル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4394303A (zh) 2013-05-29 2015-03-04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影像动态记录装置及影像动态记录方法
WO2015017572A1 (en) * 2013-08-01 2015-02-05 Contour, Llc Orientation control of an image sensor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EP2999214A1 (en) * 2013-08-23 2016-03-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US9912901B2 (en) * 2014-12-18 2018-03-06 S4 Worldwide, Llc Body camera
US9661283B2 (en) * 2014-12-24 2017-05-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earable camera
US9851623B2 (en) * 2015-05-26 2017-12-26 Gopro, Inc. Multi camera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507348D0 (en) 2015-06-10
JP2018518099A (ja) 2018-07-05
US10057466B2 (en) 2018-08-21
CN107534719B (zh) 2020-06-16
US20180091708A1 (en) 2018-03-29
CN107534719A (zh) 2018-01-02
WO2016174201A1 (en) 2016-11-03
EP3289756A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1689A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US10928636B2 (en) Modular heads-up display systems
US10547769B2 (en) Swivel camera mount
US9551915B2 (en) Swivel wrist mount
US20200145574A1 (en)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configured for remote image acquisition control and viewing
US20180095344A1 (en) Camera
US10167990B2 (en) Camera mounting system
KR20160087796A (ko) 일시 장착을 위해 표면을 활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CN208832067U (zh) 手持云台
US20170347735A1 (en) Helmet with sports camera
US9503146B1 (en) Waterproof device for cellphones
US10075624B2 (en) Wearable portable camera
GB2589319A (en) Pole having integrated camera and switch
Rich My gopro hero cam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