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884A -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884A
KR20170140884A KR1020160073575A KR20160073575A KR20170140884A KR 20170140884 A KR20170140884 A KR 20170140884A KR 1020160073575 A KR1020160073575 A KR 1020160073575A KR 20160073575 A KR20160073575 A KR 20160073575A KR 20170140884 A KR20170140884 A KR 2017014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expansion joint
fixed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801B1 (ko
Inventor
강상규
김기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6007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80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들;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한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다른 한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다른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을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구동유닛; 상기 왕복구동유닛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성능 및 방수 성능을 실제의 상황과 같은 조건에서 시험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CAPACITY EXPANSION AND WATERPROOF OF EXPANSION JOINT OF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수, 하천, 강, 또는 계곡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은 시점부와 종점부에 각각 시공되는 교대와, 교대와 교대 사이에 시공되는 교각(들)과, 교대와 교각 사이 그리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거치되는 상판들을 포함한다. 또한, 교량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상판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며, 이와 같은 수축과 팽창에 따른 상판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판들을 설정된 간격으로 두고 거치시키고, 그 상판과 상판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차량 타이어 파손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과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태로 구현된다.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일예로,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판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핑거부재들과,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판들 사이에 구비되어 두 개의 상판 사이로 빗물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한다. 신축부재는 탄성재질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2-0029055호(2012. 03. 26. 공개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3247호(2006. 05. 25. 공고일), 등에는 교량 신축이음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교량 신축이음장치들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상판들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에 따라 핑거부재들 간격이 넓어짐과 좁아짐이 반복됨과 아울러 신축부재가 신축 및 팽창되며, 서로 교번되게 위치하는 핑거부재의 핑거들에 의해 차량의 파손 및 진동이 최소화되고, 신축부재에 의해 상판 사이로 빗물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부재의 신축 성능이 우수하지 못할 경우 신축부재의 파손이 쉽게 발생되어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되어 교량의 유지보수가 어렵고 교량의 교통 통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교량 신축이음장치들의 보수 및 교체시기를 예측하기 쉽지 않아 계획적으로 교량을 관리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성능 및 방수 성능을 실제의 상황과 같은 조건에서 시험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들;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한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다른 한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다른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을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구동유닛; 상기 왕복구동유닛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측 시편장착유닛은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고정 해제시키는 고정측 클램프와, 상기 고정측 클램프를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측 클램프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과, 상기 상면지지판과 신축이음장치 시편과 하면지지판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하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은 가이드레일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들과,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고정 해제시키며 상기 슬라이더들과 연결되는 이동측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들과 이동측 클램프를 체결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측 클램프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과, 상기 상면지지판과 신축이음장치 시편과 하면지지판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하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슬라이더들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들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바닥면으로 하는 수조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과 수조의 하부 경계부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의 하단부와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교량에 설치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신축 성능 및 방수 성능을 시험하게 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시 불량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성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및 교체 주기를 길게 할 수 하게 된다. 또한,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들의 보수 및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어 교량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관리가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이 간단하여 제작이 쉽게 될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시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측 시편장착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수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일실시예는, 가이드레일(100)들,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 왕복구동유닛(400), 로드셀(500)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00)들은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00)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0)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은 가이드레일(100)들의 한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의 일예로,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은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고정 해제시키는 고정측 클램프(210)와, 고정측 클램프(210)를 가이드레일(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220)을 포함한다. 고정측 클램프(210)는 고정유닛(220)에 의해 가이드레일(100)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211)와, 베이스부재(211)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212)과, 베이스부재(211)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213)과, 상면지지판(212)과 신축이음장치 시편(A)과 하면지지판(213)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B1) 및 너트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11)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100)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211)는 하면지지판(213)이 결합되는 수직판부(211a)와, 수직판부(211a)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지지판(212)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211b)와, 수직판부(211a)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고정유닛(220)에 의해 가이드레일(100)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211c)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211)의 상측수평판부(211b)와 하측수평판부(211c)는 수직판부(211a)의 한쪽 방향으로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부재(211)를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디귿자 형상이다. 베이스부재(211)의 상측수평판부(211a)와 상면지지판(212)은 복수 개의 볼트(B2)와 너트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지지판(213)은 베이스부재(211)의 수직판부(211a)에 복수 개의 볼트(B3)와 너트들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부재(211)의 수직판부(211a)에 수직 방향으로 장공(211d)이 형성되어 하면지지판(213)을 신축이음장치 시편(A) 두께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하면지지판(213)을 베이스부재(211)의 수직판부(211a)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면지지판(212)과 하면지지판(213)은 각각 볼트들이 체결되는 반대편 쪽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며, 그 관통구멍들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유닛(220)은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볼트들은 각각 가이드레일(100)과 베이스부재(211)의 하측수평판부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체결됨에 의해 베이스부재(211)를 가이드레일(100)들에 고정하게 된다.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일예로, 시편은 교량 상판의 일부분을 절단한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들과,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들에 각각 결합되는 일부분의 핑거부재(2)들과, 두 개의 콘크리트블록(1)들이 간격을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콘크리트불록(1)들을 연결하는 신축부재(3)를 포함한다. 신축부재(3)는 핑거부재(2)들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그 신축부재(3)의 재질은 탄성재질이다. 즉, 신축이음장치 시편(A)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시공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상판들 일부분과 그 상판들 일부분에 위치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일부분을 교량으로부터 절단한 형태로 구현한 것이다. 신축이음장치 시편(A)에서 신축부재(3)를 기준으로 양쪽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블록(1)에 각각 볼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멍들이 구비된다.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은 가이드레일(100)들의 다른 한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다른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의 일예로, 도 1, 2,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은 가이드레일(100)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330)들과,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고정 해제시키며 슬라이더(330)들과 연결되는 이동측 클램프(310)와, 슬라이더(330)들과 이동측 클램프(310)를 체결하는 고정유닛(320)을 포함한다. 이동측 클램프(310)는 고정유닛(320)에 의해 슬라이더(330)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311)와, 베이스부재(311)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312)과, 베이스부재(311)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313)과, 상면지지판(312)과 신축이음장치 시편(A)과 하면지지판(313)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B4) 및 너트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311)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100)을 가로지르면서 슬라이더(330)들에 결합된다. 베이스부재(311)는 하면지지판(313)이 결합되는 수직판부(311a)와, 수직판부(311a)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면지지판(312)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311b)와, 수직판부(311a)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고정유닛(320)에 의해 슬라이더(330)들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311c)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311)의 상측수평판부(311b)와 하측수평판부(311c)는 수직판부(311a)의 한쪽 방향으로 위치하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부재(211)를 길이 방향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디귿자 형상이다. 베이스부재(311)의 상측수평판부(311b)와 상면지지판(312)은 복수 개의 볼트(B5)와 너트들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지지판(313)은 베이스부재(311)의 수직판부(311a)에 복수 개의 볼트(B6)와 너트들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부재(311)의 수직판부(311a)에 수직 방향으로 장공(311d)이 형성되어 하면지지판(313)을 신축이음장치 시편(A) 두께에 맞게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하면지지판(313)을 베이스부재(311)의 수직판부(311a)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면지지판(312)과 하면지지판(313)은 각각 볼트들이 체결되는 반대편 쪽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들이 구비되며, 그 관통구멍들은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유닛(320)은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볼트들은 각각 슬라이더(330)와 베이스부재(311)의 하측수평판부(311c)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체결됨에 의해 베이스부재(211)를 슬라이더(330)들에 고정하게 된다.
왕복구동유닛(400)은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을 왕복 운동시킨다. 왕복구동유닛(400)은 베이스프레임(F)에 장착되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에 연결된다. 왕복구동유닛(400)의 일예로, 왕복구동유닛(400)은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볼스크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모터는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고 볼스크류어셈블리는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의 베이스부재(211)에 연결된다. 왕복구동유닛(400)의 다른 일예로, 왕복구동유닛(400)은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의 본체는 베이스프레임(F)에 장착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의 베이스부재(311)에 연결된다.
로드셀(500)은 왕복구동유닛(400)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한다.
한편,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방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편의 상면으로 장시간 물이 노출될 수 있게 신축이음장치 시편(A) 상면을 바닥면으로 하는 수조(610)가 설치될 수 있다. 신축이음장치 시편(A) 상면과 수조(610)의 하부 경계부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수조(610)의 하단부와 신축이음장치 시편(A)에 실링부재(620)가 구비된다. 실링부재(620)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610)는 신축이음장치 시편(A)에 대한 신축 성능 시험을 마친 후에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상면에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왕복구동유닛(400)을 작동시켜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을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과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의 간격을 벌린다. 그리고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한쪽(콘크리트블록)을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의 고정측 클램프(210)에 고정시키고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을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다음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의 이동측 클램프(310)에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다른 한쪽(콘크리트블록)을 고정시킨다.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고정측 클램프(210)나 이동측 클램프(310)에 고정할 때 상면지지판(212)과 하면지지판(213) 사이에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한쪽을 삽입한 후 볼트를 상면지지판(212)(312), 신축이음장치 시편(A), 하면지지판(213)(313)의 관통구멍들에 관통 삽입하고 그 볼트(B1)(B4)에 너트를 체결하여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고정한다.
신축이음장치 시편(A) 양쪽이 고정측 시편장착유닛(200)과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왕복구동유닛(400)이 설정된 주기로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을 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이 가이드레일(100)들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동측 시편장착유닛(300)이 왕복 운동하게 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 시편(A) 한쪽이 왕복 운동하면서 신축부재(3)를 반복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킨다. 왕복구동유닛(400)을 설정된 조건과 시간으로 구동시켜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시험하게 된다.
한편,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설정된 조건으로 신축 성능을 시험한 후 신축이음장치 시편(A) 상면을 수조(610)를 설치하고 실링부재(620)로 실링한 다음 수조(610)에 물을 부어 신축이음장치 시편(A)의 방수 성능을 시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교량에 설치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신축 성능 및 방수 성능을 시험하게 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시 불량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성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및 교체 주기를 길게 할 수 하게 된다. 또한,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들의 보수 및 교체시기를 예측할 수 있어 교량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관리가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이 간단하여 제작이 쉽게 될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 시편(A)을 시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100; 가이드레일 200; 고정측 시편장착유닛
300; 이동측 시편장착유닛` 400; 왕복구동유닛

Claims (10)

  1.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레일들;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한쪽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가이드레일들의 다른 한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의 다른 한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측 시편장착유닛;
    상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을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구동유닛;
    상기 왕복구동유닛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시편장착유닛은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고정 해제시키는 고정측 클램프와, 상기 고정측 클램프를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클램프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과, 상기 상면지지판과 신축이음장치 시편과 하면지지판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하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가이드레일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 시편장착유닛은 가이드레일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들과,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고정 해제시키며 상기 슬라이더들과 연결되는 이동측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들과 이동측 클램프를 체결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 클램프는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들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체결되어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판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판과, 상기 상면지지판과 신축이음장치 시편과 하면지지판을 관통 체결하는 복수 개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하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상면지지판이 결합되는 상측수평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부에 절곡 연장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슬라이더들에 고정되는 하측수평판부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들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을 바닥면으로 하는 수조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시편 상면과 수조의 하부 경계부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의 하단부와 신축이음장치 시편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KR1020160073575A 2016-06-14 2016-06-1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KR10186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575A KR101864801B1 (ko) 2016-06-14 2016-06-1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575A KR101864801B1 (ko) 2016-06-14 2016-06-1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884A true KR20170140884A (ko) 2017-12-22
KR101864801B1 KR101864801B1 (ko) 2018-06-05

Family

ID=6093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575A KR101864801B1 (ko) 2016-06-14 2016-06-1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8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7649A (zh) * 2018-11-16 2019-02-19 浙江全华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伸缩缝装置的测试平台
CN109457601A (zh) * 2018-11-26 2019-03-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公路桥梁的防护结构
CN114858329A (zh) * 2022-03-04 2022-08-05 浙江科技学院 一种装配式无缝伸缩缝受力监测的结构
CN114858329B (zh) * 2022-03-04 2024-05-31 浙江科技学院 一种装配式无缝伸缩缝受力监测的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7436A (zh) * 2015-08-14 2015-11-18 山西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桥梁伸缩缝材料多轴疲劳破坏试验设备及其实施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7436A (zh) * 2015-08-14 2015-11-18 山西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桥梁伸缩缝材料多轴疲劳破坏试验设备及其实施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장, 교량용 신축이음장치,2002.10.22. *
유문식 외 5명,철도차량용 T-MAT형 신축이음장치 완제품 성능시험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3.10,552-556 페이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7649A (zh) * 2018-11-16 2019-02-19 浙江全华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伸缩缝装置的测试平台
CN109357649B (zh) * 2018-11-16 2024-03-01 宁波路宝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伸缩缝装置的测试平台
CN109457601A (zh) * 2018-11-26 2019-03-12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公路桥梁的防护结构
CN109457601B (zh) * 2018-11-26 2020-08-25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公路桥梁的防护结构
CN114858329A (zh) * 2022-03-04 2022-08-05 浙江科技学院 一种装配式无缝伸缩缝受力监测的结构
CN114858329B (zh) * 2022-03-04 2024-05-31 浙江科技学院 一种装配式无缝伸缩缝受力监测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801B1 (ko)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801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신축 및 방수 성능 시험장치
KR101197361B1 (ko) 슬라이드형 신축이음장치
CN106370532B (zh) 一种高寒气候户外环境-拉、压、弯载荷耦合试验装置
CN109187229B (zh) 栓钉拉剪试验装置及试验方法
KR20120049201A (ko)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압출공법 및 이를 위한 교각부 임시지지구조
CN203858157U (zh) 建筑结构胶粘剂拉伸剪切性能测试夹具
KR102065915B1 (ko) 전단 시험 장치
KR100952227B1 (ko) 시험체 시험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CN112697575A (zh) 一种支座拉压徐变多功能试验机
CN105181493A (zh) 钢与混凝土界面疲劳试验装置
KR20180017726A (ko)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
CN105674906A (zh) 一种道路材料全龄期收缩变形测试装置及使用方法
CN111948023A (zh) 一种带滑轮的钢板局部屈曲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JP4219095B2 (ja) 圧縮・剪断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装置
KR20130021960A (ko) 로터볼트 변형율 측정장치
CN115144255B (zh) 一种单向纤维复合材料层间剪切强度分布的测试辅助装置
CN103837409B (zh) 脉动疲劳试验机用疲劳试验装置及脉动疲劳试验机
CN103528889A (zh) 一种基于尺蠖型压电驱动器的原位拉伸实验仪
CN214150179U (zh) 一种电动拉力机用夹具
KR101388079B1 (ko) 철도 궤도의 진동 모의시험을 위한 이동식 가진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 궤도의 진동 모의시험방법
CN208476750U (zh) 一种沥青-集料粘附性测试装置
KR101535260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CN113049386B (zh) 高延性水泥基复合材料位移控制持荷装置及方法
CN219798967U (zh) 锚具性能检测装置
CN213422787U (zh) 一种用于检测桥梁伸缩装置夹持性能的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