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665A -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665A
KR20170140665A KR1020160073275A KR20160073275A KR20170140665A KR 20170140665 A KR20170140665 A KR 20170140665A KR 1020160073275 A KR1020160073275 A KR 1020160073275A KR 20160073275 A KR20160073275 A KR 20160073275A KR 20170140665 A KR20170140665 A KR 2017014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image
seat
attribut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863B1 (ko
Inventor
원준희
김준우
구본홍
최형균
박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16007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63B1/ko
Priority to PCT/KR2017/005647 priority patent/WO2017217675A1/ko
Publication of KR2017014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7Cooperative playing, e.g. requiring coordinated actions from several players to achieve a common go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G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Head Mounted Display)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에 대한 기술 개발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의료, 게임, 차량, 비행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어 상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특히, 게임시장의 경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를 적용하여 모션베이스 기반의 축이동 방식의 1인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게임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HMD를 착용한 상태에서 좁은 공간에서 모션베이스 기반으로 게임을 수행하게 되므로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상하이동, 회전이동 등의 다양한 동작에 따른 현실감과 스릴감 있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기존 HMD를 적용한 게임의 경우, 단순히 그래픽만 변경되는 단일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부분 1인 플레이로만 게임이 진행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플레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는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위치정보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위치정보 별로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여 각 HMD 상에 상기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부는, 상기 기본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게임을 하는 경우,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자이로드롭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좌석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상기 좌석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부는, 상기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상기 좌석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상기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 연동된 HMD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본영상관리부; 및 상기 각 HMD 간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영상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특정게임의 진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연동된 컨트롤러의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이벤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회전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상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상기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상승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하강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은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위치정보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매칭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별로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여 각 HMD 상에 상기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기본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게임을 하는 경우,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자이로드롭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좌석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상기 좌석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상기 좌석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상기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칭단계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제어단계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 연동된 HMD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본영상관리단계; 및 상기 각 HMD 간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영상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단계; 및 상기 특정게임의 진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연동된 컨트롤러의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이벤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동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회전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상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상기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상승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하강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가상현실게임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드롭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이미지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간에 영상 동기화를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가상현실게임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가상현실게임환경은,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200), 컨트롤러(3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이하 HMD)(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 기반의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 즉 자이로드롭장치(200)에 연동된 HMD(400)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400)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400)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200)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이로드롭장치(200), 컨트롤러(300) 및 HMD(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어 가상현실게임과 관련되는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함께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이로드롭장치(200)는, 소정범위의 공간에 설치되어 다수의 게이머(이하, 사용자)가 탑승하여 가상현실게임을 실질적으로 체험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이로드롭장치(200)는, 도 2의 (A1)과 같이 테마파크의 놀이기구와 같이 상하이동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며,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자이로드롭장치(200)는, 도 2의 (A2)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을 포함하며, 좌석(210) 별로 컨트롤러(300) 및 HMD(400)가 연동되게 된다.
이에, 좌석(210)에 탑승한 사용자는,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HMD(400)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면, 컨트롤러(300)를 조작하여 가상현실게임의 특성에 따른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수행하면서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컨트롤러(300)는, HMD(400) 상에 표시되는 가상현실이미지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적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이다.
즉, 컨트롤러(300)는, 가상현실게임의 진행 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관련신호를 생성하여 적용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가상현실이미지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반영되어 HMD(400)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HMD(400)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며,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가상현실이미지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즉, HMD(400)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방식을 통해 가상현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처럼 HMD(400)가 무선방식으로 구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유선연결로 인해 발생하던 다양한 장애(예: 접촉오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상현실게임서비스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움직임을 통하여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기존의 가상현실게임 및 자이로드롭장치의 특징동작(상하이동, 회전이동)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부(110), 위치정보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매칭부(120), 및 위치정보 별로 연동된 HMD(400)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여 각 HMD(400) 상에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본이미지는, 가상현실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자에 의해 제작된 게임컨텐츠로서, HMD(400) 상에서 가상현실이미지로 출력되기 이전 가공되지 않은 이미지를 일컫는다.
이러한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은,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좌석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기본이미지로 분할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부(140), 및 가상현실게임의 진행 시,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에 연동된 컨트롤러(300)의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이벤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동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110), 매칭부(120), 영상제어부(130), 동작제어부(140) 및 연동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자이로드롭장치(200)에 연동된 HMD(400)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400)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400)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10)는, 기본이미지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0)는, 가상현실게임의 기본이미지를 확인하고,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한다.
즉, 확인부(110)는,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좌석관련정보에는, 자이로드롭장치(2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좌석(210)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확인부(110)는,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좌석(2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의 (B1) 및 (B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이미지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좌석(210)이 6개(210a-210f)이며, 좌석(210a-210f)에 각각 컨트롤러(300a-300f) 및 HMD(400a-400f)가 연동되어 있으며, 위치식별자(ID1-ID6)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좌석(210a-210f), 컨트롤러(300a-300f), HMD(400a-400f)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확인부(110)는, 도 4의 (B1)와 같이, 기본이미지(P1)의 전체영역을 좌석(210a-210f)의 개수(6개)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6개의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확인한다.
이처럼 기본이미지(P1)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확인하는 것은, 도 4의 (B2)와 같이 기본이미지(P1)가 각 좌석(210a-210f)에 연동된 각 HMD(400a-400f)를 통해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가상현실이미지(VP1)로 표시되었을 때,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러(300)의 조작을 통해 제어 가능한 영역, 즉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VP16)가 확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좌석(210a)에 탑승한 사용자는, HMD(400a)를 통해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표시된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하는 한편, 컨트롤러(300a)를 조작하여 좌석(210a)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좌석(210b-210f)에 탑승한 사용자 역시 HMD(400b-400f)를 통해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표시된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하는 한편, 컨트롤러(300b-300f)를 조작하여 각 좌석(210b-210f)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2-VP16)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전술과 같이 기본이미지(P1)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P11-P16)의 검출이 완료되면, 매칭부(120)는 각 좌석(210a-210f)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매칭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칭부(120)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좌석(210a-210f) 별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본이미지(P1)의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매칭부(120)는, 위치식별자(ID1)에 대응되는 좌석(210a)의 위치를 확인하고, 속성기본이미지(P11-P16) 중 확인된 좌석(210a)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P11)를 검출하여 매칭시킨다.
즉,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매칭부(120)는, 속성기본이미지(P11-P16) 중 좌석(210a)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로 속성기본이미지(P11)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매칭부(120)는,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위치식별자(ID2-ID6)에 대응되는 각 좌석(210b-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b-210f) 별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2-P16)를 검출하여 매칭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이미지(P1)의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좌석(210c)의 위치부터 순차적으로 나머지 좌석(210d, 210e, 210f, 210a, 210b)의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는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제어부(130)는,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제어부(130)는, 각 좌석(210a-210f)에 연동된 HMD(400a-400f)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전송하여 각 HMD(400a-400f) 상에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영상제어부(130)는, 기본영상관리부(131) 및 가상영상관리부(132)를 포함한다.
기본영상관리부(131)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각 각 좌석(210a-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 연동된 각 HMD(400a-400f)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전송한다.
즉, 기본영상관리부(131)는, 위치식별자(ID1)의 대응되는 좌석(210a)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a)의 위치에 연동된 HMD(400a)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를 전송한다.
이후, 기본영상관리부(131)는,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식별자(ID2-ID6)에 대응되는 각 좌석(210b-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b-210f) 별 위치에 연동된 HMD(400b-400f)로 각각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2-P16)를 전송한다.
가상영상관리부(132)는, 각 HMD(400a-400f) 간의 동기화를 통해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P11-P16)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이미지(VP1)를 생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C1, C2, C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HMD 간에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210a, 210b)에 사용자가 탑승하였으며, 각 좌석(210a, 210b)에 연결된 HMD(400a, 400b) 간에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의 (C1)과 같이, 좌석(210a, 210b)에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면, 도 (C2)와 같이 HMD(400a)로는 좌석(210a)의 위치에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가 전송되며, HMD(400b)로는 좌석(210b)의 위치에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2)가 전송되므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HMD(400a)와 HMD(400b)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속성기본이미지(P11)와 속성기본이미지(P12)가 영상 동기화 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이미지(VP1)를 생성하고, 이를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도 (C3)과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가상현실이미지(VP1)가 표시되게 되면, 각 좌석(210a, 210b)에 탑승한 사용자는 해당 HMD(400a, 400b)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는 동시에 각 좌석(210a, 210b)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 VP12)를 컨트롤러(300a, 300b)를 통해 조작함으로써 플레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좌석(210a)에 탑승한 사용자는, HMD(400a)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좌석(210b)에 탑승한 사용자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좌석(210a)에 연동된 컨트롤러(300a)를 조작하여 좌석(210a)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좌석(210b)에 탑승한 사용자는, HMD(400b)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좌석(210a)에 탑승한 사용자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좌석(210b)에 연동된 컨트롤러(300b)를 조작하여 좌석(210b)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2)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에서 언급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동작제어부(14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자이로드롭장치(200)로 전송되면, 동작제어신호에 의한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확인한다.
이때, 동작제어신호에는,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ID1-ID6) 및 회전이동과 상하이동과 관련되는 이동정보 등이 포함된다.
먼저, 동작제어신호에 의한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회전이동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영상관리부(132)는,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자이로드롭장치(200)가 회전이동 하면, 각 좌석(210a-210f)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각 좌석(210a-210f)이 회전된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영상관리부(132)는,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각 좌석(210a-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VP16)를 확인한다.
즉,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위치식별자(ID1)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a)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이며, 위치식별자(ID2)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b)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2)이며, 위치식별자(ID3)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c)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3)이며,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d)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4)이며, 위치식별자(ID5)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e)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5)이며, 위치식별자(ID6)의 위치에 배치된 좌석(210f)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은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6)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좌석(210a-210f)이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위치식별자와 제2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위치식별자를 확인함으로써 회전이동에 따라 전환되는 좌석(210a-210f) 별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좌석(210a-210f)이 동시에 동일하게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어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전환되므로, 먼저 좌석(210a)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제1 위치가 위치식별자(ID1)의 위치이며 제2 위치가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의 (B2)와 같이 좌석(210a)이 위치식별자(ID1)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 가능한 영역이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일 때,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이동정보에 의해 자이로드롭장치(200)가 회전하여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인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4)를 좌석(210a)의 제어 가능한 영역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4)가 좌석(210a)에 연동된 HMD(400a)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나머지 좌석(210b-210f) 역시 제2 위치인 위치식별자(ID5, ID6, ID1, ID2, ID3) 별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5, VP16, VP11, VP12, VP13)를 나머지 좌석(210b-210f)의 제어 가능한 영역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5, VP16, VP11, VP12, VP13)가 나머지 좌석(210b-210f)별로 연동된 HMD(400b-400b)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동작제어신호에 의한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상하이동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상승이동인 경우,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 중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즉,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로 사용자의 시선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하강이동인 경우,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 중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즉,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로 사용자의 시선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컨트롤러(300)의 조작에 따라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반영된 가상현실이미지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연동제어부(150)로부터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과 관련되는 이벤트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0)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이벤트제어신호에는,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ID1-ID6) 및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과 관련되는 이벤트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210a-210f) 중 좌석(210a)에서 컨트롤러(300)의 조작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이벤트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위치식별자(ID1)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0)를 조작한 좌석(210a)을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a)을 특정좌석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가상영상관리부(132)는, 특정좌석(210a)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를 확인하여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로 결정한다.
이후,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이벤트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확인하고,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하여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VP11`)를 생성한다.
결국, 가상영상관리부(132)는, 이벤트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VP11`)로 전환하여 좌석(210a)에 연동된 HMD(400a)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전술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해 제어 가능한 가상현실이미지의 해당 영역이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컨트롤러(300)의 조작에 따라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반영된 가상현실이미지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상기 동작은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시에 병행되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좌석(210a-210f)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가상현실게임의 플레이준비가 완료되면,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이로드롭장치(200), 컨트롤러(300) 및 HMD(400)를 연동한다(S100).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를 확인한다(S101). 이어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이 수행되어 HMD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게임의 기본이미지를 확인하고,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한다(S102).
즉,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좌석관련정보에는, 자이로드롭장치(200)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좌석(2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좌석(210)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이에,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좌석(2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의 (B1) 및 (B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이미지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이로드롭장치(200)에 포함되는 좌석(210)이 6개(210a-210f)이며, 좌석(210a-210f)에 각각 컨트롤러(300a-300f) 및 HMD(400a-400f)가 연동되어 있으며, 위치식별자(ID1-ID6)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좌석(210a-210f), 컨트롤러(300a-300f), HMD(400a-400f)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도 4의 (B1)와 같이, 기본이미지(P1)의 전체영역을 좌석(210a-210f)의 개수(6개)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6개의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확인한다.
이처럼 기본이미지(P1)로부터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확인하는 것은, 도 4의 (B2)와 같이 기본이미지(P1)가 각 좌석(210a-210f)에 연동된 각 HMD(400a-400f)를 통해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가상현실이미지(VP1)로 표시되었을 때,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러(300)의 조작을 통해 제어 가능한 영역, 즉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VP16)가 확인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좌석(210a-210f) 별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본이미지(P1)의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치식별자(ID1)에 대응되는 좌석(210a)의 위치를 확인하고, 속성기본이미지(P11-P16) 중 확인된 좌석(210a)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P11)를 검출하여 매칭시킨다.
즉, 속성기본이미지(P11-P16)가 분할된 순서 그대로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므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속성기본이미지(P11-P16) 중 좌석(210a)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로 속성기본이미지(P11)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위치식별자(ID2-ID6)에 대응되는 각 좌석(210b-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b-210f) 별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2-P16)를 검출하여 매칭시킨다.
전술과 같이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의 매칭이 완료되면,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각 좌석(210a-210f)에 연동된 HMD(400a-400f)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전송하여 각 HMD(400a-400f) 상에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03-S106).
즉,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각 각 좌석(210a-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 연동된 각 HMD(400a-400f)로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P16)를 전송한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각 HMD(400a-400f) 간의 동기화를 통해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P11-P16)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이미지(VP1)를 생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C1, C2, C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HMD 간에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210a, 210b)에 사용자가 탑승하였으며, 각 좌석(210a, 210b)에 연결된 HMD(400a, 400b) 간에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의 (C1)과 같이, 좌석(210a, 210b)에 사용자가 탑승하게 되면, 도 (C2)와 같이 HMD(400a)로는 좌석(210a)의 위치에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1)가 전송되며, HMD(400b)로는 좌석(210b)의 위치에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P12)가 전송되므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HMD(400a)와 HMD(400b)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속성기본이미지(P11)와 속성기본이미지(P12)가 영상 동기화 되도록 제어하여 가상현실이미지(VP1)를 생성하고, 이를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도 (C3)과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처럼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 가상현실이미지(VP1)가 표시되게 되면, 각 좌석(210a, 210b)에 탑승한 사용자는 해당 HMD(400a, 400b)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는 동시에 각 좌석(210a, 210b)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 VP12)를 컨트롤러(300a, 300b)를 통해 조작함으로써 플레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좌석(210a)에 탑승한 사용자는, HMD(400a)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좌석(210b)에 탑승한 사용자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좌석(210a)에 연동된 컨트롤러(300a)를 조작하여 좌석(210a)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좌석(210b)에 탑승한 사용자는, HMD(400b)를 통해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을 확인하여 좌석(210a)에 탑승한 사용자의 게임진행상황을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좌석(210b)에 연동된 컨트롤러(300b)를 조작하여 좌석(210b)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2)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에서 언급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이로드롭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동작제어신호에는,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ID1-ID6) 및 회전이동과 상하이동과 관련되는 이동정보 등이 포함된다.
먼저, 동작제어신호에 의한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회전이동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자이로드롭장치(200)가 회전이동 하면, 각 좌석(210a-210f)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각 좌석(210a-210f)이 회전된 것으로 확인되면,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09-S111).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치식별자(ID1-ID6)에 기초하여 각 좌석(210a-210f)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 좌석(210a-210f)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VP16)를 확인한다.
이처럼, 좌석(210a-210f)이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위치식별자와 제2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의 위치식별자가 확인되면 회전이동에 따라 전환되는 좌석(210a-210f) 별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좌석(210a-210f)이 동시에 동일하게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어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전환되므로, 먼저 좌석(210a)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제1 위치가 위치식별자(ID1)의 위치이며 제2 위치가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의 (B2)와 같이 좌석(210a)이 위치식별자(ID1)의 위치인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 가능한 영역이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일 때,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이동정보에 의해 자이로드롭장치(200)가 회전하여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위치식별자(ID4)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영역인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4)를 좌석(210a)의 제어 가능한 영역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4)가 좌석(210a)에 연동된 HMD(400a)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나머지 좌석(210b-210f) 역시 제2 위치인 위치식별자(ID5, ID6, ID1, ID2, ID3) 별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5, VP16, VP11, VP12, VP13)를 나머지 좌석(210b-210f)의 제어 가능한 영역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5, VP16, VP11, VP12, VP13)가 나머지 좌석(210b-210f)별로 연동된 HMD(400b-400b)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동작제어신호에 의한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상하이동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S112-S113).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상승이동인 경우,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 중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즉,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로 사용자의 시선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이 하강이동인 경우,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 중 동작제어신호에 포함된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즉, 가상현실이미지(VP1)의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이동정보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로 사용자의 시선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컨트롤러(300)의 조작에 따라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반영된 가상현실이미지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S114-S117).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연동제어부(150)로부터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과 관련되는 이벤트제어신호가 생성되면,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0)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이벤트제어신호에는,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ID1-ID6) 및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과 관련되는 이벤트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210a-210f) 중 좌석(210a)에서 컨트롤러(300)의 조작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이벤트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위치식별자(ID1)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0)를 조작한 좌석(210a)을 확인하고, 확인된 좌석(210a)을 특정좌석으로 결정한다. 이어서,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특정좌석(210a)의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를 확인하여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로 결정한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이벤트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확인하고,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에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을 적용하여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VP11`)를 생성한다.
결국,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이벤트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VP11)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VP11`)로 전환하여 좌석(210a)에 연동된 HMD(400a)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100)는,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에 따른 플레이가 완료되면, 자이로드롭장치(200), 컨트롤러(300) 및 HMD(400)d와의 네트워크 연동을 종료한다(S118).
전술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이로드롭장치(200)의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해 제어 가능한 가상현실이미지의 해당 영역이 전환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컨트롤러(300)의 조작에 따라 이벤트동작(예: 총쏘기, 슈팅 등)이 반영된 가상현실이미지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상기 동작은 가상현실게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시에 병행되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자이로드롭장치(Gyro Drop)에 연동된 HMD(Head-Mounted Display) 간의 영상 동기화를 통해 각 HMD 상에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가상현실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기반으로 각 HMD를 통한 제어 가능한 영역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이로드롭장치의 움직임을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동작이 접목된 가상현실게임을 하나의 가상공간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여 실시간 협동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110: 확인부 120: 매칭부
130: 영상제어부 140: 동작제어부
150: 연동제어부
200: 자이로드롭장치 300: 컨트롤러
400: HMD

Claims (18)

  1.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위치정보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위치정보 별로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여 각 HMD 상에 상기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기본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게임을 하는 경우,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자이로드롭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좌석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상기 좌석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상기 좌석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상기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좌석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 연동된 HMD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본영상관리부; 및
    상기 각 HMD 간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영상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특정게임의 진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연동된 컨트롤러의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이벤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회전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상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상기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상승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하강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부는,
    상기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10. 기본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 별로 표시되어야 하는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위치정보 별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매칭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별로 연동된 HMD(Head Mounted Display)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여 각 HMD 상에 상기 기본이미지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기본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게임을 하는 경우,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자이로드롭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대한 좌석관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좌석관련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식별자 및 상기 좌석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기본이미지의 전체영역을 상기 좌석의 개수에 대응하는 만큼 분할하여 상기 속성기본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단계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검출하여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어단계는,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좌석의 위치에 연동된 HMD로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본영상관리단계; 및
    상기 각 HMD 간의 동기화를 통해 상기 매칭된 해당 속성기본이미지간의 영상 동기화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영상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특정게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단계; 및
    상기 특정게임의 진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에 연동된 컨트롤러의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이벤트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동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회전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석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위치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이미지로부터 상기 좌석의 위치 별로 제어 가능한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어 가능한 해당 속성가상현실이미지가 상기 각 HMD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상승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단영역으로 시선이 상승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상기 자이로드롭장치의 하강이동과 관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이미지의 전체영역 중 상기 동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하단영역으로 시선이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관리단계는,
    상기 이벤트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조작한 특정좌석에서 제어 가능한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속성가상현실이미지를 제1 변환가상현실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HMD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60073275A 2016-06-13 2016-06-13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1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275A KR101916863B1 (ko) 2016-06-13 2016-06-13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7/005647 WO2017217675A1 (ko) 2016-06-13 2017-05-30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275A KR101916863B1 (ko) 2016-06-13 2016-06-13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65A true KR20170140665A (ko) 2017-12-21
KR101916863B1 KR101916863B1 (ko) 2018-11-08

Family

ID=6066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275A KR101916863B1 (ko) 2016-06-13 2016-06-13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6863B1 (ko)
WO (1) WO20172176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61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맘모식스 가상현실 게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1991800A (zh) * 2019-02-22 2020-11-2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角色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22965B1 (ko) * 2022-10-05 2023-04-18 주식회사 제이이노베이션 다양한 장르 구현이 가능한 영상투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1890B (zh) * 2018-05-25 2022-02-01 数字王国空间(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Vr动作适配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10650239B2 (en) 2018-07-25 2020-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xt-based object location via augmented reality device
CN112057841A (zh) * 2020-09-23 2020-12-11 江苏视天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基于手机陀螺仪操控vr眼镜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176B2 (ja) * 1992-04-30 1999-09-13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シューティングライドゲーム機
JP3227158B2 (ja) * 1993-06-16 2001-11-12 株式会社ナムコ 3次元ゲーム装置
KR101060998B1 (ko) * 2009-03-26 2011-08-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기반 네트워킹 가상공간 시뮬레이터 시스템
US8964008B2 (en) * 2011-06-17 2015-0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lumetric video presentation
KR101574771B1 (ko) * 2013-11-27 2015-12-0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39113B1 (ko) * 2016-03-30 2018-03-16 (주)퓨처젠 다중 접속을 통하여 다수의 훈련자의 개별적인 가상훈련공간의 인식과 공유된 가상작업공간에서 집단적이며 조직적인 협력훈련이 가능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가상훈련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몰입식 네트워크 가상훈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61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맘모식스 가상현실 게임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111991800A (zh) * 2019-02-22 2020-11-2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角色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22965B1 (ko) * 2022-10-05 2023-04-18 주식회사 제이이노베이션 다양한 장르 구현이 가능한 영상투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63B1 (ko) 2018-11-08
WO2017217675A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863B1 (ko) 가상현실게임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I786701B (zh) 用於在hmd環境中利用傳至gpu之預測及後期更新的眼睛追蹤進行快速注視點渲染的方法及系統以及非暫時性電腦可讀媒體
JP7164630B2 (ja) 予測サッカード着地点に基づく動的グラフィックスレンダリング
CN112578565B (zh) 根据眼睛追踪的实时透镜像差校正
CN106659932B (zh) 头戴式显示器中的传感刺激管理
JP6114472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でユーザーの動きに応答する画像レンダリング
EP30031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optical representation of views provided by a head mounted display based on optical prescription of a user
JP6234622B1 (ja) 仮想空間を介し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WO2022212151A1 (en) Menu placement dictated by user ability and modes of feedback
WO2018165175A1 (en) Cut-scene gameplay
Lugrin et al. Usability benchmarks for motion tracking systems
KR20180122869A (ko) 3차원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EP3400992A1 (en) Providing a location-based mixed-reality experience
KR20200065802A (ko) 놀이공원에서 놀이기구를 가동하는 동안 이미지를 시각화하는 장치, 방법 및 이미지 시각화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43601B1 (ko) 6dof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vr 관광체험 시스템
WO2018206605A1 (en) Transport simulation in a location-based mixed-reality game system
US10940387B2 (en) Synchronized augmented reality gameplay across multiple gaming environments
EP4180945A1 (en) Graphics rendering
KR20120139471A (ko) 사용자 참여형 멀티미디어 체험 시스템 및 방법
EP3405853A1 (en) Remote interactive system of augmented reality and associated method
KR101506668B1 (ko) 가상 객체의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10106644A (ko) 게임 처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및 게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