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998A -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998A
KR20170139998A KR1020160072738A KR20160072738A KR20170139998A KR 20170139998 A KR20170139998 A KR 20170139998A KR 1020160072738 A KR1020160072738 A KR 1020160072738A KR 20160072738 A KR20160072738 A KR 20160072738A KR 20170139998 A KR20170139998 A KR 2017013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reinforcing bar
connection member
fixed
struc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400B1 (ko
Inventor
최승익
이중환
남승율
권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내진시스템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내진시스템, 시설물안전연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내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7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40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04B1/9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다수의 앵커 볼트 설치 및 다수의 너트 체결에 따른 공정을 제거할 수 있고, 플랜지가 없는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제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서 제진장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조물의 표면을 앵커 볼트 등의 돌출부가 없는 깔끔한 표면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제진장치 설치공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진장치 설치공법은 제1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1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1철근에 제1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1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1철근 주변으로 제1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상기 제1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가 심어진 제1구조부를 형성하는 제1구조부 형성단계, 상기 제1구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2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철근에 고정하되,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2철근 주변으로 제2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타설단계, 상기 제2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가 심어진 제2구조부를 형성하는 제2구조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댐퍼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Method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a vibr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새로이 형성하는 두 구조부 사이에 제진장치를 설치하는 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지진이나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건물의 진동에너지를 소산시켜 진동을 감쇠시켜 건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보나 기둥 또는 두 벽체 등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두 구조부 사이에 제진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제진장치로는 등록번호 10-1457059호(발명의 명칭: 점탄성체를 이용한 전단벽체의 제진공법, 발명자: 이 현남 외 2) 및 등록번호 10-1321224호(발명의 명칭: 전단벽형 제진장치, 발명자: 유봉현 외 5)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있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모두 제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보나 기둥 또는 벽체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다수의 앵커 볼트들을 설치하고, 체결공들이 뚫린 플랜지와 이 플랜지에 수직으로 연결된 연결부를 가지는 T자형 연결부재를 이 앵커 볼트들에 고정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연결부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여 두 구조부 사이에서 제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보나 기둥 또는 벽체를 시공할 때 다수의 앵커 볼트들이나 앵커 너트들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다시 플랜지의 체결공들로 앵커 볼트들을 각각 삽입하여 너트들을 체결한 다음 두 연결부에 댐퍼를 각각 결합하여야 하므로, 연결부재 설치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은 연결부재로 플랜지와 연결부를 가지는 T자형 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료가 많이 소요되고 제진장치 당 설치 단가도 비싸다. 플랜지에 복수의 앵커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많을 수의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단가도 매우 비싸다.
또한, 종래기술은 앵커볼트들을 복수의 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두께가 얇은 벽체에는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공법에 따르면,
첫째, T자 형 연결부재의 플랜지에 앵커 볼트 등의 삽입을 위한 다수의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진장치를 만드는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 공수도 많이 들어가고,
둘째, T자 형 연결부재는 플랜지를 가지므로 그 제작에 재료가 많이 소모되고 별도의 용접작업이 필요하고,
셋째, 제진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부를 형성할 때 앵커볼트 등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부 형성이 어렵고,
넷째, 구조부 형성 후에, 많은 수의 너트를 앵커 볼트에 체결하여 연결부재를 구조부에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공정이 필요하고,
다섯째, 얇은 벽체에는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진장치 설치를 위한 구조부에 다수의 앵커 볼트나 앵커 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연결부재를 앵커 볼트나 앵커 너트에 체결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제진장치를 두 구조부조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랜지가 없는 판상의 부재를 연결부재로 활용할 수 있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은 벽체에도 용이하게 제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은 제제1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1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1철근에 제1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1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1철근 주변으로 제1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상기 제1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가 심어진 제1구조부를 형성하는 제1구조부 형성단계; 상기 제1구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2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철근에 고정하되,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2철근 주변으로 제2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타설단계; 상기 제2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가 심어진 제2구조부를 형성하는 제2구조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댐퍼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2타설단계 전에 상기 제1철근에 고정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철근에 고정된 상기 제2연결부재를 보강재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재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는 봉 또는 상기 제1철근을 통해 또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봉들을 통해 배근되는 상기 제1철근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제1철근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는 봉 또는 상기 제2철근을 통해 또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봉들을 통해 상기 제2철근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철근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구조는 콘크리트로 된 제1구조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1철근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구조부에 심어진 판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제1구조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콘크리트로 된 제2구조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2철근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구조부에 심어진 판상의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봉 또는 상기 제1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려 있거나 봉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철근은 상기 구멍들로 삽입된 상태로 또는 상기 봉들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제1구조부에 고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봉 또는 상기 제2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려 있거나 봉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철근은 상기 구멍들로 삽입된 상태로 또는 상기 봉들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구조부에 고정하여 주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를 간단한 공정으로 직접 구조부에 설치함에 따라 다수의 앵커 볼트 설치 및 다수의 너트 체결에 따른 공정을 제거할 수 있어서 제진장치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가 없는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제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서 제진장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조물의 표면을 앵커 볼트 등의 돌출부가 없는 깔끔한 표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가 얇은 벽체에도 제진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제1, 제2연결부재로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3은 제1구조부 형성을 위한 제1철근에 제1연결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연결부재가 배근된 철근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배근된 철근 주변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제1연결부재가 심어진 제1구조부 위에 제2구조부 형성을 위한 제2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둥 등의 두 구조부 사이에 제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진장치가 두 구조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 연결부재가 배근된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전단벽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이 인방보의 형태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에 사용되는 제1, 제2연결부재로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제1구조부 형성을 위한 제1철근에 제1연결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연결부재가 배근된 철근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배근된 철근 주변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제1연결부재가 심어진 제1구조부 위에 제2구조부 형성을 위한 제2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둥 등의 두 구조부 사이에 제진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부재(110)를 필요한 개수 이상으로 미리 준비해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의 하단부근에는 복수개의 구멍(112)이 뚫려있다. 이 구멍(112)들은 봉(121a) 또는 철근들이 삽입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연결부재(110)의 상단부에는 댐퍼의 일단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연결부재(110)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진장치 설치공법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기둥 등 제1구조부(120)의 형성을 위한 제1철근(121)들을 배근하면서 봉(121a)들 또는 제1철근(121)들 각각이 제1연결부재(110a)의 구멍(112)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10a)를 제1철근(121)에 고정한다(S1).
그런 다음 배근된 제1철근(121) 주변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거푸집(130)을 형성하고(S2), 제1거푸집(13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S3)하는 제1타설단계를 수행하고, 이를 양생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10a)가 심어진 제1구조부(120)를 형성한다(S4).
또한, 도 6과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구조부(120) 위에 제1구조부(1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구조부(140)의 형성을 위한 제2철근(142)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110b)를 배근된 제2철근(142)에 고정한다(S5).
이 때, 제2연결부재(110b)의 단부는 제1연결부재(110a)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고정한다. 제2연결부재(110b)가 제1연결부재(110a)에 대해 설계된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자세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보강재(160)를 사용하여 제1연결부재(110a)와 제2연결부재(110b)를 서로 고정한다(S6). 때에 따라, 이 보강재(160) 설치 시 댐퍼(170)도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재(160)는 댐퍼(170)를 구성하는 점탄성 고무 등의 부품이 변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위와 같은 보강재(160)는 댐퍼(170) 설치 후 제거되어도 무방하나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둘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기 전까지는 댐퍼(170)와 함께 양측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를 견고하게 연결 및 지지하다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변형되면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배근된 제2철근(142) 주변으로 제1거푸집(130) 설치 시와 같이 제2거푸집을 설치하고(S7), 제2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S8), 양생하여 제2연결부재(110b)가 심어진 제2구조부(140)를 형성한다(S9).
때에 따라, 제1구조부(120)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 제2구조부(140)를 함께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1구조부(120)와 제2구조부(140)를 형성하면서 제1연결부재(110a)와 제2연결부재(110b)를 각각 제1, 제2구조부(120, 140)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앵커 볼트들 설치 후에 다시 너트 등을 통해 T자형 연결부재를 고정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정확한 위치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피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구조부(120)와 제2구조부(140)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110a)와 제2연결부재(110b) 사이에 댐퍼(170)를 설치(S10)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을 이루는 제1구조부(120)와 제2구조부(140) 사이에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와 댐퍼(170)로 이루어진 제진장치(170a)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댐퍼(170)는 반드시 마지막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보강재(160) 설치 시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진장치가 두 구조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앞의 도 1 내지 7을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10a)는 제1구조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철근(121)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멍(112)을 통해 또는 구멍(112)에 삽입된 봉(121a)을 통해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110b)는 제2구조부(140)의 내부에 설치된 제2철근(142)에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멍(112)을 통해 또는 구멍(112)에 삽입된 봉(121a)을 통해 결합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170)로는 고감쇠 점탄성 고무(171)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댐퍼(170)로는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에 결합하기 위한 일부를 남겨둔 중심판(172)의 양 측면과 중심판(172) 양측으로 배치되는 두 측판(173) 사이에 고감쇠 점탄성 고무(171)를 가황 접착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70)는 볼트(B)와 너트(N) 또는 리벳 등으로 양측의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에 고정된다.
때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점탄성 고무를 이용한 댐퍼(170) 대신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보다 항복강도가 작은 저항복강으로 만든 판이 설치된 댐퍼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 연결부재가 배근된 철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앞의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때에 따라, 연결부재(110)의 한쪽 끝 부분에 봉(121a)들의 일종으로서 철골공사용 스터드 볼트(SB)들을 설치하고, 이 스터드 볼트(SB)를 배근된 제1, 제2철근(121, 142)들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부재(110)를 구조부에 설치할 수 있다. 때에 따라 스터드 볼트(SB) 부근에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나 홈을 형성하는 것을 병행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전단벽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이 인방 보의 형태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즉, 전단벽체(W)를 구성하는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 제1구조부(120)와 제2구조부(140) 또는 문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OH)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제2구조부(120, 140) 사이에 도 1 내지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1연결부재(110a)와 제2연결부재(110b)를 설치하고, 이 제1, 제2연결부재(110a, 110b) 사이에 댐퍼(170)를 설치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10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에 두 구조부 사이에 제진장치를 설치하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10: 연결부재 110a: 제1연결부재
110b: 제2연결부재 112: 구멍
114: 체결공 SB: 스터드 볼트
120: 제1구조부 130: 제1거푸집
140: 제2구조부 160: 보강재
170: 댐퍼 170a: 제진장치

Claims (7)

  1. 제1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1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1철근에 제1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1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1철근 주변으로 제1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1타설단계;
    상기 제1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가 심어진 제1구조부를 형성하는 제1구조부 형성단계;
    상기 제1구조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구조부의 형성을 위한 제2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철근에 고정하되,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재 고정단계;
    배근한 상기 제2철근 주변으로 제2거푸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2타설단계;
    상기 제2타설단계에서 타설한 콘크리트 재료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가 심어진 제2구조부를 형성하는 제2구조부 형성단계;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댐퍼를 설치하는 댐퍼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2타설단계 전에 상기 제1철근에 고정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철근에 고정된 상기 제2연결부재를 보강재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보강재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는 봉 또는 상기 제1철근을 통해 또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봉들을 통해 배근되는 상기 제1철근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제1철근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삽입되는 봉 또는 상기 제2철근을 통해 또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설치된 복수의 봉들을 통해 상기 제2철근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철근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공법.
  5. 콘크리트로 된 제1구조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1철근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구조부에 심어진 판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제1구조부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콘크리트로 된 제2구조부의 내부에 설치된 제2철근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구조부에 심어진 판상의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봉 또는 상기 제1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려 있거나 봉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철근은 상기 구멍들로 삽입된 상태로 또는 상기 봉들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제1구조부에 고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구조.
  7. 제5항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봉 또는 상기 제2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려 있거나 봉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철근은 상기 구멍들로 삽입된 상태로 또는 상기 봉들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제2연결부재를 상기 제2구조부에 고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장치 설치구조.
KR1020160072738A 2016-06-10 2016-06-10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KR10186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8A KR101864400B1 (ko) 2016-06-10 2016-06-10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8A KR101864400B1 (ko) 2016-06-10 2016-06-10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98A true KR20170139998A (ko) 2017-12-20
KR101864400B1 KR101864400B1 (ko) 2018-06-04

Family

ID=6093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38A KR101864400B1 (ko) 2016-06-10 2016-06-10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4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95A (ja) * 1998-08-31 2000-03-07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の制震装置及び建築物の制震装置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部材
JP2003321945A (ja) * 2002-04-30 2003-11-14 Hazama Gumi Ltd 制震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制震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95A (ja) * 1998-08-31 2000-03-07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の制震装置及び建築物の制震装置に用いるプレキャスト部材
JP2003321945A (ja) * 2002-04-30 2003-11-14 Hazama Gumi Ltd 制震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制震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400B1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JP5713495B2 (ja) 既設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10337519B (zh) 永久性混凝土模壳及使用这种模壳制造金属混凝土复合结构的方法
KR101842593B1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JP201602347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及び制振補強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耐震及び制振補強工法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80085228A (ko) 조적 채움벽체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949116B2 (ja)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JP6057579B2 (ja) 免震装置支持構造及び免震装置支持構造の施工方法
KR101864400B1 (ko) 제진장치 설치공법 및 제진장치 설치구조
KR101845078B1 (ko) 유동식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6037114B2 (ja) 型枠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2000226952A (ja) コンクリート躯体構造物における履歴減衰部材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方法ならびに制振コンクリート躯体構造物
JP2001329715A (ja) 免震構造物の構築方法
JP3004242B2 (ja) 制震用建築材料、制震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WO2016035411A1 (ja)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既設建物の耐震補強方法
JPH118173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24790B1 (ko) 콘크리트 보강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내진 강화 콘크리트 보강 제진 댐핑 시스템
JP2001317227A (ja) 制震壁の施工方法及び制震壁取付け構造
JP6114071B2 (ja) 既存建築物の免震化工法及びその施工中の仮設構造
JP3798141B2 (ja) 免震装置上での柱の構築方法と、仮設水平拘束材付免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