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949A -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 Google Patents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949A
KR20170139949A KR1020160072606A KR20160072606A KR20170139949A KR 20170139949 A KR20170139949 A KR 20170139949A KR 1020160072606 A KR1020160072606 A KR 1020160072606A KR 20160072606 A KR20160072606 A KR 20160072606A KR 20170139949 A KR20170139949 A KR 2017013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plate
lumbar
lum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102016007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9949A/ko
Publication of KR2017013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2개로 분리된 좌판(200)을 중심으로, 좌판지지대(220)의 하면에는 요추받이지지대(400)가 지지대체결볼트(40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요추등받이(500)가 결합되어 구조로서,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 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되, 상기 회전중심봉(540)에는 지지대안착부(550)가 고정되며,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는 큐션부받침대(521)과 큐션부(522)로 구분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큐션부받침대(521)에는 양측으로 응용부재연결간(560)이 형성되고,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볼트(561)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이다.

Description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Lumbar support of chair}
본 발명은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자의 요추받이의 구조를 다단으로 하고, 요추받이가 회동이 가능하게 하여 사람이 앉은 자리에서 인체공학적으로 요추를 받쳐줄 수 있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 좌면의자 착석시 척추골반의 변화를 살펴보면, 사람은 기립 자세에서 두개골에서부터 시작된 중력방향의 체중전달이 척주를 타고 천골로 전달이 되면 그것이 천장관절을 통해 양분되어 고관절로 전달된다.
그러나 의자에 앉게 되면 고관절(비구)로 전달되던 체중은 양측 좌골 결절이 좌면에 닿아있어 이를 통해 체중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는 골반골이 상체의 체중 거의 전부를 지탱해야 한다는 뜻이다. 일부는 하체를 타고 지면에 닿아있는 족부가 지탱한다.
좌골결절은 슬괵근(hamstring muscle)의 기시부로 좌골결절의 외측에는 좌골신경이 슬괵근 에 둘러쌓여 하지로 주행한다. 슬괵근이 좌골결절을 전방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고(경미한 슬괵근 구축), 기립자세와 비교하여 시상면상 천장관절을 중심축으로 하는 무명골의 후방회전력이 작용한다.
좌골 결절은 외측으로 벌어지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회음부가 당겨 펴지며(stretch out) 회음부로 가해지는 체중의 중량도 늘게 되어 회음부압박력이 증가한다. 이는 좌골결절부위로 체중전달이 쏠리는 단일좌면 의자의 특징이다. 골반골의 후방회전으로 인하여 미추골이 아래로 위치하게 되고 미추골과 연결된 천골은 더욱 후방회전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순응하여 후방천장관절인대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장력을 감당하여야 하며, 천장관절 증후군이라는 일련의 증세를 유발한다. 동시에 천골의 회전에 맞추어 요추는 정상 전만곡이 소실되는 구부정한 자세(slump sitting)을 가지게 된다.
이는 당연히 추간판에 가해지는 비정상 압력을 증가시켜 디스크 등의 요통을 악화시키고 뿐만 아니라 척추에 연관된 흉요추부 근육 및 인대에도 스트레스를 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도 2(a)(b)(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에 오래 앉아 근무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의학적으로 권유된 '허리를 똑바로 펴고 앉는 자세'를 유지하는데 상당히 힘이 드는 것을 느낀다.
바로 단일 좌면의 상기와 같은 원리가 전만각을 없애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점점 꾸부정한 자세는 급기야 책상 밑으로 하체가 들어가버리고 책상위로는 머리만 보이는 자세가 되기 일쑤이다.
단순히 이러한 자세변화는 명백히 시각적으로 이해 가능한 척추와 골반의 문제만 유발하하는 것이 아니다. 직접 압력을 받는 회음부의 전립선과 직장항문 부위에도 순환장애를 유발하며, 좌골결절에 집중된 압력은 하지로 가는 혈액, 림프의 순간장애, 좌골신경 압박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도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 특허발명은 양측 좌면이 분리되어 있으며, 체중이 가해지면 각 좌면은 몸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단일좌면 의자와 결정적으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첫 번째로, 회음부를 압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음부의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공기의 순환도 방해받지 않는다.
두 번째로, 좌골결절을 서로 모으는 방향으로 지지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좌면에 작용하는 힘을 반대로 지지하게 되므로 골반회전이 전방향 회전하는 힘이 더욱 크게 작용하게 만든다. 이는 미골 및 천골에 미치는 압박력 및 긴장도를 완화시키며, 천장관절후면부 인대에 미치는 장력 또한 감소시킨다. 자연스럽게 요추 전만각 유지에 신체는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덜 쓰게 된다. 또한 좌면과 접촉하는 하체면에 골고루 체중을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기존의 논문들에서 지적하고 있는 하체의 순환문제를 상당부분 개선하였다.
회음부 이완, 회음부 공기순환, 좌면접촉면에 고른 압력분포, 천골의 정상 전굴 유지, 천장관절 긴장도 이완, 정상 요추 전만각 유지, 요추부 근육 인대 정상 긴장도 유지 로 선순환되는 과정이 유지된다. 또한 적절한 요추 지지대가 하부요추에 적용되어 있어 이상적인 의자의 조건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를 갖추었다.
상기한 선순환 구조가 지속되면 구부정한 자세에서 비롯된 소화기계에 가해지는 압박이 줄어들게 되며 항문 및 전립선, 방광등의 혈액순환도 개선된다. 기존의 단일좌면 의자만 사용하던 사람은 이건 특허발명을 사용하면 자세의 편안함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수적인 순환개선에 대하여도 분명한 차이를 느끼게 된다.
이를 구체화 한 종래 발명의 의자등받이(100)는 도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선출원인 특허공보 10-1105780호에 의하여 개발된 2개로 구분된 좌판의 구조에 있어서 좌판(200)을 지지하는 좌판지지판(220)에 등받이지지대(300)와 요추받이지지대(400)가 결합되어 있다.
우선, 등받이지지대(300)에는 장공(302), 장공(303)이 형성되어 중간의자등받이(60) 및 헤드레스트(70)를 고정볼트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추받이지지대(400)는 그 상부에 요추받이(50)가 결합되어지는데, 요추받이(50)의 뒤판에 좌우측으로 통공(80)이 형성된 요추받이고정부재(55a), 요추받이고정부재(55b)가 부착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회전축(56)이 지지판(57)에 용접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57)은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서 형성된 체결공(401)을 통하여 체결요소(58)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어 지며, 통공(80)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요추받이(50)가 회동되어 지게 된다.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하부에는 좌판지지판(220)의 뒤편에서 체결볼트(403)에 의하여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좌판지지판(220)의 상부에는 좌판(200)이 부착되어 지는 것으로, 그 결합수단은 이미 선출원에서 밝힌바 있으며, 좌판지지판(220)에 하부결합부재(210)이 부착되어 있고, 좌판(200)에 상부결합부재(212)가 결합되며, 그 중간 사이에 판스프링(211)이 끼워지면서 볼트(213)에 의하여 고정되어 2개로 분할된 좌판(200)이 안락감을 한층 더하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등받이지지대(300)에는 커버요소(51)가 결합되어지는 바, 요추받이(50)와는 별개로 지지판(57)과 요추받이지지대(400)의 결합부분을 장식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요소(51)에는 등받이지지대(300)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홈(53a)이 상하로 넓게 꺽임판(52)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고, 수평으로는 좌우측에 회전축(56)이 끼워져 있을 수 있도록 결합홈(5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요소(51)는 등받이지지대(300)의 장공(301)과 체결공(54)에 의하여 볼트(59a)와 지지판너트(59b)에 의하여 체결고정되며, 중간의자등받이(60)와 헤드레스트(70)가 뒤로 재껴질 경우에는 이들 회전축(56)과 커버요소(51)가 분리되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등받이지지대(300)는 좌판지지판(220)과 결합에 있어서, 좌판지지판(220)에 형성된 좌판연결부재(305)에 형성된 사각 통공에 등받이지지대(300)의 끝부분이 끼워져 체결볼트(304)에 의하여 조여지게 되고, 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판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체결구(306)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명은 요추받이가 의자등받이와 함께 작동되어 요추를 정확히 지지하는 구조가 되지 않아 올바른 자세를 정립시켜 주지 못하였다.
척추를 해부학적으로 살펴보면, 관련 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vertebral column)는 일련의 추골(vertebra)로 구성되는데,33개의 추골이 부위에 따라 7개의 경추(cervical spine), 12개의 흉추(thoracic spine), 5개의 요추(Lumbar spine), 5개의 천추(sacrum) 및 4개의 미추(coccyx)로 구분된다.
경추, 흉추 및 요추는 일생동안 따로따로 떨어져 있으므로 가동척추라 하고 천추와 미추는 융합하여 하나의 천골과 미골로 변화하여 고정 척추라고 한다.
척주는 위로는 두개골로부터 및 으로는 골반 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이어져 있고, 앞부분의 추체(vertebral body)와 뒷부분의 척추궁(vertebral arch)로 나눌 수 있다. 척추 궁은 추체와의 사이에 연속되는 척추 관(vertebral canal)을 형성하고 그 안에 척수(spinal cord)를 보호하고 있다.
자세를 유지하는 근육과 보행은 머리와 몸통이 골반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직립시 척주의 최상점에서 내려 그은 수직선은 척주의 최하점에서도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람의 엉치 뼈인 천골은 올바른 자세를 잡아주는 기준점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사람의 정자세(바른 자세)를 만들기 위하여 척추가 앞면으로 굽어지게 만들기 위해서 요추부분에 요추받이를 깊숙이 넣어 밀어 주어야 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명하였다.
더구나,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의자 좌판의 구조에 있어서도 좌판 2개가 안쪽으로 휘어지도록 된 구조이기 때문에 동적 착석현상이 일어나는데, 앉으면 좌면이 움직여 요추받이와 정삼각형이 됨으로써, 요추가 더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발명하였던 것이다.
즉, 천골이 바로 서야 건강하고, 천골을 반듯하게 하기 위하여 정삼각형의 정상부분이 천골(요추부분)이 되고, 의자 좌판의 2개가 좌우측으로 받침대 역할을 하게 되어, 인체공학적으로 골반의 좌우측으로 의자 좌판이 각각 안쪽으로 휘어져 척추 아래에 있는 천골을 중심으로 3점식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정자세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4~7에 나타난 요추받이의 구조는 등받이 지지대와 짧게 연결되어있으므로, 결국 요추부분인 3-4-5번 사이의 천골을 깊고 강하게 밀어 전만골이 연골 뒤로 튀어나오지 못하게 앞쪽으로 밀어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결국 요추받이 지지대와 큐숀부의 거리가 길어야 효과적이나 여기에 커버를 씌울 경우 길이도 길고, 모양세가 잘 나지 않고, 특히 구조적으로 요추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 커버의 길이가 길게 되면 커버의 끝단이 다른 부재와 부딪혀 작동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요추부분인 3-4-5번 사이의 천골을 깊고 강하게 밀줄 수 있는 요추받이의 구조가 필요하였고, 구조적으로 요추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 커버의 길이가 길지 않으면서도 커버링이 되도록 짧게 할 수 있게 하되, 커버의 끝단이 다른 부재와 부딪히지 않는 요추받이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로 분리된 좌판(200)을 중심으로, 좌판지지대(220)의 하면에는 요추받이지지대(400)가 지지대체결볼트(40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요추등받이(500)가 결합되어 구조로서,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 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되, 상기 회전중심봉(540)에는 지지대안착부(550)가 고정되며,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는 큐션부받침대(521)과 큐션부(522)로 구분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큐션부받침대(521)에는 양측으로 응용부재연결간(560)이 형성되고,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볼트(561)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은 하부에 일측이 두텁게 형성된 고정부재안착돌부(535a)와, 일측이 얇게 형성된 고정부재체결판(535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여기에 볼트(539)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 측면 가장자리의 볼트(539) 2개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에 형성된 회전중심봉(540)을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고정부재걸림부(53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볼트(539)가 체결되어 회전중심봉(540)을 고정시키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하면에 회전중심봉수용홈(53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봉(540)을 억지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중심봉(540)의 중앙지점에는 “ㄷ”자형 지지대안착부(550)가 용접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의 중심부에는 세로로 다수개의 지지대높이조절공(550a)이 형성되어 지지대연결부재(551)의 볼트(551b)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볼트(551b)에는 볼트손잡이(551a)와 단턱부(551c)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551c)는 상기 볼트(551b)의 깊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51b)의 끝단에는 캡너트(552)를 끼워 지지대안착부(550)에 끼워지는 요추받이지지대(400)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지지대고정부재(530)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외부커버(600)는 중심부에 볼트공(610)을 형성하고, 상하좌우 가장자리에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구조를 커버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상의 외면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에는 수평꺽임부(620a)가, 좌우측으로는 수지꺽임부(620b)가 형성되어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요추받이를 이단으로 형성하여 그 길이를 길게 제작하여 요추부분인 3-4-5번 사이의 천골을 깊고 강하게 밀줄 수 있는 구조로서, 좌우의 분리된 좌판과 함께 정자세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이단으로 형성된 요추받이는 구조적으로 요추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 커버의 길이가 길지 않으면서도 커버링이 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이에 따라 짧게 제작된 커버는 커버의 끝단이 다른 부재와 부딪히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인체 구조학상 단일 좌면의자 착석시 척추골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착석시 올바른 자세(a)와, 중간 정도의 자세(b), 그리고 나쁜 자세(c)를 나타낸 비교도면
도 3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착석시 좌골결절을 모아주는 힘을 발휘하는 분리된 좌면의 스트레스 분포 모식도
도 4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등받이와 요추받이가 동시에 형성된 의자 사시도
도 5는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등받이와 요추받이가 동시에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종래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의자의 좌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인체 구조학상 척추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가 적용된 의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의 결합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의 분리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의 분리된 개략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의 분리된 개략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의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와 보호카바를 결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의자요추받이와 보호카바를 결합하는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한 의자는 2개로 분리된 좌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의 좌판지지대(220)와 팔걸이부(230)와, 그리고 다리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판지지대(220)의 하면에는 요추받이지지대(400)가 지지대체결볼트(40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요추등받이(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되, 이들은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설계시 굵기와 높이에 대한 최적의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 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결합되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은 하부에 일측이 두텁게 형성된 고정부재안착돌부(535a)와, 일측이 얇게 형성된 고정부재체결판(535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여기에 볼트(539)가 3개 체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15는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를 보강하는 리브이다.
그리고, 상기 안쪽 측면 가장자리의 볼트(539) 2개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에 형성된 회전중심봉(540)을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고정부재걸림부(53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볼트(539)가 체결되어 회전중심봉(540)을 고정시키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하면에 회전중심봉수용홈(53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봉(540)을 억지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일측 중앙부분에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안착판(532a)에는 볼트체결공(533)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이들과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의 중앙지점에는 “ㄷ”자형 지지대안착부(550)가 용접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의 중심부에는 세로로 다수개의 지지대높이조절공(550a)이 형성되어 지지대연결부재(551)의 볼트(551b)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볼트(551b)에는 볼트손잡이(551a)와 단턱부(551c)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551c)는 상기 볼트(551b)의 깊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51b)의 끝단에는 캡너트(552)를 끼워 지지대안착부(550)에 끼워지는 요추받이지지대(400)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안착부(550)가 요추받이지지대(400)에 의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에 용접고정된 회전중심봉(54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중심봉(540)은 좌우측으로 고정부재걸림부(532b)의 사이와 회전중심봉수용홈(536)사이에서 요추등받이(500)가 억지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지지대고정부재(530)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외부커버(60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부커버(600)는 중심부에 볼트공(610)을 형성하고, 상하좌우 가장자리에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구조를 커버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상의 외면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에는 수평꺽임부(620a)가, 좌우측으로는 수지꺽임부(620b)가 형성되어 이들을 수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외부커버(600)는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볼트(551b)에 의하여 접착 고정되게 되고, 또한 여기에 요추받이지지대(400)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외부커버(600)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 나란히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는 큐션부받침대(521)과 큐션부(522)로 구분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큐션부받침대(521)에는 응용부재연결간(560)이 형성되어 상기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볼트(561)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지지대고정부재(530)에 의하여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지고, 또한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상기 응용부재연결간(560)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요추받이응용부재(520)와 연결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의 큐션부(522)는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와는 지지대고정부재(530) 및 응용부재연결간(560)의 길이 만큼 앞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의 구성은 사람의 요추에 직접적으로 깊게 밀어 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어서, 사람이 편하게 앉는 것은 물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510 : 요추받이기초부재
520 : 요추받이응용부재
521 : 큐션부받침대
522 : 큐션부
530a : 지지대고정부재하판
530b : 지지대고정부재상판
532a : 고정부재안착판
532b : 고정부재걸림부
533 : 볼트체결공
535a : 고정부재안착돌부
535b : 고정부재체결판
537 : 볼트체결공
539 : 볼트
540 : 회전중심봉
550 : 지지대안착부
600 : 외부커버

Claims (4)

  1. 2개로 분리된 좌판(200)을 중심으로, 좌판지지대(220)의 하면에는 요추받이지지대(400)가 지지대체결볼트(403)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요추받이지지대(400)의 상부에는 요추등받이(500)가 결합되어 구조로서, 상기 요추등받이(500)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와 요추받이응용부재(520)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는 배면 양측으로 지지대고정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고정부재(530)는 상하 2개로 분리형성되어 있되, 하부의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상부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이 회전중심봉(54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되, 상기 회전중심봉(540)에는 지지대안착부(550)가 고정되며, 상기 요추받이응용부재(520)는 큐션부받침대(521)과 큐션부(522)로 구분되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큐션부받침대(521)에는 양측으로 응용부재연결간(560)이 형성되고, 상기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2)에 체결볼트(561)가 체결되어 양자를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은 하부에 일측이 두텁게 형성된 고정부재안착돌부(535a)와, 일측이 얇게 형성된 고정부재체결판(535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과 체결될 수 있는 볼트체결공(537)이 형성되어 여기에 볼트(539)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 측면 가장자리의 볼트(539) 2개는 상기 지지대고정부재하판(530a)에 형성된 회전중심봉(540)을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고정부재걸림부(532b)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볼트(539)가 체결되어 회전중심봉(540)을 고정시키되 지지대고정부재상판(530b)의 하면에 회전중심봉수용홈(53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봉(540)을 억지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봉(540)의 중앙지점에는 “ㄷ”자형 지지대안착부(550)가 용접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의 중심부에는 세로로 다수개의 지지대높이조절공(550a)이 형성되어 지지대연결부재(551)의 볼트(551b)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볼트(551b)에는 볼트손잡이(551a)와 단턱부(551c)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551c)는 상기 볼트(551b)의 깊이를 조절하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551b)의 끝단에는 캡너트(552)를 끼워 지지대안착부(550)에 끼워지는 요추받이지지대(400)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안착부(550)와 지지대고정부재(530)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외부커버(600)는 중심부에 볼트공(610)을 형성하고, 상하좌우 가장자리에는 요추받이기초부재(510)에 형성된 구조를 커버하기 위하여 직사각형상의 외면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에는 수평꺽임부(620a)가, 좌우측으로는 수지꺽임부(620b)가 형성되어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 요추받이
KR1020160072606A 2016-06-10 2016-06-10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KR2017013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06A KR20170139949A (ko) 2016-06-10 2016-06-10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06A KR20170139949A (ko) 2016-06-10 2016-06-10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49A true KR20170139949A (ko) 2017-12-20

Family

ID=6093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606A KR20170139949A (ko) 2016-06-10 2016-06-10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9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RU21992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5791736A (en) Ergonomic seating apparatus with inclined femoral portion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JP7248672B2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4489982A (en) Pelvic support method and means
US11166564B2 (en)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KR100995964B1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101093555B1 (ko) 앉은 자세 교정기구
EP1261263B1 (en) Ergonomically designed chair
KR20170139949A (ko) 3점 응력조절구조로 형성된 의자의 요추받이
US4331361A (en) Posture chair back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JP2003052486A (ja) 椅 子
KR20240093179A (ko) 듀얼 좌판과 c형의 허리척추 유지를 위한 3점 형상을 형성하는 의자 요추받이 구조
KR200220097Y1 (ko) 의자
WO2011087241A2 (ko) 자세 교정용 의자
JP6112768B2 (ja) 着座器具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JPH11244099A (ja) 着座具
KR20240031483A (ko) 시트 구조물
RU2661585C2 (ru) Способ разгрузки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502994B1 (ko)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